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609B1 - 장대 봉돌 - Google Patents
장대 봉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0609B1 KR102190609B1 KR1020180130737A KR20180130737A KR102190609B1 KR 102190609 B1 KR102190609 B1 KR 102190609B1 KR 1020180130737 A KR1020180130737 A KR 1020180130737A KR 20180130737 A KR20180130737 A KR 20180130737A KR 102190609 B1 KR102190609 B1 KR 1021906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density
- fishing
- rod
- bongdol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85 Diospyros ebe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792913 Ebe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장대 봉돌이 개시된다. 상기 장대 봉돌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1 밀도를 가지는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밀도보다 낮은 밀도를 가지는 제2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단일의 장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서브 바디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물 속에서, 상기 제2 서브 바디가 위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바디가 아래로 배치되도록 직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대 봉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몸체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물 속에서 부유되는 높이가 제어되는 장대 봉돌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여가 산업의 발전으로 다양한 기능과 친환경성의 낚시 장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봉돌은 낚시 바늘과 낚시 줄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낚시 바늘이 물 속에 부유되는 높이를 알맞게 맞추기 위하여 부력을 조절하는 기능과, 상기 낚시 바늘이 물의 저항을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중량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통해 주로 잡고자 하는 대상 어종이 군집하는 대상 어장의 위치가 어종 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대상 어장에 상기 낚시 바늘을 위치시키기 위해 밀도가 다른 다수의 봉돌이 요구되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봉돌을 원줄에 고정하여 상기 낚시 바늘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봉돌을 절단도구로 잘라내거나 또 다른 봉돌을 연결하여 상기 낚시 바늘의 위치를 조절하였다. 상기의 이유로 인하여 다수의 봉돌을 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상기 봉돌에 둘 이상의 낚시 바늘을 연결한 경우, 상기 봉돌에 연결된 상기 낚시 바늘들이 서로 엉키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봉돌이 저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저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낚시 바늘 및 봉돌을 분실하는 경우도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밀도 차이를 가지는 몸통을 제공하여 낚시 바늘이 수중에 부유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장대 봉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밀도 차이를 제어하여 하나의 봉돌로 낚시 바늘이 수중에 부유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장대 봉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몸통이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낚시 바늘 간의 간섭 방지거리를 제공하는 장대 봉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대 봉돌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1 밀도를 가지는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밀도보다 낮은 밀도를 가지는 제2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단일의 장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서브 바디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물 속에서, 상기 제2 서브 바디가 위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바디가 아래로 배치되도록 직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서브 바디는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 제1 서브 바디는 공기 주입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서브 바디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서브 바디를 이루는 소재의 밀도는 상기 제2 서브 바디를 이루는 소재의 밀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 제1 서브 바디의 일 측에는 낚시 바늘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낚시 바늘 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서브 바디의 일 측에는 낚시 바늘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낚시 바늘 고리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 장대 몸체에는, 상기 장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중량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 장대 몸체 내부에는 상기 중량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이동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장대 몸체 외부에는 상기 중량 부재와 결합된 손잡이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밀도가 다른 제1 서브 바디 및 제2 서브 바디를 통해 물 속에서 직립할 수 있으며, 상기 밀도 차이를 제어하여 물 속에서의 부유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대 봉돌에 연결된 낚시 바늘을 대상 어장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장대 봉돌로 낚시 바늘의 부유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Y 축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른 봉돌의 부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의 부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X 