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442Y1 - 문어 낚싯바늘 유닛 - Google Patents

문어 낚싯바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442Y1
KR200485442Y1 KR2020160006614U KR20160006614U KR200485442Y1 KR 200485442 Y1 KR200485442 Y1 KR 200485442Y1 KR 2020160006614 U KR2020160006614 U KR 2020160006614U KR 20160006614 U KR20160006614 U KR 20160006614U KR 200485442 Y1 KR200485442 Y1 KR 200485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waist
octopus
hook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진
Original Assignee
김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진 filed Critical 김봉진
Priority to KR2020160006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6Devices for holding bait on 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상단에 낚싯줄에 연결할 수 있으며 하단에 중량물인 봉돌이 결합될 수 있는 바늘묶음;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바늘묶음의 일 부위를 둘러 감싸는 가재의 형상으로서 유연성을 가지며,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고무소재로 형성된 에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묶음은, 하나의 기점을 두고 다수의 바늘끝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토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걸이바늘과, 상기 걸이바늘들의 배치 기점으로부터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에기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바늘허리와, 다수의 상기 걸이바늘과 단일의 상기 바늘허리를 함께 두름 압박하여 상호 밀착식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임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기에는, 등쪽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생미끼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좌우측면으로 생미끼의 냄새를 외부로 멀리 퍼지게 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발산공과, 머리쪽과 꼬리쪽에 상기 바늘허리가 관통될 수 있는 입출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낚싯바늘 유닛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문어의 시각과 미각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문어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장된 미끼를 먹기 위해 유인된 문어가 장시간 머물도록 하여 문어의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문어 낚싯바늘 유닛 {A FISHHOOK FOR THE OCTOPUS}
본 고안은 문어 낚싯바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어의 시각을 자극하여 문어를 효과적으로 유인하고, 내장된 미끼를 먹기 위해 유인된 문어를 주변에 머물도록 하여 문어의 어획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문어 낚싯바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란 갈고리 형태의 바늘에 미끼를 끼워 물속에 투입함으로써 미끼에 의해 유인되어 바늘에 꿰인 물고기를 포획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때, 미끼로는 지렁이나 새우 등과 같이 물고기의 먹이가 되는 작은 생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생물 미끼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 인조미끼를 바늘에 매달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조미끼를 이용하는 낚시 방법을 루어낚시라 하는데, 루어낚시에서는 인조미끼를 포인트 너머로 던진 후 끌어당기거나 낚싯줄을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인조미끼가 움직이도록 하여 고기를 유인하게 된다. 상기 인조미끼는 우럭이나 농어, 삼치, 돔, 배스 등의 대상어를 시각적으로 유인하기 위해 지렁이나 새우, 작은 물고기, 오징어 등의 특정 미끼의 모양을 본떠서 털, 플라스틱, 나무, 금속 따위로 만들고 있다.
상기 인조미끼는 루어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여러 모양의 스푼 루어(Spoon lure)가 있고, 이것이 발달한 스피너 루어(Spinner lure), 작은 물고기나 동물의 모양에 가까운 플러그 루어(Plug lure), 추에 낚시바늘이 붙은 형태의 지그 루어(Jig lure 또는 Jighead), 소프트베이트 루어(Softbait lure), 2종류 또는 3종류의 루어를 조합한 컴비네이션 루어(Combination lure)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 인조미끼는 담수어와 해수어 등 대상어의 종류 및 대상어의 크기에 따라 사용되는 종류가 달라진다.
한편, 두족류의 일종인 문어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많은 바늘로 이루어진 훅이 하나 이상 구비된 인조미끼를 사용하며, 이러한 인조미끼를 '에기'라고도 하며, 주로 배낚시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즉, 문어 낚시는, 캐스팅한 낚싯바늘을 수중으로 가라앉힌 다음 낚싯줄을 팽팽히 하여 해저면을 더듬어 가는 식으로 진행하는데, 낚싯바늘을 수중 바닥에 내려 끌다 예상 포인트에서 멈추고 입질이 없으면 장소를 바꾸는 식으로 진행하며, 입질이 전해지면 낚싯줄의 장력을 유지하면서도 빠르게 낚아올리는 방식이다.
이러한 문어 낚싯바늘 유닛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123호(이하, '특허문헌'이라 함)에는, '상하 바늘을 갖는 문어 포획용 낚시 어구'가 개시된 바와 같다.
