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12U - 두족류 생미끼 채비 - Google Patents

두족류 생미끼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12U
KR20200001212U KR2020180005553U KR20180005553U KR20200001212U KR 20200001212 U KR20200001212 U KR 20200001212U KR 2020180005553 U KR2020180005553 U KR 2020180005553U KR 20180005553 U KR20180005553 U KR 20180005553U KR 20200001212 U KR20200001212 U KR 202000012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hook
raw bait
cephalopod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799Y1 (ko
Inventor
김화규
Original Assignee
김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규 filed Critical 김화규
Priority to KR2020180005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9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6Devices for holding bait on hooks
    • A01K83/064Devices for holding bait on hooks mounted on, integral with, or rigidly connected to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살아있는 생(生)미끼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주로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 어종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생미끼 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미끼(5)를 끼우는 헤드부(1); 상기 헤드부(1)로부터 양 지선(2)(3)으로 갈라져서 생미끼(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레그부(1A); 상기 레그부(1A) 끝에 훅바늘(41,41')(43,43')이 결합되는 훅킹부(1B);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두족류 생미끼 채비{THE FISHING TACKLE WITH A LIVE BAIT FOR CEPHALOPODA}
본 고안은 두족류 생미끼 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말 그대로 살아있는 생(生)미끼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주로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 어종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생미끼 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갑오징어, 오징어, 주꾸미, 무늬오징어, 문어 등과 같은 두족류는 에기(餌木,egi: 문어나 오징어 등과 같은 두족류 낚시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새우나 물고기 형상의 루어) 등의 루어를 주로 사용하여 대상어를 공략한다. 이들을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새우모양의 포획도구의 등 부위에 도래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포획도구의 배 부위에 일정무게를 갖는 추를 형성하되 등 부위의 연결고리가 상기 추의 무게중심과 수직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쭈꾸미, 갑오징어 등의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는 낚시도구가 개시되어있다.
참고문헌2에; 대상어를 유인하는 미끼의 형상을 하며 살아있는 미끼와 같은 시각효과를 내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침강력을 제공하는 싱커, 상기 본체의 후단에 위치하며,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낚시바늘 등으로 구성된 오징어 낚시용 루어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새우 또는 물고기 형태로서, 머리부에는 낚시줄이 결속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꼬리부에는 복수개의 훅바늘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움직임 또는 조류에 따라 변형되는 유인날개; 및 상기 몸체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어 침강력을 제공하는 씽커 등으로 구성되어 문어나 오징어 등의 두족류를 천연미끼 없이 유인하여 낚을 수 있도록 하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4에; 인조 미끼의 형상을 하고, 중간 부분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바늘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몸체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및 제3 바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 루어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물고기의 먹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된 본체에 설치된 원줄 연결판과 낚시 원줄이 연결되는 부분의 변경을 통해 수중에서 인조미끼가 취하는 자세를 각각 다르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인조미끼의 자세 조절을 통해 조과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한 인조미끼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6에; 주꾸미 및 갑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를 포획 시 바늘에 포획된 두족류가 수면 위로 나올 때 두족류가 사방으로 뛰어내려 바늘이 이탈되어 포획에 실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꾸미 및 갑오징어 포획 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7에; 새우의 형태를 본뜬 인조 미끼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일단에 링 형태의 낚싯줄 접속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낚싯바늘이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과 연통되며, 서로 분리된 다수의 단위체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꼬리부; 를 포함하는 루어낚시용 인조미끼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8에; 다른 채비의 결합이 가능케 된 바늘유니트; 상기 바늘유니트에 꿰어 상기 바늘유니트가 해저면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는 중량물인 봉돌 및 상기봉돌을 포함하고 유인을 위한 먹잇감의 형상과 모양에 더해 빛을 방출하는 모조미끼인 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징어 낚시바늘이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9에; 새우 또는 물고기 형태로 낚싯줄이 결속되는 연결고리가 마련되고, 복수개의 삽입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고 꼬리부에 복수개의 훅바늘이 마련된 몸체와, 상기 각 삽입홀에 꿰어져 양단부는 