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977U - 두족류 낚시도구 - Google Patents

두족류 낚시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977U
KR20210000977U KR2020190004364U KR20190004364U KR20210000977U KR 20210000977 U KR20210000977 U KR 20210000977U KR 2020190004364 U KR2020190004364 U KR 2020190004364U KR 20190004364 U KR20190004364 U KR 20190004364U KR 20210000977 U KR20210000977 U KR 202100009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fishing
fishing tackle
cephalopod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현
박순덕
Original Assignee
이명현
박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현, 박순덕 filed Critical 이명현
Priority to KR2020190004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977U/ko
Publication of KR20210000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4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sp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낚시도구 본체 및 낚시도구 본체의 선단에서 낚시도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낚싯줄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낚싯줄 결합부를 포함하며, 낚싯줄 결합부를 통과하는 낚싯줄이 낚시도구 본체에 결합되는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도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두족류 낚시도구{AN FISHING GEAR FOR CAPTURING CEPHALOPOD}
본 고안은 두족류 낚시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꾸미, 꼴뚜기, 문어 등의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조미끼를 낚싯줄에 연결할 수 있는 두족류 낚시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족류의 일종인 갑오징어나 주꾸미, 꼴뚜기 및 문어 등은 바위틈 또는 소라껍데기 같은 어패류의 껍질 내에서 서식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상기 두족류의 습성을 이용하여 두족류를 포획하곤 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어패류의 껍질 등을 이용하여 포획하는 방법은 어려움이 있고, 많은 시간과 노력 및 장비 등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 낚시를 여가활동으로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일반인들이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두족류의 포획을 위해서 많은 바늘로 이루어진 훅이 하나 이상 구비된 낚시도구 즉, 인조미끼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조미끼를 '에기'라고도 하며, 주로 배낚시용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인조미끼의 일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1895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두족류용 인조미끼에 따르면, 생물 미끼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앞쪽 부분에 부착되는 무게추, 상기 본체의 뒤쪽 꼬리 부분에 설치되며 복수의 바늘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두족류용 인조미끼는 낚싯대에 연결된 낚시 원줄의 끝단에 납이나 철 및 텅스텐 등으로 형성되는 무게추인 봉돌을 연결한 상태에서, 봉돌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연결된 낚싯줄의 끝단에 인조미끼의 주둥이 부분을 연결하여 낚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조미끼를 이용하여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선상이나 바닷가에서 상기 인조미끼와 봉돌을 모두 물속으로 내린 상태에서 낚싯대를 상하로 움직이거나, 적당한 고패질을 통해 인조미끼가 움직이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면, 대상어가 인조미끼를 작은 물고기나 새우로 착각하여 인조미끼를 감싸는 순간 챔질을 하여 대상어가 인조미끼의 훅을 이루는 바늘에 찍혀 포획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조미끼를 이용하여 낚시를 할 경우, 도 1과 같이 인조미끼(10)가 낚싯줄(20)에 단순히 연결된 상태이므로, 인조미끼가 하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자세를 취하게 된다. 즉, 인조미끼의 꼬리 부분이 낚싯줄에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인조미끼의 자세가 낚싯줄에 인접하여 대략 나란한 상태가 되면, 대상어를 효과적으로 낚지 못할 뿐만 아니라, 대상어가 낚싯줄에 간섭되어 인조미끼에 효과적으로 올라타지 못하거나, 인조미끼의 꼬리 부분에 연결된 훅의 바늘에 효과적으로 걸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189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인조미끼의 꼬리 부분이 낚싯줄에 대해서 최대한 멀리 이격된 자세를 취하도록 인조미끼를 낚싯줄에 연결하는 두족류 낚시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두족류 낚시도구는,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낚시도구 본체; 및 상기 낚시도구 본체의 선단에서 상기 낚시도구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낚싯줄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낚싯줄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낚싯줄 결합부를 통과하는 낚싯줄이 상기 낚시도구 본체에 결합되는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인조미끼를 낚싯줄에 대해 대략 90도 각도에 근접한 자세를 취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낚시도구 본체는,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인조미기의 머리 부분이 끼워져 수용되는 미끼 수용부; 및 상기 미끼 수용부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고리가 통과하도록 상기 낚싯줄 결합부와 연통되는 통과공을 가지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이 끼워지도록 용이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끼 수용부는 상기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이 씌워진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을 갖도록 상기 인조미끼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인조미끼가 낚싯줄에 대해 대략 90도 각도 내외의 자세에서 조류에 따라 소정 각도로 왕복하여 움직이도록 연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끼 수용부는, 상기 인조미끼가 끼워지는 입구부터 상기 캡부까지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미끼 수용부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조류에 대한 저항을 줄이면서 인조미끼를 유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끼 수용부에는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추가적인 