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526A - 낚시추 - Google Patents

낚시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526A
KR20090121526A KR1020080047477A KR20080047477A KR20090121526A KR 20090121526 A KR20090121526 A KR 20090121526A KR 1020080047477 A KR1020080047477 A KR 1020080047477A KR 20080047477 A KR20080047477 A KR 20080047477A KR 20090121526 A KR20090121526 A KR 20090121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ing
main body
specific gravit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2541B1 (ko
Inventor
홍길표
Original Assignee
홍길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길표 filed Critical 홍길표
Priority to KR1020080047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4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로 분리 가능한 본체의 사이에 내부가 중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연장부재 내부에 중량조절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낚시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로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조절부재와; 상하로 개구되도록 중공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며, 낚싯줄에 연결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낚시추, 부력, 중량, 조절, 연장

Description

낚시추 { A fishing weight }
본 발명은 낚시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위해서는 낚시장소와 대상 어종 등을 고려하여 낚시바늘과 낚시찌를 선정하고, 상기 낚시찌의 부력에 맞추어 낚시바늘이 적절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추를 낚싯줄에 연결하여 낚시채비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낚시추는 일반적으로 낚싯줄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낚싯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연결되며, 릴낚시에서와 같이 낚시바늘과 낚시추가 묶음으로 형성되어 낚싯줄에 연결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낚시추는 바닥면 또는 바위, 자갈 등에 닿게 되면, 대부분 길이방향으로 눕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낚싯줄을 당기게 되면, 바위틈이나 자갈 등에 낚시추가 쉽게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낚싯줄을 억지로 당기게 되면, 낚시추가 떨어지게 되며 낚시도중 이러한 문제점은 빈번하게 발생되며, 낚시에 익숙하지 않은 초심자들에게는 그 빈도가 더욱 잦게 된다.
더욱이, 낚시추는 물속에 보다 효과적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비중이 높은 납으로 형성되는데, 이처럼 빈번하게 낚시추가 떨어지는 경우 물속에 납덩어리가 그대로 방치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낚시를 위한 장소의 수심이나, 대상 어종의 서식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는 부력이 다른 낚시추를 교체해 가면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낚시추의 빈번한 교체는 낚시추의 낭비일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교체 작업으로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낚시추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낚시추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9269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2069호에 개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9269호에서는 낚시추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다수개 장착되는 경우 상기 낚시추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게 되어 원활한 낚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2069호에서는 낚시추의 상부캡과 하부캡의 내부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중량추의 추가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어, 보다 다양한 용도로 낚시추가 사용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와 하부로 분리 가능한 본체의 사이에 내부가 중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연장부재 내부에 중량조절부재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낚시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로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조절부재; 상하로 개구되도록 중공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며, 낚싯줄에 연결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와 연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형상을 형성하는 상부본체와,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형상을 형성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부재와, 물보다 비중이 높은 중량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부재와 중량부재는 상기 분리된 본체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사이에 다수의 연장부재가 제공될 때, 상기 연장부재는 서로 선택적으로 상하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부와 하부로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중량조절부재가 수용되도록 함몰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연장부재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회전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는, 상부와 하부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물보다 비중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를 낚싯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부재와, 물보다 비중이 높은 중량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부재와 중량부재는 상기 분리된 본체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연장부는 나사방식에 의해 회전 결합되며, 결합시 각각 의 외주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연장부재는 상기 본체의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량조절부재는 다양한 중량을 가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합되어 상기 연장부재 내측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에 의하면, 낚시추의 본체가 상하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사이에 공간을 확장시키는 연장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연장부재의 공간에 중량조절부재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중량에 맞추어 상기 중량조절부재를 상기 본체 또는 연장부재의 공간에 넣어 낚시추 전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중량조절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낚시추의 중량조절 범위가 커지게 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 자체를 부력소재 또는 중량소재로 형성하고, 이들을 상기 본체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낚시추의 부력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중량조절부재를 사용하여 미세한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한층 더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낚시추의 상단이 상기 낚싯줄에 고정되고, 상기 낚시추의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비중이 크게 구성되어 물속에서 상기 낚시추가 필연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낚싯줄을 당기게 되더라도 상기 낚시추는 직립 또는 그에 준하는 상태로 상방 이동하게 되므로, 바위틈이나 자갈들의 틈새에 상기 낚시추가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낚시추가 걸려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 및 낚시추의 교체로 인한 비용의 증가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낚시추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납소재의 낚시추가 바다속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낚싯줄(10)의 단부에는 낚시바늘(20)이 연결되며, 상기 낚시바늘(20)로부터 떨어진 상기 낚싯줄(10)의 일측에는 낚시찌(30)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낚싯줄(10)은 합사나 나일론, 모노필라멘트가 와이어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기 공지된 바와 같이 본줄(원줄)과 목줄로 구성된다. 