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210B1 -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 Google Patents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210B1
KR102492210B1 KR1020220111031A KR20220111031A KR102492210B1 KR 102492210 B1 KR102492210 B1 KR 102492210B1 KR 1020220111031 A KR1020220111031 A KR 1020220111031A KR 20220111031 A KR20220111031 A KR 20220111031A KR 102492210 B1 KR102492210 B1 KR 102492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enter
weight
lin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훈
Original Assignee
손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훈 filed Critical 손성훈
Priority to KR102022011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중간 유동 봉돌을 자력의 힘을 이용하여 바닥에서 정밀하게 띄워 가변시켜 이동시키면서 대상어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낚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과를 높이면서도 밑걸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채비(100)는, 중앙에는 고정체(111)가 고정설치되고, 상단으로 원줄(A1)을 연결하기 위한 원줄연결체(120) 및 하단으로 추를 연결하기 위한 추 연결체(130)가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고정체와 추 연결체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바늘이 구비되는 목줄(A2)을 연결하는 슬라이드 승강부재(140)와, 상기 고정체와 원줄고정체(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져 채비(100) 전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무게중심 조절체(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maglev rig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 채비, 즉 중간 유동봉돌을 자력의 힘을 이용하여 중간 유동봉돌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예민한 붕어의 입질을 잘 파악하여 조과를 높이면서 밑걸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개선한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채비는 낚시의 대상 어종이나 장르에 따라 채비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은 물론 미끼의 종류도 달라지고, 미끼의 종류에 따라 채비도 달라지는 형태이고, 민물과 바닷물에 따라서 다시 채비가 달라지는 것이나 대체적으로는 바닥에 가라앉히기 위한 봉돌과 라인 및 미끼를 끼우기 위한 바늘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채비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인 예를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 1은, 본선과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다수의 지선으로 이루어진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선이 관통되는 각각의 중공을 가지며, 본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본선 매듭이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튜브와; 상기 지선이 관통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메인튜브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서브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문헌 2는, 멀티 낚시채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어피를 이용한 유인편(42)과 유인사(43)로 구성한 인조미끼(41)를 낚시바늘(44)에 결합한 수개의 고등어 채비(4,4')와, 반짝이 비닐의 유인편(52)과 유인사(53)로 구성한 인조미끼(51)를 낚시바늘(54)에 결합한 수개의 메라기 채비(5,5')를 구성하여 상하부에 도래(6,6')와 클립(7)이 결합된 주선(2)상에 이들 고등어 채비(4,4')와 메라기 채비(5,5')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교대로 지선(3,3')으로 수개 결합하여 채비(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문헌 3은, 상부에 고리부가 형성되어질 수 있게끔 한 합사줄(11)이 멈춤부재(12)의 위에서 아래 방향을 향해 형성된 합사 줄 삽입구멍(13)에 끼워지고, 멈춤부재(12)의 합사 줄 삽입구멍(13)으로 끼워진 합사줄(11)이 상기 합사줄 삽입구멍(13)에 서 직각 되는 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양쪽의 목줄구멍(14)으로 삽입되어 목줄(15)이 분할 형성되어지며, 목줄구멍(14)에 의해 분할된 목줄(15)에 낚시바늘(16)이 묶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 중 문헌 1은 여러 가지로 채비를 연결함에 있어서 서로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채비 자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미끼의 움직임을 통하여 대상어를 용이하게 유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문헌 2는, 여러 채비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문헌 3은 하나 이상의 낚시바늘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채비는, 원줄과 연결되는 목줄에 여러 가지를 발생시키고, 이 여러 가지마다 바늘을 연결하여 미끼를 많이 끼워 대상어를 유혹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엉킴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채비를 구성하는 봉돌에 의하여 거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채비를 항상 바닥과 근접한 위치에 두기 때문에 파도나 조류 등에 의하여 채비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바늘이 수중 장애물과 걸림되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밑걸림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밑걸림에 의하여 미끼의 움직임이 둔화되기 때문에 대상어를 유혹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낚시 채비기술들은 수심에 따라 찌와, 목줄과 무게추를 가감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0327131호 실용신안등록 제 20-0338857호 실용신안등록 제 20-0346153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자력을 이용하여 중간 유동봉돌을 정밀하게 띄워서 계절별로 입질이 예민한 붕어의 입질을 받아내고 또한 시시각각 변하는 수온의 변화에 맞춰 변하는 붕어의 입질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찌맞춤이 완료된 낚시 채비의 전체 중량의 변화없이 낚시 채비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중앙에 고정체가 고정설치되고, 상단으로 원줄을 연결하기 위한 원줄연결체 및 하단으로 추를 연결하기 위한 추 연결체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고정체와 