인조미끼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싯줄 결합부는, 관 형상을 가지며, 중앙 부분에 상기 낚시도구 본체에 결합되는 인조미끼의 연결고리가 노출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본 고안의 낚시도구를 이용하여 인조미끼와 낚싯줄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두족류 낚시도구에 따르면, 인조미끼를 낚싯줄에 대해 대략 90도 각도 내외의 수평 자세를 유지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조미끼가 실제 미끼처럼 조류의 흐름에 따라 대략 수평 자세로 움직이도록 가이드 하여 두족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포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조미끼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도구를 인조미끼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상태에서의 두족류 낚시도구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원 고안의 두족류 낚시도구를 인조미끼에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두족류 낚시도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두족류 낚시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두족류 낚시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두족류 낚시도구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두족류 낚시도구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도구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도구(100)는, 낚시도구 본체(110)와, 낚시도구 본체(11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낚싯줄 결합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낚시도구 본체(110)는 인조미끼(10)의 머리 부분을 감싸서 수용할 수 있도록 일단의 개방된 입구로부터 원통형상을 가지는 미끼 수용부(111)와, 미끼 수용부(111)의 타단에 막힌 구조로서 인조미끼(10)의 연결고리(11)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113a)을 가지는 캡부(113)를 가진다.
상기 미끼 수용부(111)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입구부터 타단의 캡부(113)까지 점진적으로 내경이 줄어드는 소위 절두원추 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미끼 수용부(111)의 내경은 인조미끼(10)의 머리 부부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미끼 수용부(111)의 내부에 삽입된 인조미끼(10)와 미끼 수용부(111) 사이에 일정한 유격이 확보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인조미끼(10)가 도 2와 같이 미끼 수용부(11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낚싯줄(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조류의 흐름에 따라서 상하좌우로 일정 거리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두류의 포획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끼 수용부(111)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의 절개부(111a)가 형성되어, 미끼 수용부(111)에 작용하는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이 절개부(111a)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조미끼(10)의 두께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절개부(111a)는 상기 낚싯줄 결합부(120)의 길이 방향 즉, 낚싯줄 결합부(120)에 연결되는 낚싯줄(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인조미끼(10)가 미끼 수용부(11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절개부(111a)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끼 수용부(111)의 내벽에 접촉되어 일정한 유격을 유지하면서 움직이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미끼 수용부(111)에는 복수의 연결공(111b)이 절개부들(111a)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미기 수용부(111)에 연결공(111b)을 형성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인조미끼를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낚싯줄 결합부(120)는 미끼 수용부(111)의 캡부(113)의 외측에 결합되며, 낚싯줄(20)이 통과하도록 결합되는 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낚싯줄 결합부(12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중앙 부분에는 절개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1)를 통해 캡부(113)의 통과홀(113a)을 통과한 인조미끼(10)의 연결고리(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낚싯줄 결합부(120)를 통과시킨 낚싯줄(20)을 절개부(121)로 돌출된 인조미끼(10)의 연결고리(11)와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낚싯줄 결합부(120)는 미끼 수용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도구(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미끼(10)의 머리 부분을 미끼 수용부(111)에 끼워서, 캡부(113)의 통과홀(113a)로 연결고리(11)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줄 결합부(120)로 낚싯줄(20)을 통과시키되, 절개부(121)로 돌출되어 노출된 연결고리(11)에 낚싯줄(20)을 연결한다.
이처럼 두족류 낚시도구(100)를 사용하여 인조미끼(10)를 낚싯줄(20)에 연결한 상태에서 인조미끼(10)를 사용하여 낚시를 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미끼(10)가 두족류 낚시도구(100)에 지지되어 처지지 않고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낚싯줄 결합부(120)에 낚싯줄(20)이 상하로 통과하여 연결된 상태이고, 낚싯줄(20)의 하단에는 봉돌(미도시)이 연결되고 상부에는 낚싯대(미도시)가 연결되므로, 낚싯줄(20)은 대략 수직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낚싯줄(20)에 연결된 두족류 낚시도구(100)도 낚싯줄(20)에 대해서 대략 90도 내외의 자세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그 두족류 낚시도구(10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인조미끼(10)도 낚싯줄(20)에 대해서 대략 90도 내외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낚싯줄(2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인조미끼(10)의 자세가 조류를 타고 헤엄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두족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낚시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조미끼(10)가 낚시도구 본체(110)에 끼워져 결합되되 소정 간격 유격을 갖는 상태로 결합되므로, 인조미끼(10)는 소정 각도로 조류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두족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인조미끼 20..낚싯줄
100...두족류 낚시도구 110..낚시도구 본체
111..미끼 수용부 113,,캡부
120..낚싯줄 결합부

