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250B1 - 두족류 포획용 에기 - Google Patents
두족류 포획용 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7250B1 KR102137250B1 KR1020190179398A KR20190179398A KR102137250B1 KR 102137250 B1 KR102137250 B1 KR 102137250B1 KR 1020190179398 A KR1020190179398 A KR 1020190179398A KR 20190179398 A KR20190179398 A KR 20190179398A KR 102137250 B1 KR102137250 B1 KR 102137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ephalopod
- fishing
- main
- cephalopods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2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643 Phytolacca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074 Phytolacca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쭈꾸미, 낙지 등의 두족류가 먹이로 인식하여 감싸도록 하면서 낚싯대를 당겼을 때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걸리도록 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포획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해 머리부(110)와 꼬리부(130)를 연결하는 몸체부(120)의 배부분(122)이 볼록하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머리부(110) 선단에 구성되어 낚싯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0)와,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에 바늘귀(310)가 설치되면서 상기 바늘귀(310)로부터 연장된 허리굽이(320)에서 만곡되어 형성된 턱굽이(330)의 끝단에 포인트(340)가 형성된 메인낚싯바늘(300)과,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 끝단에 구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낚싯바늘(400)를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은, 품(360)이 적어도 상기 본체(100)의 배부분(12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측면상 상기 턱굽이(330)가 상기 배부분(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허리굽이(320)가 상기 꼬리부(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쌀 때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을 상기 본체(100)의 일부로 인식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포인트(340)와 상기 몸체부(120)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본체(100)를 감싼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포인트(340)에 두족류가 걸림된다.
본 발명은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해 머리부(110)와 꼬리부(130)를 연결하는 몸체부(120)의 배부분(122)이 볼록하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머리부(110) 선단에 구성되어 낚싯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0)와,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에 바늘귀(310)가 설치되면서 상기 바늘귀(310)로부터 연장된 허리굽이(320)에서 만곡되어 형성된 턱굽이(330)의 끝단에 포인트(340)가 형성된 메인낚싯바늘(300)과,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 끝단에 구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낚싯바늘(400)를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은, 품(360)이 적어도 상기 본체(100)의 배부분(12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측면상 상기 턱굽이(330)가 상기 배부분(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허리굽이(320)가 상기 꼬리부(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쌀 때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을 상기 본체(100)의 일부로 인식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포인트(340)와 상기 몸체부(120)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본체(100)를 감싼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포인트(340)에 두족류가 걸림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쭈꾸미, 낙지 등의 두족류가 먹이로 인식하여 감싸도록 하면서 낚싯대를 당겼을 때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걸리도록 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포획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낚싯바늘에 미끼를 꿰어 물고기를 낚는 것을 말하며, 낚으려는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낚싯바늘이나 낚싯대와 같은 낚시 용구 및 낚시 방법이 각각 다르다.
낚시 방법은 물고기의 입질을 간파하게 해 주는 찌를 사용하는 낚시 방법인 찌낚시와, 마치 팔목을 짚어 맥박을 간파해 내듯, 어신 감지를 찌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손으로 확인하는 낚시 방법인 맥낚시와, 채비에 무거운 봉돌을 부착하고 릴낚싯대를 이용해 채비를 팽팽하게 던져 바닥에 가라앉히는 낚시 방법인 던질낚시와, 채비의 맨 아래에 무거운 봉돌을 달고 원줄을 길게 늘어뜨리되, 봉돌과 원줄 사이에 대부분 여러 개의 바늘을 단 가짓줄을 부착하는 낚시 방법인 선상 외줄낚시와,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 모양을 흉내 내어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만든 가짜미끼인 루어(lure)를 이용하는 낚시 방법인 루어낚시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낚시 방법 중에서 루어낚시는 루어의 한 종류인 에기를 이용하여 쭈꾸미, 낙지,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를 낚는다.
이러한 에기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3056호(공개일자: 2018년 10월 24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된 에기 본체와, 상기 에기 본체에 마련되어 잡힌 두족류의 도망을 방지하는 후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조명부 및 상기 에기 본체에 결합 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에기 본체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에기는 일반적으로 새우나 물고기와 같이 생긴 몸통과, 몸통 아래쪽에 납봉돌(싱커)이 있고,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에 연결링과 훅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기의 몸통 양쪽으로 지느러미와 같은 깃털이 구성될 수 있다.
