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001B1 -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001B1
KR101680001B1 KR1020160001514A KR20160001514A KR101680001B1 KR 101680001 B1 KR101680001 B1 KR 101680001B1 KR 1020160001514 A KR1020160001514 A KR 1020160001514A KR 20160001514 A KR20160001514 A KR 20160001514A KR 101680001 B1 KR101680001 B1 KR 101680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ishing
waist
lur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김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욱 filed Critical 김진욱
Priority to KR102016000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2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fishing 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 낚시바늘채비(1)는 줄고리(33)에 의해 낚시줄(10)에 연결되는 생미끼 모양의 루어(3); 상기 루어(3)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나의 바늘허리(51)에 복수의 바늘턱(53)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낚시바늘(5); 및 상기 바늘허리(51)에 연결되며, 생미끼를 끼우도록 되어 있는 보조바늘(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바늘(7)은 가지선(8)을 통해 바늘허리(51)에 연결되며, 상기 가지선(8)은 상기 바늘허리(5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루어와 생미끼에 의해 동시에 두족류를 유인하고, 유인된 두족류를 낚시바늘이나 보조바늘에 의해 포획하므로, 두족류에 대한 조황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Fishing Hook Tackle For Cephalopoda Having Multi-Ba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끼와 낚시바늘을 이중으로 구비함으로써, 호래기 등 두족류를 효과적으로 낚아 올릴 수 있도록 한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체동물 중에서 가장 진화된 형태인 두족류는 오징어, 낙지, 문어, 꼴뚜기 등이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며, 8 또는 10 개의 다리가 있고, 무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발달한 눈을 가지고 있으며, 다리가 모인 몸통의 아래에 입이 있어 먹이 활동을 한다.
이 중에서도 크기가 비교적 작은 오징어나 꼴뚜기 또는 호래기 등을 낚기 위해서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볼록형 루어 형태의 낚시바늘채비(등록실용신안 제20-0186779호)가 사용된다. 이 루어(101)는 플라스틱으로 된 본체(103), 이 본체(103)의 하단에 연결된 낚시바늘(105), 본체(103) 상단에 연결된 연결고리(107), 및 이 연결고리(107)에 연결하여 낚시줄을 매달기 위한 링(1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루어(101)는 본체(103)로만 두족류를 유인하고, 바늘허리(111) 하단의 낚시바늘(105)에 의해서만 두족류를 걸어 올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낚시를 할 수 없고, 따라서 조황이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루어(101)를 제작함에 있어서도, 바늘허리(111)를 본체(103)와 함께 사출성형하여 본체(103) 내에 삽입, 결합하는 바, 낚시바늘(105)에 강한 힘이 걸릴 때 바늘허리(111)가 본체(103)와 분리되어 루어(101) 전체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018677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두족류 낚시바늘채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루어와 같은 가짜 미끼 뿐 아니라 생미끼를 겸하여 사용하고, 낚시바늘과 함께 보조바늘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낚시바늘채비의 두족류에 대한 포획 확률을 높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루어와 결합되는 낚시바늘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해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낚시바늘채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줄고리에 의해 낚시줄에 연결되는 생미끼 모양의 루어; 상기 루어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나의 바늘허리에 복수의 바늘턱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낚시바늘; 및 상기 바늘허리에 연결되며, 생미끼를 끼우도록 되어 있는 보조바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바늘은 상기 바늘허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바늘은 가지선을 통해 바늘허리에 연결되며, 상기 가지선은 상기 바늘허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늘허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몸통에 꿴 상기 가지선을 상기 바늘허리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슬; 및 상기 바늘허리 위아래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보조바늘의 이동 상하한을 규제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바늘허리에 복수의 바늘턱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낚시바늘 제작단계; 및 상기 루어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루어 하단에 상기 낚시바늘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낚시바늘을 결합하는 낚시바늘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낚시바늘 제작단계에서 상기 낚시바늘은 상기 바늘허리 상단을 개구를 통해 밑쪽으로 개방되는 개곡선 형태로 절곡하여, 수축 탄력을 갖는 바늘귀 형태가 되도록 하는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늘귀는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에지팁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대형인 루어와 이 루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낚시바늘 외에도, 낚시바늘의 바늘허리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보조바늘과 이 보조바늘에 끼워지는 생미끼를 통해 두족류를 유인하여, 낚아 올리므로, 루어와 낚시바늘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일층 조황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황에 따라 보조바늘과 그 생미끼를 바늘허리를 따라 상하로 위치를 바꿀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해진 높이에서 보조바늘과 바늘허리의 간격을 또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조바늘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조황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위와 같은 낚시바늘채비를 제작함에 있어, 낚시바늘의 바늘허리 상단에 에지팁을 갖는 개방형 바늘귀가 형성되므로, 낚시바늘채비 제작 시 루어 몸통 속으로 쉽게 바늘허리를 찔러 넣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단 바늘허리가 루어 내부로 삽입된 후에는 바늘귀가 벌어짐으로써, 조업 시 낚시바늘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낚시바늘이 루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낚시바늘채비의 가용수명과 내구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두족류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낚시바늘채비의 보조바늘이 위치 변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6의 제작방법에 따라 루어와 낚시바늘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바늘귀의 형태가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제작방법에 따라 루어와 낚시바늘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바늘귀의 형태가 마름모꼴로 되어 있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낚시바늘채비는 두족류 낚시를 위해 복합미끼를 사용하는 낚시바늘채비로서,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루어(3), 낚시바늘(5), 및 보조바늘(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루어(3)는 낙지, 문어, 주꾸미 또는 꼴뚜기 특히 호래기로 알려진 반원니꼴뚜기 등과 같은 두족류를 낚기 위한 가짜미끼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해 생미끼 모양의 색상과 형태로 된 몸통(31)을 가지고 있으며, 낚시줄(10)에 매달도록 상단에 줄고리(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루어(3)는 경량이면서도 내구강도나 내마모 성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므로, 상당한 탄력을 갖는다.
