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474Y1 - 인조미끼 - Google Patents

인조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474Y1
KR200447474Y1 KR2020090006438U KR20090006438U KR200447474Y1 KR 200447474 Y1 KR200447474 Y1 KR 200447474Y1 KR 2020090006438 U KR2020090006438 U KR 2020090006438U KR 20090006438 U KR20090006438 U KR 20090006438U KR 200447474 Y1 KR200447474 Y1 KR 200447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fish
fishing
weight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106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747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2020090006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8Artificial fl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조미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물을 사용하여 물고기와 같은 자연스러운 유영을 표현할 수 있어 물고기의 입질 확율을 높이고 물고기의 바늘털기나 이빨이 날카로운 어종의 경우에도 훅킹할 때 물고기가 빠지는 경우를 배제한 인조미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몸체의 선단 중앙으로 이동공을 형성하고 후단에는 삽입홈을 형성한 일정한 무게를 지니는 추부와, 상기 추부의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미끼털의 선단을 어피로 감싸도록 형성한 미끼부와, 상기 미끼부와 추부를 통과한 낚싯줄에 가지선의 중앙을 매듭하고 상기 가지선의 양측에 낚시바늘을 연결하는 바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미끼{ARTIFICIAL BAIT}
본 고안은 인조미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물을 사용하여 물고기와 같은 자연스러운 유영을 표현할 수 있어 물고기의 입질 확율을 높이고 물고기의 바늘털기나 이빨이 날카로운 어종의 경우에도 낚시바늘에 걸린 물고기가 빠지는 경우를 배제한 인조미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다양한 대상어을 잡기 위하여 낚시대와 낚시바늘은 물론 찌, 봉, 미끼, 릴 등 다양한 장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비를 사용하여 바다낚시나 민물낚시에서 생미끼나 인조미끼를 사용하여 낚시를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미끼 중 인조미끼는 그 형태가 딱딱한 하드 베이트와 생미끼와 같은 효과를 내는 소프트 베이트로 분류된다.
이러한 인조미끼의 한 종류인 하드 베이트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낚시줄, 2는 봉돌, 3은 인조미끼, 4는 낚시바늘을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조미끼는 낚시줄(1)의 단부에 위치에 봉 돌(2)이 메듭지어지고 봉돌(2)에 단부에 인조미끼(3)를 연결하고 상기 인조끼(3)에 낚시바늘(4)을 형성한다.
이러한 인조미끼를 이용하여 우럭이나 농어, 삼치, 돔 등을 낚시하고 있으며 입질한 물고기를 훅킹할 때 물고기의 털기로 낚시바늘에서 물고기가 빠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조미끼의 하단에도 낚시바늘을 형성하고 중앙에도 낚시바늘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조미끼는 다수의 낚시바늘을 형성함으로써 인조미끼가 물속에서 자유로운 유영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낚시바늘을 여러개 형성함으로써 조립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낚시를 채비하면서 사용자가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조미끼와 낚시바늘이 고리로 연결되어 있어 물고기가 낚시바늘을 물고 물고기의 몸을 터는 털기를 할 때 낚시바늘이 물고기를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여 물고기가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닭털과 같은 조류의 깃털을 사용하여 물고기와 같은 자연스러운 유영을 표현할 수 있어 물고기의 입질 확율을 높이고 낚시바늘과 낚싯줄을 바로 연결하여 바늘이 물고기를 따라 자유롭게 움직여 물고기가 낚시바늘에서 빠지지 않는 인조미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의 선단 중앙으로 이동공을 형성하고 후단에는 삽입홈을 형성한 일정한 무게를 지니는 추부와, 상기 추부의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미끼털의 선단을 어피로 감싸도록 형성한 미끼부와, 상기 미끼부와 추부를 통과한 낚싯줄에 가지선의 중앙을 매듭하고 상기 가지선의 양측에 낚시바늘을 연결하는 바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를 제공한다.
상기 추부의 외측 선단에는 물고기의 눈 위치에 전복자개를 접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끼부의 미끼털은 조류의 털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를 제공한다.
