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783B1 -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 Google Patents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783B1
KR102559783B1 KR1020210015415A KR20210015415A KR102559783B1 KR 102559783 B1 KR102559783 B1 KR 102559783B1 KR 1020210015415 A KR1020210015415 A KR 1020210015415A KR 20210015415 A KR20210015415 A KR 20210015415A KR 102559783 B1 KR102559783 B1 KR 102559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uoyancy
buoyancy material
cephalopod
hemi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974A (ko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신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호 filed Critical 신승호
Priority to KR102021001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7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을 포함하는 반구형상의 부력재 본체; 상기 부력재 본체와 동일한 반구형상으로 부력재 본체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 TPE) 재질로 형성되는 착탈부;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를 제공함으로써, 인조미끼가 수중에서 수평으로 입수 및 위치할 수 있도록 유지시켜 먹이를 수평방향으로 펼쳐 감싸는 두족류의 습성상 다리가 낚시바늘에 관통되는 확률을 증가시켜 포획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Buoyancy material for cephalopod fishing}
본 발명은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에 설치되는 부력재에 관한 것으로, 부력을 포함하는 부력재 본체와 상기 부력재 본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인조미끼의 낚시바늘에 고정되도록 하는 착탈부로 이루어져 인조미끼의 낚시 후단부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인조미끼가 입수되는 위치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에 관한 것이다.
두족류란 오징어, 문어, 앵무조개 등을 포함하는 무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유영에 적합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연체동물 중 가장 체제가 발달된 것들이다. 몸은 좌우 대칭이고, 팔, 머리, 몸통으로 구분된다. 팔이 있는 쪽이 상부이고, 살지느러미가 있는 쪽이 하부이며, 골격이 있는 쪽이 등 쪽이며, 수관이 있는 쪽이 배쪽이다. 머리에는 척추동물의 눈과 비슷한 발달한 눈이 있고 팔은 다른 강과는 달리 8~10개가 손의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변해있다. 그중 긴 2개는 생식완으로 되었다. 피부에 색소 세포가 발달하여 환경에 따라 체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종류가 많다.
이와 같은 두족류의 어획 방법은 주낙, 통발, 원투낚시, 맨손 등이 있다. 그중 일반적인 낚시의 매니아들은 방파제, 갯바위 등지에서 선상 낚시용 바늘을 이용하여 원투낚시의 방법으로 1마리의 두족류를 직접 낚아채는 어획방법을 선호한다. 원투낚시는 채비를 멀리 던져서 주로 바닥층에 서식하는 두족류 어종, 즉 쭈구미, 낙지 등을 포획하는 것으로, 상기 채비에는 통상적으로 봉돌, 낚시바늘, 미끼 등이 포함된다.
상기 채비는 낚시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 모양을 흉내내어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만든 인조미끼를 이용하는 낚시방법을 루어낚시라 한다. 상기 인조미끼는 루어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여러 모양의 스푼 루어(Spoon lure)가 있고, 이것이 발달한 스피너 루어(Spinner lure), 작은 물고기나 동물의 모양에 가까운 플러그 루어(Plug lure), 추에 낚시바늘이 붙은 형태의 지그 루어(Jig lure 또는 Jighead), 소프트베이트 루어(Softbait lure), 2종류 또는 3종류의 루어를 조합한 컴비네이션 루어(Combination lure)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플라이 낚시를 위한 인조미끼로는 벌레모양을 흉내 내어 형성한 플라이(Fly)가 있다.
상기 인조미끼는 담수어와 해수어 등 대상어의 종류 및 대상어의 크기에 따라 사용되는 종류가 달라진다. 두족류의 포획을 위해서는 여러개의 바늘로 이루어진 훅이 하나 이상 구비된 인조미끼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인조미끼로는 에기 및 지그가 있고 이를 도래를 매개로 연결한 에자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2137250호에는 보다 두족류가 먹이로 인식하여 포획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고,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838849호에는 두족류 낚시용 지그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통상적인 에기 및 지그 구조는 통상적인 두족류 먹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선단에는 먹이의 머리 형상의 머리부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먹이의 꼬리 형상의 꼬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에는 낚시줄을 결속시킬 수 있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꼬리부에는 바늘귀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바늘귀는 갈고리 형상의 바늘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며, 이때 동일한 바늘귀가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두족류의 포획 확률을 향상시킨다.
