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01Y1 - 갈치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갈치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01Y1
KR200487601Y1 KR2020160005824U KR20160005824U KR200487601Y1 KR 200487601 Y1 KR200487601 Y1 KR 200487601Y1 KR 2020160005824 U KR2020160005824 U KR 2020160005824U KR 20160005824 U KR20160005824 U KR 20160005824U KR 200487601 Y1 KR200487601 Y1 KR 200487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tube
needle
bai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065U (ko
Inventor
유현옥
Original Assignee
유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옥 filed Critical 유현옥
Priority to KR2020160005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0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40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바늘과 낚싯줄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미끼가 아래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며 상기 낚싯바늘을 문 갈치를 사람 손이 다치지 않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낚싯바늘의 바늘허리 일측에 상기 낚싯줄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미늘과; 갈치가 상기 낚싯줄을 끊지 못하도록 상기 낚싯바늘 상부의 상기 낚싯줄을 감싸는 튜브와; 상기 튜브가 상부로 빠져나기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는, 선상에서 갈치 낚시를 할 때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낚싯바늘과 낚싯줄을 연결시키고 낚싯줄의 목줄이 낚싯바늘에서 빠지지 않으며, 미끼가 바다 속 조류 등에 의해 낚싯바늘에서 빠지는 않으며, 미끼를 문 갈치를 낚싯바늘에서 뺄 대 갈치의 이빨에 낚시꾼의 손을 다치지 않으면서 쉽게 갈치를 낚싯바늘에서 분리할 수 있고, 발광 튜브 또는 케미라이트를 이용하여 갈치의 유인성을 높이며 조류에 의해 낚싯줄 엉킴의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갈치 낚시채비{Fishing tackle for a hair tail}
본 고안은 갈치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바늘의 바늘귀에 낚싯줄을 연결시키지 않고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낚싯바늘과 낚싯줄을 연결시키고 낚싯줄의 목줄이 낚싯바늘에서 빠지지 않으며, 낚싯바늘에서 미끼가 빠져나가지 않으며, 낚싯바늘을 문 갈치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바늘허리 일측으로 낚싯줄로 상부 방향의 돌출된 돌출미늘을 형성시키고 갈치가 낚싯줄을 끊지 못하도록 낚싯바늘 상부의 낚싯줄을 감싸는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갈치낚시는 선상에서 찌 없이 여러 개의 낚싯바늘을 바다 속 수심 5 ~ 20m 내외에 넣어 갈치를 잡는 방식으로 낚시를 한다.
이러한 갈치낚시는 작은 생선 또는 꽁치를 일정한 크기로 짤라 미끼로 사용하며 갈치의 이빨이 날카로워 낚싯줄이 자꾸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작은 생선 또는 일정한 크기로 짤라 사용하는 미끼가 바다 속 조류 등에 의해 낚싯바늘에서 빠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갈치의 이빨이 날카로워 미끼를 문 갈치를 낚싯바늘에서 뺄 대 손을 다칠 수 있으며, 바다 속 깊이 미끼를 투척함으로서 갈치가 미끼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하여 미끼를 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042568호(1997.10.21)의 '낚시질용 제물 낚시로 된 미끼' 및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110978호(2005.07.07)의 '갈치용 낚싯바늘' 참조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낚싯바늘과 낚싯줄을 연결시키고 낚싯줄의 목줄이 낚싯바늘에서 빠지지 않으며, 바다 속 조류 등에 의해 미끼가 낚싯바늘에서 빠지는 않도록 하며, 미끼를 문 갈치를 낚싯바늘에서 뺄 대 갈치의 이빨에 낚시꾼의 손을 다치지 않게 하면서 쉽게 갈치를 낚싯바늘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발광 튜브 또는 케미라이트를 이용하여 갈치의 유인성을 높이며 조류에 의해 낚싯줄 엉킴의 정도를 줄일 수 있는 갈치 낚시채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낚싯바늘과 낚싯줄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미끼가 아래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며 상기 낚싯바늘을 문 갈치를 사람 손이 다치지 않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낚싯바늘의 바늘허리 일측에 상기 낚싯줄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미늘과; 갈치가 상기 낚싯줄을 끊지 못하도록 상기 낚싯바늘 상부의 상기 낚싯줄을 감싸는 튜브와; 상기 튜브가 상부로 빠져나기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튜브의 외측면에는 두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 외측으로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발광되는 코팅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 내부에 발광되는 케미라이트를 내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삭제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는, 선상에서 갈치 낚시를 할 때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낚싯바늘과 낚싯줄을 연결시키고 낚싯줄의 목줄이 낚싯바늘에서 빠지지 않으며, 미끼가 바다 속 조류 등에 의해 낚싯바늘에서 빠지는 않으며, 미끼를 문 갈치를 낚싯바늘에서 뺄 대 갈치의 이빨에 낚시꾼의 손을 다치지 않으면서 쉽게 갈치를 낚싯바늘에서 분리할 수 있고, 발광 튜브 또는 케미라이트를 이용하여 갈치의 유인성을 높이며 조류에 의해 낚싯줄 엉킴의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선상에서 갈치 낚시채비을 이용하여 갈치 낚시를 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의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의 튜브에 홈을 형성시킨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의 오징어 형상의 튜브에 케미라이트를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6의 단면도.