상기 특허문헌의 문어 포획용 낚시 어구는, 형태적으로 문어의 시각 및 미각을 충분히 자극하지 못하여 문어가 효과적으로 유인되지 못하며, 결국에는 문어의 어획량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하 바늘이 일 방향으로 뻗어나간 구조를 취하는 관계로, 낚싯줄을 팽팽히 하여 바닥을 더듬어 가는 식으로 진행하는 문어 낚시의 특성상 장애물에 의해 상기 바늘들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그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123호 (공고일: 2014년 6월 12일)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어의 시각과 미각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문어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는 문어 낚싯바늘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해저면을 더듬어 가면서 진행하는 문어 낚시의 특성상 해초류나 자갈 등과 같은 장애물 간섭에 의한 낚싯바늘의 훼손을 방지하며,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문어 낚싯바늘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문어 낚싯바늘 유닛은,
상단에 낚싯줄에 연결할 수 있으며 하단에 중량물인 봉돌이 결합될 수 있는 바늘묶음;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바늘묶음의 일 부위를 둘러 감싸는 가재의 형상으로서 유연성을 가지며,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고무소재로 형성된 에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묶음은, 하나의 기점을 두고 다수의 바늘끝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토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걸이바늘과, 상기 걸이바늘들의 배치 기점으로부터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에기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바늘허리와, 다수의 상기 걸이바늘과 단일의 상기 바늘허리를 함께 두름 압박하여 상호 밀착식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임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기에는, 등쪽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생미끼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좌우측면으로 생미끼의 냄새를 외부로 멀리 퍼지게 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발산공과, 머리쪽과 꼬리쪽에 상기 바늘허리가 관통될 수 있는 입출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바늘은, 상기 조임밴드에 의해 상기 바늘허리 일측에 밀착고정되는 바늘축과,
상기 바늘축으로부터 연장되되, 갈고리 형태로 한쪽으로 고붓하게 휘어진 허리굽이와,
상기 허리굽이로부터 더 연장되고 상기 바늘허리와 나란하도록 수직방향을 지향함으로써 챔질 시 대상어 몸통에 박힐 수 있게 된 상기 바늘끝이 구분형성되고,
상기 바늘허리의 상단에는, 롤링도래가 연결될 수 있는 걸이홀이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벤딩 처리를 통해 상기 봉돌을 연결할 수 있는 바늘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축의 일부위에는,
상기 바늘허리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걸이바늘의 지향 방향의 자동설정을 위한 각도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결정부의 대응 타측 외주연 일부위로부터 함몰됨으로써, 상기 조임밴드 내재수용 따른 상기 걸이바늘의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제1내향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허리의 외주연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바늘축 일부위의 내재수용에 따라 상기 바늘허리와 상기 걸이바늘 상호 간의 조립결합상태가 견고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내향면이 더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결정부에는,
상기 제1내향면을 사이에 두고 외주연 양측부위로부터 소정크기 돌출되는 동시에 상호 간의 사이각이 60°를 이루는 다수의 활개편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6개의 상기 걸이바늘들이 360°를 6등분하여 서로 동등한 비례각도를 유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어 낚싯바늘 유닛에 의하면, 문어의 시각과 미각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문어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장된 미끼를 먹기 위해 유인된 문어가 장시간 머물도록 하여 문어의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 바늘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바늘묶음을 구성하여 휘거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제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어 낚싯바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바늘묶음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걸이바늘과 바늘허리 및 조임밴드의 연결관계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
도 4b는 도 3의 걸이바늘과 바늘허리 및 조임밴드의 연결관계를 확대해서 보인 평단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어 낚싯바늘 유닛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어 낚싯바늘 유닛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어 낚싯바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바늘묶음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의 걸이바늘과 바늘허리 및 조임밴드의 연결관계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 및 도 4b는 도 3의 걸이바늘과 바늘허리 및 조임밴드의 연결관계를 확대해서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어 낚싯바늘 유닛(A)은, 상단에 낚싯줄에 연결할 수 있으며 하단에 중량물인 봉돌(도시 생략)이 결합될 수 있는 바늘묶음(1)과, 내부공간(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상기 바늘묶음(1)의 일 부위를 둘러 감싸는 