축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에에 따른 장대 봉돌이 대상 어장보다 높은 위치에 부유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량 부재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어장에 장대 봉돌을 위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Y 축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른 봉돌의 부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의 부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X 축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에에 따른 장대 봉돌이 대상 어장보다 높은 위치에 부유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량 부재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어장에 장대 봉돌을 위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물의 깊이 방향으로 직립하는 장대 봉돌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1 밀도를 가지는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1 밀도 보다 낮은 제2 밀도를 가지는 제2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장대 봉돌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의 밀도 차이로 인하여 물 속에서 상기 제2 서브 바디가 위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바디가 아래로 배치되며 기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서브 바디의 일 측에 마련되는 제1 낚시 바늘 고리와, 상기 제2 서브 바디 일 측에 마련되는 제2 낚시 바늘 고리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 장대 봉돌에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낚시 바늘이 물 속에서 서로 간섭하거나 서로 엉키지 않도록 간섭 방지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물이라 함은, 낚시를 통해 잡고자 하는 어종이 서식하는 물을 의미하며, 저수지, 강, 호수 등 민물 또는 바닷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은 몸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중량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중량 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장대 봉돌에 작용하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량 부재를 상기 제1 서브 바디 쪽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장대 봉돌에 작용하는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중량 부재를 상기 제2 서브 바디 쪽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장대 봉돌에 작용하는 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대 봉돌은 상기 장대 봉돌이 수중에서의 부유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대상 어종이 주로 군집하는 대상 어장에 상기 낚시 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 어종이라 함은, 낚시를 통해 주로 잡고자 하는 목표 어종을 의미하며 민물에 서식하는 민물어종이 될 수 있으며, 바다에 서식하는 바다어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 어장이라 함은, 상기 대상 어종이 주로 군집하는 소정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어장은 상기 대상 어종에 따라 소정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으며, 같은 어종이라 해도 수온, 물의 밀도 등의 환경조건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Y 축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a)은 장대 몸체(110), 낚시대 결합부(120), 제1 낚시 바늘 고리(130), 제2 낚시 바늘 고리(140) 및 공기 주입부(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대 몸체(11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장대 봉돌(100a)의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장대 몸체(110)가 연장되는 방향을 Z축으로 정의하며, 상기 Z 축과 수직되는 방향을 X축 및 Y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장대 몸체(110)는 제1 서브 바디(111) 및 제2 서브 바디(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바디(111)는 소정 길이, 예를 들어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 바디(111)는 원통, 삼각뿔, 직육면체, 피라미드 및 다면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원통의 형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그 형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제1 서브 바디(111)는 제1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바지 내부에는 후술할 공기 주입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바디(111)는 금속 및 비금속 소재 예를 들어, 황동추, 흑단추, 철, 스테인레스 자연석, 세라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바디(113)는 소정 길이, 예를 들어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바디(113)는 제1 서브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은 Z 축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서브 바디(113)는 제2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의 상기 제1 밀도보다 낮은 상기 제2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서브 바디(113)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동일한 금속 및 비금속 소재 예를 들어, 황동추, 흑단추, 철, 스테인레스 자연석, 세라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브 바디(111) 보다 밀도가 작은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낚시대 결합부(120)는 소정의 결합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장대 몸체(110)와 낚시대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대 몸체(110)와 낚시대 사이에 제공되는 원줄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낚시대 결합부(120)는 고리, 몰드, 매듭 등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리를 통한 결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낚시대 결합부(120)는 상기 장대 몸체(11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대 