KR200395135Y1 - 낙지 주낙용 낚시 - Google Patents

낙지 주낙용 낚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135Y1
KR200395135Y1 KR20-2005-0017415U KR20050017415U KR200395135Y1 KR 200395135 Y1 KR200395135 Y1 KR 200395135Y1 KR 20050017415 U KR20050017415 U KR 20050017415U KR 200395135 Y1 KR200395135 Y1 KR 200395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needle
octopus
needle hold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용
Original Assignee
황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용 filed Critical 황정용
Priority to KR20-2005-0017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지의 주낙용으로 사용되는 낚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낚시바늘 고정대에 스냅식의 고정캡을 설치하여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을 조립식으로 교체 가능토록 함으로서, 낚시바늘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낚시바늘과 낚시본체를 함께 폐기 처분하고 새로이 구입함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및 어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낙지 주낙용 낚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는, 그 전방면이 미끼부착면(13)을 형성하는 낚시본체(11)의 후방측에는 무게추(18)의 삽입을 위한 추케이스(1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낚시본체(11)의 상,하부측에는 낚시줄의 연결을 위한 낚시줄 걸이부(14)와 낚시바늘(16)의 고정을 위한 낚시바늘 고정대(1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낙지의 주낙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15)는 원형 막대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전방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낚시바늘(16)의 삽입홈(15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5a)에는 낚시바늘(16)의 후단부에 절곡 형성된 삽입단부(16a)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삽입공(15b)이 고정대(15)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15)에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17a)가 형성된 낚시바늘(16)의 고정캡(17)이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외측면을 통하여 끼움 설치되며, 상기 고정캡(17)은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몸체 후방측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15c)이 절개부(17a)의 사이로 위치하고,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단턱진 머리부에 의하여 그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지 주낙용 낚시{Fishhook for long lining of an octopus}
본 고안은 낙지의 주낙용으로 사용되는 낚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낚시바늘 고정대에 스냅식의 고정캡을 설치하여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을 조립식으로 교체 가능토록 함으로서, 낚시바늘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낚시바늘과 낚시본체를 함께 폐기 처분하고 새로이 구입함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및 어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낙지 주낙용 낚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지는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에서 많이 서식하는 다년생 어종으로 남해안과 서해안의 주낙(연승) 어업인들의 주된 소득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이 매우 즐겨먹는 해산물의 하나로서 주로 주낙이나 통발 또는 갯벌 지역에서의 채집에 의하여 어획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낙지를 어획하는 방법 중에서 주낙(Long lining)이라고 하는 것은, 모릿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표물과 아릿줄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아릿줄마다 게나 굴 또는 조개 등과 같은 미끼가 고정된 낚시를 매달아 비교적 얕은 바다 수심속으로 가라앉힘으로서 바닥층에 낚시가 드리워지도록 한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모릿줄을 서서히 이동시켜 드리워진 낚시를 차례로 걷어들임으로서 미끼에 걸려든 낙지를 어획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주낙어업은 그 어획성능이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여러 개의 낚시를 동시에 바다속으로 가라앉힘으로서 분산되어 있는 낙지 어군을 어획하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바다밑 생태계를 거의 파괴하지 않으면서 낙지만을 살아 있는 상태로 건져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자연산 어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안지역에서 소규모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입개방화 시대에도 불구하고 고급스런 자연산 횟감을 선호하는 국민적 기호에 부응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낙지의 주낙용으로 사용되는 낚시로서,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낚시본체에 무게추를 끼워 넣은 추케이스를 조립식으로 결합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낚시본체의 성형시 낚시바늘이 낚시본체와 일체로 인서트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중량의 낚시를 균일한 대량 생산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낙지 주낙용 낚시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0375호로 선출원 및 등록(공고번호: 20-195413호)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낙지 주낙용 낚시는 낚시본체의 성형과정에서 낚시바늘이 일체로 인서트 되기 때문에, 주낙용 낚시를 사용하는 도중에 낚시바늘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경우 낚시바늘과 낚시본체를 함께 폐기 처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낚시바늘과 낚시본체를 동시에 새로 구입하여야 함에 따라 어업인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획하고자 하는 낙지는 그 종류나 계절 및 지역별로 개체의 크기가 다양하게 되는 바,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어획하기 위해서는 낚시본체에 고정되는 미끼와 낚시바늘과의 거리 즉, 낚시바늘의 돌출 길이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는 데, 선출원된 주낙용 낚시는 낚시본체에 낚시바늘이 일정한 돌출 길이를 가지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획하고자 하는 낙지의 크기별로 다양한 종류의 