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822A - 주꾸미 낚시용 어구 - Google Patents

주꾸미 낚시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822A
KR20190066822A KR1020170166608A KR20170166608A KR20190066822A KR 20190066822 A KR20190066822 A KR 20190066822A KR 1020170166608 A KR1020170166608 A KR 1020170166608A KR 20170166608 A KR20170166608 A KR 20170166608A KR 20190066822 A KR20190066822 A KR 2019006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ebfoot
main body
weight
octopu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형
이노을
Original Assignee
이노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을 filed Critical 이노을
Priority to KR102017016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6822A/ko
Publication of KR2019006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4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flat, or substantially flat, undulating bodies, e.g. sp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꾸미를 포획하는데 적합한 주꾸미 낚시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바닥을 긁게 되는 주꾸미 낚시의 특성상 후크 바늘의 바닥걸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주꾸미가 좋아하는 칠게나 참게를 어구 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인력을 극대화하여 탁월한 조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것인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몸체(10)의 상단부에 낚시줄이 연결되는 고리(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중간부에는 생 미끼를 고무밴드나 끈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하단부에는 낚시바늘(13)이 설치되되 상기 낚시바늘(13)은 상방을 향하여 180도 이내의 각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10) 하단부의 하방에는 금속으로 된 무게추(14)가 돌출 설치되어 수중에서 무게추(14)가 하방을 향하고 상기 낚시바늘(13)이 상방과 측면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주꾸미 낚시용 어구{FISHING GEAR FOR CAPTURING THE SHORT ARM OCTOPUS}
본 발명은 주꾸미를 포획하는데 적합한 주꾸미 낚시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수중의 바닥을 긁게 되는 주꾸미 낚시의 특성상 낚시바늘의 바닥걸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주꾸미가 좋아하는 칠게나 참게와 같은 생 미끼를 어구 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인력을 극대화하여 탁월한 조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꾸미는 두족류의 일종으로 두족류에는 꼴뚜기, 문어, 낙지 등이 있다. 상기 두족류는 생존 특성상 바위틈 도는 어패류의 껍질 내에서 서식하거나 올라타는 습성이 있어 포획시 조개류의 패각을 이용하거나 주낙, 통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천연 패각이나 인공 패각을 사용하여 주꾸미를 포획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패각에 구멍을 뚫는 과정 및 이의 사용 과정에서 패각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거나 조과가 그다지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주꾸미 포획을 위한 비교적 큰 소라 패각을 해외에서 대량 수입해서 사용하게 됨으로써 외화의 낭비는 물론, 사용 후 파손 또는 수명이 다한 패각의 처리도 용이하지 않아 어장이나 어항 주위의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꾸미와 비슷한 형태의 주꾸미를 유인하기 위한 몸체인 구슬부분이 상방에 위치하고 몸체를 안착시키기 위한 무게추가 하방에 위치하며 주꾸미를 포획하기 위한 바늘이 무게추 최하단부위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낚시채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예는 특허문헌 1 내지 4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주꾸미 낚시채비'는 중앙의 조립관 외측으로 다수의 바늘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조립관 하측에 무게추가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립관 상측에 구형의 장식물이 결합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주꾸미 낚시바늘'은 하단의 바늘 유니트, 중간의 봉돌 및 상부에 구비되어 대상어를 유인하는 모조미끼(집어)로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3의 '주꾸미 낚시용 바늘채비'는 몸체를 구성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측면으로 다수개가 연장되는 바늘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본체부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4의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는 추의 하면에 다수의 낚시바늘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추의 상측은 합성수지제 볼을 안정되게 고정시킨 것으로 이를 바다의 지면에 설치함으로써, 쭈꾸미, 낙지와 같은 두족류의 높은 곳을 기어오르는 습성을 이용하여 낚시어구에 올라탈 때 낚시바늘에 의해 채집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주꾸미 낚시채비나 어구 또는 바늘에 있어서는 복수의 낚시바늘이 360도 전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수중의 바닥을 긁는 주꾸미 낚시의 특성상 낚시바늘이 바닥의 암초나 기타 장애물에 걸리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채비 상부의 볼이 유일한 유인물이거나 이 볼이 발광을 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주꾸미를 유인하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 살아있는 미끼가 아니라서 유인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74666호(2014.09.26.) 한국공개실용 제20-2017-0001246호(2017.04.11.) 한국공개실용 제20-2017-0000078호(2017.01.04.) 한국등록특허 제10-0923096호(2009.10.