추 연결체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바늘이 구비되는 목줄을 연결하는 슬라이드 승강부재와, 상기 고정체와 원줄고정체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져 채비 전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무게중심 조절체를 포함하여 상기한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와 추 연결체의 상단에는 제1자석 및 제2자석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와, 제2자석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의 위치를 보존하면서 챔질시 슬라이딩 승강부재가 급격히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4링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에는 제1자석이 구비되되, 상기 제1자석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제1자석의 위치를 설정 고정을 위한 제1링 및 제2링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는 관체와 하단으로 돌부가 구성되되, 상기 돌부의 상단으로는 목줄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3링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무게중심 조절체는 본체에 조립되어 상하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무게중심 조절체의 상하단으로 챔질시 무게중심 조절체의 급격한 하강을 단속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민물이나 바닷물의 종류, 대상어종 및 미끼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략하고자 하는 수심층을 자력의 힘을 이용하여 바닥에서 정밀하게 띄워서 예민한 대상어종의 입질을 수월하게 받을 수 있게 함에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낚시채비 내에서 무게중심 조절 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낚시채비의 전체 중량의 변화 없이 채비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부상 채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부상 채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부상 채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부상 채비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부상 채비 구조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 예)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비(100)는 중앙에는 고정체(111)가 고정설치되고, 상단으로 원줄(A1)을 연결하기 위한 원줄연결체(120) 및 하단으로 추를 연결하기 위한 추 연결체(130)가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고정체(111)와 추 연결체(130)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바늘이 구비되는 목줄(A2)을 연결하는 슬라이드 승강부재(140)와, 상기 고정체(111)와 원줄고정체(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져 채비(100) 전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무게중심 조절체(1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와 추 연결체(130)의 상단에는 제1자석(160a) 및 제2자석(160b)이 구성된다. 상기 제1자석(160a)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제1자석(160a)의 위치를 설정 고정을 위한 제1링(151) 및 제2링(152)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와, 제2자석(160a)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의 위치를 보존하면서 고기를 낚아채는 챔질시 슬라이딩 승강부재(140)가 급격히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4링(15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는 관체(141)와 하단으로 돌부(141a)가 구성되되, 상기 돌부(141a)의 상단으로는 목줄(A2)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3링(15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무게중심 조절체(170)는 본체(110)에 조립되어 상하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무게중심 조절체(170)의 상하단으로 챔질시 무게중심 조절체(170)의 급격한 하강을 단속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스토퍼(171)(172)가 구비된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자기부상채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자기부상채비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승강부재(140)는 바늘(B)과 연결되는 목줄(A2)을 연결되어 목줄의 높낮이를 조절하되, 계절, 지형, 날씨 등에 따라 상하 이동시켜 목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에 구비된 제1자석(160a)과, 추 연결체(130)의 상단에 구비된 제2자석(160b)은 상호 동일 극을 갖도록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제1자석(160a)의 하단부가 N극일 경우, 제2자석(160b)의 상단부는 N극으로, 제1자석(160a)의 하단부가 S극일 경우, 제2자석(160b)의 상단부는 S극으로 대응되게 구성되어 서로 밀어 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의 돌부(141a)의 상단에는 바늘(B)이 구비된 목줄(A2)이 연결되며, 목줄(A2)이 연결된 상태에서 돌부(141a)의 상단에 구비된 제3링(153)을 돌부로 근접하게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수심에 따라 목줄(A2)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또한,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의 하단으로 제4링(154)이 구성된바, 수심에 맞추어 슬라이딩 승강부재(14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수심에 따른 목줄의 높이를 조절하고 설정된 높이에 맞추어 제4링(154)을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의 하단으로 근접하게 위치시켜 슬라이딩 승강부재(14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챔질시, 슬라이딩 승강부재(140)가 급하강될 수 있으나, 하단에서 제4링(154)이 지지하고 있으므로 챔질에 의한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의 급 하강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1자석(160a)과 제2자석(160b) 간에 서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입질시 슬라이딩 승강부재(140)가 민감 상승하고, 원줄에 체결된 찌 역시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무게중심 조절체(170)는 고정체(111)와 원줄연결체(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승하강 조절에 의하여 채비 전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하게된다.