낚시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낚시바늘의 돌출 길이를 어획하고자 하는 낙지의 크기에 맞추어 낙지가 가장 확실하게 걸릴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야 하기 때문에 낚시바늘의 돌출 길이가 다르게 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주낙용 낚시를 구비하여야 하며, 이 또한 어업인들에게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제조적인 측면에서도 낚시바늘의 돌출 길이가 다르게 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주낙용 낚시를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으로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주낙용 낚시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그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는 낚시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낚시바늘 고정대에 스냅식의 고정캡을 설치하여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을 조립식으로 교체 가능토록 함으로서, 낚시바늘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낚시바늘과 낚시본체를 함께 폐기 처분하고 새로이 구입함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및 어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낚시바늘을 낚시본체와 연결시키기 위한 구멍을 낚시바늘 고정대를 따라 다수 개로 형성시킴으로서,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이 돌출되는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하나의 주낙용 낚시만으로도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낙지의 어획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낚시바늘 고정대에 스냅식으로 설치되는 상기 고정캡에 형광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야행성 어종인 낙지의 야간조업시에도 탁월한 조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 전방면이 미끼부착면을 형성하는 낚시본체의 후방측에는 무게추의 삽입을 위한 추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낚시본체의 상,하부측에는 낚시줄의 연결을 위한 낚시줄 걸이부와 낚시바늘의 고정을 위한 낚시바늘 고정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낙지의 주낙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는 원형 막대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전방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낚시바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낚시바늘의 후단부에 절곡 형성된 삽입단부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삽입공이 고정대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에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낚시바늘의 고정캡이 낚시바늘 고정대의 외측면을 통하여 끼움 설치되며, 상기 고정캡은 낚시바늘 고정대의 몸체 후방측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이 절개부의 사이로 위치하고, 낚시바늘 고정대의 단턱진 머리부에 의하여 그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삽입공은 낚시바늘의 돌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낚시바늘 고정대의 삽입홈을 따라 2개 내지 6개 정도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은 그 자체가 형광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 표면에 형광도료가 코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의 사용상태도로서,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12a는 끼움결합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전방면이 미끼부착면(13)을 형성하는 낚시본체(11)의 후방측에는 무게추(18)의 삽입을 위한 추케이스(12)가 그 끼움결합부(12a)에 의하여 낚시본체(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고, 상기 낚시본체(11)의 상,하부측에는 낚시줄의 연결을 위한 낚시줄 걸이부(14)와 낚시바늘(16)의 고정을 위한 낚시바늘 고정대(1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끼부착면(13)은 낙지의 미끼가 되는 게나 굴 또는 조개 등이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전체 표면이 미세한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으나, 낚시본체(11)에 미끼를 고정할 시 고정밴드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므로 상기 미끼부착면(13)은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상 낚시본체(11)와 추케이스(12)가 사각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원형이나 타원형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낚시줄 걸이부(14)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낚시줄을 걸거나 매어서 결속시킬 수 있는 구멍이나 고리와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낚시바늘(16)의 경우 또한 외바늘 뿐만 아니라 하나의 몸체에 2개 또는 3개의 바늘이 형성된 쌍바늘 또는 세바늘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낚시바늘(16)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낚시바늘(16)을 낚시본체(11)와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낚시바늘(16)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15)는 낚시본체(11)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원형 막대 형상을 가지며,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몸체 전방측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낚시바늘(16)의 삽입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5a)에는 낚시본체(11)와 인접한 위치에서 낚시바늘(16)을 낚시바늘 고정대(15)와 연결시키기 위한 삽입공(15b)이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몸체를 후방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낚시바늘(16)의 몸체 후단부에는 상기 삽입공(15b)을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단부(16a)가 후방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낚시바늘(16)의 삽입단부(16a)를 삽입공(15b)을 통하여 삽입시킴과 동시에 낚시바늘(16)의 몸체 자체는 삽입홈(15a)으로 삽입되도록 하면, 낚시바늘 고정대(15)상에 낚시바늘(16)이 위치 고정되는 데, 낚시본체(11)와 낚시바늘(16) 사이의 간격, 즉 낚시바늘(16)의 돌출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15b)은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삽입홈(15a)을 따라 2개 내지 6개 정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낚시바늘(16)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삽입공(15b)의 