몸체(110)의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가 Z축으로 연장된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낚시대 결합부(120)는 낚시대 연결고리(121) 및 낚시대 고정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낚시대 결합 고리(121)는 소정의 외경과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낚시대 결합 고리(121)에 상기 원줄을 연결하여 상기 장대 몸체(110)와 상기 낚시대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낚시대 고정대(123)는 상기 장대 몸체(110)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낚시대 결합 고리(121)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낚시대 고정대(123)의 일 면은 제1 서브 바디(111)의 +Z 축 방향으로 형성된 일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낚시대 결합 고리(121)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낚시대 고정대(123)는 상기 낚시대 결합 고리(121)를 상기 장대 몸체(110)의 일 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낚시 바늘 고리(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소정의 결합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낚시 바늘을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낚시 바늘 고리(130)는 상기 장대 몸체(110)와 상기 낚시 바늘 사이에 제공되는 목줄(L1)을 결합하여 상기 낚시 바늘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낚시 바늘 고리(130)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가 Z축으로 연장된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낚시 바늘 고리(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고리(311) 및 결합 고리 고정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고리(131)는 소정의 외경과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고리(131)에 상기 목줄(L1)을 연결하여 상기 장대 몸체(110)와 상기 낚시 바늘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 고리 고정대(133)는 상기 장대 몸체(110)의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결합 고리(131)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고리 고정대(133)의 일 면은 제1 서브 바디(111)의 +Z 축 방향으로 형성된 일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낚시대 결합 고리(121)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낚시대 고정대(123)는 상기 낚시대 결합 고리(121)를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의 일 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낚시 바늘 고리(130)는 제1 결합 고리(131a) 및 제2 결합고리(131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결합 고리 고정대(133a) 및 제2 결합 고리 고정대(1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결합 고리(131a), 제2 결합고리(131b), 제1 결합 고리 고정대(133a) 및 제2 결합 고리 고정대(133b) 만을 개시하였으나, 그 이상 혹은 그 이하의 상기 결합 고리(131) 및 상기 결합 고리 고정대(133)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낚시 바늘 고리(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소정의 결합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와 상기 낚시 바늘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바늘 고리(140)는 상술한 상기 제1 바늘 고리(130)에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공기 주입부(150)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 내부에 제공되며 소정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부(150)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와 결합되는 일 면에 마련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기 주입부(150)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의 밀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주입부(150)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주입부(150)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공기 주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기 주입부(150)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일 면에 의해 상기 공기 주입구가 차폐되어 상기 공기 주입부(150) 내로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기 주입부(150)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의 밀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100a)는 소재 또는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이를 제공하여 상기 장대 봉돌(100a)의 밀도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100a)은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1)에 대하여 동일한 소재로 제공하되,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에 상기 공기 주입부(150)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의 밀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 간의 밀도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100a)은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에 제1 소재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서브 바디(111)에 상기 제1 소재보다 밀도가 큰 제2 소재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 간의 밀도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100a)은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에 상기 제1 소재 및 상기 공기 주입부(150)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에 상기 제2 소재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 간의 밀도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a)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통하여 