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876U -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 Google Patents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876U
KR20110010876U KR2020100005128U KR20100005128U KR20110010876U KR 20110010876 U KR20110010876 U KR 20110010876U KR 2020100005128 U KR2020100005128 U KR 2020100005128U KR 20100005128 U KR20100005128 U KR 20100005128U KR 20110010876 U KR20110010876 U KR 201100108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pair
needles
hook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김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우 filed Critical 김태우
Priority to KR2020100005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876U/ko
Publication of KR20110010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4Lea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절이 가능한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낚시줄에 두 개의 낚시바늘을 메달아 사용하여 마치 하나의 낚시바늘을 사용하는 효과를 기대면서도 이들의 엉킴을 방지하고, 또한 쌍 낚시바늘의 위치를 필요에 의해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이 가능한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에 관한 것이다.
이는 낚시줄의 끝단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두 줄의 끝단에 각각 낚시바늘이 연결되면서 긴 줄에는 보조봉돌이 설치되는 목줄에 있어서, 상기 목줄의 두 줄이 겹치는 부분에 체결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면서 탄성을 가지는 튜브형의 고정구와; 두 줄에 각각 체결되어 역시 위치이동이 가능하면서 탄성을 가지는 튜브형의 간격조절구;로 구성되어 상기 두 개의 간격조절구와 하나의 고정구로서 쌍 낚시바늘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DOUBLE FISHHOOK FOR FRESH WATER FISHING}
본 고안은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낚시줄에 두 개의 낚시바늘을 메달아 사용하여 마치 하나의 낚시바늘을 사용하는 효과를 기대면서도 이들의 엉킴을 방지하고, 또한 쌍 낚시바늘의 위치를 필요에 의해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물고기를 잡기 위한 민물낚시의 기본적인 형태를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상에 거치되는 낚시대(1)의 전단에 원줄이라고도 하는 낚시줄(2)이 연결되고, 이 낚시줄(2)의 끝단에는 낚시바늘을 수중의 바닥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납 등으로 이루어지는 봉돌(3)이 설치됨과 동시에, 낚시바늘(4)은 목줄(5)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또한 낚시줄(2)의 소정위치에는 어신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부구형태의 찌(6)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낚고자 하는 어종이나 낚시터의 형태, 날씨 등등을 고려하여 알맞는 미끼를 낚시바늘(4)에 메달아 수중으로 투척하게 되면, 무게추인 봉돌(3)에 의해 낚시바늘(4)이 수중의 바닥면에 가라앉게 됨과 아울러, 찌(6)는 무게중심과 부력에 의해 수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낚시의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낚시바늘(4)의 미끼를 먹게 되면, 수면에 잠겨진 찌(6)의 위치가 변동됨으로써 어신을 알 수 있게 되어 낚시를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민물낚시에 있어서 물고기의 종류나 낚시터의 형태 등에 따라 낚시바늘의 채비를 달리하고 있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즉, 민물낚시용 바늘채비는 포획하고자 하는 물고기에 따라 낚시바늘을 포함하는 낚시채비의 구성을 달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두 개의 낚시바늘을 하나의 낚시줄(원줄)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일명 쌍 낚시바늘의 구성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쌍 낚시바늘의 구성은 도 2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낚시바늘을 나란히 연결하여 하나의 낚시바늘에는 떡밥의 미끼를 달고 다른 하나에는 지렁이를 달아서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거나 또는 두 개의 낚시바늘을 사용하면서도 하나의 낚시바늘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쌍 낚시바늘은 원줄에 두 개의 목줄을 단순히 연결하면서도 거리가 없이 두 개의 낚시바늘이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구성된 모듬 쌍 바늘채비와, 비닐튜브 등을 삽입하여 양측의 벌어진 목줄에 낚시바늘이 정해진 거리를 가지고 있도록 구성된 벌린 쌍 바늘채비 등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본 고안은 벌린 쌍 바늘채비와 관련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낚시바늘이 정해진 거리를 가지고 벌어져 있는 낚시채비는 두 개의 낚시바늘이 엉키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낚시바늘에 끼워지는 미끼의 무게가 서로 다를 경우 낚시바늘 중 하나가 위로 올라가 물속에서의 요동으로 인하여 위로 올라가 있는 낚시바늘이 원줄이나 목줄에 엉키게 되는 사례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 개의 낚시바늘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낚시바늘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발생됨과 동시에, 낚시바늘이 원줄이나 목줄에 감겨진 것을 사용자가 일일히 풀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두 개의 낚시바늘이 정해진 거리 없이 자유롭게 유동되어지도록 이루어진 모듬 쌍 바늘채비의 경우에도 양측 낚시바늘이 각각 메달린 목줄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길이가 