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966B1 -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 Google Patents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966B1
KR102370966B1 KR1020210127836A KR20210127836A KR102370966B1 KR 102370966 B1 KR102370966 B1 KR 102370966B1 KR 1020210127836 A KR1020210127836 A KR 1020210127836A KR 20210127836 A KR20210127836 A KR 20210127836A KR 102370966 B1 KR102370966 B1 KR 102370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weight
cephalopods
insulato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상
Original Assignee
조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상 filed Critical 조윤상
Priority to KR102021012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966B1/ko
Priority to PCT/KR2022/009940 priority patent/WO20230548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바늘이 포함되는 포스트에 무게추 역할을 할 수 있는 패각류를 설치하여 용이한 중량 조절은 물론, 패각류를 통해 두족류를 유도하여 포획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두족류 포획용 애자(100)는, 포스트(111)의 상단으로 낚시줄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113)이 구비되고, 하단으로 두족류를 포획하는 포획바늘(114)이 구비되는 어셈블리(110)와,
상기 체결구와 포획바늘 사이의 포스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두족류를 유인하면서 무게추 역할을 하는 패각류 추(120)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Fishing apparatus for capturing cephalopod}
본 발명은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바늘이 포함되는 포스트에 무게추 역할을 할 수 있는 패각류를 설치하여 용이한 중량 조절은 물론, 패각류를 통해 두족류를 유도하여 포획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족류는 생존 특성상 바위틈 또는 어패류의 껍질 내에서 서식하거나 올라타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채집시에 조개류의 패각을 이용하거나, 주낙, 통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포획하고 있다.
그러나, 조개류의 경우는 바다에 투입시 이물질에 의해 입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고, 주낙의 경우는 여러 개의 낚시바늘을 연결하여 포획하지만 포획량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두족류의 포획기구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923096호의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주조성형을 통해 하면에 둘레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중심에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추와; 상기 추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추의 중공과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볼 및; 상기 볼은 상기 추의 중공과 대응되는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어 고리의 연결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추와 상기 볼의 중공을 연결하여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의 상면은 상기 추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기 추의 중공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볼이 안착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볼은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축광 안료 1~5 중량부가 함유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낚시바늘의 견고한 고정에 대해서 고려하고 있지 않아 사용함에 따라 낚시바늘의 탈락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낚시바늘의 교체가 불가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싱커로서의 역할시 중량 가변이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중량의 어구, 즉 애자를 구비해야 하고, 이로 인해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인 애자는, 연질 및 경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그 하단에 바늘을 구비하여, 두족류을 유인하여 포획하고 있으나, 포획 성공률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애자는 바다 수면에 따라 무게추를 달리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해수면에 따라 무게추를 매번 바꿔 달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포획을 위한 바늘이 파손될 시 애자 자체를 패기해야 함으로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1706호(2021. 06. 0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낚시 바늘이 구비되는 포스트에 무게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두족류의 유인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패각류 추를 구비하여 두족류 포획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폐기되는 패각류를 두족류를 포획하는 애자로 재생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패각류 추의 중량을 간편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포획 바늘 파손시 포획바늘의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성이 우수한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의 애자는, 포스트의 상단으로 낚시줄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이 구비되고, 하단으로 두족류를 포획하는 포획바늘이 구비되는 어셈블리와,
상기 체결구와 포획바늘 사이의 포스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두족류를 유인하면서 무게추 역할을 하는 패각류 추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패각류 추가 체결되는 포스트에는 패각류 추의 상승 및 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링이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패각류 추는, 폐기되는 자연 조개류 또는 인조 조개류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패각류 추는 제1면과, 제2면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로 스프링이 결합되되, 일단은 제1면에 구비된 제1장착구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제2면에 구비된 제2장착구를 통해 고정되어 제1면과 제2면이 밀착 밀봉되도록 이루어지고,
제1면과 제2면의 상하단으로 포스트가 끼워지도록 홈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면과 제2면의 내측 표면에는 연질수지가 코팅되며, 밀봉된 패각류 추 내부에는 패각류 추의 중량을 조절하는 보조추가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패각류 추 외부 표면에는 축광 또는 야광 안료가 코팅된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낚시 바늘이 구비되는 포스트에 무게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두족류의 유인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패각류 추를 구비하여 두족류 포획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폐기되는 패각류를 두족류를 포획하는 애자로 재생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패각류 추의 중량을 간편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포획 바늘 파손시 포획바늘의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성이 우수한 효과를 거둘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단면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첨부 도면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의 단면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를 포획하는 애자(100)는, 포스트(111)의 상단으로 낚시줄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113)이 구비되고, 하단으로 두족류를 포획하는 포획바늘(114)이 구비되는 어셈블리(110)와,
상기 체결구와 포획바늘 사이의 포스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두족류를 유인하면서 무게추 역할을 하는 패각류 추(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패각류 추가 체결되는 포스트(111)에는 패각류 추의 상승 및 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링(112)이 구비된다.