장대 봉돌(100a)의 수중에서의 부유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 따른 봉돌의 부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의 부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봉돌은 상기 봉돌의 중량으로 인해 낚시하고자 하는 대상 어종이 군집된 대상 어장(FA)을 벗어나 저면(B)에 위치되는 경우가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봉돌이 저면(B)에 위치되면 상기 저면(B)과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봉돌에 연결된 상기 낚시 바늘이 서로 엉키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상기 낚시 바늘 및 봉돌을 분실하는 경우도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a)은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물 속에서 직립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상기 제1 서브 바디(111)가 위로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가 아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대 봉돌(100a)이 상기 대상 어장(FA)을 벗어나 상기 저면(B)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대 봉돌(100a)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이 물 속에서 서로 간섭하거나 서로 엉키지 않도록 간섭 방지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장대 봉돌(100a)은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장대 봉돌(100a)의 부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도가 다른 소재로 제공되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결합을 통해 부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에 제공되는 상기 공기 주입부(150)의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여 부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대 봉돌(100a)은 상기 장대 봉돌(100a)이 상기 대상 어종이 군집된 상기 대상 어장(FA)에 위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a)의 수중에서의 부유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통하여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b)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X 축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b)은 장대 몸체(110), 낚시대 결합부(120), 제1 낚시 바늘 고리(130), 제2 낚시 바늘 고리(140), 중량 부재(161), 손잡이 고정대(163) 및 손잡이(165), 슬라이딩 이동 공간(167) 및 방수커버(17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b)의 장대 몸체(110), 낚시대 결합부(120), 제1 낚시 바늘 고리(130), 제2 낚시 바늘 고리(140)는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a)의 장대 몸체(110), 낚시대 결합부(120), 제1 낚시 바늘 고리(130), 제2 낚시 바늘 고리(140)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중량 부재(161)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며, 상기 장대 몸체(110)의 외주면 및/또는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 부재(161)는 상기 장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량 부재(161)는 상기 제1 서브 바디(111) 및 상기 제2 서브 바디(113) 간의 밀도 차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 부재(161)가 상기 제1 서브 바디(111) 방향, 다시 말해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중량 부재(161)의 중량으로 인해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의 밀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대 봉돌(100b)의 밀도 차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장대 봉돌(100b)의 밀도 차이의 감소를 유발하는 상기 중량 부재(161)의 이동 방향을 제1 방향(U)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 부재(161)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 방향, 다시 말해 -Z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중량 부재(161)의 중량으로 인해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가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제1 서브 바디(111)의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장대 봉돌(100b)의 밀도 차이의 증가를 유발하는 상기 중량 부재(161)의 이동 방향을 제2 방향(D)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량 부재(161)는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철, 구리, 스테인레스, 자연석, 세라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부재(161)가 철로 제공될 경우, 외부 자기장 및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중량 부재(16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중량 부재(161)는 상기 중량 부재(16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볼트, 결합턱 또는 고정핀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고정대(163)는 상기 중량 부재(161)의 일 면에 돌출되며, 예를 들어 +Y 축 방향의 일 면에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65)는 상기 손잡이 고정대(163)의 일 면에 고정되며, 상기 중량 부재(16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 고정대(163) 및 상기 손잡이(165)는 소정의 중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중량을 상기 중량 부재(161)에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중량 부재(161)는 상기 손잡이 고정대(163) 및 상기 손잡이(165)의 중량을 더하여 상기 장대 봉돌(100b)의 밀도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 공간(167)은 상기 중량 부재(161)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이동 공간(167)은 상기 장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량 부재(161)가 상기 장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중량 부재(161)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공간(167)이 제공하는 상기 이동 공간을 따라 