너무 길어 낚시바늘이 수시로 엉키는 폐단을 가지고 있었고, 두 개의 낚시바늘에 미끼(떡밥)를 함께 꼽은 상태에서 낚시바늘을 포획지점으로 던졌을 때 서로 부딪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 보듯이 봉돌(3)을 기준으로 두 개의 목줄(5)을 상호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하면서도 이의 긴 목줄(5)에는 별도의 보조봉돌(7)을 달아서 낚시의 엉킴을 방지함과 동시에, 어신의 포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두 개로 이루어지는 목줄(5)의 길이가 제조처에서 이미 고정된 상태로 공급됨으로써, 수중의 조건이나 어종의 조건 등에 따라서 낚시바늘(4)의 위치를 달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는 쌍 낚시바늘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거나 또는 넓음으로 인하여 낚시바늘의 엉킴현상이 발생됨은 물론이고, 어신이 용이치 못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낚시바늘을 다시 매듭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낚시바늘을 준비하였다가 필요에 의해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매우 비경제적이면서도 사용의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원줄의 낚시줄에서 목줄로 연결되는 두 개의 쌍 낚시바늘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그때 그때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즉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쌍 낚시바늘의 상호 엉킴을 방지하면서도 수중 바닥면의 청태, 수초 등으로 부터 걸리지 않도록 하고, 어종에 따라 어신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이 가능한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선된 구조의 쌍 낚시바늘채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즉 원줄인 낚시줄의 주 봉돌과 쌍 낚시바늘의 사이에 연결되는 목줄의 두 가닥 중 그 어느 하나의 목줄에 보조봉돌을 설치하여 서로 길이를 달리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두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목줄에는 각각 간격조절구를 체결함과 동시에, 이들이 겹치는 부분에는 고정구를 설치함으로써 이들 두 개의 간격조절구와 하나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쌍낚시바늘의 높낮이와 간격 등을 편리하고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쌍 낚시바늘이 설치되는 목줄에 두 개의 간격조절구와 하나의 고정구를 설치하여 이들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두 개의 쌍 낚시바늘의 높낮이와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쌍 낚시바늘의 상호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중 바닥면에 청태나 작은 풀 등이 있을 경우나 지형의 조건, 또는 어종에 따라서 쌍 낚시바늘이 바닥면에 닿게 하거나 또는 뜨게 하는 등 그 때 그때마다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가 있음으로써, 어종에 따라 어신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낚시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쌍 낚시바늘을 이용한 일반적인 낚시형태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쌍 낚시바늘의 구성을 보인 일실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쌍 낚시바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일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낚시형태를 보인 구성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고, 도 6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낚시대(1)의 끝단에 원줄인 낚시줄(2)이 설치되고, 이 낚시줄(2)의 끝단에는 본 고안에 따른 목줄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의 목줄은 도면에서 부호 100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목줄(10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줄을 고리(110)가 형성되도록 겹치게 하여 두 줄로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두 줄의 목줄이 겹치는 부분에는 작은 튜브형의 고정구(120)를 체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0)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매우 작은 크기의 튜브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경으로 두 줄이 겹친 상태로 삽입체결되어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줄이 고정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됨과 아울러, 인위적으로 당겨서 이동할 경우 그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고리(110)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120)에 의해 분할되는 두 줄의 목줄(100)상에는 역시 작은 크기의 튜브형으로 형성되는 간격조절구(130)(140)가 각각 체결되어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간격조절구(130)(140)는 역시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당겨서 그 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두 줄의 목줄(100)의 끝단에는 각각 낚시바늘(150)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목줄(100)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면서도 그 중에서 긴 줄을 가지는 목줄(100)의 중심부분에는 보조봉돌(16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목줄(100)상에 하나의 고정구(120)와 두 개의 간격조절구(130)(140)가 설치되어 이들의 설치위치에 따라 쌍낚시바늘(15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통상에서와 같이 낚시줄(2)의 끝단에 