가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에기(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늘묶음(1)은, 낚시채비 중 대상어(문어)를 낚는데 사용하는 다수 바늘의 조합체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점을 두고 다수의 바늘끝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토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걸이바늘(11)과, 상기 걸이바늘(11)들의 배치 기점으로부터 수직하도록 연장됨으로써 상기 에기(3)가 양측으로 관통되어 고정시킬 수 있는 바늘허리(12)와, 다수의 상기 걸이바늘(11)과 단일의 상기 바늘허리(12)를 함께 두름 압박하여 상호 밀착식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임밴드(1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늘허리(12)의 상단에는, 걸이홀(121)이 형성되어 해당 부위에 연결하는 낚싯줄이 꼬이지 않도록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롤링도래(rolling swivel, 14)가 연결될 수 있으며, 그 하단에는, 벤딩(bending) 처리를 통해 상기 봉돌을 연결할 수 있는 바늘귀(12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봉돌은, 해저면을 더듬어 가는 식으로 진행하는 문어 낚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바늘묶음(1)이 해저면으로 가라앉게 하기 위한 무게추인 것으로, 납 성분으로 된 기존과 달리 황동(brass, 黃銅)을 주요 소재로 한다. 이는, 인체에 유해함은 물론 해저오염의 원인이 되는 유해성분의 방출방지를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늘허리(12)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걸이바늘(11)을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할 때, 다수의 그룹이 상기 바늘허리(12)의 하측 말단 상·하부에 상호 근접한 상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움직이는 물체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며 포착하는 습성이 있는 문어를 효과적으로 낚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바늘(11)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밴드(13)에 의해 바늘허리(12) 일측에 밀착고정되는 바늘축(111)과, 상기 바늘축(111)으로부터 연장되되, 갈고리(hook) 형태로 한쪽으로 고붓하게 휘어진 허리굽이(112)와, 상기 허리굽이(112)로부터 더 연장되고 바늘허리(12)와 나란하도록 수직방향을 지향함으로써 챔질(hooking) 시 대상어(문어) 몸통에 박힐 수 있게 된 상기 바늘끝(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바늘묶음(1)의 조합 및 결합 구조를 달리하여 제작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그로써 생산된 제품의 완성도는 물론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늘축(111) 일부위에는, 상기 바늘허리(12)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걸이바늘(11)의 지향 방향의 자동설정을 위한 각도결정부(111-1)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결정부(111-1)의 대응 타측 외주연 일부위로부터 함몰됨으로써 상기 조임밴드(13) 내재수용 따른 걸이바늘(11)의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제1내향면(11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허리(12)의 외주연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바늘축(111) 일부위의 내재수용에 따라 서로 간의 조립결합상태가 견고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내향면(122)이 더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결정부(111-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향면(111-2)을 사이에 두고 외주연(둘레면) 양측부위로부터 소정크기 돌출되는 동시에 상호 간의 사이각이 60°를 이루는 다수의 활개편(111-11)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6개의 상기 걸이바늘(11)들이 360°를 6등분으로 나눠 서로 동등한 비례각도(θ)를 자연스럽게 유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에기(3)는, 문어를 시각적으로 자극하도록 가재의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된 모조미끼로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는 문어의 특성을 감안하여 빛을 방출하는 야광(夜光) 물질을 포함하며, 유연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기(3)에는, 등쪽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생미끼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구(3a-1, 도 5 참조)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3a)와, 상기 관통구(3a)의 좌우측면으로 생미끼의 냄새를 외부로 멀리 퍼지게 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발산공(3b)과, 머리쪽과 꼬리쪽에 상기 바늘허리(12)가 관통될 수 있는 입출구(3c)(3d)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에기(3)의 내부에 삽입되는 생미끼는, 문어의 미각을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 돼지비계나, 생선의 내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에기(3)는, 상기 바늘허리(1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 교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문어 낚싯바늘 유닛(A)의 조립 및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바늘허리(12)의 하측 말단부 외주연에 6개의 걸이바늘(11)을 밀착시켜 방사형으로 배치한다. 