상기 패각류 추(120)는 폐기되는 자연 조개류 또는 인조 조개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각류 추(120)는 제1면(121)과, 제2면(125)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힌지(H)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로 스프링(S)이 결합되되, 일단은 제1면에 구비된 제1장착구(122)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제2면에 구비된 제2장착구(126)를 통해 고정되어 제1면과 제2면이 밀착 밀봉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면과 제2면의 상하단으로 포스트(111)가 끼워지도록 홈(123)(1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면과 제2면의 내측 표면에는 연질수지가 코팅되며, 밀봉된 패각류 추(120) 내부에는 패각류 추의 중량을 조절하는 보조추(129)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1)의 상단에는 낚시대와 연결되는 낚시줄로 애자(1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113)가 구비되며, 하단에는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는 포획바늘(114)이 구비된다.
상기 포획바늘(114)은 도면상 상하 이중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13)와 포획바늘(114) 사이의 포스트(111) 중앙으로 패각류 추(1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체결된 패각류 추(120)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링(1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링(112)은 패각류 추(120)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각류 추(120)가 포스트(111)로 밀착 봉합 장착시 상기 이탈 방지링(112)이 패각류 추 내부의 상.하단에 밀착 접촉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패각류 추의 상하 이동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패각류 추(120)의 내부에는 연질 수지가 코팅되어 패각류의 파손이 방지된다.
애자(100)가 수면 속에서 파고에 의해 흔들릴 때, 수초 및 물속 바위에 부닫힘 현상시 외적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나, 내부 표면에 연질의 수지가 코팅되어 있으므로 파손되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각류 추(120)의 상하부에는 포스트(11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큰 홈(123)(127)이 형성되어 포스트와의 원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패각류 추(120)는 제1면(121)과 제2면(125)으로 한쌍을 이루되, 제1면에는 제1장착구(122)가 구비되며, 제2면에는 제2장착구가 구비된다.
또한, 제1면의 일측부에는 연결링(124)이 적어도 2개이상 구비되고, 제2면의 일측부에도 연결링(128)이 적어도 2개이상 구비되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핀이 조립되어 힌지(H)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를 이루는 핀에는 스프링(S)이 조립되되, 일측은 제1면의 제1장착구(122)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면의 제2장착구(128)에 고정되어, 제1면과 제2면의 밀착 봉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봉합된 패각류 추(120)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패각류 추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추(129)가 구비된다.
예컨데, 패각류 추(120)의 자체 중량이 9호일 경우 상기 보조추(129)의 중량은 1~7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패각류 추의 중량 9호, 보조추의 중량 7호로 합이 16호로 보조추를 하나씩 제거함에 의해 중량을 감소 시켜 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패각류 추(120)의 제1면과 제2면에는 봉합된 패각류 추를 열 수 있도록 개방홈(121a)(125a)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각류 추 외부 표면에는 축광 또는 야광 안료가 코팅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족류를 포획하는 애자(100)는 두족류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자연 조개류 및 인공조개류로 구성됨으로서, 두족 유인을 극대화 시켜 포획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폐기되는 자연 조개류를 재활용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량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수면차에서도 사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애자 110: 어셈블리
111: 포스트 112: 이탈방지링
113: 체결구 114: 포획바늘
120: 패각류 추 121: 제1면
122: 제1장착구 123: 홀
125: 제2면 126: 제2장착구
H: 힌지 S: 스프링

Claims (7)

  1. 포스트(111)의 상단으로 낚시줄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113)이 구비되고, 하단으로 두족류를 포획하는 포획바늘(114)이 구비되는 어셈블리(110)와,
    상기 체결구와 포획바늘 사이의 포스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두족류를 유인하면서 무게추 역할을 하는 패각류 추(120)를 포함하는 애자(10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패각류 추(120)는,
