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443B1 - 낚시용 인조 미끼 - Google Patents

낚시용 인조 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443B1
KR102401443B1 KR1020210056917A KR20210056917A KR102401443B1 KR 102401443 B1 KR102401443 B1 KR 102401443B1 KR 1020210056917 A KR1020210056917 A KR 1020210056917A KR 20210056917 A KR20210056917 A KR 20210056917A KR 102401443 B1 KR102401443 B1 KR 10240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ishing
artificial bait
attached
fish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규
Original Assignee
김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규 filed Critical 김화규
Priority to KR102021005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인조 미끼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를 이루고 소형 어류의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원줄연결부; 및 상기 원줄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바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용 인조 미끼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둘레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는 어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형 어류 형태의 미끼의 몸체부에 양면테이프로 어피를 부착하여, 소형 어류 형태의 인조 미끼에 어피를 부착해 어류향을 첨가함으로써 대상어가 인조 미끼를 보지 못하여도 수중에 퍼진 어류향에 의해 유인 및 집어될 수 있도록 하므로, 소형 어류 형태의 모양으로 인한 시각적 요인과 어피의 어류향으로 인한 후각적 요인으로 인한 이중 유인방법으로 더 효율적으로 광범위하게 대상어를 유인 및 집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낚시용 인조 미끼{Artificial Bai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인조 미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를 재료로 제조한 집어용 가죽인 어피를 소형 어류 형상의 인조 미끼에 부착하여, 인조 미끼의 외형으로 대상어를 유인함과 동시에 어피의 어류향으로 집어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낚시용 인조 미끼는 소형 어류형태의 루어나 대상어 낚시에 사용되는 에기 등으로서, 인조 미끼가 대상어의 시야에 들어왔을 때, 대상어가 인조 미끼를 먹이로 인식하게 되어 유인할 수 있도록 했다.
그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인조 미끼(100)는 몸체(110)가 소형 어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낚싯줄(190)이 걸리는 회전도래(120)가 체결되며, 타측에는 대상어가 물었을 때 걸리게 되는 낚시바늘(130)이 체결되어 위치한다.
이렇게 형성된 낚시용 인조 미끼(100)는 대상어의 먹이인 소형 어류의 형상을 하고, 사용자가 낚싯대를 흔들어 낚싯줄(190)로 연결된 낚시용 인조 미끼(100)가 살아있는 것 같이 조금씩 움직이면, 낚시용 인조 미끼(100)를 확인한 대상어가 낚시용 인조 미끼(100)를 살아있는 먹이로 간주하게 되게 되므로, 유인된 대상어가 낚시용 인조 미끼(100)를 잡았을 때 낚시바늘(130)에 걸려 잡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낚시용 인조 미끼(100)는 합성수지 등의 무취인 재료로 제조하여, 겉으로 보이는 외형만 소형 어류일 뿐이기 때문에, 대상어가 낚시용 인조 미끼(100)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별다른 유인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미끼 자체가 주물로 제조되는 딱딱한 느낌의 재질로 제조되어 생동감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대상어들을 유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6271호의 "낚시용 유인 미끼"와 같은 어류의 살로 얇게 형성하여 수중에서 어류향을 내는 어피를 이용한 인조 미끼가 사용되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피를 이용한 인조 미끼(200)는 낚시바늘(230)에 낚싯줄(290), 너울부(251) 및 촉수부(252)를 매듭부(260)에 결합하고, 어피(240)를 매듭부(260)에 함께 결합해, 미끼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너울부(251)와 촉수부(252)가 수중에서 생동감있는 움직임을 가지게 되고, 어피(240)의 어류향이 수중으로 펴지게 되므로 대상어를 유인 및 집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낚시용 인조 미끼(200)는 어피(240)를 결합할 때, 매듭부(260)의 매듭에 의한 힘으로 고정되므로, 매듭의 힘이 약하면 쉽게 떨어져나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매듭부(260)에 