상기 제1 방향(U) 또는 상기 제2 방향(D)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170)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공간(167) 상에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 공간(167) 및 상기 중량 부재(161)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방수커버(170)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 공간(167) 및 상기 중량 부재(161)가 상기 물 또는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b)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통하여 장대 봉돌(100b)의 부력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에에 따른 장대 봉돌이 대상 어장보다 높은 위치에 부유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량 부재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상 어장에 장대 봉돌을 위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장대 봉돌(100b)이 상기 대상 어장(FA)보다 높은 위치에 부유할 수 있다. 즉, 상기 장대 봉돌(100b)에 작용하는 중력이 상기 장대 봉돌(100b)에 작용하는 부력보다 작아 상기 장대 봉돌(100b)이 상기 대상 어장(FA)을 벗어난 위치에 부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 어장(FA)에 군집하는 대상 어종을 잡기 어렵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대 봉돌(100b)은 상기 장대 봉돌(100b)에 작용하는 부력을 감소시켜 상기 장대 봉돌(100b)이 부유하는 수중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장대 봉돌(100b)은 상기 중량 부재(161)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장대 봉돌(100b)의 밀도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량 부재(161)를 상기 제2 방향(D)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장대 봉돌(100b)은 상기 중량 부재(161)를 상기 제2 서브 바디(113) 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대 봉돌(100b)의 밀도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장대 봉돌(100b)의 부유 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대 봉돌(100b)에는 제1 부력이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밀도 차이가 증가한 장대 봉돌(100b')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1 부력보다 작은 제2 부력이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장대 봉돌(100b')은 상기 밀도 차이로 인하여, 상기 장대 봉돌(100b')에 작용하는 상기 부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거하여 상기 장대 봉돌이 상기 대상 어장(FA)보다 높은 위치에 부유할 경우, 상기 장대 봉돌의 밀도 차이를 증가시켜, 예를 들어 상기 중량 부재(161)을 제2 방향(D)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장대 봉돌을 상기 대상 어장(FA)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밀도 차이를 조절할 수 없는 기존의 봉돌은 상기 부유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 밀도가 다른 다수의 봉돌이 요구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줄(FL)에 다수의 봉돌을 고정하여 상기 낚시 바늘의 위치를 파악하였고, 상기 낚시 바늘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봉돌을 절단도구로 잘라내거나 또 다른 봉돌을 더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밀도가 다른 다수의 봉돌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상기 장대 봉돌(100b')로 상기 장대 봉돌(100b')에 작용하는 상기 부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 부재(161)를 통해 상기 부력의 크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다수의 봉돌을 여비할 필요가 없어 상기 봉돌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다수의 봉돌의 유실로 인한 환경 오염을 최소화 함으로써, 수중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 봉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량 부재를 아래 방향으로(제2 서브 바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무게 중심이 아래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대 봉돌의 직립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살이 거세어 장대 봉돌이 뉘어지게 되면, 낚시 바늘이 결합된 목줄 들이 서로 엉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무게 중심이 낮아지는 경우 거세 물살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직립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줄 들이 엉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중량 부재(161)를 상기 제2 방향(D)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장대 봉돌(100b)이 부유하는 깊이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방법이 생략되었으나, 상기 장대 봉돌(100b)이 상기 대상 어장(FA)보다 낮은 위치 예를 들어, 저면(B)에 부유하였을 때, 상기 중량 부재(161)를 상기 제1 방향(U)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장대 봉돌(100b)을 대상 어장(FA)에 위치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로써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b)의 부력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10을 통하여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대 봉돌(100c)은 상기 공기 주입부(150) 및 상기 중량 부재(161)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실시 예는 제1 및 제2 실시 예의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대 봉돌(100c)은 상기 공기 주입부(150) 및 상기 중량 부재(16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 차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장대 봉돌(100c)은 상기 공기 주입부(150)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대 봉돌(100c)은 상기 중량 부재(161)를 상기 제1 방향(U) 또는 제2 방향(D)으로 슬라이딩 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 차이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대 봉돌(100c)은 상기 공기 주입부(150)와 상기 중량 부재(161)를 공시에 사용하여 상기 제1 서브 바디(111)와 상기 제2 서브 바디(113)의 밀도 차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대 봉돌(100c)은 보다 정밀하게 상기 장대 봉돌(100c)에 작용하는 부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a, 100b, 100c: 장대 봉돌