    제1면(121)과, 제2면(125)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힌지(H)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로 스프링(S)이 결합되되, 일단은 제1면에 구비된 제1장착구(122)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제2면에 구비된 제2장착구(126)를 통해 고정되어 제1면과 제2면이 밀착 밀봉되도록 이루어지고,
    제1면과 제2면의 상하단으로 포스트(111)가 끼워지도록 홈(123)(1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2. 제 1항에 있어서,
    패각류 추가 체결되는 포스트(111)에는 패각류 추의 상승 및 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링(1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각류 추(120)는,
    폐기되는 자연 조개류 또는 인조 조개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제2면의 내측 표면에는 연질수지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6. 제 1항에 있어서,
    밀봉된 상기 패각류 추(120) 내부에는 패각류 추의 중량을 조절하는 보조추(12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각류 추(120)의 외부 표면에는 축광 또는 야광 안료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1020210127836A 2021-09-28 2021-09-28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102370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36A KR102370966B1 (ko) 2021-09-28 2021-09-28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PCT/KR2022/009940 WO2023054862A1 (ko) 2021-09-28 2022-07-08 자연 또는 인조 패각류가 구비된 두족류 포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36A KR102370966B1 (ko) 2021-09-28 2021-09-28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966B1 true KR102370966B1 (ko) 2022-03-04

Family

ID=8081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836A KR102370966B1 (ko) 2021-09-28 2021-09-28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862A1 (ko) * 2021-09-28 2023-04-06 조윤상 자연 또는 인조 패각류가 구비된 두족류 포획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53U (ja) * 1993-11-12 1995-06-06 文俊 源 擬餌鉤
JP2002238404A (ja) * 2001-02-14 2002-08-27 Norihisa Sato 貝殻付き海釣りのおもり
KR100751564B1 (ko) * 2005-06-10 2007-08-22 이정호 삼본 낚시 편대 채비
KR101680001B1 (ko) * 2016-01-06 2016-11-25 김진욱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KR102261706B1 (ko) 2020-10-06 2021-06-07 이홍식 교체가 용이한 주꾸미낚시 애자
KR20210088826A (ko) * 2020-01-07 2021-07-15 유현옥 낚시바늘, 낚시추 및 인조미끼 결합부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53U (ja) * 1993-11-12 1995-06-06 文俊 源 擬餌鉤
JP2002238404A (ja) * 2001-02-14 2002-08-27 Norihisa Sato 貝殻付き海釣りのおもり
KR100751564B1 (ko) * 2005-06-10 2007-08-22 이정호 삼본 낚시 편대 채비
KR101680001B1 (ko) * 2016-01-06 2016-11-25 김진욱 두족류 복합미끼 낚시바늘채비 및 그 제작방법
KR20210088826A (ko) * 2020-01-07 2021-07-15 유현옥 낚시바늘, 낚시추 및 인조미끼 결합부재
KR102261706B1 (ko) 2020-10-06 2021-06-07 이홍식 교체가 용이한 주꾸미낚시 애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862A1 (ko) * 2021-09-28 2023-04-06 조윤상 자연 또는 인조 패각류가 구비된 두족류 포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220B2 (en) Flexible fishing lure tails and appendages
US5144765A (en) Dual noise making device for lures
KR102293949B1 (ko) 두족류 포획을 위한 애자
KR102370966B1 (ko) 패각류를 이용한 두족류 포획용 애자
US20100229454A1 (en) Rattling weight for fishing baits
KR20190066822A (ko) 주꾸미 낚시용 어구
CN106686976B (zh) 钓鱼诱饵系统
US7980020B2 (en) Artificial fish lure
US20160330946A1 (en) Crawfish lure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5042189A (en) Selectively convertible fish lure
JP2008182996A (ja) ルアー
KR100724702B1 (ko) 미끼통 겸용 낚시채비
KR101963942B1 (ko) 민물 낚시용 봉돌
US20060260180A1 (en) Deep-water squid jig
KR100964289B1 (ko) 낚시찌
KR200202444Y1 (ko) 어류포획 용구
KR20240006328A (ko) 자연 또는 인조 패각류가 구비된 두족류 포획구
KR20220050851A (ko)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KR20210095600A (ko) 낚시용 싱커
JP6978008B2 (ja) 釣り用重り
US20070163166A1 (en) Fishing weight with swivel, "rock skipper"
KR200302059Y1 (ko) 낚시용 수중찌
JP2005013207A (ja) 魚釣具
KR20040031547A (ko) 낚시용 수중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