결합된 너울부(251) 및 촉수부(252)가 수중에서 움직인다 하더라도 기존의 소형 어류 형태의 미끼와는 다르게 실제 생물과 같은 모양이 아니므로 대상어가 먹이라고 인식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소형 어류 형태의 인조 미끼와 어피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낚시용 인조 미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형 어류 형태의 인조 미끼에 어피를 부착해 어류향을 부가함으로써 대상어가 인조 미끼를 보지 못하여도 수중에 퍼진 어류향에 의해 유인 및 집어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 어류 형태의 인조 미끼의 몸체에 부착한 어피의 일부분이 수중에서의 물의 흐름에 따라 흔들리도록 형성하여 인조 미끼에 생동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인조 미끼는, 몸체를 이루고 소형 어류의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낚시줄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원줄연결부; 및 상기 원줄연결부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바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용 인조 미끼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둘레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는 어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피는 한 장이 상기 몸체부의 외둘레에 감싸져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피는 적어도 두 장 이상이 상기 몸체부의 외둘레에 감싸져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피는 서로 다른 색의 제1어피와 제2어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어피와 상기 제2어피는 상기 몸체부에 다수가 번갈아서 부착되어 줄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피는 상기 양면테이프에 부착될 때, 일단의 일부분은 상기 양면테이프에 부착되지 않는 자유부분을 형성하여, 자유부분이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낚시용 인조 미끼에 따르면, 소형 어류 형태의 미끼의 몸체부에 양면테이프로 어피를 부착하여, 소형 어류 형태의 인조 미끼에 어피를 부착해 어류향을 부가함으로써 대상어가 인조 미끼를 보지 못하여도 수중에 퍼진 어류향에 의해 유인 및 집어될 수 있도록 하므로, 소형 어류 형태의 모양으로 인한 시각적 요인과 어피의 어류향으로 인한 후각적 요인으로 인한 이중 유인방법으로 더 효율적으로 광범위하게 대상어를 유인 및 집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어피를 서로 다른 색의 제1어피와 제2어피로 나누고 제1어피와 제2어피는 몸체부에 다수가 번갈아서 부착되도록 하여, 화려한 어피무늬를 가지는 소형 어류 형태의 미끼를 형성하므로, 대상어가 화려한 무늬의 미끼를 봄으로써 더 쉽게 유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어피가 몸체부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될 때, 일단의 일부분은 양면테이프에 부착되지 않는 자유부분을 형성해 몸체부에 고정되지 않도록 하여,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의해 흔들리도록 할 수 있으므로, 어피를 부착한 소형 어류 형태의 미끼에 생동감으로 대상어에게 미끼가 살아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켜 쉽게 유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형 어류 형태의 인조 미끼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어피가 사용된 인조 미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인조 미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인조 미끼의 어피가 반복패턴으로 형성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낚시용 인조 미끼의 어피의 끝단이 넓게 형성되어 자유부분으로 형성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낚시용 인조 미끼의 어피의 끝단이 부착방지지로 인해 자유부분으로 형성되었을 때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낚시용 인조 미끼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형 어류의 형태를 하면서도 외둘레에 어피를 부착하여 대상어를 유인 및 집어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로서, 그 기본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원줄연결부(20), 바늘부(3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인조 미끼(1)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피라미, 멸치 모양의 루어나 새우 모양의 에기 등과 같이 소형 어류의 형상을 이루어 대상어에게 시각적으로 먹이가 되는 어류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몸체부(10)의 형상을 실제 먹이로 착각한 대상어가 유인되도록 한다.