도 8는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에 미끼를 끼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인 갈치 낚시채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갈치낚시는 선상(10)에서 릴(22)을 장착한 낚싯대(20)의 기둥줄(24)에 여러 개의 낚싯바늘(26)을 연결한 가지줄(28)을 바다 속으로 던져 갈치의 입질이 오는 경우 릴(22)을 감아 갈치를 잡는 방식으로 낚시를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갈치낚시에 사용되는 갈치 낚시채비(100)는 도 2,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낚싯바늘과는 다르게 낚싯바늘(26)의 바늘귀(30)에 목줄(29)을 연결시키지 않고 연결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낚싯바늘(26)과 상기 목줄(29)을 결속시키며 상기 목줄(29)의 끝단부는 바늘허리(60)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시킨 돌출미늘(50)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낚싯바늘(26) 부분 중 바늘귀(30) 부분과 상기 바늘허리(60) 부분에 상기 목줄(29)을 상기 연결부재(40)로 결속시키며 상기 바늘허리(60) 부분에 결합시킨 상기 목줄(29)의 끝단부를 남긴 후 상부로 꺾어 상기 돌출미늘(50)을 형성시켰다.
상기 돌출미늘(50)은 갈치가 미끼를 물어 입질을 하는 경우 또는 잡은 갈치를 갈치 낚시채비(100)에서 제거할 시에 상기 갈치 낚시채비(100)에서 상기 목줄(29)이 빠지지 않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금속 재질의 연결부재(40)를 사용하여 상기 낚싯바늘(26)과 상기 목줄(29)을 단단히 결속시키며 전술한 상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미늘(50)에 의해 잡은 갈치를 갈치 낚시채비(100)에서 제거할 시에 갈치 낚시채비(100)에서 상기 목줄(29)이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의 연결부재(40)를 사용하여 낚싯바늘(26)과 목줄(29)을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 바늘허리(60) 상부 쪽으로는 상기 바늘귀(30)를 포함한 낚싯바늘(26)의 상부와 목줄(29)을 튜브(70)가 감싸져 있다.
상기 튜브(70)는 고탄성의 합성수지제로 만들어 갈치가 미끼를 포함한 목줄(29)을 물더라도 낚싯줄을 끊지 못하게 한다.
상기 튜브(70)의 하부 내부는 상기 낚싯바늘(26) 및 목줄(29)을 결합시킨 연결부재(40)를 삽입시켜 고정되며 상기 튜브(70)의 상부 위로는 상기 가지줄(28)과 목줄(29)을 고정부재(80)가 결속시키며 상기 고정부재(80) 외연의 직경이 상기 튜브(70)의 내연의 직경에 비해 크기가 커 상기 튜브가(70) 상기 고정부재(80) 밀려 위로 밀려 올라가지 못하게 되어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미끼를 문 갈치를 갈치 낚시채비(100)에서 빼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갈치의 머리 부분을 잡고 다른 손으로 가지줄(28) 및 튜브(70)를 잡아 서로 당겨서 갈치 낚시채비(100)에서 갈치를 빼는데 상기 튜브(70)가 상기 연결부재(40) 및 고정부재(8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손으로 잡기 편해 쉽게 갈치를 갈치 낚시채비(100)에서 뺄 수 있다.
상기 튜브(70)의 상부는 바다 속 온도 변화에 따라 발광되는 재질을 코팅한 코팅층(72)을 형성시켜 사용하여 갈치를 유인한다.
상온에서는 상기 튜브(70)의 코팅층(72)의 색깔이 변하지 않으나 바닷 속에 들어가면 색깔이 변하게 하여 갈치를 유인하게끔 한다.
바다 속 온도는 지역, 계절 및 수심 별로 각각 다르나 통상적으로 갈치를 잡는 수심 5 ~ 20m 가량의 수온에 맞추어 상기 튜브(70)에 코팅층(72)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튜브(70)의 외측면으로 두 개 이상의 홈(74)을 형성시켜 바다 속 수심의 유속의 변화에 따라 홈(74) 사이로 유량이 지나가게 함으로서 바다 속에서 미끼를 끼운 낚싯바늘이 덜 움직이게 하며 이로 인하여 낚싯줄의 꼬임을 줄인다.
또한, 상기 튜브(70)는 도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다리를 가진 오징어 모양으로 형성시켜 갈치의 유인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여러 개의 다리를 가진 오징어 모양의 튜브(70) 내부에 케미라이트(76)를 넣어 바다 속에서 발광할 수 있게 하여 갈치의 유인성을 높일 수 있다.