이때, 상기 바늘허리(12)의 제2내향면(122) 안으로 상기 걸이바늘(11)의 각도결정부(111-1) 후면을 끼워넣어 상호 간의 조립결합상태가 견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바늘허리(12)를 기준점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걸이바늘(11)은, 각도결정부(111-1) 양측 외면에 다른 걸이바늘(11)의 각도결정부(111-1) 외면을 대응 밀착시키는 것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자동으로 지향한 상태가 됨으로써 결국 6개의 걸이바늘(11)이 자연스럽게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각도결정부(111-1)에 형성된 다수의 활개편(111-11)이 60°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서로 동일한 구조형태를 갖는 6개의 걸이바늘(11)을 상기 바늘허리(12) 외주연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그들 각각의 각도결정부(111-1)를 상호 밀착시킬 경우 6개의 상기 걸이바늘(11)들이 360°각을 8등분으로 균등하게 나눈 비례각도(θ)를 자연스럽게 유지한 상태로 제각기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한 방사형 배치조합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조임밴드(13)를 이용하여 다수의 걸이바늘(11)과 바늘허리(12)를 하나로 묶어 단일체의 바늘묶음(1)이 구성되도록 하는바, 이때 상기 조임밴드(13)의 내면이 걸이바늘(11)의 제1내향면(111-2) 안으로 내재수용됨에 따라 다수의 상기 걸이바늘(11)과 조임밴드(13) 상호 간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과정에 따라 상기 조임밴드(13)에 의해 다수의 거리바늘(11)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상태를 하나의 묶음 그룹이라 할 때, 다수의 묶음 그룹이 상기 바늘허리(12)의 하측 말단 상·하부에 상호 근접한 위치에 배치구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에기(3)의 머리쪽과 꼬리쪽에 형성된 입출구(3c)(3d)를 통해 상기 바늘허리(12)를 관통 고정시켜 상기 에기(3)와 상기 바늘묶음(1)을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아울러, 해저면으로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이 더해지도록 상기 바늘귀(123)에 봉돌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걸이홀(121)에 롤링도래(14)가 연결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구(3a)가 서로 연결되도록 절개하여 절개구(3a-1)를 형성하며, 선택된 생미끼를 에기(3)의 내부에 삽입한 후, 공지된 케이블 타이(T) 등을 이용하여 에기(3)에 생미끼를 일체로 묶는다.
이와 같이 생미끼를 삽입하게 되면 에기(3)에 형성된 다수의 발산공(3b)을 통해 생미끼의 냄새가 멀리 확산될 수 있어, 문어의 미각을 자극함과 아울러 에기(3)의 형상에 의해 문어를 시각적으로 자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문어 낚싯바늘 유닛에 의하면, 문어의 시각과 미각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여 문어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장된 미끼를 먹기 위해 유인된 문어가 장시간 머물도록 하여 문어의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 바늘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바늘묶음을 구성하여 휘거나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제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낚싯바늘 1 : 바늘묶음
3 : 에기 11 : 걸이바늘
12 : 바늘허리 13 : 조임밴드
14 : 롤링도래 111 : 바늘축
111-1 : 각도결정부 111-2 : 제1내향면
111-11 : 활개편 112 : 허리굽이
113 : 바늘끝 121 : 걸이홀
122 : 제2내향면 123 : 바늘귀

Claims (5)

  1. 상단에 낚싯줄에 연결할 수 있으며 하단에 중량물인 봉돌이 결합될 수 있는 바늘묶음; 및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바늘묶음의 일 부위를 둘러 감싸는 가재의 형상으로서 유연성을 가지며, 빛을 방출할 수 있는 고무소재로 형성된 에기;를 포함하되,
    상기 바늘묶음은, 하나의 기점을 두고 다수의 바늘끝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토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걸이바늘과, 상기 걸이바늘들의 배치 기점으로부터 수직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에기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바늘허리와, 다수의 상기 걸이바늘과 단일의 상기 바늘허리를 함께 두름 압박하여 상호 밀착식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임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기에는, 등쪽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생미끼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좌우측면으로 생미끼의 냄새를 외부로 멀리 퍼지게 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발산공과, 머리쪽과 꼬리쪽에 상기 바늘허리가 관통될 수 있는 입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이바늘은,
    상기 조임밴드에 의해 상기 바늘허리 일측에 밀착고정되는 바늘축과,
    상기 바늘축으로부터 연장되되, 갈고리 형태로 한쪽으로 고붓하게 휘어진 허리굽이와,
    상기 허리굽이로부터 더 연장되고 상기 바늘허리와 나란하도록 수직방향을 지향함으로써 챔질 시 대상어 몸통에 박힐 수 있게 된 상기 바늘끝이 구분형성되고,
    상기 바늘허리의 상단에는, 롤링도래가 연결될 수 있는 걸이홀이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벤딩 처리를 통해 상기 봉돌을 연결할 수 있는 바늘귀가 설치되고,
    상기 바늘축의 일부위에는,
    상기 바늘허리를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걸이바늘의 지향 방향의 자동설정을 위한 각도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결정부의 대응되는 타측 외주연 일부위로부터 함몰됨으로써, 상기 조임밴드 내재수용에 따른 상기 걸이바늘의 분리이탈 방지를 위한 제1내향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낚싯바늘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허리의 외주연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바늘축 일부위의 내재수용에 따라 상기 바늘허리와 상기 걸이바늘 상호 간의 조립결합상태가 견고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내향면이 더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낚싯바늘 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결정부에는,
    상기 제1내향면을 사이에 두고 외주연 양측부위로부터 소정크기 돌출되는 동시에 상호 간의 사이각이 60°를 이루는 다수의 활개편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6개의 상기 걸이바늘들이 360°를 6등분하여 서로 동등한 비례각도를 유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 낚싯바늘 유닛.