상기 바늘부의 가지선은 여러가닥의 줄을 꼬아서 형성한 합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낚싯줄에 바늘을 직접 연결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낚시바늘이 인조미끼의 여러 곳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채비를 하면서 다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시바늘이 인조미끼에 형성되지 않고 낚싯줄에 형성되어 있고 추와, 인조미끼가 낚싯줄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물고기가 낚시바늘을 물고 물고기의 몸을 터는 털기를 할 때 낚시바늘이 물고기를 따라 자유롭게 움직여 물고기가 빠지는 경우가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미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미끼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미끼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조미끼는 인조미끼의 캐스팅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무게를 유지하는 추부(10)와, 상기 추부(10)에 연결되는 미끼부(20)와, 상기 미끼부(20)를 보고 물고기가 물릴 수 있도록 형성한 바늘부(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인조미끼의 추부(10)는 잡을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무게가 결정되어 지는 몸체(11)의 선단 중앙으로 이동공(12)을 형성하고 후단에는 삽입홈(13)을 형성하며 외측선단에는 물고기의 눈 위치에 전복자개(14)를 부착하여 물고기 모양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추부(10)의 몸체(11)와 연결되도록 미끼부(20)를 형성한다.
이러한 미끼부(20)는 몸체(11)에 형성된 삽입홈(13)에 먹이용 물고기의 유영을 표현하도록 일정한 길이의 미끼털(21)의 선단을 어피(22)로 감싸 삽입고정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의 미끼털(21)은 조류의 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류의 털은 구하기 쉬은 닭털로 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또한, 상기 미끼부(20)의 미끼털(21) 내부에 감춰지면서 추부(10)의 이동공(12)을 통해 이동하는 바늘부(3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바늘부(30)는 추부(10)의 이동공(12)을 통과한 낚시줄(1)의 단부에 가지선(31)의 중앙을 매듭하고 상기 가지선(31)의 양측에 낚시바늘(4)을 연결 형성하되 상기 가지선(31)은 이빨이 날카로운 삼치와 같은 물고기에 의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닥의 줄을 꼰 합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인조미끼를 사용하기 위하여 릴을 사용하는 낚시대인 릴대의 릴에 감겨 있는 원줄의 단부에 추부(10)에 형성된 이동공(12)을 관통한 낚싯줄(1)과 연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릴을 회전시켜 원줄을 감으며 낚싯줄(1)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부(30)의 가지선(31)을 당겨주게 되어 상기 낚싯줄(1)이 당겨지면서 가지선(31)이 이동공(12)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가지선(31)이 이동공(12)에 걸리게 되면 바늘부(30)의 바늘(4)은 미끼털(21)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미끼부(20)와 추부(10)가 낚시대의 초릿대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캐스팅을 하게 되면 추부(10)의 무게에 의해 릴에 감겨 있던 원줄이 풀리면서 인조미끼를 멀리 던지게 된다.
이와 같이 던져진 인조미끼를 릴을 감으면서 당겨 주는 릴링을 하게 되면 수중에서 미끼부(20)의 미끼털(21)이 자연스러운 베이트 피쉬(먹이용 물고기)의 유영을 표현해서 물고기를 유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릴링에 의해 물고기의 입질을 받았을 경우에는 훅킹에 의해 물고기를 낚아 올린다.
이때, 물고기는 낚시바늘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몸을 털어 바늘털이를 하게 되고 완전한 훅킹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물고기의 바늘털이 시 낚시바늘(4)을 연 결한 낚싯줄(1)이 추부(10)의 몸체(11)에서 빠져나와 낚시바늘이 물고기를 따라 자유롭게 움직여 낚시바늘이 물고기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의 초보자의 경우에도 릴링과 훅킹에 부담이 없어 초보자는 물론 숙련자 또한 좋은 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인조미끼의 채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미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미끼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미끼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미끼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추부 11 : 몸체
12 : 이동공 13 : 삽입홈
14 : 전복자개 20 : 미끼부
21 : 미끼털 22 : 어피
30 : 바늘부 31 : 가지선