개수는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전체 길이에 맞추어 여러 개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최소 2개에서 최대 6개의 범위내로 형성시키는 것이 어획하고자 하는 낙지의 크기에 맞추어 낚시바늘(16)의 돌출 길이를 폭넓게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삽입공(15b) 사이의 간격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낚시바늘 고정대(15)의 강도를 확보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15)에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17a)가 형성된 낚시바늘(16)의 고정캡(17)이 그 외측면을 통하여 끼움 설치되는 데, 낚시바늘 고정대(15)에 고정캡(17)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낚시바늘 고정대(15)로 삽입된 낚시바늘(16)이 고정캡(17)에 의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캡(17)은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캡(17)의 절개부(17a)가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삽입홈(15a)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머리부측으로부터 그 몸체를 통하여 고정캡(17)을 끼움식으로 삽입시킬 경우, 그 절개부(17a) 사이의 간격이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고정캡(17)이 낚시바늘 고정대(15)로 손쉽게 삽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고정캡(17)의 삽입을 보조할 수 있도록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머리부는 개략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낚시바늘 고정대(15)를 통하여 고정캡(17)의 삽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절개부(17a) 사이의 간격이 즉시 오므라들면서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단턱진 머리부에 의하여 고정캡(17)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낚시바늘 고정대(15)를 따라 고정캡(17)을 회전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삽입홈(15a)에 삽입되어 있던 낚시바늘(16)이 고정캡(17)에 의하여 낚시바늘 고정대(15)와 함께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세팅된 고정캡(17)이 낚시바늘 고정대(15)를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에서 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몸체 후방측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턱(15c)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낚시바늘 고정대(15)를 통하여 고정캡(17)을 삽입시킨 다음, 낚시바늘 고정대(15)를 따라 고정캡(17)을 회전시킴으로서 낚시바늘(16)을 낚시바늘 고정대(15)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낚시바늘 고정대(15)의 후방측에 형성된 돌출턱(15c)이 고정캡(17)의 절개부(17a) 사이로 위치하도록 세팅하게 되면, 낚시바늘 고정대(15)를 따라 고정캡(17)이 임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세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야행성인 낙지의 어획을 위하여 야간조업을 행할 경우, 낙지의 유인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낙지 주낙용 낚시에서는 낚시바늘의 고정대에 별도의 형광밴드를 설치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캡(17) 자체를 형광밴드와 같은 형광물질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그 표면에 형광도료를 코팅시킴으로서 주낙용 낚시(10)에 형광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낚시본체(11)의 후방측에 무게추(18)가 삽입된 추케이스(12)가 일체로 결합되고, 낚시바늘 고정대(15)에는 고정캡(17)에 의하여 낚시바늘(16)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서 하나의 완성된 제품으로 결합된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를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표물(3)과 함께 모릿줄(1)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는 아릿줄(2)에 결속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낚시본체(11)의 미끼부착면(13)에 게나 굴 또는 조개 등과 같은 미끼(4)를 고정시킨 다음, 모릿줄(1)을 풀어내어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를 비교적 얕은 바다 수심속으로 가라앉히게 되면, 낚시본체(11)와 추케이스(12)의 내부로 삽입된 무게추(18)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가 바닥면에 드리워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모릿줄(1)은 부표물(3)에 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를 바닥면에 드리워 놓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릿줄(1)을 서서히 이동시킴으로서 드리워진 주낙용 낚시(10)를 차례로 걷어들이게 되면 미끼(4)에 걸려든 낙지를 어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를 낙지의 어획에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낚시바늘(16)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경우 낚시바늘(16)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로부터 낚시바늘(16)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낚시바늘 고정대(15)에 설치된 고정캡(17)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힘을 주어 고정캡(17)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돌출턱(15c)에 그 절개부(17a)가 걸려 있던 고정캡(17)이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하여 돌출턱(15c)을 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캡(17)이 낚시바늘 고정대(15)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한 다음, 고정캡(17)의 절개부(17a)가 낚시바늘 고정대(15)에 형성된 삽입홈(15a)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게 되면,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삽입홈(15a)에 삽입되어 있던 낚시바늘(16)을 고정캡(17)의 절개부(17a)를 통하여 낚시바늘 고정대(15)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모나 손상된 낚시바늘(16)을 낚시바늘 고정대(15)로부터 빼낸 다음, 새로운 낚시바늘(16)을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삽입홈(15a)과 삽입공(15b)을 통하여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캡(17)을 다시 회전시켜 새로운 낚시바늘(16)이 낚시바늘 고정대(15)와 함께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캡(17)의 절개부(17a) 