상기 낚시바늘(20)은 대상 어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 및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낚싯줄(10)의 단부에 매듭지어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낚시찌(30)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낚시추(1)와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히고, 낚싯줄(10)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낚시바늘(20)과 낚시찌(30)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낚싯줄(10)의 일측에는 낚시추(1)가 연결된다. 상기 낚시추(1)는 낚시바늘(20)이 원하는 위치에 가라앉도록 하는 것으로, 비교적 무거운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1)는 낚시장소와 대상 어종에 따라 알맞은 무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낚시찌(30)의 부력과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낚시추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낚시추(1)의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상하길이가 긴 환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체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원통 또는 전체적으로 외주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거나,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는 중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각각 상부와 하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하면과 상면은 각각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결합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중공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0) 내부의 중공된 공간에는 중량조절부재(200)가 수용될 수 있 다. 상기 중량조절부재(200)는 돌, 납과 같은 비중이 큰 금속 등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 중공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구 형상 또는 일정 체적을 가지는 블럭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량조절부재(2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간에 사용자의 의사에 따랄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중량조절부재(200)의 개수에 따라 상기 낚시추(1)의 전체적인 중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조절부재(200)는 다양한 중량을 가지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비중이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일한 체적의 중공된 공간에서 사용자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중량을 가지는 낚시추(1)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중량조절부재(200)의 조절을 통해 상기 낚시추(1)의 전체 중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낚시찌(30)의 부력 또는 대상 어종에 따라 상기 낚시바늘(2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중량조절부재(200)의 삽입을 위해 상하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되며, 상하 분리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중공된 공간이 개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는 서로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상부본체(110)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단(112)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본체(120)의 상단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구(122)가 형성된다. 그리 고, 상기 체결단(112)이 상기 결합구(122)와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부분이 없이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게 되어 물속에서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본체(120)는 상기 낚시추(1)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 즉, 납과 같은 금속소재나 돌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110)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 즉, 스티로폼, 나무,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낚시추(1)의 무게중심은 상기 낚시추(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상기 낚시추(1)의 외형적 구조에 의해 상기 낚시추(1)는 수중에서 직립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상부본체(110)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상부본체(110)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낚시추(1)는 직립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사이에는 연장부재(1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중량조절부재(2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단면과 대응하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면이 개구되어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재(130)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상부본체(110)의 체결단(112)과 나사결합되는 연장부재 결합구(13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130)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본체(120)의 결합 구(122)와 나사결합되는 연장부재 체결단(1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에 의해 상기 낚시추(1)의 전체 길이가 길어짐은 물론 상기 중량조절부재(200)가 수용될 수 있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이 확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130)는 다수개가 연속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장부재(130) 또한 회전에 의한 나사결합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상부본체(11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본체(12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110) 및 하부본체(120)와 이종소재로 형성되고,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 또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130)는 다수개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장부재(130)는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부재(150)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부력부재(140)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낚시추(1)의 전체적인 중량을 고려하여 상기 중량부재(150)와 부력부재(140)를 조합하여 상기 연장부재(130)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낚시추(1)의 전체적인 중량 또는 부력을 상기 연장부재(130)를 상기 본체(100) 사이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 내부에 상기 중량조절부재(200)를 더 넣는 것으로 상기 낚시추(1)의 중량 및 부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재(130)를 구성하는 상기 중량부재(150)와 부력부재(140)는 그 내경은 동일한 반면에 다양한 상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낚시추(1)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낚시추의 작용을 도 1 과 도 2 를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낚시바늘(20)과 낚시찌(30)가 마련된 낚싯줄(10)에 낚시추(1)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1)는 상기 낚시찌(30)의 