몸통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 및 조류의 움직임에 따라 양단부가 너울거리는 다수의 유인날개와, 침강력을 제공하는 싱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루어낚시용 인조미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인조미끼를 이용한 루어는 대상어를 유인하는 미끼를 흡사 실물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실제 생물의 생미끼로는 기능하지 못하는 것이어서 생미끼를 이용한 것과 같은 유인효과와 조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따라 상기 인조미끼를 사용하는 루어와 달리 생미끼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루어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을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0에; 에기가 관통 결합될 수 있는 바늘허리와, 다수의 상기 걸이바늘과 단일의 상기 바늘허리를 함께 두름압박하여 상호 밀착식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조임밴드를 포함하며, 내부에 생미끼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좌우측면으로 생미끼의 냄새를 외부로 멀리 퍼지게 하기 위해 형성된 다수의 발산공 등으로 구성된 문어 낚싯바늘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1에; 루어와 생미끼의 결합으로 두족류가 경계심을 누그려뜨려 조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단에 낚시줄이 연결되는 고리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생미끼를 가두기 위한 수용부가 격자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 가두어진 생미끼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루어 몸체와; 상기 루어 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후크 바늘;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특히 갑오징어를 포획하는데 적합한 두족류 낚시용 어구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2에; 상단에 스냅, 도래로 낚시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하단 고리에 바늘결합부가 연결되는 본체부; 상단 고리가 상기 본체부의 고리에 연결되는 바늘결합부; 상기 바늘결합부 하단 고리에 결합되는 두족류바늘;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생미끼가 결합되는 미끼결합부;로 구성된 문어 생미끼 낚시채비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1895호. 2012.02.08.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1367호. 2016.11.16. (참고문헌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9971호. 2018.06.07.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7907호, 2011.08.10.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661호, 2014.02.03. (참고문헌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3707호, 2016.10.26. (참고문헌7)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556호, 2017.02.13. (참고문헌8)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270호, 2017.04.12. (참고문헌9)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2179호, 2018.07.16. (참고문헌1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442호, 2018.01.03. (참고문헌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9401호, 2018.08.10. (참고문헌1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2682호, 2018.09.14.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기존 인조미끼 등과는 달리 실제 생물의 생미끼를 간단히 꿰어서 낚시를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미끼에 의한 탁월한 유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채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생미끼의 결합 만으로 별도의 다른 준비없이 즉시 채비를 준비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낚시할 수 있게 하고 챔질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훅바늘이 탄력적으로 유동성을 발휘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훅킹을 발휘할 수 있는 채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생미끼를 끼우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양 지선으로 갈라져서 생미끼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레그부; 상기 레그부 끝에 훅바늘이 결합되는 훅킹부;로 구성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는; 스냅핀 등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여 하고 상기 고리는 생미끼를 끼우기 용이한 형상으로 구성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상기 레그부는; 상기 헤드부에 형성한 고리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절곡하여 각각 탄력부를 형성하고 상기 탄력부를 기점으로 일정 각도로 벌린 자세로 지선을 길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상기 훅킹부는; 상기 지선 끝에 훅바늘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주로 두족류 낚시를 위한 생미끼 채비를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생물을 미끼로 간단히 꿰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미끼에 의한 탁월한 유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간단한 생미끼의 결합 만으로 별도의 다른 준비없이 즉시 채비를 준비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고,
생미끼가 결합된 훅바늘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또 탄력있는 유동성을 발휘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훅킹력을 발휘함으로써 안정된 낚시와 함께 탁월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생미끼를 결합하는 사용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3, 도4는 생미끼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생미끼를 끼울 수 있게 하고 또 스냅핀 등 본선 등에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한 헤드부와, 헤드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일정한 벌린 각도를 갖도를 갖는 레그부와, 레그부 상에 형성되는 훅킹부로 이루어진다.