낚시 방법은 에기 및 지그를 연결한 낚시대를 수중에서 순간적으로 크게 챔질하듯이 올려쳐 에기 및 지그가 뛰어 오르게 한 후 다시 가라앉히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쭈꾸미, 낙지, 오징어, 문어 등의 두족류를 유인하고 그 후 두족류가 에기를 감쌀 경우에 무게를 감지하여 낚시대를 당겨 낚는다.
두족류는 눈이 발달하여 주변 환경 감지 및 회비 성향이 강하여 에기가 먹이라 인식되지 못하면 다리로 감싼 에기를 놓아버리기 쉽다. 상기 선행문헌의 에기는 몸체부에 메인 바늘을 설치하고 지그는 축광물질을 몸체에 설치하여 두족류 유인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에기 및 지그의 꼬리부는 머리부에 비해 무거운 금속재질의 바늘귀가 설치되어 인조미끼가 꼬리부가 하강하는 수직상의 형태로 입수되는데 이때 두족류의 인조미끼는 포획은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짐으로 다리가 바늘귀에 걸릴 확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두족류 인조미끼의 바늘귀에 설치되어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인조미끼가 수평으로 입수될 수 있도록 한 부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11895호에는 바다의 저면에 서식하는 쭈꾸미 또는 바다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서식하는 갑오징어 등의 두족류를 하나의 도구로 일체화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새우모양의 포획도구의 등 부위에 도래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새우모양의 상기 포획도구의 배 부위에 일정무게를 갖는 추를 형성하되 등 부위의 연결고리가 상기 추의 무게중심과 수직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바다의 저면에서도 수평을 유지한 채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는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2137250호에는 쭈꾸미, 낙지 등의 두족류가 먹이로 인식하여 감싸도록 하면서 낚싯대를 당겼을 때 두족류의 몸통이나 다리가 걸리도록 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포획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족류 포획용 에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661호에는 생물 미끼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앞쪽 부분에 부착되는 무게추와, 상기 본체의 뒤쪽 꼬리 부분에 설치되며 복수의 바늘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훅을 포함하는 배낚시용 인조미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 중앙부에 부착되며 낚시 원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의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 수평 밸런스 포인트가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 밸런스 포인트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 이상의 밸런스 포인트가 관통 형성된 원줄 연결판을 포함하는 배낚시용 인조미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838849호에는 조어시 대상어를 반사광에 의해 유인하도록 축광재료로 만든 유인부; 상기 유인부 일측에 부착되어 몸체를 이루며, 무게추의 역할도 겸하는 중량부; 상기 중량부에 유인부 대향측으로 부착되어, 직접적으로 대상어를 걸어 낚는 바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발광부가 필요 없이 유인부에 의해 오징어, 낙지 등의 두족류를 간단하게 유인하여 낚을 수 있어 단순한 구조로도 두족류 낚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두족류 낚시용 지그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318193호에는 내부에 공기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부상체 및 제 2부상체로 이루어지는 부력조절부와; 상부측에 낚시꾼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봉이 설치되는 상측마개와; 하부측에는 고무밴드 등으로 봉돌, 도래 및 낚시바늘 등이 결속된 낚시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고정부가 설치되는 하측마개와; 상기 제 1부상체 및 제 2부상체가 슬라이딩되어 부력조절을 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맞닿은 외측면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로 구성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낚시찌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두족류 인조미끼에서 부력을 갖는 선단에 비해 금속 낚시바늘이 형성된 후단이 무거워 인조미끼가 수직으로 수중상에서 위치하게 되어 수평으로 포획을 실시하는 두족류의 습성상 낚시바늘에 다리가 포획되기 어려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력을 포함하는 부력재 본체와 상기 부력재 본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인조미끼의 낚시바늘에 고정되는 착탈부로 이루어져 인조미끼가 수중에 입수 후 수평상으로 위치하여 두족류의 섭이행동에 따른 포획율을 높일 수 있도록한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는 반구형상의 부력재 본체; 상기 부력재 본체와 동일한 반구형상으로 부력재 본체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공간부가 마련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 TPE) 재질로 형성되는 착탈부;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반구형상의 착탈부의 편평구조를 형성하는 측면에는 내부 공간으로 부력재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착탈부 