목줄(100)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즉 목줄(100)의 고정구(120)와 간격조절구(130)(140)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110)를 원줄인 낚시줄(2)의 끝단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쌍 낚시바늘채비의 특성은 낚시하고자 하는 민물고기의 종류나 또는 수중 바닥면의 조건 등에 따라서 두 개의 낚시바늘(1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데, 즉 첨부된 도면의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낚시바늘(150)의 위치를 바닥면으로부터 완전히 이격시켜 사용하거나 두 개의 낚시바늘(150)중 하나만을 바닥면에 놓이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두 개의 낚시바늘(150)을 모두 바닥면에 놓이도록 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쌍 낚시바늘의 경우 역시 어종이나 또는 수중의 바닥면 조건에 따라서 양측 낚시바늘(150)의 상호 간격이나 또는 두 개의 낚시바늘(150)의 상호 높낮이를 임의대로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목줄(100)에 설치되는 두 개의 간격조절구(130)(140)를 각각 당겨서 그 위치를 조절한 다음, 고정구(120)를 당겨서 간격조절구(130)(140)와 긴밀히 밀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조절이 될뿐만 아니라, 유동없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목줄(10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줄을 상호 접어서 두가닥의 줄로 형성하면서도 이들을 두 개의 간격조절구(130)(140)와 하나의 고정구(120)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임으로써, 이들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 인하여 양측 끝단에 설치되는 낚시바늘(150)의 간격을 상호 조절할 수가 있게 되고, 이러한 조절은 낚시를 준비하는 과정이나 낚시중에도 언제든지 그때 그때의 조건에 따라 간편하고도 손쉽게 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목줄 110 : 고리
120 : 고정구 130,140 : 간격조절구
150 : 낚시바늘 160 : 보조봉돌

Claims (2)

  1. 하나의 낚시줄의 끝단에 연결되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두 줄의 끝단에 각각 낚시바늘을 매달아 사용하여 마치 하나의 낚시바늘을 사용하는 효과를 기대면서도 이들의 엉킴을 방지하고, 또한 필요에 의해 원줄의 낚시줄에서 목줄로 연결되는 두 개의 쌍 낚시바늘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에 있어서,
    상기 목줄의 두 줄이 겹치는 부분에 체결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면서 탄성을 가지는 하나의 튜브형 고정구와, 두 개의 튜브형 간격조절구로 구성되는 조절부재에 의해 쌍 낚시바늘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고정구는 탄성을 가지며, 목줄의 두 줄이 겹치는 부분에 체결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튜브형의 간격조절구는 탄성을 가지며, 목줄의 두 줄에 각각 체결되어 역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간격조절구와 하나의 고정구로서 쌍 낚시바늘의 높낮이를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KR2020100005128U 2010-05-17 2010-05-17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KR201100108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28U KR20110010876U (ko) 2010-05-17 2010-05-17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28U KR20110010876U (ko) 2010-05-17 2010-05-17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76U true KR20110010876U (ko) 2011-11-23

Family

ID=7288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128U KR20110010876U (ko) 2010-05-17 2010-05-17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87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339A (ko) 2018-04-08 2019-10-16 강병국 낚시용 가지채비
KR20200002440U (ko) * 2019-04-29 2020-11-06 박상희 엉킴방지 낚시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339A (ko) 2018-04-08 2019-10-16 강병국 낚시용 가지채비
KR20200002440U (ko) * 2019-04-29 2020-11-06 박상희 엉킴방지 낚시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US7861456B2 (en) Fishing rig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CN102100216B (zh) 一种可选择性捕捉河蟹和虾类或底栖鱼类的地笼式渔具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US2289663A (en) Fishing hook float
JP2017518773A (ja) 疑似餌システム
KR101061901B1 (ko) 사계절 낚시용 편대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KR20110010876U (ko)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KR100982541B1 (ko) 낚시추
US3190029A (en) Fishing device
KR101216643B1 (ko) 밑밥수납부가 구비된 낚시찌
JP5518393B2 (ja) マグロの養殖方法と養殖用生け簀
GB2435603A (en) Floating groundbait device
KR200227432Y1 (ko) 떡밥 뭉치기용 낚시바늘 지지체
KR101588084B1 (ko) 물의 순환이 양호한 두족류 양식장치
KR20200006419A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KR20130003456U (ko) 올내 낚시
KR101076546B1 (ko) 낚시용 훌치기 채비
KR200354362Y1 (ko) 우럭낚시채비
KR102492210B1 (ko)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CN211379344U (zh) 钓鱼器具
KR100310161B1 (ko) 게 잡이용 낚시바늘
CN205409131U (zh) 一种具有上下固定挂圈的养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