상기 낚시바늘(5)은 위와 같은 루어(3)에 유인되어 낚시바늘채비(1)로 접근하는 두족류를 직접적으로 낚는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어(3)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바, 상하로 비교적 길게 연장된 바늘허리(51)와, 이 바늘허리(51)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배치, 결합되는 복수의 바늘턱(53), 이들 복수의 바늘턱(53)을 중심에서 하나로 묶는 결합구(54), 그리고 각각의 바늘턱(53) 선단에 뾰족하게 형성된 바늘끝(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바늘(7)은 낚시바늘(5)을 보조하여 조황을 향상시키는 보조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71)을 통해 낚시바늘(5)의 바늘허리(51)에 직접 연결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선(8)을 통해 바늘허리(51)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생미끼를 끼워 낚시할 대상물을 이중으로 유인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보조바늘(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바늘허리(5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바, 조황에 따라 보조바늘(7) 즉, 생미끼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보조바늘(7)은 가지선(8)을 통해 바늘허리(51)에 연결되는 바, 가지선(8)은 매듭(71)을 통해 바늘허리(51)에 지지되는데, 이때 매듭(71)은 가지선(8)을 바늘허리(51)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면서도, 사용자가 가압한 때는 상하 이동도 가능하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보조바늘(7)은 고탄력의 고무 등으로 제작된 구슬(9)을 통해 바늘허리(51)에 지지될 수 있다. 즉, 구슬(9)은 구 또는 상하로 긴 타원구의 형태로 제작되는 바, 축선을 따라 형성된 세로 통공(91)이 바늘허리(51)에 끼워짐으로써, 자체의 수축 탄력에 의해 바늘허리(51) 상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탄력체이므로, 사용자가 상하로 파지하여 압박할 때 세로통공(91)의 관경이 늘어나면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구슬(9) 몸통에 꿴 가지선(8)을 통해 연결된 보조바늘(7)도 마찬가지로 구슬(9)과 함께 바늘허리(51)를 따라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면서도,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바늘허리(5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구슬(9)의 상하 이동 한계를 규제하는 한 쌍의 스토퍼(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스토퍼(11)는 구슬(9)과 마찬가지로 고탄력의 고무 등으로 제작되는 바, 상하로 긴 원통형 또는 타원구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종축선을 따라 형성된 세로통공(13)을 통해 바늘허리(51)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스토퍼(11)도 또한 자체의 수축 탄력에 의해 바늘허리(51) 상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나, 사용자가 상하로 파지하여 압박할 때 세로통공(13)의 관경이 늘어나면서 상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1)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고정될 때 구슬(9) 및 보조바늘(7)도 상하 이동폭이 작아지며, 반대로 간격이 넓을 때는 보조바늘(7)의 상하 이동폭도 함께 늘어난다.
더욱이, 구슬(9)은 보조바늘(7)을 바늘허리(5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선(8)의 연장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구슬(9)에는 세로통공(13)과 꼬인 관계로 가로통공(93)이 형성되어, 가지선(8)을 가로로 끼울 수 있게 되며, 매듭(71)을 짓는 위치에 따라 가지선(8)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조황에 맞추어 바늘허리(51)와 보조바늘(7)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가지선(8)은 일단에 연결된 보조바늘(7)에 강한 힘이 걸릴 때, 구슬(9)에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구슬(9)을 관통한 타단에 매듭(71)을 지어 구슬(9)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낚시바늘채비(1)에 의하여 두족류를 낚기 위해서는 먼저, 낚시바늘채비(1)를 바닷물로 캐스팅한다.