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꾸미 낚시를 위한 어구에서 주꾸미가 좋아하는 실제 살아있는 먹이감을 어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유인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어구 몸체와 추 및 낚시바늘의 형태와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낚시를 할 때 낚시바늘이 바닥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주꾸미 낚시용 어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몸체의 상단부에 낚시줄이 연결되는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중간부에는 주꾸미가 좋아하는 칠게나 참게 등의 생 미끼를 고무밴드나 끈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몸체의 하단부에는 낚시바늘이 설치되되 상기 낚시바늘은 상방을 향하여 180도 이내의 각도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몸체 하단부의 하방에는 금속으로 된 무게추가 돌출 설치되어 수중에서 무게추가 하방을 향하고 상기 낚시바늘이 상방과 측면을 향하도록 하여 바닥걸림이 없도록 한 주꾸미 낚시용 어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바늘과 무게추의 배치구조에 의해 수중에서의 어구 몸체 자세가 정해지게 되면서 즉, 무게추는 하방을 향하고 낚시바늘은 상방을 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어구가 바닥을 긁게 되더라도 낚시바늘이 상방과 측방으로만 향하도록 되어 있어 바닥걸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어구 몸체의 중간부에 주꾸미가 좋아하는 생 미끼인 칠게나 참게가 고무밴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살아있는 생 미끼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게 되어 주꾸미의 유인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므로 탁월한 조과를 거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주꾸미 낚시용 어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꾸미 낚시용 어구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꾸미 낚시용 어구의 정면도,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주꾸미 낚시용 어구의 측면도,
도 5는 몸체에 생미끼가 고무밴드로 고정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수중 바닥에서의 끌림시 걸림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주꾸미 낚시용 어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몸체(10)의 상단부에 낚시줄이 연결되는 고리(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중간부에는 주꾸미가 좋아하는 칠게나 참게 등의 생 미끼를 고무밴드나 끈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하단부에는 낚시바늘(13)이 설치되되 상기 낚시바늘(13)은 상방을 향하여 180도 이내의 각도 내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10) 하단부의 하방에는 금속으로 된 무게추(14)가 돌출 설치되어 수중에서 무게추(14)가 하방을 향하고 상기 낚시바늘(13)이 상방과 측면을 향하도록 하여 바닥걸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10)는 대체로 납작한 장방형을 이루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몸체(10)의 전체적인 윤곽이 주꾸미가 좋아하는 미끼의 형태를 이루도록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몸체(10)의 소재는 탁한 수중에서 잘 보일 수 있는 밝고 선명한 색상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11)가 몸체(10)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된 별도의 고리(11)를 몸체(10)의 상단부에 인서트 상태로 사출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몸체(10)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고정부(12)는 하면 둘레로 오목한 홈 형태로 1줄만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 미끼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서 결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고정부(12)를 2개 이상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고정부(12)의 폭과 구체적인 형태는 몸체(10)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2)는 외곽을 둘러서 형성되는 형태 외에도 구멍 형태로 제작되고, 이 구멍 형태의 고정부에 별도의 탄성클립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칠게나 참게와 같은 생미끼를 좀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낚시바늘(13)은 몸체(10)의 하단부에 직접 인서트되는 대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13)이 무게추(14)에 압입고정되고, 상기 무게추(14)는 몸체(10)의 하단부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5)에 끼워져 접착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낚시바늘(13)과 무게추(14)를 몸체(10)의 하단부에 각각 별도로 결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들의 결합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무게추(14)는 수중의 바닥에 닿는 면이 반구형(半球形)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바닥에 닿아 끌리게 되더라도 바닥의 턱이나 홈에 잘 걸리지 않고 타고 넘어가게 됨으로써 바닥걸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어구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14)는 일반 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단조 또는 주조 방식으로 1차 성형 후, 상기 낚시바늘(13)을 압입 고정하기 위한 구멍을 가공한 후 낚시바늘(13)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낚시바늘(13)은 복수개가 환봉(13a)의 외곽에 180도 이내의 각도에서 방사상으로 균일한 각간격을 갖도록 용접되어 있다.
상기 환봉(13a)은 상기 무게추(14)에 형성되는 압입 고정용 구멍(미도시됨)에 압입된 후 무게추(14)를 프레스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주꾸미 낚시용 어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꾸미가 좋아하는 칠게나 참게와 같은 생 미끼(16)를 몸체(10)에 고무밴드(17)를 사용하여 결박해주면 생 미끼(16)가 몸은 움직이지 못하지만 탈출을 하기 위해 발버둥을 치면서 다리를 움직이게 되므로 어구가 수중에 투하된 상태에 있게 되면 주꾸미가 이 살아 움직이는 미끼를 보고 촉수를 던져 미끼를 잡게 되는데, 이때 조사는 낚시줄에 전달되는 무게감을 느껴서 신속하게 챔질을 하게 되면 주꾸미가 몸체(10)의 후방에 설치된 낚시바늘(13)에 걸리게 되어 포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기존의 가짜미끼에 비해 유인력이 극대화되어 조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낚시바늘(13)은 몸체(10)의 상방과 측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고, 몸체(10)의 하단부 하부에는 무게추(14)가 달려있으므로 무게 균형에 의해 낚시바늘(13)은 하방을 향하지 않게 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바닥에서 끌더라도 낚시바늘(13)이 바닥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채비가 바닥에 걸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간의 낭비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채비의 손실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1 : 주꾸미 낚시용 어구
10 : 몸체
11 : 고리
12 : 고정부
13 : 낚시바늘
14 : 무게추
15 : 결합홈
16 : 미끼(칠게 또는 참게)
17 : 고무밴드(또는 끈)