사이에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돌출턱(15c)이 걸리도록 하면 낚시바늘(16)의 교체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를 사용하게 되면, 낙지의 조업과정에서 낚시바늘(16)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낚시본체(11)로부터 낚시바늘(16)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경우와 같이 낚시바늘(16)과 낚시본체(11)를 함께 폐기 처분하고 새로이 구입함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및 어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어획하고자 하는 낙지는 그 종류나 계절 및 지역별로 개체의 크기가 다양하게 되며,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어획하기 위해서는 낚시본체(11)에 고정되는 미끼(4)와 낚시바늘(16)과의 거리 즉, 낚시바늘(16)의 돌출 길이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는 바,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는 낚시본체(11)로부터 돌출되는 낚시바늘(16)의 돌출 길이 또한 사용자가 임의대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낚시바늘(16)의 교체시와 마찬가지로 고정캡(17)을 회전시켜 그 절개부(17a)가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삽입홈(15a)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낚시바늘 고정대(15)로부터 낚시바늘(16)을 빼내어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삽입홈(15a)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삽입공(15b) 중 요구하는 낚시바늘(16)의 돌출 길이를 얻어낼 수 있는 삽입공(15b)으로 낚시바늘(16)의 삽입단부(16a)를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어획하고자 하는 낙지의 크기에 맞는 돌출 길이를 얻어낼 수 있도록 낚시바늘(16)을 낚시바늘 고정대(15)상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캡(17)을 회전시켜 낚시바늘(16)을 고정대(15)와 함께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면, 미끼(4)와 낚시바늘(16)과의 거리 즉, 낚시바늘(16)의 돌출 길이를 어획하고자 하는 낙지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자가 임의대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주낙용 낚시(10) 하나만으로도 그 종류나 계절 및 지역별로 개체의 크기가 다양하게 되는 낙지의 조업에 호환성 있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획하고자 하는 낙지의 크기별로 다양한 종류의 낚시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어업인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낙용 낚시(10)의 제조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소품종 대량생산에 의한 생산성 향상 및 그 제조단가의 절감을 이루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는, 낚시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낚시바늘 고정대에 스냅식의 고정캡을 설치하여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을 조립식으로 교체 가능토록 함으로서, 낚시바늘의 마모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낚시바늘과 낚시본체를 함께 폐기 처분하고 새로이 구입함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및 어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시바늘을 낚시본체와 연결시키기 위한 낚시바늘의 삽입공을 낚시바늘 고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시킴으로서, 낚시본체로부터 낚시바늘이 돌출되는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하나의 주낙용 낚시만으로도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낙지의 어획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낚시바늘의 돌출 길이가 다르게 되는 여러 가지 종류의 주낙용 낚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어업인들이 가지는 경제적인 부담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낙용 낚시의 제조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소품종 대량생산에 의한 생산성 향상 및 그 제조단가의 절감을 이루어내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낚시바늘 고정대에 스냅식으로 설치되는 상기 고정캡에 형광기능을 부여한 경우에는 낙지의 야간조업시 탁월한 조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낙지 주낙용 낚시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릿줄 2 : 아릿줄 3 : 부표물
4 : 미끼 10 : 주낙용 낚시 11 : 낚시본체
12 : 추케이스 13 : 미끼부착면 14 : 낚시줄 걸이부
15 : 낚시바늘 고정대 15a : 삽입홈 15b : 삽입공
15c : 돌출턱 16 : 낚시바늘 16a : 삽입단부
17 : 고정캡 17a : 절개부 18 : 무게추

Claims (3)

  1. 전방면이 미끼부착면(13)을 형성하는 낚시본체(11)의 후방측에는 무게추(18)의 삽입을 위한 추케이스(1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낚시본체(11)의 상,하부측에는 낚시줄의 연결을 위한 낚시줄 걸이부(14)와 낚시바늘(16)의 고정을 위한 낚시바늘 고정대(1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낙지의 주낙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15)는 원형 막대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전방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낚시바늘(16)의 삽입홈(15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5a)에는 낚시바늘(16)의 후단부에 절곡 형성된 삽입단부(16a)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삽입공(15b)이 고정대(15)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낚시바늘 고정대(15)에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17a)가 형성된 낚시바늘(16)의 고정캡(17)이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외측면을 통하여 끼움 설치되며,
    상기 고정캡(17)은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몸체 후방측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15c)이 절개부(17a)의 사이로 위치하고, 낚시바늘 고정대(15)의 단턱진 머리부에 의하여 그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용 낚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5b)은 낚시바늘(16)의 돌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낚시바늘 고정대(15)의 삽입홈(15a)을 따라 2개 내지 6개 정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용 낚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17)은 그 자체가 형광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 표면에 형광도료가 코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지 주낙용 낚시.