Claims (7)

  1.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낚시도구 본체; 및
    상기 낚시도구 본체의 선단에서 상기 낚시도구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낚싯줄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낚싯줄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낚싯줄 결합부를 통과하는 낚싯줄이 상기 낚시도구 본체에 결합되는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도구 본체는,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인조미기의 머리 부분이 끼워져 수용되는 미끼 수용부; 및
    상기 미끼 수용부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고리가 통과하도록 상기 낚싯줄 결합부와 연통되는 통과공을 가지는 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수용부는 상기 인조미끼의 머리 부분이 씌워진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을 갖도록 상기 인조미끼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수용부는, 상기 인조미끼가 끼워지는 입구부터 상기 캡부까지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수용부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도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수용부에는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도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결합부는, 관 형상을 가지며, 중앙 부분에 상기 낚시도구 본체에 결합되는 인조미끼의 연결고리가 노출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도구.
KR2020190004364U 2019-10-29 2019-10-29 두족류 낚시도구 KR202100009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64U KR20210000977U (ko) 2019-10-29 2019-10-29 두족류 낚시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364U KR20210000977U (ko) 2019-10-29 2019-10-29 두족류 낚시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77U true KR20210000977U (ko) 2021-05-10

Family

ID=7591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364U KR20210000977U (ko) 2019-10-29 2019-10-29 두족류 낚시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9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23U (ko) 2022-03-29 2023-10-06 김화규 한치 낚시채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895A (ko) 2012-01-18 2012-02-08 성민진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895A (ko) 2012-01-18 2012-02-08 성민진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23U (ko) 2022-03-29 2023-10-06 김화규 한치 낚시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4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edless fish lure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US7415793B1 (en) Fishing rig
US20140059916A1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US20190045764A1 (en) Fishing lure having a curved plate
US10477845B1 (en) Snag-resistant fishing lure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KR102584278B1 (ko) 두족류 낚시용 에기
CA2390333A1 (en) Plastic worm shroud
KR20210000977U (ko) 두족류 낚시도구
KR200381884Y1 (ko) 호래기 낚시바늘
JP2014007992A (ja) 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アシストフックを取り付けた釣り用ルアー
US2756535A (en) Fishing lure
US20150033612A1 (en) Swim Bait
KR102286826B1 (ko) 루어낚시용 베이트
US3535814A (en) Fish lure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US20160205908A1 (en) Bladed Jig Head
JP2010022298A (ja) ルアー
KR20230001923U (ko) 한치 낚시채비
KR102486227B1 (ko)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KR200490888Y1 (ko) 공기 주머니가 구비되는 루어낚시 채비
US20090019760A1 (en) Hollow fishing lure with internal swimming mechanism
KR102175432B1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