원줄연결부(20)는 몸체부(10)를 낚싯줄(90) 즉 원줄의 끝단이나 원줄에서 분할되는 가지선이 연결되어 낚싯줄(90)에 낚시용 인조 미끼(1)가 결합되도록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낚싯줄(90)이 꼬이지 않도록 회전도래와 같은 회전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고리에 낚싯줄(9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데, 그 일 예로서 몸체부(10)에서 소형 어류의 등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부분에 결합되어 인위적인 낚싯줄(90)의 움직임에 따라 낚시용 인조 미끼(1)가 살아있는 것 처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늘부(30)는 대상어가 실제로 걸리게 되는 낚시바늘 부분으로서, 잡고자 하는 대상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낚시바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이 다수 절곡되어 형성된 형태의 낚시바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렇게 형성된 낚시용 인조 미끼(1)의 기본구조에 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피(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피(40)는 고등어나 오징어 등의 어류를 얇은 섬유와 같이 형성하여, 수중에서 비린내와 같은 어류향이 나도록 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외둘레에 부착되는데, 부착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본드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접착수단은 물의 수질을 오염시키므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T)와 같은 부착 수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피(40)는 녹색이나 붉은색 등 수중에서 대상어에게 잘 보이는 색을 염색하면, 대상어에게 시각적으로도 더 눈에 잘 띄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양면테이프(T)는 몸체부(10)에 먼저 부착되고, 그 위에 어피(40)를 부착할 수도 있지만, 아직 필요한 크기로 절단되지 않은 어피(40)에 먼저 전체적으로 양면테이프(T)를 붙인 뒤, 어피(40)를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몸체부(10)에 부착하도록 하면, 양면테이프(T)가 남는 부분 없이 어피(4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외면에 양면테이프(T)로 어피(40)를 부착하면, 몸체부(10)에 부착된 어피(40)의 어류향이 광범위하게 퍼지게 되므로, 인해 수중에서 낚시용 인조 미끼(1) 자체를 보지 못한 대상어가 어류향에 이끌려 후각적으로 유인 및 집어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술하였듯이 몸체부(10)가 소형 어류의 형상을 이루어 실제 먹이로 착각한 대상어가 시각적으로 유인되도록 함과 동시에, 어피(40)로 인한 광범위한 후각적인 유인 및 집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어피(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이 몸체부(10)의 외둘레에 감싸져 부착될 수도 있지만, 어피(40)를 두 장 이상 구비하여 부착할 수도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피(40)를 제1어피(41)와 제2어피(42) 2가지로 구분하여 몸체부(1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낚시용 인조 미끼(1)는 몸체부(10)의 외둘레에 서로 다른 색의 제1어피(41)와 제2어피(42)가 서로 번갈아서 부착되는데, 각각 양면테이프(T1,T2)를 부착한 제1어피(41)와 제2어피(42)를 번갈아서 부착하면, 반복 패턴인 알록달록한 무늬가 형성되므로, 알록달록한 무늬 의해 낚시용 인조 미끼(1)가 대상어에게 더 쉽게 눈에 띄어 유인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피(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부분을 양면테이프(T)에 꼼꼼하게 부착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어피(40)를 길게 형성하여 끝단이 양면테이프(T)에 붙지 않는 자유부분(40a)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낚시용 인조 미끼(1)는 사전에 몸체부(10)에 양면테이프(T1,T2)를 다수 부착한 뒤, 제1어피(41)와 제2어피(42)를 도 4와 같이 번갈아서 몸체부(10)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부착하되, 제1어피(41)의 끝단이 제2어피(42)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넓게 형성하여, 제1어피(41)의 끝단이 양면테이프(T)에 붙지 않고 자유부분(40a)이 되도록 하였으며, 똑같이 제2어피(42)의 끝단 또한 제1어피(41)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넓게 형성해 자유부분(40a)이 되도록 하였으며, 부착이 완료된 어피(40)의 모습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어피(41)와 제2어피(42)의 경계마다 각각의 자유부분(40a)이 위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유부분(40a)의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어피(41)와 제2어피(42)의 자유부분(40a)이 부착될 수 있는 양면테이프(T1,T2)의 부분에 미리 천과 같은 부착방지지(80)를 붙여놓으면, 제1어피(41)와 제2어피(42)가 서로의 일부분을 덮지 않도록 양면테이프(T1,T2)에 붙이고자 할 때, 제1어피(41)와 제2어피(42)의 끝단이 부착방지지(80)까지만 덮어 양면테이프(T1,T2)에 붙지않고 자유부분(40a)이 되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어피(41)와 제2어피(42)의 끝단을 자유부분(40a)이 되도록 하여 몸체부(10)에 고정되지 않도록 하면, 자유부분(40a)이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의해 흔들리도록 할 수 있으므로, 어피를 부착한 소형 어류 형태의 미끼에 생동감으로 대상어에게 미끼가 살아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켜 쉽게 유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유부분(40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40b)을 형성할 수 있는데, 절개홈(40b)은 자유부분(40a)을 일정 간격으로 구분되도록 절개되어 형성하며, 구분된 부분이 각각 개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자유부분(40a)이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의해 흔들리는 모습을 더 역동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낚시용 인조 미끼 10: 몸체부
20: 원줄연결부 30: 바늘부
40: 어피 T: 양면테이프

Claims (6)

  1. 몸체를 이루고 소형 어류의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낚싯줄(90)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원줄연결부(20); 및
    상기 원줄연결부(20)의 타측에 형성되는 바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용 인조 미끼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외둘레에 양면테이프(T)로 부착되는 어피(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피(40)는 상기 양면테이프(T)에 부착될 때, 적어도 두 장 이상이 상기 몸체부(10)의 외둘레에 번갈아 감싸져 부착되되, 한 쪽 어피(40)의 끝단이 이웃한 다른 쪽 어피(40)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한 쪽 어피(40)의 일부분은 상기 양면테이프(T)에 부착되지 않는 자유부분(40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자유부분(40a)이 상기 몸체부(10)에 고정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어피(40)는 상기 자유부분(40a)을 일정 간격으로 구분되도록 절개하여 절개홈(40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홈(40b)에 의해 구분된 상기 자유부분(40a)이 수중에서 각각 개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피(40)는 한 장이 상기 몸체부(10)의 외둘레에 감싸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피(40)는 서로 다른 색의 제1어피(41)와 제2어피(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어피(41)와 상기 제2어피(42)는 상기 몸체부(10)에 다수가 번갈아서 부착되어 줄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인조 미끼.