KR20-2005-0017415U 2005-06-16 2005-06-16 낙지 주낙용 낚시 KR200395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415U KR200395135Y1 (ko) 2005-06-16 2005-06-16 낙지 주낙용 낚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415U KR200395135Y1 (ko) 2005-06-16 2005-06-16 낙지 주낙용 낚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135Y1 true KR200395135Y1 (ko) 2005-09-07

Family

ID=4369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415U KR200395135Y1 (ko) 2005-06-16 2005-06-16 낙지 주낙용 낚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13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070Y1 (ko) 2012-01-20 2013-05-31 황정용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101824502B1 (ko) * 2015-03-19 2018-02-01 선종금 문어 어획용 낚시어구
KR20200001405A (ko) * 2018-06-27 2020-01-06 유현옥 낚시 바늘 교체가 용이한 낚시 바늘 홀더
KR102481282B1 (ko) * 2022-05-25 2022-12-28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용 봉돌
KR102599174B1 (ko) * 2023-07-19 2023-11-07 조희수 낙지용 주낙어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070Y1 (ko) 2012-01-20 2013-05-31 황정용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KR101824502B1 (ko) * 2015-03-19 2018-02-01 선종금 문어 어획용 낚시어구
KR20200001405A (ko) * 2018-06-27 2020-01-06 유현옥 낚시 바늘 교체가 용이한 낚시 바늘 홀더
KR102089157B1 (ko) * 2018-06-27 2020-03-13 유현옥 낚시 바늘 교체가 용이한 낚시 바늘 홀더
KR102481282B1 (ko) * 2022-05-25 2022-12-28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용 봉돌
KR102599174B1 (ko) * 2023-07-19 2023-11-07 조희수 낙지용 주낙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1186A1 (en) Wobbling fishing lure
US8640378B2 (en) Elastomeric cover for the weighted head of a jig-type fishing lure
KR200395135Y1 (ko) 낙지 주낙용 낚시
KR20100067646A (ko) 제물낚시나 미끼의 고정용 매트
US6286246B1 (en) Electrostatically flocked fishing lur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US4214396A (en) Fishing lures
US20100083559A1 (en) Anti-snag fishing device
US8196336B2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US8151513B2 (en) Top water fishing lure
US6105303A (en) Fishing lure
FI105770B (fi) Viehe
JP2014007992A (ja) 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アシストフックを取り付けた釣り用ルアー
US20210000094A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Device
US9485974B1 (en) Elastomeric cover for the weighted head of a jig-type fishing lure
US20170303519A1 (en) Fishing lures
US8931204B1 (en) Method of attracting fish to a fishing spoon
US9049852B1 (en) Spoon fishing l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KR102092371B1 (ko) 다재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루어 낚시용 일체형 낚시채비
KR101273414B1 (ko) 낚시용 루어
KR20120002977U (ko) 낚시용 인조미끼
JP3156154B2 (ja) 太刀魚用ルアー
KR100466014B1 (ko) 패류를 어초로 유인하여 양식 채취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