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58Y1 -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 Google Patents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58Y1
KR200496858Y1 KR2020200003797U KR20200003797U KR200496858Y1 KR 200496858 Y1 KR200496858 Y1 KR 200496858Y1 KR 2020200003797 U KR2020200003797 U KR 2020200003797U KR 20200003797 U KR20200003797 U KR 20200003797U KR 200496858 Y1 KR200496858 Y1 KR 200496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ongdol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937U (ko
Inventor
배길용
Original Assignee
배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용 filed Critical 배길용
Priority to KR2020200003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58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원줄(40)이 연결되고, 다양한 무게를 갖는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봉돌 몸체(10); 상기 봉돌 몸체(1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 일체로 외측으로 형성되는 고리(20); 상기 고리(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에기(50)가 연결되도록 하는 도래(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Sinker for capturing the cephalopod}
본 고안은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돌의 하부에 일측으로 고리를 형성하고, 이 고리에는 도래를 이용하여 루어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루어가 최대한 바다의 바닥에 인접하여 위치되게 함으로써 두족류의 포획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갈고리 형태의 바늘에 미끼를 끼워 물속에 투입함으로써 미끼에 의해 유인되도록 하면서 물고기가 바늘에 꿰이도록 하여 포획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때, 미끼로는 지렁이나 새우 등과 같이 물고기의 먹이가 되는 비교적 작은 생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생물 미끼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 인조미끼를 바늘에 매달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조미끼를 이용하는 낚시 방법을 루어낚시라 하는데, 루어낚시에서는 인조미끼를 포인트 너머로 던진 후 끌어당기거나 낚싯줄을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인조미끼가 움직이도록 하여 고기를 유인하게 된다.
인조미끼는 우럭이나 농어, 삼치, 돔, 배스 등의 대상어를 시각적으로 유인하기 위해 지렁이나 새우, 작은 물고기, 오징어 등의 특정 미끼의 모양을 본떠서 털, 플라스틱, 나무, 금속 따위로 만들고 있다.
인조미끼로서 루어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여러 모양의 스푼 루어(Spoon lure)가 있고, 이것이 발달한 스피너 루어(Spinner lure), 작은 물고기나 동물의 모양에 가까운 플러그 루어(Plug lure), 추에 낚시바늘이 붙은 형태의 지그 루어(Jig lure 또는 Jighead), 소프트베이트 루어(Softbait lure), 2종류 또는 3종류의 루어를 조합한 컴비네이션 루어(Combination lure)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플라이 낚시를 위한 인조미끼로는 벌레모양을 흉내 내어 형성한 플라이(Fly)가 있다.
인조미끼는 담수어와 해수어 등 대상어의 종류 및 대상어의 크기에 따라 사용되는 종류가 달라지며, 루어낚시를 위한 인조미끼에 있어서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효과를 유발하는 요소로는 빛의 반사와 색, 형태, 물속에서의 움직임 및 소리 등이 있다.
한편, 두족류의 일종인 갑오징어나 쭈꾸미, 꼴뚜기 및 문어 등을 포획하기 위해서는 많은 바늘로 이루어진 훅이 하나 이상 구비된 인조미끼를 사용하며, 이러한 인조미끼를 '에기'라고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0456208호(2011.10.12.)의 두족류 낚시채비에서는 별도의 채비줄에 일정 높이로 연결도래를 연결하여 각 도래에 에기를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이때, 채비줄의 하단부에는 도래를 이용하여 통상 무게 추인 봉돌을 연결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원줄에 직접 연결한 도래에 봉돌과 함께 에기를 연결하기도 한다.