부력을 고려하여 상기 낚시바늘(20)이 물속 적절한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60)의 연결링(162)을 관통하도록 상기 낚싯줄(10)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낚시추(1)가 상기 낚시바늘(20)과 낚시찌(30) 사이의 낚싯줄(10)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160)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낚싯줄(10)의 양측에는 상기 낚시추(1)가 상기 낚싯줄(10)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슬 또는 매듭과 같은 고정구(40)에 의해 유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연결링(162)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나사형상의 연결축(164)이 상기 상부본체(110)에 고정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부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낚시추(1)가 상기 낚싯줄(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낚시추(1)에 낚싯줄(10)이 감기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낚시추(1)를 상기 낚싯줄(10)에 연결시켜 마련된 낚시채비를 이용하여 낚시를 할 때에는 상기 낚시추(1)가 물속에 일정깊이만큼 잠기게 되며 상기 낚시 찌(30)와 부력이 평형상태가 되면 상기 낚시바늘(20)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낚시추(1)는 상단의 고정수단(160)에 의해 상기 낚싯줄(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고, 비중이 낮은 상기 상부본체(110)가 상부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하부본체(120)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낚시추(1)는 필연적으로 하부본체(120)가 하방을 향하게 되어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낚시추(1)가 바닥에 닿게 되더라도 상기 낚시추(1)는 서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낚싯줄(10)을 당기게 되면, 직립상태 또는 그와 유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낚시추(1)가 바위 또는 자갈들의 틈새에 걸리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상기 낚시추(1)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상기 낚시추(1)가 바위 또는 자갈의 틈새에 걸리게 되는 확률은 더욱 줄어들게 됨은 물론 물살에 의해 요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낚시추(1)는 사용환경 및 대상어종에 따라 그 부력 및/또는 무게의 조절이 가능한데 이를 도 2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낚시추(1)의 부력 및/또는 무게의 조절을 위해서는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상기 본체(100)의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회전시켜 분리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상기 중량조절부재(2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삽입하여 상기 낚시추(1)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중량조절부재(200)를 꺼내어 정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중량조절부재(200)가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낚시추(1)의 중량을 더 늘리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를 분리시킨 후 상기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사이에 연장부재(130)를 적어도 한개 이상 결합시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중공된 공간을 확장하고, 상기 중량조절부재(200)를 더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재(130)를 물보다 비중이 작은 상기 부력부재(140)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100)에 결합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낚시추(1)의 전체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재(130)를 물보다 비중이 큰 상기 중량부재(150)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100)에 결합시키게 되는 경우 상기 낚시추(1)의 전체 중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중량조절부재(200)의 삽입에 앞서,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상기 부력부재(140)와 중량부재(15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상기 연장부재(130)를 적절하게 선정하여 장착함으로써, 상기 낚시추(1)의 전체적인 부력 및 중량을 조절한 후에 상기 중량부재(150)를 삽입하여 상기 낚시추(1)의 부력 및 중량의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1)는 전술한 제1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제2실시예를 도 3 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낚시추(1)는 전체적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 는 한편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2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로서, 도면을 참조로 하면, 상기 본체(300)는 상부본체(310)와 하부본체(320)로 구성되며, 서로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본체(310)와 하부본체(320)의 상하단에는 결합구(122)와 체결단(11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본체(310)는 상기 본체(30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310)의 상단에는 상기 낚시추(1)를 상기 낚시줄(10)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수단(160)이 제공된다.
상기 하부본체(320)는 상기 본체(300)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320)의 상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낚시추(1)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중량조절부재(200)가 상기 하부본체(320)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본체(310)는 상기 하부본체(320)보다 그 길이가 짧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본체(320)의 내부에 상기 중량조절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310)와 하부본체(320)의 사이에는 연장부재(13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 상기 중량조절부재(2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3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본체3100)의 사이에 적어도 한개 이상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상기 연장부재(130)는 서로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낚시추(1)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만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부력부재(140)와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부재(150)가 제공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를 조합하여 채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낚시추(1)는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어 수중에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연장부재(130)를 선택장착하고 상기 중량조절부재(200)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상기 낚시추(1)의 전체적인 부력과 중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1)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제3실시예를 도 4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낚시추(1)의 본체(400) 타원 또는 기둥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각각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본체(410)와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본체(4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본체(410)는 물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단에 고정수단(160)이 제공되어 상기 낚시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420)는 물보다 큰 비중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본체(410)의 하방에서 결합된다.