에기를 이용한 낚시 방법은 에기를 연결한 낚싯대를 수중에서 순간적으로 크게 챔질하듯이 올려쳐 에기가 뛰어오르게 한 후 다시 가라앉히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쭈꾸미, 낙지,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를 유인하고, 그 후 두족류가 에기를 감쌀 경우에 무게를 감지하여 낚싯대를 당겨 낚는다.
그러나, 두족류는 주변의 환경을 잘 감지하고 회피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에기를 먹이라 인식하지 못하면 에기를 놓아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두족류가 에기의 머리 내지 몸통부분을 다리로 감싼 상태로 낚싯대를 당기는 과정에서 두족류이 에기를 먹이라 인식하지 않을 경우에 두족류의 다리를 펼치면서 도망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족류가 다리를 펼쳐 에기를 놓기 때문에 에기의 꼬리부분의 훅에도 걸림되지 않아 잡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두족류를 낚시할 때 두족류가 먹이로 인식되도록 하면서 두족류의 도망을 방지할 수 있는 에기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쭈꾸미, 낙지,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가 다리를 이용하여 감싸더라도 먹이로 인식하도록 하면서 낚싯대를 당겼을 때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걸리도록 하여 두족류가 다리를 펼쳐 회피하더라도 도망을 방지할 수 있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낚싯바늘에 끼워진 두족류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는,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해 머리부(110)와 꼬리부(130)를 연결하는 몸체부(120)의 배부분(122)이 볼록하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머리부(110) 선단에 구성되어 낚싯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0)와,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에 바늘귀(310)가 설치되면서 상기 바늘귀(310)로부터 연장된 허리굽이(320)에서 만곡되어 형성된 턱굽이(330)의 끝단에 포인트(340)가 형성된 메인낚싯바늘(300)과,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 끝단에 구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낚싯바늘(400)를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은, 품(360)이 적어도 상기 본체(100)의 배부분(12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측면상 상기 턱굽이(330)가 상기 배부분(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허리굽이(320)가 상기 꼬리부(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쌀 때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을 상기 본체(100)의 일부로 인식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포인트(340)와 상기 몸체부(120)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본체(100)를 감싼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포인트(340)에 두족류가 걸림된다.
삭제
또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에는, 상기 포인트(340)와 인접하면서 상기 턱굽이(33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인트(340)에 걸림된 두족류가 이중으로 걸림되도록 하기 위한 미늘(3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쭈꾸미, 낙지,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가 먹이를 감싸는 습성을 이용하여 두족류가 다리를 이용하여 감싸더라도 먹이로 인식하도록 하면서 낚싯대를 당겼을 때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걸리도록 함으로 인해 낚싯대를 당기는 과정에서 두족류가 주변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낚싯바늘에 찔려 다리를 펼쳐 회피하더라도 도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두족류의 포획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싯바늘에 끼워진 두족류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향상시켜 낚싯바늘이 약하게 걸리거나 잘못 박히는 확률을 저하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메인낚싯바늘,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메인낚싯바늘,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메인낚싯바늘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두족류 포획용 에기는,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해 물고기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머리부(110)와 꼬리부(130)를 연결하는 몸체부(120)의 배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머리부(110) 선단에 구성되어 낚싯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0)와, 상기 본체(100)의 몸체부(120) 중 배부분과 인접한 꼬리부(130)에 설치되어 두족류가 걸림되도록 하기 위한 메인낚싯바늘(300)과,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 끝단에 구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낚싯바늘(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두족류를 유인할 수 있도록 두족류의 먹이가 되는 멸치 등과 같은 물고기와 유사하게 머리부(110)와 몸체부(120)와 꼬리부(130)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상기 몸체부(120)의 일측에 상기 머리부(110)가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120)의 타측에 상기 꼬리부(130)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부(110)와 상기 꼬리부(130)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물고기와 유사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머리부(110)와 상기 몸체부(120) 사이에는 지느러미와 같은 