헤드부는 스냅 등 본선을 연결할 수 있게 고리를 형성하고, 레그부는 고리부로부터 양측으로 절곡하여 각각 탄력부를 형성하고 탄력부를 기점으로 지선을 길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선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바늘을 형성한 훅바늘을 결합하여 훅킹부를 구성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생미끼를 결합하는 사용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3, 도 4는 생미끼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한 예와 같이 철선으로 구성하며, 생미끼(5)를 끼우는 헤드부(1)와, 헤드부(1)로부터 양 지선(2)(3)으로 갈라져서 생미끼(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레그부(1A)와, 상기 레그부(1A) 끝에 훅바늘(41,41')(43,43')이 결합되는 훅킹부(1B)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1)는 스냅핀(6) 등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11)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고리(11)는 생미끼(5)를 끼우기 용이하도록 도시한 예와 같이 길게 타원형이나 앞쪽이 조금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고리(11)로 이루어지는 헤드부(1)는 고리(11)의 형상이나 헤드부(1) 전체의 형상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고리(11)를 형성한 헤드부(1) 하부에는 헤드부(1)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일정한 각도로 벌린 자세를 갖는 레그부(1A)를 구성한다.
상기 레그부(1A)는 헤드부(1)의 고리(11) 양측에 일정 각도로 벌린 지선(2)(3)을 길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선(2)(3)은 고리(11)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절곡하여 각각 탄력부(21')(31')를 형성함으로써 좌우 양 지선(2)(3)이 상기 탄력부(21)(31')를 기점으로 탄력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선(2)(3)은 그 길이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한 예와 같이 양 지선(2)(3)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어느 한 쪽의 길이를 길거나 짧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부(1)의 고리(11)로부터 양측으로 갈라져서 형성되는 지선(2)(3) 끝에는 훅킹부(1B)를 형성한다.
상기 훅킹부(1B)는 훅바늘(41,41')(43,43')을 지선(2)(3) 끝에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훅바늘(41,41')(43,43')은 다수의 바늘을 방사상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시한 예와 같이 한 개 지선(2)(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훅바늘(41,41')(43,43')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훅바늘(41,41')(43,43') 사이에는 훅바늘(41,41')(43,43')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유동성을 갖도록 구슬(42,42'(43,43')을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은 한 개 철선으로 간단하게 채비를 제작하여 생미끼(5)를 간단히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예와 같이 작은 생선 등의 생미끼(5)가 준비되면 헤드부(1)의 고리(11)를 아가미 쪽으로 밀어넣어서 헤드부(1)에 생미끼(5)를 꿰어 결합한다. 이때 생미끼(5)는 헤드부(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몸체는 헤드부(1) 하부 양 지선(2)(3)이 벌어진 레그부(1A)에 의해 측방향으로 지지되어 생미끼(5)가 채비 전체에 걸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생미끼(5)를 결합한 상태에서 고리(11)에 스냅핀(6) 등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채비를 완성하여 낚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미끼(5)를 달아 구성한 채비는 시각적으로나 후각적으로 대상어를 적극적으로 유혹하는 뛰어난 유인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낚시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고리(11)로부터 양 지선(2)(3)이 벌어진 자세를 가진 레그부(1A)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탄력부(21)(31)를 중심으로 양 지선(2)(3)이 적절한 탄력성을 갖게 됨으로써 대상어의 입질 등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여 공략하게 되므로 유인효과를 더욱 배가시키고 강력한 훅킹을 돕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레그부(1A)의 양측 지선(2)(3) 하단에 훅바늘(41,41')(43,43')이 결합되어 구성된 훅킹부(1B)는 생미끼(5) 하부에 노출되게 위치하여 챔질 시에 훅킹력을 발휘하게 되며 훅킹 시에 유동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유동성은 탄력부(21)(31)를 중심으로 탄성이 작용되어 발휘되는 것으로, 지선(2)(3)의 