Claims (5)

  1.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몸체(10)의 상단부에 낚시줄이 연결되는 고리(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중간부에는 생 미끼를 고무밴드나 끈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하단부에는 낚시바늘(13)이 설치되되 상기 낚시바늘(13)은 상방을 향하여 180도 이내의 각도 내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10) 하단부의 하방에는 금속으로 된 무게추(14)가 돌출 설치되어 수중에서 무게추(14)가 하방을 향하고 상기 낚시바늘(13)이 상방과 측면을 향하도록 하여 바닥걸림이 없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꾸미 낚시용 어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13)은 무게추(14)에 압입고정되고, 상기 무게추(14)는 몸체(10)의 하단부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5)에 끼워져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꾸미 낚시용 어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14)는 지면에 닿는 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꾸미 낚시용 어구.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13)은 복수개가 환봉(13a)의 외곽에 180도 이내의 각도에서 방사상으로 균일한 각간격을 갖도록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꾸미 낚시용 어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전체적인 윤곽이 주꾸미가 좋아하는 미끼의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꾸미 낚시용 어구.
KR1020170166608A 2017-12-06 2017-12-06 주꾸미 낚시용 어구 KR20190066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08A KR20190066822A (ko) 2017-12-06 2017-12-06 주꾸미 낚시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08A KR20190066822A (ko) 2017-12-06 2017-12-06 주꾸미 낚시용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822A true KR20190066822A (ko) 2019-06-14

Family

ID=6684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608A KR20190066822A (ko) 2017-12-06 2017-12-06 주꾸미 낚시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82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2839A (zh) * 2021-03-26 2021-06-22 浙江海洋大学 一种梭子蟹的捆扎分拣装置
US20220061296A1 (en) * 2020-08-27 2022-03-03 Ardent, LLC Castable object system
KR102401447B1 (ko) * 2021-06-16 2022-05-24 김화규 낚시용 미끼 고정밴드 및 이를 이용한 생미끼의 부착방법
KR20220112625A (ko) * 2021-02-04 2022-08-11 황정용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KR20220127621A (ko) * 2021-03-11 2022-09-20 조규형 생미끼 걸이구가 장착된 봉돌
KR102599174B1 (ko) * 2023-07-19 2023-11-07 조희수 낙지용 주낙어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96B1 (ko)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KR200474666Y1 (ko) 2014-03-24 2014-10-07 박민구 주꾸미 낚시채비
KR20170000078U (ko) 2016-12-26 2017-01-04 박영제 주꾸미 낚시용 바늘채비
KR20170001246U (ko) 2015-10-01 2017-04-11 김봉진 주꾸미 낚싯바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96B1 (ko)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KR200474666Y1 (ko) 2014-03-24 2014-10-07 박민구 주꾸미 낚시채비
KR20170001246U (ko) 2015-10-01 2017-04-11 김봉진 주꾸미 낚싯바늘
KR20170000078U (ko) 2016-12-26 2017-01-04 박영제 주꾸미 낚시용 바늘채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1296A1 (en) * 2020-08-27 2022-03-03 Ardent, LLC Castable object system
KR20220112625A (ko) * 2021-02-04 2022-08-11 황정용 친환경 세라믹타일이 결합된 두족류 낚시어구
KR20220127621A (ko) * 2021-03-11 2022-09-20 조규형 생미끼 걸이구가 장착된 봉돌
CN113002839A (zh) * 2021-03-26 2021-06-22 浙江海洋大学 一种梭子蟹的捆扎分拣装置
KR102401447B1 (ko) * 2021-06-16 2022-05-24 김화규 낚시용 미끼 고정밴드 및 이를 이용한 생미끼의 부착방법
KR102599174B1 (ko) * 2023-07-19 2023-11-07 조희수 낙지용 주낙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6822A (ko) 주꾸미 낚시용 어구
US9253966B2 (en) Fishing lure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US9185891B2 (en) Instant response protective sinker and hook combination
US7841129B2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US4827657A (en) Fishing equipment
KR101679993B1 (ko) 다용도 봉돌을 구비한 낚시채비
KR101838849B1 (ko) 두족류 낚시용 지그
US2011009414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20160330946A1 (en) Crawfish lure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6955005B2 (en) Scrobiculate and other fishing floats, demountably attachable fishing lures and kits for assembling them
KR20170001270U (ko) 오징어 낚싯바늘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KR102584278B1 (ko) 두족류 낚시용 에기
KR10242556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8490320B1 (en) Fork-shaped fishing lure
KR200485370Y1 (ko) 주꾸미 낚싯바늘 유닛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KR102261100B1 (ko) 낚시용 루어
KR200496858Y1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JP3043186U (ja) 水中生物に似せたルアー
US20140020277A1 (en) Reversible fish lure and method of m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