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278B1 - 두족류 낚시용 에기 - Google Patents

두족류 낚시용 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278B1
KR102584278B1 KR1020200109773A KR20200109773A KR102584278B1 KR 102584278 B1 KR102584278 B1 KR 102584278B1 KR 1020200109773 A KR1020200109773 A KR 1020200109773A KR 20200109773 A KR20200109773 A KR 20200109773A KR 102584278 B1 KR102584278 B1 KR 102584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ephalopod
fishing line
tubular member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589A (ko
Inventor
이석종
Original Assignee
이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종 filed Critical 이석종
Priority to KR1020200109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2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족류 낚시의 미끼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닷물 속에서 낚싯줄에 매달려 수직으로 서있는 에기를 개발 하여
두족류가 먹이로 인식하여 감싸도록 하여 포획 할 수 있게 하였고
도 4의 그림과 같이 사용할 경우 합사줄(1)을 연결 고리 부재(200)에 연결하여 에기 몸통에 있는 관형 부재(300)를 통과 하는 방식으로
핀 도래를 사용하지 않아 낚시채비가 간단해지며 신속히 체결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성과
관형 부재(300)는 금속 파이프로 되어 있어 낚싯바늘부(500)를 금속 파이프 위에 더욱 단단히 고정 할 수 있어 낚싯바늘부와 에기 몸체의 꼬리 부분이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에기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족류 낚시용 에기{Artificial bait for fishing cephalopod}
본 발명은 루어낚시 미끼인 수평에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물고기를 잡는 행위이다. 이러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낚싯대에 낚싯줄, 도래, 에기, 봉돌 등을 순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통상 물에 잠기는 낚싯줄에는 에기 및 중량체로 이루어진 봉돌이 물속에서 가라앉을 수 있도록 연결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낚시 방법은 루어낚시의 한 종류인 에기를 이용하여 두족류(두족류(頭足類)는 척추가 없고 몸이 연하며 체절이 없는 연체동물 가운데 다리(팔)가 머리에 달려있는 동물 종류를 말한다. 여기에서는 오징어, 갑오징어, 쭈꾸미, 문어, 한치 등을 말한다)를 포획하는 낚시이다.
삭제
이러한 루어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미끼인 에기는 필수 낚시 용품 중에 하나이다.
특히 에기는 두족류 들이 먹이로 인식 할 수 있는 미끼의 역할을 한다.
에기는 일반적으로 새우와 같이 생긴 몸통과 몸통 아래쪽에 봉돌(싱커)이 있고 머리 부분과 꼬리부분에 연결 링과 낚싯바늘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기의 몸통 양쪽으로 지느러미와 같은 깃털이 구성될 수 있다.
에기를 이용한 낚시 방법은 에기를 연결한 봉돌을 수중의 바닥에 안착시키고 각종 액션을 주어 살아 있는 미끼로 인식하게 하여 두족류를 포획하는 방식의 낚시이다.
이러한 새우형상의 에기는 두족류가 먹이인 새우로 인식하고 에기를 감싸거나, 또는 두족류의 입질에 의해 낚시꾼이 챔질 할 경우
삭제
두족류를 좀 더 쉽게 포획 할 수 있는 미끼 역할을 하는 에기 개발의 필요성이 날로 증대하고 있다.
삭제
등록번호 10-2137250 "두족류 폭획용 에기"
본 발명의 기술과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두족류가 먹이로 인식 할 수 있는 다양한 에기모양 중 수중에서 수직으로 서 있는 새우모양의 에기 형상으로 각종 액션으로 두족류를 유인 하여
에기를 감쌀 경우 낚시꾼이 낚싯대를 챔질 이라는 행위를 통하여 두족류를 포획 할 수 있는 확률을 높여 낚시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두족류 낚시용 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에기(A10)는, 낚싯줄(1)에 연결되는 두족류 낚시용 에기로, 에기 몸체(100); 상기 에기 몸체의 후단부에 위치되는 낚싯바늘부(500); 및 상기 에기 몸체에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낚싯줄(1)을 관통시키는 낚싯줄 관통부(E30);를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 관통부(E30)는 관형 부재(300)이고, 상기 관형 부재(300)는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관형 부재(300)는, 상기 에기 몸체(100)의 후단부에서 외부로 더 돌출되고, 상기 낚싯바늘부(500)는, 상기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관형 부재(300)의 상기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 견고히 고정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두족류 낚시용 에기(A10)는, 상기 에기 몸체(100)의 선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낚싯줄(1)에 연결되는 낚싯줄 연결 고리(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 연결 고리(200)는, 상기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관형 부재(300)의 선단부에 견고히 고정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에기 몸체(100)는 새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에기(A1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에기(A10)는, 상기 낚싯줄(1)이 상기 낚싯줄 관통부(E30)를 관통한 상태로 수중에 놓일 경우 상기 낚싯줄(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놓일 수 있다.