탄력성으로 유동성을 갖게 되는 훅바늘(41,41')(43,43')은 대상어의 입질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게 됨으로써 강력한 훅킹력을 발휘하여 뛰어난 조과를 기대케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생미끼(5)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생미끼 채비를 간단한 구성으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으며, 생미끼(5)의 사용으로 유인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유동성을 갖는 훅바늘(41,41')(43,43')에 의해 강력한 훅킹력을 발휘하는 등, 문어, 오징어 등의 두족류 낚시는 물론 다양한 낚시에서 매우 뛰어난 기능성과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1: 헤드(Head)부
11:고리
1A:레그(Leg)부
2,3':지선 21,31:탄력부
1B:훅킹(Hooking)부
41,41'/43,43':훅바늘 42,42'/44,44':구슬
5:생미끼 6:스냅핀

Claims (4)

  1. 생미끼(5)를 끼우는 헤드부(1);
    상기 헤드부(1)로부터 양 지선(2)(3)으로 갈라져서 생미끼(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레그부(1A);
    상기 레그부(1A) 끝에 훅바늘(41,41')(43,43')이 결합되는 훅킹부(1B);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생미끼 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는; 스냅핀(6) 등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11)를 형성하여 하고 상기 고리(11)는 생미끼(5)를 끼우기 용이한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생미끼 채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1A)는; 상기 헤드부(1)에 형성한 고리(11)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절곡하여 각각 탄력부(21')(31')를 형성하고 상기 탄력부(21)(31')를 기점으로 일정 각도로 벌린 자세로 지선(2)(3)을 길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생미끼 채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킹부(1B)는;
    상기 지선(2)(3) 끝에 훅바늘(41,41')(43,43')을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생미끼 채비.
KR2020180005553U 2018-12-03 2018-12-03 두족류 생미끼 채비 KR200492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53U KR200492799Y1 (ko) 2018-12-03 2018-12-03 두족류 생미끼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53U KR200492799Y1 (ko) 2018-12-03 2018-12-03 두족류 생미끼 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12U true KR20200001212U (ko) 2020-06-11
KR200492799Y1 KR200492799Y1 (ko) 2020-12-11

Family

ID=7107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53U KR200492799Y1 (ko) 2018-12-03 2018-12-03 두족류 생미끼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04A (ko) 2020-10-21 2022-04-29 주식회사 이지엠앤알바이오 생미끼 보존기간 연장용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미끼 보존기간 연장용 미생물제제
KR20220001715U (ko) 2020-12-31 2022-07-07 조규형 다수개의 핀도래를 십자형으로 형성한 봉돌
JP2022136932A (ja) * 2021-03-08 2022-09-21 博之 杉内 釣りの仕掛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609A (ko) 2021-11-23 2023-05-31 신승호 낚시용 인공미끼에 장착 가능한 생미끼 고정용 프레임
KR20230080017A (ko) 2021-11-29 2023-06-07 김서율 두족류 생미끼 채비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406A (ja) * 1999-12-14 2001-08-28 Shigenobu Tanaka 釣り具
JP2004081017A (ja) * 2002-08-23 2004-03-18 Atsushi Fujiki ルアー
JP2006141388A (ja) * 2004-11-24 2006-06-08 Yoshio Fujino 魚の口中で自動的に拡張する能動釣り針
JP2008228611A (ja) * 2007-03-19 2008-10-02 Masataka Oyama イカ釣り用仕掛
KR20110007907U (ko) 2010-02-03 2011-08-10 한승길 골프웨어 오염방지용 일회용패드
KR20120011895A (ko) 2012-01-18 2012-02-08 성민진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JP2014007992A (ja) * 2012-06-29 2014-01-20 Globeride Inc 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アシストフックを取り付けた釣り用ルアー
KR20140000661U (ko) 2012-07-19 2014-02-03 남정대 배낚시용 인조미끼
KR20160003707U (ko) 2015-04-17 2016-10-26 최철호 주꾸미 및 갑오징어 포획 도구