즉, 추 연결체(130)에는 무게추(봉돌)가 연결되어 중심을 잡아주고 있으나, 수심과 찌의 부력에 따라 무게추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는 계절, 지형, 날씨, 수심에 따라 상이하게 채비를 하고 있으나, 상기 무게중심 조절체(170)를 승하강 조절에 따라 무게추의 교체 없이도 채비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무게중심 조절체(170)의 상하단으로 제1 및 제2 스토퍼(171)(172)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챔질시 무게중심 조절체(170)의 급 하강되는 것이 방지되어, 챔질 후 별도로 무게중심 조절체(170)의 재 조절이 필요 없으며, 한 곳의 수심을 계속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채비는 한번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재 조절 없이도 동일한 위치를 계속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계절, 지형, 날씨 등에 따라 슬라이딩 승강부재 및 무게중심 조절체의 간편한 조절을 통해 낚시를 할 수 있으므로, 낚시 채비에 따른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부상 채비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승강부재(140)에는 목줄(A2)의 탈부착을 위한 목줄 고리(156)가 구성되되, 상기 목줄 고리(156)는 관체(141)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부(141)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결합부(156a)와, 목줄(A2)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고리부(156b)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목줄 고리(156)의 추가 구성을 통하여 목줄(A2)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목줄(A2)의 안정적인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 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낚시용 채비 110: 본체
111: 고정체 120: 원줄연결체
130: 추 연결체 140: 슬라이딩승강부재
141: 관체 150: 고무링
156 : 목줄 고리 160a, 160b: 제1, 2자석
170: 무게중심 조절체

Claims (7)

  1. 중앙에는 고정체(111)가 고정설치되고, 상단으로 원줄(A1)을 연결하기 위한 원줄연결체(120) 및 하단으로 추를 연결하기 위한 추 연결체(130)가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고정체(111)와 추 연결체(130)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바늘이 구비되는 목줄(A2)을 연결하는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와,
    상기 고정체(111)와 원줄고정체(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져 채비(100) 전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무게중심 조절체(17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에는 제1자석(160a)이 구비되되, 상기 제1자석(160a)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제1자석(160a)의 위치를 설정 고정을 위한 제1링(151) 및 제2링(15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와 추 연결체(130)의 상단에는 제1자석(160a) 및 제2자석(160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와, 제2자석(160a)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의 위치를 보존하면서 챔질시 슬라이딩 승강부재(140)가 급격히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4링(15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승강부재(140)는 관체(141)와, 상기 관체(141) 하단에 돌부(141a)가 구성되되, 상기 돌부(141a)의 상단으로는 목줄(A2)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3링(15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6. 중앙에는 고정체(111)가 고정설치되고, 상단으로 원줄(A1)을 연결하기 위한 원줄연결체(120) 및 하단으로 추를 연결하기 위한 추 연결체(130)가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고정체(111)와 추 연결체(130)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바늘이 구비되는 목줄(A2)을 연결하는 슬라이딩 승강부재(140)와,
    상기 고정체(111)와 원줄고정체(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져 채비(100) 전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무게중심 조절체(170);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중심 조절체(170)는 본체(110)에 조립되어 상하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무게중심 조절체(170)의 상하단으로 챔질시 무게중심 조절체(170)의 급격한 하강을 단속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스토퍼(171)(17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승강부재(140)에는 목줄(A2)의 탈부착을 위한 목줄 고리(156)가 구성되되, 상기 목줄 고리(156)는 관체(141)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부(141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결합부(156a)와, 