이에 따라 낚시바늘채비(1)는 봉돌(미도시)을 따라 바닷물로 가라앉게 되며, 낚시줄(10)이 허용하는 범위까지 바닷물 속으로 드리워진다. 이때, 낚시바늘채비(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루어(3)와 생미끼가 차례로 배치되어 복합적으로 두족류 등 낚시 대상물을 유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루어(3)와 생미끼로 유인된 두족류가 루어(3) 또는 생미끼를 낚아채는 순간 발생하는 어신에 따라 챔질을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두족류를 낚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조황이 좋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1)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구슬(9)을 상하로 이동시켜, 보조바늘(7)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상하 이동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슬(9)에 대한 보조바늘(7)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여, 바늘허리(51)와 보조바늘(7)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낚시바늘채비(1)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제작방법을 거치게 되는데, 이 제작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루어 제작단계(S10), 낚시바늘 제작단계(S20), 및 낚시바늘 결합단계(S3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루어 제작단계(S10)는 생미끼 모양의 루어(3)를 만드는 과정으로서, 꼴뚜기나 호래기가 선호하는 생미끼 모양의 색상과 형태로 된 몸통(31)을 만들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내부 충진체(35)를 제작하고, 그 위에 촘촘한 망 형태의 외피(37)를 씌운다. 이때, 외피(37)는 소정의 색상과 무늬를 띠며, 외피(37) 상단에 도 3과 같이 가짜눈(39)이 부착된다. 아울러, 몸통(31)의 상단에는 낚시줄(10)과 도래(12)를 연결하기 위한 줄고리(33)가 결합된다.
상기 낚시바늘 제작단계(S2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하나의 바늘허리(51)에 갈고리 형태의 바늘턱(53) 복수개를 방사상으로 부착하여 제작한다. 이때, 복수의 바늘턱(53)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바늘허리(51)에 용접 등으로 직접 부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바늘허리(51) 하단에 부착되는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간접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특히, 낚시바늘(5)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어(3)에 결합한 뒤, 쉽게 빠지지 않도록, 수축 탄력을 갖도록 밑쪽으로 개방된 바늘귀(57)가 바늘허리(51) 상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바늘귀(57)는 밑으로 개방된 개구(59)로 인해 개곡선 형태로 절곡되며, 선단이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에지팁(61)을 형성하고, 개구(59)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걸림턱(63)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낚시바늘 결합단계(S30)는 위와 같이 제작된 루어(3)와 낚시바늘(5)을 결합하는 과정으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위 루어 제작단계(S10)에서 제작된 루어(3)의 하단에 위 낚시바늘 제작단계(S20)에서 제작된 낚시바늘(5)을 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낚시바늘채비(1)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낚시바늘(5)과 루어(3)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바늘귀(57)는 루어(3)의 충진체(35) 안으로 삽입되면서, 걸림턱(63)이 바늘허리(51) 쪽으로 밀착되어 에지팁(61)에 의해 충진체(35)를 파고 들어간다. 그러나, 삽입이 완료된 후 낚시바늘(5)을 빼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바늘귀(57)는 걸림턱(63)이 벌어지면서 충진체(35)에 걸림으로써 큰 저항을 일으켜 낚시바늘(5)의 탈락을 저지한다.
다만, 바늘귀(57)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직각삼각형 또는 마름모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나, 그 작동이나 효과는 위와 같으며, 상호 간에 큰 차이가 없다.