110: 장대 몸체
111: 제1 서브 바디
113: 제2 서브 바디
120: 낚시대 결합부
130: 제1 낚시 바늘 고리
140: 제2 낚시 바늘 고리
150: 공기 주입부
161: 중량 부재
167: 슬라이딩 이동 공간
110: 장대 몸체
111: 제1 서브 바디
113: 제2 서브 바디
120: 낚시대 결합부
130: 제1 낚시 바늘 고리
140: 제2 낚시 바늘 고리
150: 공기 주입부
161: 중량 부재
167: 슬라이딩 이동 공간
Claims (7)
-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제1 밀도를 가지는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1 밀도보다 낮은 제2 밀도를 가지는 제2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단일의 장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서브 바디의 밀도 차이에 의하여, 물 속에서, 상기 제2 서브 바디가 위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브 바디가 아래로 배치되도록 직립하며,
상기 장대 몸체에는, 상기 장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중량 부재가 배치되되,
상기 장대 몸체 내부에는 상기 중량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이동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장대 몸체 외부에는 상기 중량 부재와 결합된 손잡이가 배치되는, 장대 봉돌.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서브 바디는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장대 봉돌.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바디는 공기 주입되는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는, 장대 봉돌.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바디와 상기 제2 서브 바디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서브 바디를 이루는 소재의 밀도는 상기 제2 서브 바디를 이루는 소재의 밀도보다 낮은, 장대 봉돌.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바디의 일 측에는 낚시 바늘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낚시 바늘 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서브 바디의 일 측에는 낚시 바늘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낚시 바늘 고리가 마련되는, 장대 봉돌.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737A KR102190609B1 (ko) | 2018-10-30 | 2018-10-30 | 장대 봉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737A KR102190609B1 (ko) | 2018-10-30 | 2018-10-30 | 장대 봉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8559A KR20200048559A (ko) | 2020-05-08 |
KR102190609B1 true KR102190609B1 (ko) | 2020-12-11 |
Family
ID=7067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0737A KR102190609B1 (ko) | 2018-10-30 | 2018-10-30 | 장대 봉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060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785B1 (ko) | 2006-02-14 | 2007-10-04 | 정지수 | 막대형 낚시 봉돌 |
KR101551131B1 (ko) | 2014-12-22 | 2015-09-07 | 원철호 | 부력조절 낚시추 |
KR200486041Y1 (ko) | 2016-02-04 | 2018-03-27 | 평일웅 | 낚시추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649A (ja) * | 1997-07-09 | 1999-01-26 | Mitsuru Seisakusho:Kk | 釣り用調整錘り |
KR100858909B1 (ko) * | 2007-01-17 | 2008-09-17 | 홍길표 | 낚시추 |
KR20120001084U (ko) * | 2010-08-06 | 2012-02-15 | 홍명표 | 공기를 이용한 부력조절 낚시 추 |
KR20180026309A (ko) * | 2016-09-02 | 2018-03-12 | 유성옥 | 부력 조절구[1] |
-
2018
- 2018-10-30 KR KR1020180130737A patent/KR1021906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785B1 (ko) | 2006-02-14 | 2007-10-04 | 정지수 | 막대형 낚시 봉돌 |
KR101551131B1 (ko) | 2014-12-22 | 2015-09-07 | 원철호 | 부력조절 낚시추 |
KR200486041Y1 (ko) | 2016-02-04 | 2018-03-27 | 평일웅 | 낚시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8559A (ko) | 2020-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amoilys et al. | Artisanal fishing gears of the Kenyan coast | |
KR101144267B1 (ko) |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 |
US7059080B2 (en) | Fishing lure system | |
US2931124A (en) | Fishing bobber | |
KR101053401B1 (ko) | 문어 연승낚시용 포획 어구 | |
KR102190609B1 (ko) | 장대 봉돌 | |
US9426971B2 (en) | Magnetic line and lure restraint for enhanced casting | |
US20100313463A1 (en) | Stinger Spinner Jig | |
US3190029A (en) | Fishing device | |
KR100760356B1 (ko) | 밑 걸림 방지 루어 | |
Leili | Migrations of the perch (Perca fluviatilis L.) in the coastal waters of western Estonia | |
KR20210133527A (ko) | 낚시바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채비 | |
KR20120053286A (ko) | 밑밥수납부가 구비된 낚시찌 | |
JPH04228018A (ja) | 船引き釣り具 | |
JP2012200255A (ja) | ルアー及び潜行板及び潜行ウキ | |
KR102186111B1 (ko) | 플러그 루어 | |
KR20210000977U (ko) | 두족류 낚시도구 | |
JP2012161299A (ja) | 釣り具 | |
CN107743928A (zh) | 一种捕捞网 | |
KR102609356B1 (ko) | 낚시용 수중찌 | |
KR102686885B1 (ko) | 바다낚시용 채비 | |
KR101265747B1 (ko) | 탄성체를 구성한 낚시장치 | |
KR102697400B1 (ko) | 선상 낚시용 탈출 봉돌 | |
KR200333513Y1 (ko) | 바다낚시용 구멍찌 | |
KR102181959B1 (ko) | 밑걸림 방지용 낚시추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