곡면부 둘레를 따라 인조미끼의 낚시바늘에 관통고정될 수 있는 돌출형상의 바늘고정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착탈부의 반원부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꼬리띠를 형성하고,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가황고무와 열가소성 수지의 성질을 가진 고분자 재질로 올레핀계 TPE, 스틸렌계 TPE, 우레탄계 TPE, 불소계 TPE, 폴리에스테르계 TPE, PVC계 TPE, 폴리아미드계 TP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두족류를 유인하는 외형을 포함하는 머리부와 꼬리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에기본체(200); 상기 에기본체의 머리부 선단에 구성되어 낚시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리부(300); 상기 에기본체 꼬리부 끝단에는 단일의 낚시바늘이 하나 이상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메인바늘부(400);로 이루어진 두족류 낚시에 있어서, 메인바늘부 끝단에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진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반구형상의 바닥면에는 내부공간부와 연결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을 통해 부력을 갖는 반구형상의 부력재 본체를 내부 공간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탈부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100)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두족류 낚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는 꼬리부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인조미끼가 수중에서 수평으로 입수 및 위치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두족류는 먹이를 감싸는 습성이 있어 두족류의 다리가 감싸는 수평선상에 낚시바늘이 위치함으로써 본 발명은 다리가 낚시바늘에 걸리는 관통 확률을 증가시키고 낚시바늘에 찔려 다리를 펼쳐 회피하더라도 도망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포획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정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를 포함하는 에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를 포함하는 에기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6은 에기의 수중에서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에기에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와 관련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사진을 나타내고, 도 2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저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100)는 부력을 포함하는 반구형상의 부력재 본체(110)와; 상기 부력재 본체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TPE) 재질로 형성되는 착탈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력재 본체는 라텍스 소재로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되는 반구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반구형 구조의 편평하게 형성된 바닥면은 두족류 인조미끼 낚시의 바늘끝단에 안착하고 반구형의 곡면부는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부력재 소재로는 비중이 1 이하의 합성수지 재료 및 고분자 플라스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착탈부는 부력재 본체와 동일한 반구형상으로 내부에는 부력체 본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편평하게 형성된 측면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로 부력재 본체를 삽입 수용할수 있도록 수용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부력재 본체 및 착탈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는 것은 수중에서 낚시가 움질일 때 조류 및 수중저항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인조미끼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두족류가 입질 시에 사용자의 의도대로 수중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 TPE)는 통상적인 가황고무와 열가소성 수지의 성질을 가진 고분자 재질로 올레핀계 TPE, 스틸렌계 TPE, 우레탄계 TPE, 불소계 TPE, 폴리에스테르계 TPE, PVC계 TPE, 폴리아미드계 TP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PE는 상온에서 고무성질을 가지고, 가열하면 열가소성 성질로 일반 플라스틱처럼 사출성형이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사출성형 공정으로 복잡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탄성중합체와 유사한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지만 탄성이 있고 유연한 중합체이기 때문에 부력재 본체를 내부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탈부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적인 채비 개발이 가능하고 제작이 간단하여 비용 및 수고가 적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착탈부는 탄력과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으로 부력재본체를 수용하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며 고무에 비해 탄력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내부 수용과 분리과정에서 착탈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착탈부 측면 둘레부에는 돌기구조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늘고정부(122)가 형성된다. 