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851A -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851A
KR20220050851A KR1020220042592A KR20220042592A KR20220050851A KR 20220050851 A KR20220050851 A KR 20220050851A KR 1020220042592 A KR1020220042592 A KR 1020220042592A KR 20220042592 A KR20220042592 A KR 20220042592A KR 20220050851 A KR20220050851 A KR 20220050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ishing
repulsive force
holder
ta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승
Original Assignee
이종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승 filed Critical 이종승
Priority to KR102022004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851A/ko
Publication of KR2022005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환봉형으로 양단에는 낚시줄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부가 마련된 기둥홀더와, 상기 기둥홀더에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안내되되, 같은 극성으로 마주되게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1자석 및 제2자석과, 상기 기둥홀더의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안내되며, 일측에는 낚시바늘과 연결된 목줄을 걸어 연결하기 위한 목줄고리부가 마련된 채비걸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비자성체로서 양단에 연결고리부를 갖는 기둥홀더에 상하 유동가능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상호 극성이 반대되게 배치하고, 낚시바늘을 매단 목줄을 연결할 수 있는 비자성체인 채비걸이부재를 배치시킨 구성으로, 기둥홀더를 포함한 제1자석, 제2자석, 채비걸이부재의 무게 분할효과와 더불어 낚시채비의 사용 방향에 따른 내림낚시용도, 올림낚시용도의 채비전환이 쉬우며, 물고기의 입질시 자석들간의 척력으로 인한 수직동작을 도와 내림낚시 또는 올림낚시시 찌의 입질표현을 수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입질파악 및 챔질이 쉬워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Fishing tackle using the repulsive force of a magnet}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민물 낚시용 채비에 있어, 봉돌의 무게 분할형으로 물고기의 입질을 찌에 전달함에 있어, 자석의 상호 반대극성인 척력(斥力)을 이용하여 찌의 올림 또는 찌의 내림에 의한 물고기의 입질표현이 간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채비의 설정방향에 따라 올림낚시와 내림낚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물낚시중 대표라 할 수 있는 붕어낚시는 각종 낚시채비와 찌를 이용한 입질반응에 의한 찌의 올림표현(올림 또는 바닥낚시라 칭함) 및 내림표현(내림낚시 및 증층낚시라 칭함)을 보고 챔질하여 붕어를 낚아 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찌의 부력과 봉돌의 침력을 1대1로 맞추어 물고기의 입질시 수면상에 노출된 찌의 동작표현을 보고 낚아내는 것인만큼 최근에는 다양한 낚시채비들이 소개 및 제작, 판매되고 있다.
찌의 부력에 대한 침력은 납, 황동 등과 같은 금속소재로 된 봉돌은 하나의 봉돌부터 하나이상으로 나눈 봉돌을 채택하여 입질시 보다 찌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찌의 입질표현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차 낚시인들의 발상에서 발전되는 낚시채비는 기존 채비외에도 봉돌의 무게를 분할한 낚시채비들이 선보여지고, 제조에 대한 지적재산권인 특허 및 디자인으로 등록받아 제작자의 권리를 보호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봉돌무게 분할형 타입의 낚시채비에 대한 선원기술들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5663호(명칭: 낚시채비, 이하 이를 '특허문헌 1'이라 칭함)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1207호(명칭: 낚시채비, 이하 이를 '특허문헌2'라 칭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낚싯줄 상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에 다른 낚싯줄의 연결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장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추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이 삽입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낚시채비이다.
상기 무게추에는 상기 관통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외부로 개방시키는 연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장홀을 통해 상기 관통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낚시채비는 일명 양측으로 바늘 목줄을 연결할 수 있는 편대용 채비로서, 연장 프레임을 갖는 지지프레임에 각기 다른 무게를 갖는 무게추를 찌의 부력에 맞게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채비이다.
이와 같은 낚시채비는 낚시바늘에 매단 미끼를 취하는 과정에서 연장프레임의 일측이 들리거나 끌리는 동작으로 찌에 전달되어 입질표현이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고리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1고리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리부재는, 그 상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하부 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부재 몸체; 및 상기 제1고리부재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리는 상기 제1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 낚시채비이다.
상기와 같은 채비는 하나가 아닌 여러 부분(연결부, 사슬, 편대)을 연결 조합한 무게 분할형 채비로서 사용될 찌의 부력에 맞게 침력을 다중으로 분할한 것으로, 특히 각 연결부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무게 분할타입의 낚시채비이고, 이들중 특히 바늘 목줄이 연결되는 어느 한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붕어의 입질에 의해 들리거나 끌리는 현상으로 찌에 입질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채비이지만, 이들은 올림낚시 용도의 낚시채비로서 활용할 수 있고, 중층이나 내림낚시용의 채비로는 전환 사용이 어렵다.