상기 상부본체(410)와 하부본체(420)는 회전에 의해 서로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결합구(122)와 체결단(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4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상부본체(410)와 하부본체(420)의 사에는 연장부재(130)가 장착된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상부본체(410)와 하부본체(420)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130)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기 결합구(122) 및 체결단(112)과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재 체결단(134)과 연장부재 결합구(1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재(130)를 상기 상부본체(410)와 하부본체(420)의 사이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낚시추(1)의 전체적인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조절부재(2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중량조절부재(200)가 삽입된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장착되며, 필요시 적어도 한개 이상이 장착된다. 상기 연장부재(130)가 다수개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재(130)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130)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된 부력부재(140)와 물보다 비중이 큰 중량부재(1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 부재(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장부재(130)가 부력부재(14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장부재(130)의 장착으로 상기 낚시추(1)의 부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재(130)의 내측에 중량조절부재(200)를 삽입하여 상기 낚시추(1)의 전체적인 중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장부재(130)가 중량부재(15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재(130)의 장착으로 상기 낚시추(1)의 중량이 증대되며, 여기에 상기 중량조절부재(200)를 삽입하게 될 경우 상기 낚시추(1)의 전체 중량은 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연장부재(130)가 상기 중량부재(150)와 부력부재(1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낚시추(1)의 전체적인 길이와 함께 부력 및 중량을 동시에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낚시추(1) 또한 상기 하부본체(420)의 비중이 물보다 크게 되고,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낚시추(1)는 수중에서 직립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며, 상기 낚시추(1)의 부력 및 중량 조절의 필요시 상기 중량조절부재(200)와 연장부재(130)의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2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낚시추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Claims (13)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로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조절부재;
    상하로 개구되도록 중공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며, 낚싯줄에 연결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연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낚시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형상을 형성하는 상부본체와,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형상을 형성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부재와,
    물보다 비중이 높은 중량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부재와 중량부재는 상기 분리된 본체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되는 낚시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사이에 다수의 연장부재가 제공될 때, 상기 연장부재는 서로 선택적으로 상하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낚시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와 하부로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본체와 하부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중량조절부재가 수용되도록 함몰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낚시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연장부재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 산이 형성되어 서로 회전에 의해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낚시추.
  8. 상부와 하부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하로 개구된 중공이 형성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물보다 비중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중량부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를 낚싯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며,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추.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부재와,
    물보다 비중이 높은 중량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부재와 중량부재는 상기 분리된 본체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되는 낚시추.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연장부는 나사방식에 의해 회전 결합되며, 결합시 각각의 외주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낚시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장부재는 상기 본체의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결합되는 낚시추.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조절부재는 다양한 중량을 가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합되어 상기 연장부재 내측에 수용되는 낚시추.
KR1020080047477A 2008-05-22 2008-05-22 낚시추 KR10098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477A KR100982541B1 (ko) 2008-05-22 2008-05-22 낚시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477A KR100982541B1 (ko) 2008-05-22 2008-05-22 낚시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26A true KR20090121526A (ko) 2009-11-26
KR100982541B1 KR100982541B1 (ko) 2010-09-15

Family

ID=4160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477A KR100982541B1 (ko) 2008-05-22 2008-05-22 낚시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78U (ko) * 2016-02-04 2017-08-14 평일웅 낚시추
KR20210001058U (ko) * 2019-11-06 2021-05-17 임재영 낚시용 봉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07Y1 (ko) * 2012-09-27 2013-02-01 정민기 낚시용 추
KR200465104Y1 (ko) 2012-09-27 2013-02-19 정민기 낚시용 추
KR101737011B1 (ko) * 2016-03-22 2017-05-29 이석문 무게중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낚시봉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953A (ja) 1999-04-13 2000-10-24 Masaki Komiya 釣り用重り
KR200282069Y1 (ko) * 2002-04-06 2002-07-19 남상구 중량조절이 가능한 낚시 추
KR100579874B1 (ko) * 2004-09-06 2006-05-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빠른 전개를 위한 에어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78U (ko) * 2016-02-04 2017-08-14 평일웅 낚시추
KR20210001058U (ko) * 2019-11-06 2021-05-17 임재영 낚시용 봉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541B1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100982541B1 (ko) 낚시추
US11399524B2 (en) Multi-facet lure
CA2895775A1 (en) Container for the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lure or food or pharmaceutical substance for fish or for the dissolution of the substance in the aquatic environment
KR100858909B1 (ko) 낚시추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KR20090013465A (ko) 낚시 채비
US5797209A (en) Anchored, retrievable multi-line fish catching device
WO2008035899A1 (en) Self-standing fishing float
US20090019760A1 (en) Hollow fishing lure with internal swimming mechanism
KR101467678B1 (ko) 낚시용 구멍찌
KR20110010876U (ko)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KR102609356B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KR102607742B1 (ko) 바닥추의 무게조절이 용이한 분할추채비
KR100479178B1 (ko) 낚시용 찌
KR200338894Y1 (ko) 낚시용 3단분리찌
JP3151890U (ja) 撒餌籠
KR20090085953A (ko)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JP2003310120A (ja) 餌室内蔵型自立ウキ
CN108651403B (zh) 一种钓鱼用钓坠
KR200327142Y1 (ko) 낚시용 찌
JP4822930B2 (ja) 伸縮自在な釣り用天秤及びそれを備えた釣り用仕掛け
JP4728876B2 (ja) 釣用仕掛け
JP2003289760A (ja) ルア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