바늘고정부는 일정 크기로 돌출된 형상의 돌기구조를 이룬다. 부력재 본체를 내부로 수용한 착탈부의 편평구조는 낚시바늘의 끝단 중앙부와 맞닿도록 결합되고 바늘고정부 양단은 낚시바늘에 바늘고정부가 관통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늘고정부는 탄력과 유연성이 있으면서 고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하여 낚시 바늘에 고정하기 위해 바늘고정부를 신축하더라도 일정길이로 늘어나 신축되므로 착탈부가 파손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낚시 바늘에 고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의 사전 실험에 의하면 착탈부를 고무재질로 제조한 경우, 부력재본체를 탈착하는 빈도가 많을수록 수용공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금속재질의 낚시바늘에 고정하는 경우 재료의 신축성의 부족으로 바늘고정부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하기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가 설치된 인조미끼낚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를 포함하는 에기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를 포함하는 에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를 포함하는 에기는 두족류를 유인하는 외형을 포함하는 머리부와 꼬리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에기본체(200); 상기 에기본체의 머리부 선단에 구성되어 낚시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리부(300); 상기 에기본체 꼬리부 끝단에는 단일의 낚시바늘이 하나 이상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메인바늘부(400); 상기 메인바늘부에 바늘고정부를 관통고정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기본체는 물의 흐름에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머리부에는 상기 본체를 낚싯대와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부가 형성된다. 고리부는 에기본체를 낚싯대와 연결하기 위해 낚싯줄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꼬리부에는 메인바늘부가 설치된다. 메인바늘부는 두족류가 에기본체를 다리로 감싸면서 걸림될 수 있도록 에기본체를 향하여 구부러진 갈고리 형상의 낚시바늘이 하나 이상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에기는 선단의 머리부가 금속재질의 낚시바늘이 마련되는 후단의 꼬리부에 비해 가벼워 수중에서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두족류가 다리로 감싸는 포획 행동이 수평으로 실시되어 낚시바늘 관통률이 떨어지거나 잡은 에기를 놓기 쉽다. 도 6은 에기의 수중에서의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의 A는 기존의 일반적인 에기의 수중 형상으로 머리부 몸체가 부력재로 이루어져 비중이 낮고 금속재질의 낚시바늘이 비중이 무거워 수중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따라서 두족류가 에기를 미끼로 확인하고 섭이하기 위해 팔을 뻗어 에기를 잡게되면 부력부로 이루어진 몸체를 잡게되며 낚시줄을 통해 감지한 후 낚아채더라도 도망갈 수 있는 여지를 주게된다.
도 6의 B와 C는 본발명의 부력재를 사용한 경우 두족류 낚시바늘의 수중 위치로서 가장 좋은 형태를 나타낸다. 낚시바늘이 수중에서 수평 또는 몸체보다 상향으로 유지되면서 수중입수되는 경우, 수중에 가라앉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인조미끼로서의 유인효과를 가질수 있으며, 두족류가 양완을 뻗쳐 낚시를 잡더라도 바늘부분을 잡게되므로 낚시줄을 통해 감지한 후 낚아채더라도 도망갈 수 있는 여지를 만들 수 없게된다.
즉,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는 메인 바늘부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에기가 수중에서 수평으로 입수 및 위치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부터 먹이를 감싸는 습성을 갖는 두족류의 팔의 수평선상에 낚시바늘이 위치함으로써 낚시바늘에 걸리는 확률을 증가시키고 낚시바늘로부터 도망을 방지할 수 있어 포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는 착탈이 용이하고 착탈과정에서 바늘고정부가 찢어지지 않아 다양한 크기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의 교체가 가능하여 부력재의 부력에 따라 인조미끼의 중량이나 인조미끼의 수중 위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꼬리띠를 형성하는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도 7은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8은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에기에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는 부력을 포함하는 반구형상의 부력재 본체와 상기 부력재 본체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TPE) 재질로 형성되는 착탈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탈부 역시 부력재 본체와 동일한 반구형상으로 내부에는 부력체 본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편평하게 형성된 측면에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로 부력재 본체를 삽입 수용할수 있도록 수용공(121)이 형성된다.