KR2020160006614U 2016-11-14 2016-11-14 문어 낚싯바늘 유닛 KR200485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14U KR200485442Y1 (ko) 2016-11-14 2016-11-14 문어 낚싯바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14U KR200485442Y1 (ko) 2016-11-14 2016-11-14 문어 낚싯바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442Y1 true KR200485442Y1 (ko) 2018-02-21

Family

ID=6138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14U KR200485442Y1 (ko) 2016-11-14 2016-11-14 문어 낚싯바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4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212U (ko) 2018-12-03 2020-06-11 김화규 두족류 생미끼 채비
KR20200001903U (ko) * 2019-02-20 2020-08-28 김석만 낚시용 루어
KR20220091812A (ko) 2020-12-24 2022-07-01 김정희 에기바늘 교정장치
KR102470661B1 (ko) * 2021-08-20 2022-11-25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채비
KR20230051996A (ko) 2021-10-12 2023-04-19 서민지 인조미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981A (ja) * 1999-05-18 2000-11-28 Gamakatsu Co Ltd 擬似餌針
KR20040073123A (ko) 2003-02-13 200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전계강도 향상 방법
KR200371834Y1 (ko) * 2004-10-15 2005-01-10 이중남 문어 어획용 인공미끼
KR200381884Y1 (ko) * 2005-02-04 2005-04-19 성낙조 호래기 낚시바늘
JP3117800U (ja) * 2005-10-20 2006-01-12 株式会社浅利研究所 イカ釣り針の傘針固定構造およびイカ釣り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981A (ja) * 1999-05-18 2000-11-28 Gamakatsu Co Ltd 擬似餌針
KR20040073123A (ko) 2003-02-13 200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전계강도 향상 방법
KR200371834Y1 (ko) * 2004-10-15 2005-01-10 이중남 문어 어획용 인공미끼
KR200381884Y1 (ko) * 2005-02-04 2005-04-19 성낙조 호래기 낚시바늘
JP3117800U (ja) * 2005-10-20 2006-01-12 株式会社浅利研究所 イカ釣り針の傘針固定構造およびイカ釣り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212U (ko) 2018-12-03 2020-06-11 김화규 두족류 생미끼 채비
KR20200001903U (ko) * 2019-02-20 2020-08-28 김석만 낚시용 루어
KR200493441Y1 (ko) * 2019-02-20 2021-03-30 김석만 낚시용 루어
KR20220091812A (ko) 2020-12-24 2022-07-01 김정희 에기바늘 교정장치
KR102470661B1 (ko) * 2021-08-20 2022-11-25 주식회사 세온 두족류 낚시채비
KR20230051996A (ko) 2021-10-12 2023-04-19 서민지 인조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442Y1 (ko) 문어 낚싯바늘 유닛
KR200485088Y1 (ko) 오징어 낚싯바늘 유닛
KR200492799Y1 (ko) 두족류 생미끼 채비
US9185892B2 (en)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KR200487601Y1 (ko) 갈치 낚시채비
JP2017518773A (ja) 疑似餌システム
JP4005928B2 (ja) 屈曲自在ルアー
US20110035987A1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US11864542B2 (en) Fishing lures
US83330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luring aquatic animals
KR200485370Y1 (ko) 주꾸미 낚싯바늘 유닛
US20170303519A1 (en) Fishing lures
KR20080081128A (ko) 모조미끼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KR20100000457U (ko) 낚시용 인조미끼.
KR200371831Y1 (ko) 문어 어획용 낚시어구
KR101588084B1 (ko) 물의 순환이 양호한 두족류 양식장치
US20180374382A1 (en) Fly fishing training aid
US9526235B1 (en) Fishing harness apparatus with enhanced bait securement
KR20200000425U (ko) 발광체를 구비한 인조미끼
KR20120002977U (ko) 낚시용 인조미끼
AU2008100112B4 (en) Straight fishing hook
KR200197671Y1 (ko) 게잡이 낚시
KR20200132083A (ko) 탈착식 미노우 에깅 훅
CA1133699A (en) Artificially baited hook and improve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