깃털(500)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가 물에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6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폭방향 일측인 등부분(121)과, 상기 본체(100)의 폭방향 타측인 배부분(122)으로 나뉠 수 있으며, 상기 배부분(122)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100)의 폭방향 일측은 상기 머리부(110)와 상기 몸체부(120)와 상기 꼬리부(130)가 거의 수평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본체(100)의 폭방향 타측은 상기 몸체부(120)의 일측에서 상기 머리부(11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 완만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20)의 타측에서 상기 꼬리부(130) 방향으로 갈수록 급격히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물의 흐름에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머리부(110)에는 상기 본체(100)를 낚싯대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20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고리(200)는, 상기 본체(100)를 낚싯대와 연결하기 위해 낚싯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고리(200)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200)는 상기 본체(100)의 머리부(110)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를 유동시키기 위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110)의 내측에 힌지축(미도시)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에는 상기 몸체부(120)를 감싼 두족류가 낚싯대를 당길 때 걸림되기 위한 메인낚싯바늘(3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에 결합되는 바늘귀(310)와, 상기 바늘귀(310)에서 연장되면서 만곡된 허리굽이(320)와, 상기 허리굽이(320)에서 만곡되면서 연장된 턱굽이(330)와, 상기 턱굽이(330)의 끝단에 두족류가 걸림되기 위한 포인트(3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품(360)은 상기 몸체부(120) 중 배부분(122)의 폭과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품(360)이 상기 배부분(122)의 폭보다 작을 경우에는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걸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걸리더라도 쉽게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품(360)이 상기 배부분(122)의 폭보다 클 경우에는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쌀 때 이질감을 느껴 먹이로 인식하지 않거나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포인트(340)에 의해 회피하게 되어 포획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에는 상기 턱굽이(330)의 내측에 상기 포인트(340)와 인접한 미늘(3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늘(35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포인트(340)에 걸린 두족류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도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메인낚싯바늘(300)은 상기 본체(100)의 몸체부(120) 중 배부분(122)과 인접한 꼬리부(130)에 설치된다. 즉,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상기 턱굽이(330)가 측면상 상기 배부분(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허리굽이(320)가 상기 꼬리부(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바늘귀(310)가 상기 본체(100)의 배부분(122)과 인접한 꼬리부(130)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턱굽이(330)가 상기 본체(100)의 배부분(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 인해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이 상기 본체(100)의 배부분(122)보다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쌀 경우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을 상기 본체(100)의 일부로 착각하도록 하여 먹이로 인식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포인트(340)가 상기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향하게 설치되지 않아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싸더라도 회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포인트(340)와 상기 본체(100)의 몸체부(120)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됨으로 인해 낚싯대를 당기는 힘에 의해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상기 공간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포인트(340)에 걸림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낚싯바늘(400)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 끝단에 구성된다.
상기 보조낚싯바늘(400)을 구성함으로써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싼 후 미끄러지더라도 걸림될 수 있도록 하고 낚싯대를 당길 때 두족류를 포획할 확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꼬리부(130)에 설치된 보조낚싯바늘(400)에 다른 방사상으로 배열된 보조낚싯바늘(40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꼬리부(130)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보조낚싯바늘(400)을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두족류가 걸리게 될 확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두족류 포획용 에기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200)에 낚싯줄을 결속하여 낚싯대와 연결시킨 후 바닷속에 던져 넣는다.