다만 착탈부의 반원평상의 중앙부분에는 일직선 모양 또는 구부러진 굴곡을 갖는 모양 및 회오리 모양의 꼬리띠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꼬리띠의 재질은 착탈부의 재질과 동일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 TPE) 재질로 형성되거나, 부력을 감안하여 복합섬유 또는 천연섬유 등으로 별도로 제작하여 착탈부의 반원평상의 중앙부분에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꼬리띠는 여러가지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고기 비늘모양, 색채 및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꼬리띠 형태를 제외한 본 발명의 부력재 본체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라텍스 소재로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되는 반구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의 편평하게 형성된 측면은 두족류 인조미끼 낚시의 바늘끝단에 안착하고 곡면부는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의 반원부분 중앙에 꼬리띠를 형성하는 것은 수중에서 낚시가 움직일 때 조류 및 수중저항의 영향을 받아 꼬리띠가 움직이면서 두족류를 유인하는 효과를 갖도록하여 두족류의 입질 빈도 및 어획률을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보다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관련 산업인의 제작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두족류의 포획율을 증가시켜 낚시 애호가들의 수요량 증가가 예상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110: 부력재 본체 120: 착탈부
121: 수용공 122: 바늘고정부
130: 낚시줄 150: 꼬리띠
300: 고리부 400: 메인바늘부

Claims (5)

  1. 삭제
  2. 반구형상으로 이루진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반구형상의 바닥면에는 내부공간부와 연결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을 통해 부력을 갖는 반구형상의 부력재 본체를 내부 공간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탈부 바닥 곡면부 둘레를 따라 인조미끼의 낚시바늘에 관통고정될 수 있는 돌출형상의 바늘고정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3. 반구형상으로 이루진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반구형상의 바닥면에는 내부공간부와 연결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을 통해 부력을 갖는 반구형상의 부력재 본체를 내부 공간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탈부의 반원부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꼬리띠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착탈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hermoplastic elastomer ; TP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10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
KR1020210015415A 2021-02-03 2021-02-03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KR10255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15A KR102559783B1 (ko) 2021-02-03 2021-02-03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15A KR102559783B1 (ko) 2021-02-03 2021-02-03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74A KR20220111974A (ko) 2022-08-10
KR102559783B1 true KR102559783B1 (ko) 2023-07-25

Family

ID=8284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15A KR102559783B1 (ko) 2021-02-03 2021-02-03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7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038B2 (ja) * 1990-08-22 2000-04-17 カール・エデルマン・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液体のための板紙の包装
JP2004222713A (ja) * 2003-01-27 2004-08-12 Duel:Kk 浮子
JP2004222523A (ja) * 2003-01-20 2004-08-12 Masao Tamukae 釣糸の中通し不要な浮子
JP2011135807A (ja) * 2009-12-28 2011-07-14 Globeride Inc ルアー
KR101907893B1 (ko) 2016-12-01 2018-10-16 이용훈 낚시채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038U (ja) * 1996-07-26 1997-02-14 有限会社葛飾ネジ製作所 ルアー用浮力付与具
KR100318193B1 (ko) 1999-07-05 2001-12-22 서정윤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낚시찌
KR20120011895A (ko) 2012-01-18 2012-02-08 성민진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KR20140000661U (ko) 2012-07-19 2014-02-03 남정대 배낚시용 인조미끼
KR20150002173U (ko) * 2013-11-29 2015-06-08 김상대 두족류 연체동물 낚시용 낚시어구
KR101838849B1 (ko) 2017-06-12 2018-03-14 김진욱 두족류 낚시용 지그
KR102137250B1 (ko) 2019-12-31 2020-07-23 정덕연 두족류 포획용 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038B2 (ja) * 1990-08-22 2000-04-17 カール・エデルマン・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液体のための板紙の包装
JP2004222523A (ja) * 2003-01-20 2004-08-12 Masao Tamukae 釣糸の中通し不要な浮子
JP2004222713A (ja) * 2003-01-27 2004-08-12 Duel:Kk 浮子
JP2011135807A (ja) * 2009-12-28 2011-07-14 Globeride Inc ルアー
KR101907893B1 (ko) 2016-12-01 2018-10-16 이용훈 낚시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74A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877B2 (en) Expanding or contracting fishing lure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US20190104712A1 (en) Fishing Accesory for Lures
KR200485088Y1 (ko) 오징어 낚싯바늘 유닛
US2011009414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US20160330946A1 (en) Crawfish lure
KR102584278B1 (ko) 두족류 낚시용 에기
US20060096154A1 (en) Simulated mudpuppy fishing lure
US6955005B2 (en) Scrobiculate and other fishing floats, demountably attachable fishing lures and kits for assembling them
KR20190066822A (ko) 주꾸미 낚시용 어구
KR200485442Y1 (ko) 문어 낚싯바늘 유닛
US8869445B2 (en) Fishing lure imitating winged prey
US5042189A (en) Selectively convertible fish lure
US20120017489A1 (en) Bobber Lure System
JP2015192607A (ja) テンヤ
US20160270379A1 (en) Fishing Hook with Moveably Attached Jighead
US6237276B1 (en) Levitating bait weedless fishing lure
US83330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luring aquatic animals
KR102559783B1 (ko)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US4928422A (en) Artificial bait crab-like fishing lure
KR102261100B1 (ko) 낚시용 루어
KR102486227B1 (ko)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KR20170001246U (ko) 주꾸미 낚싯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