Claims (4)

  1. 몸체(11)의 선단 중앙으로 이동공(12)을 형성하고 후단에는 삽입홈(13)을 형성하며 외측 선단에는 물고기의 눈 위치에 전복자개(14)를 접착하여 형성한 일정한 무게를 지니는 추부(10)와,
    상기 추부(10)의 몸체(11)에 형성된 삽입홈(13)에 삽입되도록 조류의 털로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미끼털(21)의 선단을 어피(22)로 감싸도록 형성한 미끼부(20)와,
    상기 미끼부(20)와 추부(10)를 통과한 낚싯줄(1)에 여러가닥의 줄을 꼬아서 합사로 형성된 가지선(31)의 중앙을 매듭하고 상기 가지선(31)의 양측에 낚시바늘(4)을 연결하는 바늘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90006438U 2009-05-27 2009-05-27 인조미끼 KR200447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38U KR200447474Y1 (ko) 2009-05-27 2009-05-27 인조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38U KR200447474Y1 (ko) 2009-05-27 2009-05-27 인조미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474Y1 true KR200447474Y1 (ko) 2010-01-25

Family

ID=4421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438U KR200447474Y1 (ko) 2009-05-27 2009-05-27 인조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824Y1 (ko) 2014-01-09 2015-11-19 강희택 튜브형 인조미끼
KR20180001065U (ko) * 2016-10-10 2018-04-18 유현옥 갈치 낚시채비
KR20180067187A (ko) 2016-12-12 2018-06-20 최명길 인조미끼용 낚시채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273A (ja) * 1993-12-13 1995-06-27 Yoozuri:Kk 擬似餌
JP2957973B2 (ja) * 1997-06-26 1999-10-06 隆 溝口 振動式ルアー
KR200321965Y1 (ko) 2003-05-15 2003-08-06 전영명 봉돌이 내장된 낚시용 인조미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273A (ja) * 1993-12-13 1995-06-27 Yoozuri:Kk 擬似餌
JP2957973B2 (ja) * 1997-06-26 1999-10-06 隆 溝口 振動式ルアー
KR200321965Y1 (ko) 2003-05-15 2003-08-06 전영명 봉돌이 내장된 낚시용 인조미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824Y1 (ko) 2014-01-09 2015-11-19 강희택 튜브형 인조미끼
KR20180001065U (ko) * 2016-10-10 2018-04-18 유현옥 갈치 낚시채비
KR200487601Y1 (ko) 2016-10-10 2018-10-11 유현옥 갈치 낚시채비
KR20180067187A (ko) 2016-12-12 2018-06-20 최명길 인조미끼용 낚시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378A (en) Fishing lure
KR100431240B1 (ko) 낚시바늘 집
US5881490A (en) Fishing rig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US20160037760A1 (en) Fishing lure containment device
KR200487601Y1 (ko) 갈치 낚시채비
US3293791A (en) Fishing gear
US20070169399A1 (en) Fish hook and method of attaching to fishing tackle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20120117851A1 (en) Fishing Jig
KR200447474Y1 (ko) 인조미끼
US20060162232A1 (en) Fishing apparatus and method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US5127183A (en) Fishing fly
US11779001B2 (en) Fishing lure line attachment system
US4738048A (en) Fish hooking needle
US9288970B1 (en) Baiter style body and fishing hook
JP5436916B2 (ja) 複合ルアー
JP3450266B2 (ja) 釣り用仕掛け
US8826586B1 (en) Fishing rig
JP7375235B1 (ja) 魚がかかりやすく根がかりしにくい双子の釣り針
US20230263145A1 (en) Fishing lure line attachment system
JP7145260B2 (ja) 釣りの仕掛け
US20220256828A1 (en) Fishing Knot Protector
US20210045370A1 (en) Fishing lure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310

Effective date: 2010072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