상기 관형 부재(300)는, 상기 낚싯줄(1)이 관통될 수 있는 정도의 내부 너비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에기(A10)는, 수중에서 에기 몸체(100)가 낚싯줄(1)에 관통된 상태로 서 있을 수 있어 낚시꾼들의 각종 액션과 고패질(바닥에 내린 채비를 올렸다 내렸다 하는 액션)에 의하여 상하로 액션을 주면서 살아 있는 새우의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에기 채비 방식은 낚싯줄에 핀 도로 등으르 연결 하여 에기를 수평으로 채결하는 방식 이고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는 핀 도래 등이 필요 없이 낚싯줄 연결 고리(200)에 낚시줄을 연결 하여 낚싯줄을 관형 부재(300)를 통해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의 머리 부분과 꼬리부분의 낚싯바늘부 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하여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가 낚싯줄에 붙어 있는 형상을 할 수 있으며, 두족류 들이의 입질이 있는 경우 다른 에기와 비교하여 더욱 민감하게 입질을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왜냐 하면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와 낚싯줄이 한 몸이 되어 움직이므로 인해 두족류의 입질을 파악 하는데 다른 에기들 보다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관형 부재(300)는 금속 파이프로 되어 있어 낚싯바늘부(500)를 금속 파이프 위에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어
낚싯바늘부(500)과 에기 몸체(100)의 꼬리 부분이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어 에기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 될 수 있다.
두족류 루어 낚시는 그날의 물 때, 조류의 세기, 바람, 파고 등 다양한 주변 환경과 두족류들의 먹이활동에 영향을 받는 생활낚시이다.
그날의 바다상황과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에기를 선택 하여 낚시를 하므로 두족류 포획에 용이하며, 보다 재미있고 흥미로운 낚시를 할 수 있다.
현재 수평에기, 납작에기 등 다양한 에기가 생산되고 그 것들을 가지고 낚시를 하고 있지만 좀 더 나은 조과(낚시로 고기를 낚은 성과)를 위해,
수중에서 서 있는 본 발명의 에기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이를 개발 하게 되었다.
또한 낚싯줄과 일체형식의 본 발명의 에기로 두족류의 예민한 입질 파악을 할 수 있고
도 5에서 살펴보면 두족류가 본 발명의 에기의 몸통부분(에기 몸체)(100)을 다리로 감싼 상태에서 낚시꾼이 챔질 시 두족류가 도망가기 위해서 에기 몸체(100)를 놓아버리는 경우에도 바로 밑에 설치한 수평에기(600)에 의하여 두족류를 포획 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인 방식이다.
그 이유는 도 5에서 본 발명의 에기의 낚싯바늘(500)은 낚싯줄과 일체형으로 떨어진 거리가 0cm 이고,
본 발명의 에기(A10)보다 아래에 위치한 수평에기(B10)의 낚싯바늘(700)은 낚싯줄과 떨어져 있는 거리가 약 13cm정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에기(A10)에 입질이 있어 챔질 할 경우 두족류가 도망가기 위해서 다리를 펼치는 순간 도 5에서 아래에 위치한 수평에기(B10)의 꼬리부분의 낚싯바늘(700)에 걸려 폭획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도 4의 그림과 같이 사용할 경우 합사줄(낚싯줄)(1)을 낚싯줄 연결 고리(200)에 연결하여 에기 몸체(100)에 있는 관형 부재(300)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핀 도래를 사용하지 않아 채비가 간단하고 신속히 채결 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성과 낚싯줄(1)과 일체형식의 본 발명의 에기(A10)로 두족류의 예민한 입질을 파악을 할 수 있다.
관형 부재(300)는 금속 파이프로 되어 있어 낚싯바늘부(500)를 금속 파이프 위에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어 낚싯바늘부(500)과 에기 몸체(100)의 꼬리 부분이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에기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를 나타낸 좌우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에서 관형 부재와 이에 고정된 낚싯줄 연결 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두족률 낚시용 에기와 함께 수평에기가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를 나타낸 좌우 측면도이며,
삭제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에서 관형 부재와 이에 고정된 낚싯줄 연결 고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여기서 관형 부재는 본 발명의 에기를 수중에서 서 있게 할 수 있는 핵심 부재이다.
관형 부재(300)는 금속 파이프로 되어 있어 낚싯바늘부(500)를 금속 파이프 위에 더욱 단단히 고정 할 수 있어 낚싯바늘부(500)과 에기 몸체(100)의 꼬리 부분이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에기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 될 수 있다.
도 4은 도 1의 두족류 낚시용 에기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에기와 수평에기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두족류를 포획하는 시너지 효과 [synergy effect]를 기대 할 수 있는 방법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에기(A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1)에 매달리는 에기로 낚싯줄 연결 고리(200)에 낚시줄(1)을 연결하여 낚싯줄(1)을 관형 부재(300)를 통해 에기 몸체(100)의 머리 부분(선단부)과 꼬리부분(후단부)의 낚싯바늘부(500) 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하여
삭제
본 발명의 에기(A10)가 낚싯줄(1)에 붙어 있는 형상을 할 수 있으며(도 4 참조), 두족류들의 입질이 있는 경우 다른 에기와 비교하여 더욱 민감하게 입질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낚싯줄(1)에 낚싯줄 연결 고리(200)를 고정하고 다시 낚싯줄(1)을 관형 부재(300)에 관통시킨 다음 낚싯줄 하단부위에 봉돌을 연결하는 방식이고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방식에 기존의 수평에게(B10)를 더 달아 사용되는 방식으로 낚시꾼이 챔질 시 두족류가 도망가기 위해 본 발명의 에기(A10)를 놓아버리는 경우에도 바로 밑에 설치한 수평에기(B10)에 의하여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인 방식입니다.
삭제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삭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삭제
1: 낚싯줄
A10: 두족류 낚시용 에기
100: 에기 몸체
E30: 낚싯줄 관통부
200: 낚싯줄 연결 고리
300: 관형 부재
400: 깃털
500: 낚싯바늘부
B10: 기존의 수평에기
600: 수평에기의 몸체
700: 수평에기의 낚싯바늘부