목줄(A2)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고리부(156b)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KR1020220111031A 2022-09-01 2022-09-01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KR102492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031A KR102492210B1 (ko) 2022-09-01 2022-09-01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031A KR102492210B1 (ko) 2022-09-01 2022-09-01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210B1 true KR102492210B1 (ko) 2023-01-27

Family

ID=8510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031A KR102492210B1 (ko) 2022-09-01 2022-09-01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21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124U (ja) * 1994-03-18 1994-09-20 紘司 村上 ハリス連結具
KR970053143U (ko) * 1996-03-05 1997-10-13 이천석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낚시 쨈질기
KR200324693Y1 (ko) * 2003-06-11 2003-08-25 정병환 일자형 우럭 낚시채비
KR200327131Y1 (ko) 2003-06-19 2003-09-19 김우년 낚시채비
KR200338857Y1 (ko) 2003-10-01 2004-01-16 신명복 멀티 낚시채비
KR200346153Y1 (ko) 2004-01-10 2004-03-31 이수영 낚시바늘 엉킴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KR20160001989A (ko) * 2014-06-30 2016-01-07 한인섭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KR20170057033A (ko) * 2015-11-16 2017-05-24 원철호 부력체가 유동되는 낚시찌
KR102370025B1 (ko) * 2021-08-23 2022-03-08 안수빈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20220050851A (ko) * 2022-04-06 2022-04-25 이종승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124U (ja) * 1994-03-18 1994-09-20 紘司 村上 ハリス連結具
KR970053143U (ko) * 1996-03-05 1997-10-13 이천석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낚시 쨈질기
KR200324693Y1 (ko) * 2003-06-11 2003-08-25 정병환 일자형 우럭 낚시채비
KR200327131Y1 (ko) 2003-06-19 2003-09-19 김우년 낚시채비
KR200338857Y1 (ko) 2003-10-01 2004-01-16 신명복 멀티 낚시채비
KR200346153Y1 (ko) 2004-01-10 2004-03-31 이수영 낚시바늘 엉킴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KR20160001989A (ko) * 2014-06-30 2016-01-07 한인섭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KR20170057033A (ko) * 2015-11-16 2017-05-24 원철호 부력체가 유동되는 낚시찌
KR102370025B1 (ko) * 2021-08-23 2022-03-08 안수빈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20220050851A (ko) * 2022-04-06 2022-04-25 이종승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낚시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456B2 (en) Fishing rig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US20060254121A1 (en) Two-way sensitive fishing bobber and stop bead for use therewith
CA1101208A (en) Fishing implement
KR101061901B1 (ko) 사계절 낚시용 편대
US7546704B1 (en) Fishing rig with a sinker lifter and a sinker weight
US4528771A (en) Sinker-anchor device
US20060042148A1 (en) Fishing lure system
JP2019103429A (ja) ルアー
KR102492210B1 (ko)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US3190029A (en) Fishing device
US20060265937A1 (en) Drift fishing rig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US3466788A (en) Fishing sinker
US2932116A (en) Fishhooks
KR100920452B1 (ko) 낚시찌 감지장치 및 방법
KR20110010876U (ko)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CN209330949U (zh) 草鱼钓组及钓鱼竿
JP2012161299A (ja) 釣り具
KR20200006419A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KR20230001923U (ko) 한치 낚시채비
KR102190609B1 (ko) 장대 봉돌
US20040064999A1 (en) Center-weighted shank fish hooks
KR20230001895U (ko) 에기 철심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