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282B1 - 두족류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두족류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282B1
KR102481282B1 KR1020220064325A KR20220064325A KR102481282B1 KR 102481282 B1 KR102481282 B1 KR 102481282B1 KR 1020220064325 A KR1020220064325 A KR 1020220064325A KR 20220064325 A KR20220064325 A KR 20220064325A KR 102481282 B1 KR102481282 B1 KR 102481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diameter
hook
binding
fishing
live b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온
Priority to KR1020220064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 속 조류에 따라 움직임이 좋고, 생 미끼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양쪽 끝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끝단에는 낚시 줄이 매듭되는 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고리가 설치된 부분의 인접 위치에는 생 미끼를 몸체에 결박하는 결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길이방향으로는 생 미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의 일 측에는 훅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두족류 낚시용 봉돌{Fishing Cephalopod For Sinker}
본 발명은 바다 속 조류에 따라 움직임이 좋고, 생 미끼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봉돌은 추라고 불리기도 하며, 대부분 납으로 구성되는 중량체로써 해저로 가라앉게 되어 해저에서 서식하는 두족류를 낚시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낚시 인조미끼의 일종이다.
상기와 같은 봉돌의 종래 기술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2-0007950호의 움직이는 낚시용 봉돌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되, 물속 투입시 수직으로 위치되어 물속 침투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전방본체(102)와;
상기 전방본체(102) 배면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되, 물속 투입시 수직으로 위치되어 물속 침투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후방본체(104)와;
상기 전방본체(102) 일 측에 설치되어 야간에 빛을 내는 제1야광부(106)와;
상기 제1야광부(1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전방본체(102) 일 측에 설치되어 야간에 빛을 내는 제2야광부(10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봉돌은 제1 및 제2야광부(106,10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저의 어둔 곳 특히 야간 낚시할 때에 봉돌이 낚시대상 어종의 눈에 잘 띠기 때문에 낚시대상 어종이 잘 물게 되어 조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봉돌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1-0108606호는 소리나는 봉돌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상기 봉돌(100)은, 메인연결고리부(110)와,
상기 메인연결고리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보조연결고리부(121a, 121b, 121c, 121d)와,
상기 보조연결고리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분할된 분할추(122a, 122b, 122c, 122d)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충돌에 의한 상기 분할추들의 좌우 유동에 따른 소리와 마찰음 또는 물결(파장)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여 대상어의 관심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낚시대상 어종의 조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2-0007950호와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1-0108606호의 봉돌은, 바다 속에서 유동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과 생 미끼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기대만큼의 조과 율을 올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2-0007950(공개일: 2022.01.20.)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1-0108606(공개일: 2021.09.03.)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봉돌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봉돌을 물속 투입시 신속하게 물속으로 침투하여 목적하는 해저까지 빠르게 도달되고, 또 물속에서 조류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아 유동이 이루어지며, 밑 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생 미끼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낚시용 봉돌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봉돌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양쪽 끝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길이는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고리가 설치된 일측 단부까지의 길이(L)가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고리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단부까지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고리가 설치된 쪽의 일측 단부까지와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고리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단부까지는 각각 3면을 갖는 3각 뿔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에는 살아있는 물고기의 표피 느낌과 유사한 느낌을 연출하는 섬유, 수지,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표피부재가 덧씌워진 물고기 형상의 몸체(1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끝단에는 낚시 줄이 매듭되는 고리(20)가 설치되며,
상기 고리가 설치된 부분의 인접 위치에는 생 미끼를 몸체에 결박하는 결박부재(30)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길이방향으로는 생 미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낚시바늘은 휨 가능한 연철로 형성된 훅(50)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봉돌은,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돌을 물속 투입시 신속하게 물속으로 침투하여 목적하는 해저까지 빠르게 도달되고, 또 물속에서 조류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아 유동이 이루어지며, 밑 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생 미끼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낚시용 봉돌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 예의 봉돌 사시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봉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봉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봉돌에 설치된 훅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봉돌에 생 미끼가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은 바다 속 조류에 따라 움직임이 좋고, 생 미끼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봉돌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끝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길이는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고리가 설치된 일측 단부까지의 길이(L)가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고리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단부까지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고리가 설치된 쪽의 일측 단부까지와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고리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단부까지는 각각 3면을 갖는 3각 뿔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에는 살아있는 물고기의 표피 느낌과 유사한 느낌을 연출하는 섬유, 수지,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표피부재가 덧씌워진 물고기 형상의 몸체(1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끝단에는 낚시 줄이 매듭되는 고리(20)가 설치되며,