  6. 삭제
KR1020210056917A 2021-04-30 2021-04-30 낚시용 인조 미끼 KR10240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917A KR102401443B1 (ko) 2021-04-30 2021-04-30 낚시용 인조 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917A KR102401443B1 (ko) 2021-04-30 2021-04-30 낚시용 인조 미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443B1 true KR102401443B1 (ko) 2022-05-24

Family

ID=8180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917A KR102401443B1 (ko) 2021-04-30 2021-04-30 낚시용 인조 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53B1 (ko) 2023-10-10 2024-03-07 (주)앵글러즈 코리아 천연어피를 구비한 낚시용 인조미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711U (ja) * 1999-09-27 2000-04-11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釣り用スッテ
KR20100000457U (ko) * 2008-07-03 2010-01-13 조성환 낚시용 인조미끼.
KR200479507Y1 (ko) * 2014-07-29 2016-02-04 박은옥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JP3210893U (ja) * 2016-12-22 2017-06-15 益聖針織股▲ふん▼有限公司 疑似餌の外表構造
KR102186262B1 (ko) * 2020-02-24 2020-12-03 김교식 무늬가변형 루어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711U (ja) * 1999-09-27 2000-04-11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釣り用スッテ
KR20100000457U (ko) * 2008-07-03 2010-01-13 조성환 낚시용 인조미끼.
KR200479507Y1 (ko) * 2014-07-29 2016-02-04 박은옥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JP3210893U (ja) * 2016-12-22 2017-06-15 益聖針織股▲ふん▼有限公司 疑似餌の外表構造
KR102186262B1 (ko) * 2020-02-24 2020-12-03 김교식 무늬가변형 루어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53B1 (ko) 2023-10-10 2024-03-07 (주)앵글러즈 코리아 천연어피를 구비한 낚시용 인조미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09862A (en) Fish lure
US4329804A (en) Lure with interlocking attachment
US7272910B2 (en) Artificial hybrid lure
US6185857B1 (en) Teaser school fishing apparatus
US20090126256A1 (en) Modular fishing lure system
US20070089352A1 (en) Fishing lure assembly
US7845107B1 (en) Artificial interchangeable hybrid lure with perforations
US8938907B2 (en) Anti-snag fishing device
KR20200001212U (ko) 두족류 생미끼 채비
US4773181A (en) Fly-type fishing lure
KR102401443B1 (ko) 낚시용 인조 미끼
US6122856A (en) Artificial fly/lure
US2860443A (en) Animation attachment for minnow bait
US20090145017A1 (en) Fishing Bait Including Fly Tying Materials
US6748692B2 (en) Spinner bait
US20110035987A1 (en) Fishing lure and accessory
US3967406A (en) Fish lure
US2216688A (en) Fish lure
US2968113A (en) Fish lure
US9339019B2 (en) Fishing lure device
US4914849A (en) Fishing line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a fishing line to a lure or weight to be moved through the water and components of such a system
KR102281060B1 (ko) 낚시용 루어
US2294971A (en) Fish lure
US5027543A (en) Attachment for fishing lure
KR20200000292U (ko) 루어 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