하지만, 봉돌이 연결되는 도래에 에기를 직접 연결하더라도 봉돌이 물 속 바닥에 가라앉더라도 에기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하여 옆으로 누운 자세로 형성되므로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두족류의 습성에 대응하지 못하면서 두족류의 포획률이 저조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456208호(2011.10.12.)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 속 바닥에 위치하는 봉돌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리에 에기가 연결되도록 하여 바닥에 최대한 근접해서 에기가 위치되도록 하여 두족류가 쉽게 에기에 안착되도록 하는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은, 상단부에는 원줄이 연결되고, 다양한 무게를 갖는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봉돌 몸체; 상기 봉돌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 일체로 외측으로 형성되는 고리; 상기 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에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도래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고리는 상기 봉돌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에기의 몸통 두께보다는 작지 않은 높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도래는 상기 에기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양핀도래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는 상기 봉돌 몸체의 외주면을 일정 폭과 깊이로 요입되게 하면서 외주면에 일정 직경의 봉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봉돌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와 높이로 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링홈에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봉돌 몸체보다 일정 폭만큼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회전 링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 링에는 도래가 연결된 고리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 링에는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도래가 복수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에 의하면 별도의 채비줄이 필요치 않으므로 채비 운용에 경제적인 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채비를 간소화함으로써 휴대의 간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해서 봉돌 몸체가 바닥에 닿게 되면 봉돌 몸체에 연결되는 에기가 최대한 바닥에 가까이에서 정렬되면서 두족류의 포획률이 향상되도록 하여 조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에서 U자형 고리를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에서 고리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에서 고리를 회전 링으로 형성되도록 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의 정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은 크게 봉돌 몸체(10)와 고리(20) 및 도래(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봉돌 몸체(10)는 다양한 무게를 갖는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대부분의 봉돌 몸체(10)는 일정 높이의 원기둥으로 형성하거나 하단부가 구형인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봉돌 몸체(10)는 조류에 따라 사용 무게를 달리하게 되므로 좀더 다양한 무게를 갖는 다양한 종류로 형성한다.
이런 봉돌 몸체(10)의 일측 외주면에 고리(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리는 몸체에 도래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형상을 다양하게 구형할 수 있다.
고리(20)는 봉돌 몸체(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며,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봉돌 몸체(10)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할 수도 있고, U자형으로 형성하여 양단부가 봉돌 몸체(10)에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고리(20)는 형성되는 구멍이 수직의 방향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다만, 고리(20)는 봉돌 몸체(1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도록 하되 봉돌 몸체(10)의 하단부에서 에기의 몸통 두께보다는 작지 않은 높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고리(20)는 봉돌 몸체(10)의 하단부가 바닥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최대한 바닥에 인접하도록 하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리(20)에는 도래(3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한다.
도래(30)는 일단이 고리(20)에 고정 연결되게 하면서 타단으로는 에기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이때 사용되는 도래(30)는 핀도래 특히 양측으로 핀을 형성하는 양핀 도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래(30)를 고리(20)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고리(20)의 일단은 봉돌 몸체(10)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봉돌 몸체(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도래(30)의 일단이 고리(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게 할 수가 있다.
고리(20)가 봉돌 몸체(10)의 하단부에 가까이 형성되더라도 고리(20)에는 도래(30)을 연결하게 되므로 도래(30)에 의해서 물속에서 에기를 봉돌 몸체(10)의 하단부에 근접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고리(20)는 도 4에서와 같이 봉돌 몸체(10)의 외주면을 일정 폭과 깊이로 요입되게 하면서 외주면에 일정 직경의 봉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봉돌 몸체(10)의 외주면 일부에는 소정 폭과 깊이로 봉돌 몸체의 내측으로 홈(10a)이 함몰 형성되고, 봉 형상의 고리(20)는 상기 홈(10a)을 가로질러 봉돌 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고리(20)는 외측의 단부가 봉돌 몸체(10)의 외주면과 동일한 주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봉돌 몸체(1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 일정 폭과 높이로 링홈(11)을 형성하고, 이 링홈(11)에는 봉돌 몸체(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폭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링홈(1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회전 링(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회전 링(21)의 봉돌 몸체(1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한 판면으로 도래(30)가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회전 링(21)에는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도래(30)가 복수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한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은 봉돌 몸체(10)의 외주면으로 고리(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양핀도래(30)에 의해서 에기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봉돌 몸체(10)는 원줄(40)에 직접 연결되게 하고, 봉돌 몸체(10)의 하단부에는 고리(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되 고리(20)에는 도래(30) 즉 양핀 도래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고리(20)에는 양핀 도래(3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에기(50)가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봉돌 몸체(10)의 고리(20)에 도래(30)를 이용하여 에기(50)를 연결하고, 채비를 물속에 넣게 되면 봉돌 몸체(10)의 하단부는 물 바닥에 안착되면서 에기(50)는 바닥에 최대한 가까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에기(50)는 봉돌 몸체(10)와는 도래(30)에 의해 연결되므로 도래(30)에 의해서 에기(50)는 해저면에 대해 대략 수평의 상태가 되며, 물 바닥에 가까이 안착되고 있으므로 주로 특성 상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두족류들이 쉽게 에기(50)에 안착된다.