KR20160131367A (ko) 2015-05-07 2016-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00556U (ko) 2015-08-03 2017-02-13 신승호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
KR20170001270U (ko) 2015-10-02 2017-04-12 김봉진 오징어 낚싯바늘
KR200485442Y1 (ko) 2016-11-14 2018-02-21 김봉진 문어 낚싯바늘 유닛
KR20180059971A (ko) 2016-11-28 2018-06-07 최명길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어셈블리
KR20180002179U (ko) 2017-01-06 2018-07-16 이천용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101889401B1 (ko) 2017-12-06 2018-08-17 (주)나노테크 두족류 낚시용 어구
KR20180002682U (ko) 2017-03-06 2018-09-14 김화규 문어 생미끼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406A (ja) * 1999-12-14 2001-08-28 Shigenobu Tanaka 釣り具
JP2004081017A (ja) * 2002-08-23 2004-03-18 Atsushi Fujiki ルアー
JP2006141388A (ja) * 2004-11-24 2006-06-08 Yoshio Fujino 魚の口中で自動的に拡張する能動釣り針
JP2008228611A (ja) * 2007-03-19 2008-10-02 Masataka Oyama イカ釣り用仕掛
KR20110007907U (ko) 2010-02-03 2011-08-10 한승길 골프웨어 오염방지용 일회용패드
KR20120011895A (ko) 2012-01-18 2012-02-08 성민진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JP2014007992A (ja) * 2012-06-29 2014-01-20 Globeride Inc 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アシストフックを取り付けた釣り用ルアー
KR20140000661U (ko) 2012-07-19 2014-02-03 남정대 배낚시용 인조미끼
KR20160003707U (ko) 2015-04-17 2016-10-26 최철호 주꾸미 및 갑오징어 포획 도구
KR20160131367A (ko) 2015-05-07 2016-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00556U (ko) 2015-08-03 2017-02-13 신승호 루어 낚시용 인조 미끼
KR20170001270U (ko) 2015-10-02 2017-04-12 김봉진 오징어 낚싯바늘
KR200485442Y1 (ko) 2016-11-14 2018-02-21 김봉진 문어 낚싯바늘 유닛
KR20180059971A (ko) 2016-11-28 2018-06-07 최명길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어셈블리
KR20180002179U (ko) 2017-01-06 2018-07-16 이천용 루어낚시용 인조미끼
KR20180002682U (ko) 2017-03-06 2018-09-14 김화규 문어 생미끼 낚시채비
KR101889401B1 (ko) 2017-12-06 2018-08-17 (주)나노테크 두족류 낚시용 어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04A (ko) 2020-10-21 2022-04-29 주식회사 이지엠앤알바이오 생미끼 보존기간 연장용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생미끼 보존기간 연장용 미생물제제
KR20220001715U (ko) 2020-12-31 2022-07-07 조규형 다수개의 핀도래를 십자형으로 형성한 봉돌
JP2022136932A (ja) * 2021-03-08 2022-09-21 博之 杉内 釣りの仕掛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99Y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212U (ko) 두족류 생미끼 채비
US4138791A (en) Fishing lure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US7272910B2 (en) Artificial hybrid lure
KR101680001B1 (ko)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US9622462B2 (en) Fishing lure with plural flow-through appendage cavity portions
US8230640B2 (en) Simulated mudpuppy fishing lure
US7845107B1 (en) Artificial interchangeable hybrid lure with perforations
KR200485442Y1 (ko) 문어 낚싯바늘 유닛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5003723A (en) Fishing lure
US2746200A (en) Artificial lure
US20060112608A1 (en) Fishing lure
KR100720170B1 (ko) 움직이는 눈을 갖는 루어용 싱커
KR102584278B1 (ko) 두족류 낚시용 에기
US9339019B2 (en) Fishing lure device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KR102401443B1 (ko) 낚시용 인조 미끼
JP2019134684A (ja) ルアー
KR20070009931A (ko) 밑 걸림 방지 루어
US2328295A (en) Fish lure
US20110214334A1 (en) Artificial Bait Trailer Retainer
KR200480160Y1 (ko) 낚시용 워엄
KR20220080969A (ko)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US2742730A (en) Chum rig for fishing and crabb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