또한, 채비로부터 바늘과 연결되는 목줄은 바늘에 달려있는 미끼를 물고기가 취하는 과정에서 올림낚시의 경우 충분히 어느 한쪽이 상향 이동되어 찌의 부력에 대한 균형이 깨져야지만 입질표현이 이루어지는 타입으로 기후에 따라 먹이 취이가 까다오운 입질은 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75663호(등록 2010년 08월 06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1207호(공개 2022년 01월 0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민물 낚시용 채비에 있어, 봉돌의 무게 분할형으로 물고기의 입질을 찌에 전달함에 있어, 자석의 상호 반대극성인 척력(斥力)을 이용하여 찌의 올림 또는 찌의 내림에 의한 물고기의 입질표현이 간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채비의 설정방향에 따라 올림낚시와 내림낚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는, 환봉형으로 양단에는 낚시줄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부가 마련된 기둥홀더와, 상기 기둥홀더에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안내되되, 같은 극성으로 마주되게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1자석 및 제2자석과, 상기 기둥홀더의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안내되며, 일측에는 낚시바늘과 연결된 목줄을 걸어 연결하기 위한 목줄고리부가 마련된 채비걸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둥홀더 및 채비걸이부재는 비자성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둥홀더의 양단에 마련되는 연결고리부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부는 기둥홀더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둥홀더의 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수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고리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에는 제1자석과 제2자석과 동일한 직경과 내경을 갖는 박판형 금속원판링이 제1자석과 제2자석이 상호 배치되는 반대측면에 더 추가되어 미세 무게조정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는, 비자성체로서 양단에 연결고리부를 갖는 기둥홀더에 상하 유동가능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상호 극성이 반대되게 배치하고, 낚시바늘을 매단 목줄을 연결할 수 있는 비자성체인 채비걸이부재를 배치시킨 구성으로, 기둥홀더를 포함한 제1자석, 제2자석, 채비걸이부재의 무게 분할효과와 더불어 낚시채비의 사용 방향에 따른 내림낚시용도, 올림낚시용도의 채비전환이 쉬우며, 물고기의 입질시 자석들간의 척력으로 인한 수직동작을 도와 내림낚시 또는 올림낚시시 찌의 입질표현을 수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입질파악 및 챔질이 쉬워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낚시채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를 이용한 내림낚시 용도의 채비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를 이용한 올림낚시 용도의 채비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에서 제1자석 및 제2자석에 금속원판링을 더 부착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낚시채비는, 기둥홀더(10), 제1자석(M1) 및 제2자석(M2) 및 채비걸이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홀더(10)는 환봉형으로 그 양단에는 낚시줄(L)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부(12)가 마련된다. 이 기둥홀더(10)는 상기 자석들과 관련하여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이면서 부식이 적은 황동소재로 가공 제작된다.
또한, 상기 기둥홀더(10)의 양단에 마련되는 연결고리부(12)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부는 기둥홀더(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좀더 자세하게는 첨부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홀더(10)의 단부에는 수나사부(10a)가 형성되고, 수나사부(11)에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고리부(12)에는 암나사부(12a)가 형성되어 탈착되도록 한다.
상기 기둥홀더(10)에 마련된 연결고리부(12)는 상기 채비걸이부재(20) 및 제1자석(M1), 제2자석(M2)의 내경이 이탈되지 않는 직경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자석(M1) 및 제2자석(M2)은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기둥홀더(10)에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안내되도록 하되, 상호 동일한 극성 마주되게 배치되어 척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자석(M1) 및 제2자석(M2)은 척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갖도록 한 것으로, 자석의 가우스(Gauss)에 따라 척력에 의한 제1자석(M1)와 제2자석(M2)의 이격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석(M1) 및 제2자석(M2)은 두께에 따른 무게를 각기 달리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 무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자석과 제2자석과 동일한 직경을 갖되, 금속원판링(R)을 상호 배치되는 반대측면에 더 추가하는 방식으로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채비걸이부재(20)는 기둥홀더(10)와 같은 비자성체의 소재로 제작되며, 기둥홀더(10)에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안내되며, 일측에는 낚시 바늘(B)과 연결된 목줄(A)을 걸어 연결하기 위한 목줄고리부(2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의 사용상에 내림낚시와 올림낚시의 사용채비로서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는 기둥홀더(10)에 위치된 채비걸이부재(20)의 위치에 따라 내림낚시용 채비와 올림낚시용 채비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림낚시의 경우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홀더(10)에 위치된 채비걸이부재(20)가 제1자석(M1)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바늘(B)을 매단 목줄(A)을 채비걸이부재(20)에 걸어 매달고 찌는 대한 침력을 조정한 상태에서 채비를 수중에 투척하며, 미끼를 달아놓은 바늘은 바닥에 닿고 낚시채비는 바닥으로부터 띄워진 중층상태가 된다.