상기 고리가 설치된 부분의 인접 위치에는 생 미끼를 몸체에 결박하는 결박부재(30)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길이방향으로는 생 미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낚시바늘은 휨 가능한 연철로 형성된 훅(50)이 설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양쪽 끝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몸체(10)를 마련한 이유는, 본 발명의 봉돌을 물속에 투입시 고리(20)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의 끝단부가 뾰족하게 된 상태 임으로 신속하게 물속으로 하강하여 목적하는 해저까지 빠르게 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측 끝단에는 낚시 줄(60)이 매듭되는 고리(2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무게가 무거운 몸체(10)의 수직하강을 유도하여 본 발명의 몸체(10) 즉 봉돌이 목적하는 해저까지 신속하게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내부에는 해저로의 하강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중량체가 인서트 될 수 있고, 상기 중량체가 인서트 되지 않는 경우에는 몸체 자체의 재질을 금속 또는 수지나 금속과 수지를 혼합한 중량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리가 설치된 부분의 인접 위치에는 생 미끼를 몸체(10)에 결박하는 결박부재(30)가 설치되는데, 그 결박부재(30)를 설치한 이유는, 생 미끼를 몸체(10)의 일 측에 위치시킨 후 결박부재(30)로 생 미끼를 결박하여 생 미끼가 조류 등에 의해 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거나 낚시대상 어종인 두족류가 생 미끼만 먹고 도강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체(10)의 일측 길이방향으로는 생 미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재(40)를 형성시킨 이유는, 생 미끼를 몸체(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시킨 후 결박부재(30)로 결박하는 과정에서 결박부재(30)가 결박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견고하게 결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생 미끼가 지지부재(40)에 의해 몸체(10)의 일측면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체(10)의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의 일 측에는 훅(50)이 설치되어 낚시대상 어종인 두족류를 낚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구성에서 훅(50)은 설치 개소로부터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훅(50)이 훼손되었을 때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훅(50)을 형성하는 낚시바늘의 재질은, 휨 가능한 연철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밑 걸림이 발생했을 때 당기면 낚시바늘이 변형되면서 훅(50)이 밑 걸림 지점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훅(50)은, 복수 단으로 형성시켜 낚시대상 어종인 두족류를 한 번에 복수 마리 낚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또 상기 복수 단의 훅(50)을 각각 분리결합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여 훼손된 훅(50)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봉돌에서 몸체(10)의 일실시 예는,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고리(20)가 설치된 일측 단부까지의 길이(L)가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고리(20)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단부까지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물고기의 몸통에서 머리 부분과 물고기의 몸통에서 꼬리부분의 형상과 부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길이(L')가 짧은 부분은 물고기의 머리 부분이고, 길이(L)가 긴 부분은 물고기의 꼬리부분을 의미한다.
또 상기 몸체(10)의 형상 실시 예는,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고리(20)가 설치된 쪽의 일측 단부까지와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고리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단부까지 각각 3면을 갖는 3각 뿔 형태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3면으로 인해 조류의 영향을 최대로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봉돌이 해저에 위치할 때 상기 조류의 영향으로 몸체(10)가 움직이면서 낚시대상 어종인 두족류로부터 살아있는 미끼로 인식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3면을 갖는 3각 뿔 형태로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돌을 물속에 투입시 신속하게 물속으로 하강하여 목적하는 해저까지 빠르게 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몸체(10)에는, 결박부재(30)인 실 또는 와이어가 안착되는 결박 홈(11)을 일정간격 유지하며 연이어지게 형성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결박부재(30)로 몸체(10) 일측에 위치되는 생 끼기를 결박할 때에 그 생 끼기를 결박하는 결박부재(30)가 조류 등의 영향을 받아 결박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안전하게 결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결박 홈(11)은, 물고기 형상의 몸체(10)가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박 홈(11)이 형성된 몸체(10)의 일측은 물고기 형상의 배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결박부재(30)는, 생 미끼를 휘감으며 결박하는 실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결박부재(30)의 재질은 유연하며 절단에 강한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몸체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부재(40)는,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41)으로써, 상기 고정편(41)을 복수 개 형성시킨 이유는, 생 미끼에 삽입되어 생 미끼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고정편(41)은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생 미끼에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ㄱ고, 상기의 선단이 뾰족한 고정편(41) 외에도 생 미끼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고기형상의 몸체(10)의 외부에는 살아있는 물고기의 표피 느낌과 유사한 느낌을 연출하는 섬유, 수지,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표피부재로 덧씌워지는데, 그 이유는 낚시대상 어종(두족류)이 입질할 때 생 미끼의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표피부재에 빛이 발광되는 발광물질인 편광물질 또는 야광이나 형광물질을 개재시키거나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살아있는 물고기의 표피에서 발생하는 윤기와 유사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물고기 형상의 몸체는 등 쪽의 두께가 배 쪽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물고기의 형상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류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받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봉돌은,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돌을 물속 투입시 신속하게 물속으로 침투하여 목적하는 해저까지 빠르게 도달되고, 또 물속에서 조류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아 유동이 이루어지며, 밑 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생 미끼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몸체
11 : 결박 홈
20 : 고리
30 : 결박부재
40 : 지지부재
41 : 고정편
50 : 훅
60 : 낚시줄

Claims (13)

  1. 양쪽 끝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길이는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고리가 설치된 일측 단부까지의 길이(L)가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고리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단부까지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고리가 설치된 쪽의 일측 단부까지와 상기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고리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단부까지는 각각 3면을 갖는 3각 뿔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에는 살아있는 물고기의 표피 느낌과 유사한 느낌을 연출하는 섬유, 수지,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표피부재가 덧씌워진 물고기 형상의 몸체(10)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끝단에는 낚시 줄이 매듭되는 고리(20)가 설치되며,
    상기 고리가 설치된 부분의 인접 위치에는 생 미끼를 몸체에 결박하는 결박부재(30)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 길이방향으로는 생 미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경이 가장 큰 중앙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낚시바늘은 휨 가능한 연철로 형성된 훅(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결박부재인 실 또는 와이어가 생 미끼를 휘감으며 결박한 후 그 결박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결박 홈(11)을 일정간격 유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 홈(11)은, 물고기 형상의 몸체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몸체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부재(30)는, 생 미끼를 휘감으며 결박하는 실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생 미끼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편(41)이 일정간격 유지하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50)은, 외경이 가장 큰 몸체의 중앙부로부터 고리가 설치되지 않은 쪽으로 치우치며 그 치우치게 설치되는 설치 개소로부터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훅(50)은, 복수 단으로 형성되고 그 복수 단의 훅은 각각 분리결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부재는 빛이 발광되는 발광물질이 개재되거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 형상의 몸체는 등 쪽의 두께가 배 쪽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봉돌.