Claims (3)

  1. 낚싯줄에 연결되는 두족류 낚시용 에기로,
    에기 몸체;
    상기 에기 몸체의 후단부에 위치되는 낚싯바늘부; 및
    상기 에기 몸체에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낚싯줄을 관통시키는 낚싯줄 관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 관통부는,
    관형 부재이고,
    상기 관형 부재는,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관형 부재는,
    상기 에기 몸체의 후단부에서 외부로 더 돌출되고,
    상기 낚싯바늘부는,
    상기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두족류 낚시용 에기는,
    상기 에기 몸체의 선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낚싯줄에 연결되는 낚싯줄 연결 고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 연결 고리는,
    상기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기 관형 부재의 선단부에 견고히 고정되는
    두족류 낚시용 에기.

  2. 삭제
  3. 삭제
KR1020200109773A 2020-08-30 2020-08-30 두족류 낚시용 에기 KR102584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773A KR102584278B1 (ko) 2020-08-30 2020-08-30 두족류 낚시용 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773A KR102584278B1 (ko) 2020-08-30 2020-08-30 두족류 낚시용 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589A KR20220028589A (ko) 2022-03-08
KR102584278B1 true KR102584278B1 (ko) 2023-09-27

Family

ID=8081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773A KR102584278B1 (ko) 2020-08-30 2020-08-30 두족류 낚시용 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377A (ko) 2022-09-02 2024-03-12 강병채 멘톨 성분을 지닌 본체 교환 가능한 에기
KR20240066036A (ko) 2022-11-04 2024-05-14 지비굿보이 주식회사 낚시 에기용 재킷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080B2 (ja) * 1992-02-25 2000-12-04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2010178725A (ja) 2009-02-05 2010-08-19 Kubo Suido Kogyo Kk 弾性体付きエギおよび弾性体保持具
KR102137250B1 (ko) 2019-12-31 2020-07-23 정덕연 두족류 포획용 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5127A (en) * 1981-01-09 1982-07-17 Kazuyoshi Fukushima Cattlefish fishing hook
JP3115080U (ja) * 2005-07-25 2005-11-04 株式会社ヤマシタ 烏賊釣り用擬似餌
KR20160045270A (ko) * 2014-10-17 2016-04-27 박종민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KR101875827B1 (ko) * 2016-08-25 2018-07-06 정경희 낚시용 인조미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080B2 (ja) * 1992-02-25 2000-12-04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2010178725A (ja) 2009-02-05 2010-08-19 Kubo Suido Kogyo Kk 弾性体付きエギおよび弾性体保持具
KR102137250B1 (ko) 2019-12-31 2020-07-23 정덕연 두족류 포획용 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589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250B1 (ko) 두족류 포획용 에기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KR102584278B1 (ko) 두족류 낚시용 에기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US20100083560A1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US2011009414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KR101353056B1 (ko)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KR102486227B1 (ko)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US4738048A (en) Fish hooking needle
CN201491617U (zh) 龙虾垂钓网
US3680246A (en) Fishing rig
KR102559783B1 (ko)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KR200496858Y1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CN101642083B (zh) 组合式龙虾垂钓装置的制作方法
JP7145260B2 (ja) 釣りの仕掛け
CN213214974U (zh) 一种新型活扣式螃蟹自动垂钓工具
KR20150016569A (ko) 낚시 장치
OKWUOSA et al. A Review on Fishing Gear Technology of The World and Its Application
KR20230075609A (ko) 낚시용 인공미끼에 장착 가능한 생미끼 고정용 프레임
Lasater et al. Comparative hooking mortality between treble and single hooks on silver salmon
KR20230000870U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