이때의 기둥홀더(10)측 제1자석(M1)과 제2자석(M2)의 간격은 유지된 상태로 도면을 기준하여 볼 때 상기 제1자석(M1)의 상부에는 채비걸이부재(20)가 위치하며, 목줄(A)은 미끼를 매단 바늘(B)위치까지 슬로프 또는 사선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이 이루어지면, 목줄(A)이 당겨지게 되고, 채비걸이부재(20)는 상기 제1자석(M1)을 하부방향으로 당기는 원리가 되어 부력체인 찌와 낚시채비의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낚시줄(L)의 당김에 의해 수직으로 내려가는 입질표현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일반적인 내림낚시의 경우를 살피면, 붕어의 취이습성상 미끼를 흡입하면서 당기게 되는 목줄은 붕어가 정지 상태에서도 취이과정이 이루어지지만, 미끼를 물고 옆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찌의 입질표현이 나타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끼를 물고 이동하는 순간에서는 찌가 수직상태에서 사선으로 끌리면서 내려가는 동작표현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챔질의 타이밍 잡기가 어렵기 때문에 헛챔질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붕어가 미끼의 취이과정에서 봉돌과 연결된 목줄을 당기는 과정에서 순간 찌 부력 대비 가변운 상태의 침력을 갖고 있는 봉돌을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저항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부담을 느끼고 미끼를 순간적으로 내뱉는 동작이 발생하기 때문에 챔질시기와 맞지 않게 되는 헛챔질의 경우가 자주 나타나게 된다.
물론, 붕어의 활성도가 높아 미끼를 취하는 과정이 크게 나타나는 경우에 있어서는 손쉽게 찌의 입질표현을 보고 붕어를 낚아낼 수 있지만 동절기와 같은 저활성도에서는 붕어의 취이과정에 의한 정확한 입질판단이 어려운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점에 본 발명의 낚시채비는 붕어의 입질에 의해 바늘(B)이 달린 목줄(A)의 당김 작용이 일어날 때 전반적으로 낚시채비가 하강한다고 볼 수 있지만, 이를 단계로 나누어서 보면, 초기에 채비걸이부재(20)의 순간적인 당김은 제1자석(M1)과 기둥홀더(10)에서 하강하면서 제2자석(M2)에 대한 척력이 수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둥홀더의 수직하강은 곧 찌와 연결된 낚시줄(L)을 수직으로 잡아당기기 되어 찌의 수직내림 동작이 표현된다.
이와 같은 찌의 수직 내림은 입질을 파악하기 용이하여 기존과는 달리 헛챔질의 수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게 한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낚시채비를 이용한 올림낚시 활용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술한 내림용의 낚시채비의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사용한 예이다.
대낚시로부터 연결되는 낚시줄(L)에 찌 채비(도면에서 생략함)와 더불어 낚시줄의 하단에 낚시채비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는 상기 기둥홀더(10)에 대해 제2자석(M2)이 상부에 위치하고, 제1자석(M1)과 상기 채비걸이부재(20)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이며, 채비걸이부재(20)의 목줄고리부(22)의 매단 목줄과 바늘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낚시가 이루어진다.
이때의 상기 기둥홀더(10), 제1자석(M1), 제2자석(M2) 및 채비걸이부재(20)는 찌의 부력 대비 침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제1자석(M1), 제2자석(M2)의 두께에 따른 무게를 달리하여 찌의 부력에 영점을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M1), 제2자석(M2)들의 무게 교체는 기둥홀더(10)의 수나사부(10a)에 체결된 연결고리부(12)의 암나사부(12a)를 풀어 낸 상태에서 해당 무게에 맞는 자석들을 교체함으로써, 침력조정이 가능하고, 무게를 분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낚시채비의 수중 투척후 바늘에 달린 미끼를 붕어가 취하는 과정에서 목줄을 들어올리게 되면, 채비걸이부재(20)의 상승으로 제1자석(M1)은 기둥홀더로(10)부터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1자석(M1)과 척력으로 대치되어 있는 제2자석(M2) 또한 척력을 유지하면서 기둥홀더(10)로부터 상승한다.