KR1020220064325A 2022-05-25 2022-05-25 두족류 낚시용 봉돌 KR102481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325A KR102481282B1 (ko) 2022-05-25 2022-05-25 두족류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325A KR102481282B1 (ko) 2022-05-25 2022-05-25 두족류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282B1 true KR102481282B1 (ko) 2022-12-28

Family

ID=8453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325A KR102481282B1 (ko) 2022-05-25 2022-05-25 두족류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282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330A (ja) * 2002-02-05 2003-08-19 Arachi Noriyuki 太刀魚とイカ釣り用の複合テンヤ
KR200395135Y1 (ko) * 2005-06-16 2005-09-07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JP2006042770A (ja) * 2004-07-30 2006-02-16 Masaaki Taniguchi 錘とその製造方法
KR200465417Y1 (ko) * 2011-06-10 2013-02-18 이수진 다기능 낚시추
KR200467070Y1 (ko) * 2012-01-20 2013-05-31 황정용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JP2013165684A (ja) * 2012-02-16 2013-08-29 Shimano Inc エギ
JP2016093105A (ja) * 2014-11-12 2016-05-26 栄一 菅野 太刀魚用テンヤ
JP2019134684A (ja) * 2018-02-05 2019-08-15 修一 石井 ルアー
KR102275035B1 (ko) * 2020-11-10 2021-07-08 박민구 두족류 낚시용 어구
KR20210108606A (ko) 2020-02-26 2021-09-03 방승자 소리나는 봉돌
KR20220007950A (ko) 2020-07-13 2022-01-20 김헌석 움직이는 낚시용 봉돌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330A (ja) * 2002-02-05 2003-08-19 Arachi Noriyuki 太刀魚とイカ釣り用の複合テンヤ
JP2006042770A (ja) * 2004-07-30 2006-02-16 Masaaki Taniguchi 錘とその製造方法
KR200395135Y1 (ko) * 2005-06-16 2005-09-07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KR200465417Y1 (ko) * 2011-06-10 2013-02-18 이수진 다기능 낚시추
KR200467070Y1 (ko) * 2012-01-20 2013-05-31 황정용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JP2013165684A (ja) * 2012-02-16 2013-08-29 Shimano Inc エギ
JP2016093105A (ja) * 2014-11-12 2016-05-26 栄一 菅野 太刀魚用テンヤ
JP2019134684A (ja) * 2018-02-05 2019-08-15 修一 石井 ルアー
KR20210108606A (ko) 2020-02-26 2021-09-03 방승자 소리나는 봉돌
KR20220007950A (ko) 2020-07-13 2022-01-20 김헌석 움직이는 낚시용 봉돌
KR102275035B1 (ko) * 2020-11-10 2021-07-08 박민구 두족류 낚시용 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338B2 (en)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US3495350A (en) Fishing fly with motion regulating scoop
US8898951B2 (en) Double fishing lure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US2598011A (en) Shrimp and minnow adapter fish lure
US9185892B2 (en)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8196336B2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US4930249A (en) Fish hook for flies
JP5687375B1 (ja) テンヤ
US6421950B1 (en) Strike indicator fly line
US20150000178A1 (en) Wearable transparent lure for trolling
KR102481282B1 (ko) 두족류 낚시용 봉돌
KR10242556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3435553A (en) Live bait holders
US4841667A (en) Foil for flies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US3584408A (en) Fishing tackle
KR200447474Y1 (ko) 인조미끼
US3500574A (en) Fishing flies,lures and nymphs
US4530181A (en) Attachment device for an auxiliary fishing line
KR20150057174A (ko) 낚시추
JP2001333661A (ja) 魚釣り用擬似餌及び魚釣り用仕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