또한, 에기(50)를 도래(30)를 이용하여 봉돌 몸체(10)에 연결하게 되면 에기(50)가 원줄(40)과의 엉킴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채비 운용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원줄(40)에 직접 봉돌 몸체(10)를 연결하고, 봉돌 몸체(10)에 직접 도래(30)를 이용하여 에기(50)를 연결하게 되므로 운용 채비를 최대한 간소화할 수가 있어 채비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을 보다 경제적으로 할 수 있으며, 채비를 운반하고 휴대하기 더욱 간편해지도록 하는 편리함이 있다.
무엇보다도 본 고안은 봉돌 몸체(10)에 연결되도록 하여 바닥에 근접하여 에기(50)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보다 조과가 향상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봉돌 몸체
11 : 링홈
20 : 고리
21 : 회전 링
30 : 도래
40 : 원줄
50 : 에기

Claims (6)

  1. 상단부에는 원줄이 연결되고, 다양한 무게를 갖는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봉돌 몸체;
    상기 봉돌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 일체로 외측으로 형성되는 고리;
    상기 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에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도래;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상기 봉돌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에기의 몸통 두께보다는 작지 않은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봉돌 몸체의 외주면 일부에는 소정 폭과 깊이로 봉돌 몸체의 내측으로 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리는 상기 홈을 가로질러 상기 봉돌 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봉돌 몸체의 외주면과 동일 주면을 이루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2. 상단부에는 원줄이 연결되고, 다양한 무게를 갖는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봉돌 몸체;
    상기 봉돌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주면에 일체로 외측으로 형성되는 고리;
    상기 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에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도래;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상기 봉돌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에기의 몸통 두께보다는 작지 않은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봉돌 몸체에는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의 외주면에 소정 폭과 높이로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에는 봉돌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폭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링홈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회전 링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링의 봉돌 몸체의 외주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한 판면으로 도래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 링에는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도래가 복수로 연결되는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래는 상기 에기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양핀도래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200003797U 2020-10-23 2020-10-23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KR200496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97U KR200496858Y1 (ko) 2020-10-23 2020-10-23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97U KR200496858Y1 (ko) 2020-10-23 2020-10-23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37U KR20220000937U (ko) 2022-05-02
KR200496858Y1 true KR200496858Y1 (ko) 2023-05-12

Family

ID=8158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797U KR200496858Y1 (ko) 2020-10-23 2020-10-23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5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336A (ja) * 2001-03-19 2002-09-24 Minoru Hirano 釣り用錘
JP2015188448A (ja) 2014-03-28 2015-11-02 有限会社バンパァクラップ ルアー用の錘
KR101679993B1 (ko) * 2015-12-31 2016-11-25 김진욱 다용도 봉돌을 구비한 낚시채비
KR102036472B1 (ko) 2019-01-09 2019-10-24 임태규 낚시바늘 결합구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08Y1 (ko) 2010-04-15 2011-10-20 주식회사 비케이씨 두족류 낚시채비
KR20180067187A (ko) * 2016-12-12 2018-06-20 최명길 인조미끼용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336A (ja) * 2001-03-19 2002-09-24 Minoru Hirano 釣り用錘
JP2015188448A (ja) 2014-03-28 2015-11-02 有限会社バンパァクラップ ルアー用の錘
KR101679993B1 (ko) * 2015-12-31 2016-11-25 김진욱 다용도 봉돌을 구비한 낚시채비
KR102036472B1 (ko) 2019-01-09 2019-10-24 임태규 낚시바늘 결합구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37U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US20090183418A1 (en) Swimming frog lure and method
US20190104712A1 (en) Fishing Accesory for Lures
US20140059916A1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KR20140000661U (ko) 배낚시용 인조미끼
US2011009414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US20180153147A1 (en) Fishing lure
US20070119090A1 (en) Fishing lure
US3372508A (en) Out-of-the-water fishing lure
KR102584278B1 (ko) 두족류 낚시용 에기
US20060053678A1 (en) Fish luring device
KR200496858Y1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KR101469377B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2261100B1 (ko) 낚시용 루어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KR102486227B1 (ko)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US3820269A (en) Fishing lure
US2814151A (en) Fishing apparatus
JP3756306B2 (ja) 擬餌針
US3490166A (en) Bait fishing rig
US3680246A (en) Fishing rig
KR102570506B1 (ko) 생미끼 걸이구가 장착된 봉돌
KR102559783B1 (ko)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KR100310161B1 (ko) 게 잡이용 낚시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