1 : 낚시바늘채비 3 : 루어
5 : 낚시바늘 7 : 보조바늘
8 : 가지선 9 : 구슬
10 : 낚시줄 11 : 스토퍼
31 : 몸통 33 : 줄고리
35 : 충진체 37 : 외피
39 : 가짜눈 51 : 바늘허리
53 : 바늘턱 54 : 결합구
55 : 바늘끝 57 : 바늘귀
59 : 개구 61 : 에지팁

Claims (5)

  1. 줄고리(33)에 의해 낚시줄(10)에 연결되는 생미끼 모양의 루어(3);
    상기 루어(3)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나의 바늘허리(51)에 복수의 바늘턱(53)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낚시바늘(5); 및
    상기 바늘허리(51)에 연결되며, 생미끼를 끼우도록 되어 있는 보조바늘(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바늘(7)은 상기 바늘허리(5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바늘허리(51) 위아래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보조바늘(7)의 이동 상하한을 규제하는 한 쌍의 스토퍼(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늘(7)은 가지선(8)을 통해 바늘허리(51)에 연결되며, 상기 가지선(8)은 상기 바늘허리(5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늘허리(5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몸통에 꿴 상기 가지선(8)을 상기 바늘허리(5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슬(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4. 삭제
  5. 생미끼 모양의 루어(3)를 만드는 루어 제작단계(S10);
    하나의 바늘허리(51)에 복수의 바늘턱(53)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낚시바늘 제작단계(S20); 및
    상기 루어 제작단계(S10)에서 제작된 상기 루어(3) 하단에 상기 낚시바늘 제작단계(S20)에서 제작된 상기 낚시바늘(5)을 결합하는 낚시바늘 결합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낚시바늘 제작단계(S20)에서 상기 낚시바늘(5)은 상기 바늘허리(51) 상단을 개구(59)를 통해 밑쪽으로 개방되는 개곡선 형태로 절곡하여, 수축 탄력을 갖는 바늘귀(57) 형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바늘귀(57)는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에지팁(61)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59)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걸림턱(63)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제작방법.
KR1020160001514A 2016-01-06 2016-01-06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KR101680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514A KR101680001B1 (ko) 2016-01-06 2016-01-06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514A KR101680001B1 (ko) 2016-01-06 2016-01-06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001B1 true KR101680001B1 (ko) 2016-11-25

Family

ID=5768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514A KR101680001B1 (ko) 2016-01-06 2016-01-06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0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09A (ko) * 2017-08-31 2019-03-08 임용석 다재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루어 낚시용 일체형 낚시채비
KR102099046B1 (ko) * 2019-08-29 2020-04-08 함성국 낚시용 인조미끼
KR20210000412U (ko) 2019-08-12 2021-02-22 이응모 두족류 낚시채비
KR102370966B1 (ko) * 2021-09-28 2022-03-04 조윤상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20220115169A (ko) * 2021-02-10 2022-08-17 임태규 갈치 겸용 오징어잡이 낚시바늘 제조방법
WO2023054862A1 (ko) * 2021-09-28 2023-04-06 조윤상 자연 또는 인조 패각류가 구비된 두족류 포획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66Y1 (ko) 2014-03-24 2014-10-07 박민구 주꾸미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66Y1 (ko) 2014-03-24 2014-10-07 박민구 주꾸미 낚시채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09A (ko) * 2017-08-31 2019-03-08 임용석 다재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루어 낚시용 일체형 낚시채비
KR102092371B1 (ko) 2017-08-31 2020-03-23 임용석 다재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 루어 낚시용 일체형 낚시채비
KR20210000412U (ko) 2019-08-12 2021-02-22 이응모 두족류 낚시채비
KR102099046B1 (ko) * 2019-08-29 2020-04-08 함성국 낚시용 인조미끼
WO2021040305A1 (ko) * 2019-08-29 2021-03-04 함성국 낚시용 인조미끼
KR20220115169A (ko) * 2021-02-10 2022-08-17 임태규 갈치 겸용 오징어잡이 낚시바늘 제조방법
KR102603631B1 (ko) * 2021-02-10 2023-11-16 임태규 갈치 겸용 오징어잡이 낚시바늘 제조방법
KR102370966B1 (ko) * 2021-09-28 2022-03-04 조윤상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WO2023054862A1 (ko) * 2021-09-28 2023-04-06 조윤상 자연 또는 인조 패각류가 구비된 두족류 포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001B1 (ko)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US10104877B2 (en) Expanding or contracting fishing lure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US9010015B2 (en) Jig fishing lure
KR200492799Y1 (ko) 두족류 생미끼 채비
US20140059916A1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US9622462B2 (en) Fishing lure with plural flow-through appendage cavity portions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US20160330946A1 (en) Crawfish lure
US9185892B2 (en)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KR200485442Y1 (ko) 문어 낚싯바늘 유닛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20120117851A1 (en) Fishing Jig
US3393465A (en) Artificial bait
US9339019B2 (en) Fishing lure device
US20160081316A1 (en) Flow-through fishing lure with movable cage members
US20110214334A1 (en) Artificial Bait Trailer Retainer
JP6340490B1 (ja) 釣り用仕掛け及び釣り方法
KR102559783B1 (ko)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CN213523521U (zh) 一种软体仿生鱼饵
KR102570506B1 (ko) 생미끼 걸이구가 장착된 봉돌
JP6837251B1 (ja) 釣り用ルアー及びルアーボディ
KR20220000937U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JP2016140252A (ja) 疑似餌用部材及びその部材を用いた疑似餌
US20050126065A1 (en)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