갈치 낚시채비(100)에서 미끼(90)를 끼운 것을 나타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끼(90)의 상부를 돌출미늘(50)에 관통시키거나 내부에 돌출미늘(50)을 삽입시키고 미끼(90)의 하부는 미늘(52)에 관통시켜 조류 등에 의하여 미끼가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갈치 낚시채비 10 : 선상
22 : 릴 24 : 기둥줄
26 : 낚싯바늘 28 : 가지줄
29 : 목줄 30: 바늘귀
40 : 연결부재 50 : 돌출미늘
52 : 미늘 60 : 바늘허리
70 : 튜브 72 : 코팅층
74 : 홈 76 : 케미라이트
80: 고정부재 90 : 미끼

Claims (4)

  1. 낚싯바늘과 낚싯줄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미끼가 아래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며 상기 낚싯바늘을 문 갈치를 사람 손이 다치지 않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낚싯바늘의 바늘허리 일측에 상기 낚싯줄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미늘과;
    갈치가 상기 낚싯줄을 끊지 못하도록 상기 낚싯바늘 상부의 상기 낚싯줄을 감싸는 튜브와;
    상기 튜브가 상부로 빠져나기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튜브의 외측면에는 두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낚시채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외측으로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발광되는 코팅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낚시채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내부에 발광되는 케미라이트를 내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치 낚시채비.
  4. 삭제
KR2020160005824U 2016-10-10 2016-10-10 갈치 낚시채비 KR200487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24U KR200487601Y1 (ko) 2016-10-10 2016-10-10 갈치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24U KR200487601Y1 (ko) 2016-10-10 2016-10-10 갈치 낚시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65U KR20180001065U (ko) 2018-04-18
KR200487601Y1 true KR200487601Y1 (ko) 2018-10-11

Family

ID=6207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824U KR200487601Y1 (ko) 2016-10-10 2016-10-10 갈치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216B1 (ko) * 2020-01-07 2020-08-19 유현옥 인조미끼결합부가 설치된 낚시채비
KR20220115169A (ko) * 2021-02-10 2022-08-17 임태규 갈치 겸용 오징어잡이 낚시바늘 제조방법
KR20230112794A (ko) 2022-01-20 2023-07-28 임재영 낚시 바늘 채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35U (ko) 2018-05-04 2019-11-13 이병진 갈치 유인용 루어를 갖는 갈치채비
KR200491987Y1 (ko) 2018-06-04 2020-07-10 이형택 칼치채비의 보호튜브 겸용 루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568B2 (ja) * 1992-10-13 2000-05-15 株式会社鷹山 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JP3110978B2 (ja) * 1995-06-15 2000-11-20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気相成長装置用発熱体
KR200447474Y1 (ko) 2009-05-27 2010-01-25 김상수 인조미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568U (ja) * 1997-04-16 1997-10-21 株式会社三島企画 魚釣用擬餌
JP3110978U (ja) * 2005-03-04 2005-07-07 治雄 久保 太刀魚用釣り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568B2 (ja) * 1992-10-13 2000-05-15 株式会社鷹山 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
JP3110978B2 (ja) * 1995-06-15 2000-11-20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気相成長装置用発熱体
KR200447474Y1 (ko) 2009-05-27 2010-01-25 김상수 인조미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216B1 (ko) * 2020-01-07 2020-08-19 유현옥 인조미끼결합부가 설치된 낚시채비
KR20220115169A (ko) * 2021-02-10 2022-08-17 임태규 갈치 겸용 오징어잡이 낚시바늘 제조방법
KR102603631B1 (ko) 2021-02-10 2023-11-16 임태규 갈치 겸용 오징어잡이 낚시바늘 제조방법
KR20230112794A (ko) 2022-01-20 2023-07-28 임재영 낚시 바늘 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65U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601Y1 (ko) 갈치 낚시채비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US20100083560A1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KR200485088Y1 (ko) 오징어 낚싯바늘 유닛
US9185892B2 (en)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WO2005089401A2 (en) Terminal tackle including bearing for fishing line
KR200485442Y1 (ko) 문어 낚싯바늘 유닛
US20120117851A1 (en) Fishing Jig
US20060162232A1 (en) Fishing apparatus and method
US4930249A (en) Fish hook for flies
US20110296738A1 (en) Fishing lure
KR20170000556U (ko)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
KR20180002179U (ko)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US20090199456A1 (en) Fishing jig construction
US20170303519A1 (en) Fishing lures
KR200447474Y1 (ko) 인조미끼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US20110214334A1 (en) Artificial Bait Trailer Retainer
US20170325435A1 (en) Rattling fishing jig
US9854792B1 (en) Dugger's lightning sticks systems
US20170290311A1 (en) Fish And Game Device
KR101480332B1 (ko) 은갈치 비늘을 구비한 낚시용 유인구 및 그것을 갖는 유인구바늘조립체
KR102570506B1 (ko) 생미끼 걸이구가 장착된 봉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