상기 본체(100)가 물의 흐름에 따라 유동하게 되면서 두족류를 유인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싸게 되면, 사용자가 낚싯대를 당겨 상기 본체(100)를 감싼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에 걸리게 되어 상기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에 설치된 메인낚싯바늘(300)이 상기 몸체부(120)의 배부분(122)보다 튀어나가지 않고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의 턱굽이(330)가 상기 배부분(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완만한 곡선처럼 되어 있기 때문에 두족류가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이 설치된 본체(100)를 감싸더라도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먹이로 인식하게 되어 상기 본체(100)를 놓아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두족류 포획용 에기는 쭈꾸미, 낙지,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가 먹이를 감싸는 습성을 이용하여 두족류가 다리를 이용하여 감싸더라도 먹이로 인식하도록 하면서 낚싯대를 당겼을 때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걸리도록 함으로 인해 낚싯대를 당기는 과정에서 두족류가 주변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낚싯바늘에 찔려 다리를 펼쳐 회피하더라도 도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두족류의 포획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싯바늘에 끼워진 두족류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향상시켜 낚싯바늘이 약하게 걸리거나 잘못 박히는 확률을 저하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본체 110: 머리부
120: 몸체부 121: 등부분
122: 배부분 130: 꼬리부
200: 연결고리 300: 메인낚싯바늘
310: 바늘귀 320: 허리굽이
330: 턱굽이 340: 포인트
350: 미늘 360: 품
400: 보조낚싯바늘 500: 깃털
600: 추
120: 몸체부 121: 등부분
122: 배부분 130: 꼬리부
200: 연결고리 300: 메인낚싯바늘
310: 바늘귀 320: 허리굽이
330: 턱굽이 340: 포인트
350: 미늘 360: 품
400: 보조낚싯바늘 500: 깃털
600: 추
Claims (3)
-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해 머리부(110)와 꼬리부(130)를 연결하는 몸체부(120)의 배부분(122)이 볼록하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머리부(110) 선단에 구성되어 낚싯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0)와,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에 바늘귀(310)가 설치되면서 상기 바늘귀(310)로부터 연장된 허리굽이(320)에서 만곡되어 형성된 턱굽이(330)의 끝단에 포인트(340)가 형성된 메인낚싯바늘(300)과, 상기 본체(100)의 꼬리부(130) 끝단에 구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낚싯바늘(400)를 포함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은, 품(360)이 적어도 상기 본체(100)의 배부분(12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측면상 상기 턱굽이(330)가 상기 배부분(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허리굽이(320)가 상기 꼬리부(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두족류가 상기 본체(100)를 감쌀 때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을 상기 본체(100)의 일부로 인식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포인트(340)와 상기 몸체부(120) 사이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본체(100)를 감싼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포인트(340)에 두족류가 걸림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낚싯바늘(300)에는, 상기 포인트(340)와 인접하면서 상기 턱굽이(33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인트(340)에 걸림된 두족류가 이중으로 걸림되도록 하기 위한 미늘(350)이 더 형성되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398A KR102137250B1 (ko) | 2019-12-31 | 2019-12-31 | 두족류 포획용 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398A KR102137250B1 (ko) | 2019-12-31 | 2019-12-31 | 두족류 포획용 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7250B1 true KR102137250B1 (ko) | 2020-07-23 |
Family
ID=7189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9398A KR102137250B1 (ko) | 2019-12-31 | 2019-12-31 | 두족류 포획용 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7250B1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746A (ko) | 2020-08-19 | 2022-02-28 | 김상호 |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
KR20220028589A (ko) | 2020-08-30 | 2022-03-08 | 이석종 | 수직에기 |
KR20220042074A (ko) | 2022-03-16 | 2022-04-04 | 김상윤 | 팁런용 마스크 싱커 |
KR20220077295A (ko) | 2020-12-01 | 2022-06-09 | 이기영 | 낚시용 led 에기 축광장치 |
KR20220111974A (ko) | 2021-02-03 | 2022-08-10 | 신승호 |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
KR20230000619A (ko) | 2021-06-25 | 2023-01-03 | 박공희 | 두족류 감지 진동 에기 장치 |
KR20230018922A (ko) | 2021-07-30 | 2023-02-07 | 박공희 | 태엽형 두족류 감지 에기 장치 |
JP2023114485A (ja) * | 2022-02-07 | 2023-08-18 | 博之 杉内 | エギ |
KR20240028719A (ko) | 2022-08-25 | 2024-03-05 | 심유정 | 두족류 낚시 효율성이 우수한 에깅낚시 채비 |
KR20240046971A (ko) | 2022-10-04 | 2024-04-12 | 주식회사 딤플피싱코리아 | 인조미끼 탈착 사용구조를 갖는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