즉, 찌의 부력에 맞추어 중력을 유지하고 있던 무게의 균형은 깨지면서 찌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채비걸이부재(20)와 제1자석(M1)의 상승은 찌의 부력에 맞추어진 상태에서의 채비걸이부재(20)와 제1자석(M1)이 갖는 무게 만큼 침력이 일차적으로 균형이 깨지며, 척력을 유지하는 제2자석(M2)의 상승은 무게균형이 깨지면서 낚시줄(L)과 연결된 찌에 상승부력을 더하여 찌가 수직상으로 올라오는 표현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자석(M1)은 제2자석(M2)과의 척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때 발생하는 힘은 낚시줄과 거의 수직상을 유지하고 있는 기둥홀더(10)를 포함한 제2자석(M2), 제1자석(M1)을 상승시켜 주기 때문에 수면상의 찌가 반듯하게 수직으로 올라오는 입질표현을 구현할 수 있게 유도한다.
즉, 채비걸이부재(20)와 제1자석(M1)의 최소한의 무게가 상승됨에 따라 발생되는 낚시채비의 상승효과는 붕어가 미끼를 취하는 과정에서 이물감을 줄여주면서도 찌가 바르게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찌의 오름동작을 즐기기에도 좋고 올림낚시임에도 불구하고 찌가 옆으로 끌리거나 내려가는 입질표현을 최소화하면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기둥홀더 10a: 수나사부
12: 연결고리부 12a: 암나사부
20: 채비걸이부재 22: 목줄걸이부
A: 목줄 B: 바늘
L: 낚시줄 M1: 제1자석
M2: 제2자석 R: 금속원판링

Claims (5)

  1. 환봉형으로 양단에는 낚시줄(L)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부(12)가 마련된 기둥홀더(10)와,
    상기 기둥홀더(10)에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안내되되, 같은 극성으로 마주되게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1자석(M1) 및 제2자석(M2)과,
    상기 기둥홀더(10)의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안내되며, 일측에는 낚시바늘(B)과 연결된 목줄(A)을 걸어 연결하기 위한 목줄고리부(22)가 마련된 채비걸이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홀더(10) 및 채비걸이부재(20)는 비자성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홀더(10)의 양단에 마련되는 연결고리부(12)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부는 기둥홀더(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홀더(10)의 단부에는 수나사부(10a)가 형성되고, 수나사부(11)에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고리부(12)에는 암나사부(12a)가 형성되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M1)과 제2자석(M2)에는 제1자석(M1)과 제2자석(M2)과 동일한 직경과 내경을 갖는 박판형 금속원판링(R)이 제1자석(M1)과 제2자석(M2)이 상호 배치되는 반대측면에 더 추가되어 미세 무게조정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KR1020220042592A 2022-04-06 2022-04-06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KR20220050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592A KR20220050851A (ko) 2022-04-06 2022-04-06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592A KR20220050851A (ko) 2022-04-06 2022-04-06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851A true KR20220050851A (ko) 2022-04-25

Family

ID=8145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592A KR20220050851A (ko) 2022-04-06 2022-04-06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8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10B1 (ko) * 2022-09-01 2023-01-27 손성훈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63B1 (ko) 2010-04-01 2010-08-12 이주호 낚시채비
KR20220001207A (ko) 2020-06-29 2022-01-05 변재만 낚시 채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63B1 (ko) 2010-04-01 2010-08-12 이주호 낚시채비
KR20220001207A (ko) 2020-06-29 2022-01-05 변재만 낚시 채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10B1 (ko) * 2022-09-01 2023-01-27 손성훈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220050851A (ko)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KR101061901B1 (ko) 사계절 낚시용 편대
US2589007A (en) Artificial fish bait with weighted hook member
US8448375B1 (en) Fishing apparatus
KR101483970B1 (ko) 낚시용 루어 및 이를 바닥 포인트로 운반하는 낚시용 싱커
KR20100088327A (ko) 이단자립 낚시찌
KR20210095600A (ko) 낚시용 싱커
CN107232153B (zh) 磁力触发自动钓鱼器
KR102229119B1 (ko) 낚시용 찌
KR20230000115A (ko) 밑밥 연동 다기능찌
CN207322443U (zh) 多功能自动钓鱼坠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JP2012161299A (ja) 釣り具
KR102492210B1 (ko)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KR200302059Y1 (ko) 낚시용 수중찌
CN210671769U (zh) 杠杆浮漂
KR101076526B1 (ko) 낚시채비
KR100493213B1 (ko) 낚시용 수중찌
KR102607742B1 (ko) 바닥추의 무게조절이 용이한 분할추채비
CN220308169U (zh) 一种新型浮漂
CN210432677U (zh) 一种钓线组
KR102371322B1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KR100814954B1 (ko) 낚싯대 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