KR20240050178A (ko) | 2022-10-11 | 2024-04-18 | 김안식 | 밑걸림 방지구조를 갖는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
KR20240072098A (ko) | 2022-11-16 | 2024-05-23 | 한병옥 |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낚시용 에기 |
KR20240131199A (ko) | 2023-02-23 | 2024-08-30 | 주식회사 딤플피싱코리아 | 가변 탈착 조립구조를 갖는 유동형 두족류 낚시채비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2062U (ja) * | 1994-12-06 | 1995-06-06 | 株式会社ヨーヅリ | イカ釣用擬似餌 |
JPH10262501A (ja) * | 1997-03-21 | 1998-10-06 | Shimano Inc | ルアー、及びルアー用ジグ |
JP2000217466A (ja) * | 1999-01-28 | 2000-08-08 | Kazuo Suzuki | 生き餌用逆孫針 |
JP2004337076A (ja) * | 2003-05-16 | 2004-12-02 | Lucky Craft:Kk | 針保持装置付きルアー |
JP2005237355A (ja) * | 2004-02-24 | 2005-09-08 | Akiyoshi Miyazawa | 出し入れ調節機能付き針収納型ルアー |
US9288970B1 (en) * | 2013-04-11 | 2016-03-22 | Steven William Washington | Baiter style body and fishing hook |
-
2019
- 2019-12-31 KR KR1020190179398A patent/KR1021372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2062U (ja) * | 1994-12-06 | 1995-06-06 | 株式会社ヨーヅリ | イカ釣用擬似餌 |
JPH10262501A (ja) * | 1997-03-21 | 1998-10-06 | Shimano Inc | ルアー、及びルアー用ジグ |
JP2000217466A (ja) * | 1999-01-28 | 2000-08-08 | Kazuo Suzuki | 生き餌用逆孫針 |
JP2004337076A (ja) * | 2003-05-16 | 2004-12-02 | Lucky Craft:Kk | 針保持装置付きルアー |
JP2005237355A (ja) * | 2004-02-24 | 2005-09-08 | Akiyoshi Miyazawa | 出し入れ調節機能付き針収納型ルアー |
US9288970B1 (en) * | 2013-04-11 | 2016-03-22 | Steven William Washington | Baiter style body and fishing hook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746A (ko) | 2020-08-19 | 2022-02-28 | 김상호 |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
KR20220028589A (ko) | 2020-08-30 | 2022-03-08 | 이석종 | 수직에기 |
KR102584278B1 (ko) | 2020-08-30 | 2023-09-27 | 이석종 | 두족류 낚시용 에기 |
KR20220077295A (ko) | 2020-12-01 | 2022-06-09 | 이기영 | 낚시용 led 에기 축광장치 |
KR20220111974A (ko) | 2021-02-03 | 2022-08-10 | 신승호 |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
KR20230000619A (ko) | 2021-06-25 | 2023-01-03 | 박공희 | 두족류 감지 진동 에기 장치 |
KR20230018922A (ko) | 2021-07-30 | 2023-02-07 | 박공희 | 태엽형 두족류 감지 에기 장치 |
JP2023114485A (ja) * | 2022-02-07 | 2023-08-18 | 博之 杉内 | エギ |
KR20220042074A (ko) | 2022-03-16 | 2022-04-04 | 김상윤 | 팁런용 마스크 싱커 |
KR20240028719A (ko) | 2022-08-25 | 2024-03-05 | 심유정 | 두족류 낚시 효율성이 우수한 에깅낚시 채비 |
KR20240046971A (ko) | 2022-10-04 | 2024-04-12 | 주식회사 딤플피싱코리아 | 인조미끼 탈착 사용구조를 갖는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
KR20240050178A (ko) | 2022-10-11 | 2024-04-18 | 김안식 | 밑걸림 방지구조를 갖는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
KR20240072098A (ko) | 2022-11-16 | 2024-05-23 | 한병옥 |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낚시용 에기 |
KR20240131199A (ko) | 2023-02-23 | 2024-08-30 | 주식회사 딤플피싱코리아 | 가변 탈착 조립구조를 갖는 유동형 두족류 낚시채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7250B1 (ko) | 두족류 포획용 에기 | |
KR100760354B1 (ko) |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 |
US9185891B2 (en) | Instant response protective sinker and hook combination | |
US20060191187A1 (en) | Weighted shank fish hooks | |
US10492478B1 (en) |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 |
US8938907B2 (en) | Anti-snag fishing device | |
KR102584278B1 (ko) | 두족류 낚시용 에기 | |
US5855089A (en) | Pliable fishing lure and planar weedless fish hook | |
US20140290118A1 (en) | Rattling fish hook | |
WO2003051110A2 (en) | Fish catching system | |
US20050172538A1 (en) | Fish catching system | |
JP2016093105A (ja) | 太刀魚用テンヤ | |
KR100760356B1 (ko) | 밑 걸림 방지 루어 | |
CA2600707A1 (en) | Fly fishing method and apparatus | |
US20180125046A1 (en) |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 |
KR101353056B1 (ko) | 프리지그 타입 루어 낚싯바늘 | |
JP2019134684A (ja) | ルアー | |
KR20230001923U (ko) | 한치 낚시채비 | |
KR102261100B1 (ko) | 낚시용 루어 | |
US8826586B1 (en) | Fishing rig | |
US7111426B2 (en) |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lower part of fishing line | |
JP7300547B1 (ja) | 魚釣用ルアー | |
JP7375235B1 (ja) | 魚がかかりやすく根がかりしにくい双子の釣り針 | |
KR20190103569A (ko) | 루어 낚시용 일체형 스푼 루어 | |
KR102559783B1 (ko) |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