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08Y1 - 두족류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두족류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08Y1
KR200456208Y1 KR2020110002793U KR20110002793U KR200456208Y1 KR 200456208 Y1 KR200456208 Y1 KR 200456208Y1 KR 2020110002793 U KR2020110002793 U KR 2020110002793U KR 20110002793 U KR20110002793 U KR 20110002793U KR 200456208 Y1 KR200456208 Y1 KR 200456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ephalopod
fishing
attracting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케이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꾸미, 꼴뚜기, 낙지, 문어 등과 같은 두족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유인기능을 향상시킨 두족류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족류 포획구에 발광부재를 교체가능하게 결합하여 발광부재에 의한 유인기능을 반족적이고 장기적으로 기대할 수 있게 하여 그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유인부재를 탈착시켜 더욱 형상된 유인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개의 낚시바늘(13,13')이 돌출 형성된 무게추(12) 상부에 구체(11)가 결합된 공지의 두족류 포획구(1)에 발광부재(3)를 결합하여 두족류 낚시채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1)에 발광부재(3)를 결합하여 두족류 낚시채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1)의 구체(11)에 발광실(2)은 형성하고 여기에 결합공(2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21)에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LED)가 내장된 캡(31)에 배터리(32)가 탈착결합되는 발광부재(3)를 교체가능하게 결합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두족류 낚시채비{The fishing tackle for cephalopoda}
본 고안은 주꾸미, 꼴뚜기, 낙지, 문어 등과 같은 두족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유인기능을 향상시킨 두족류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족류 포획구에 발광부재를 더욱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합 할 수 있게 하여 발광부재에 의한 유인기능을 반복적이고 장기적으로 기대할 수 있게 하며, 포획구에 별도의 유인부재를 탈착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유인부재는 발광부재와 함께 향상된 유인기능을 발휘하여 더욱 우수한 조과(釣果)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꾸미, 꼴뚜기, 문어, 낙지 등과 같은 두족류는 생존 특성상 바위틈 또는 어패류의 껍질 내에서 서식하거나 올라타는 습성이 있어 포획시 조개류의 패각을 이용하거나 주낙, 통발 등으로 포획하고 있다.
즉, 주꾸미 등의 두족류는 소라껍질 등과 같은 빈 패각에 몸을 은폐하는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두족류 포획에 빈 패각을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빈 패각은 쉽게 파손, 훼손되어 반복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두족류 낚시채비가 개발되고 있는 데 이하 두족류 낚시채비 등과 오징어낚시 등의 루어 및 전자찌 등에 사용되는 발광부재 등에 대하여 차례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3096호에 추와 볼을 고리에 의해 고정시키고 구체에는 성형시 축광안료를 첨가, 성형하여 불빛을 발산하여 낙지, 주꾸미 등의 두족류를 쉽게 유인하여 낚시할 수 있도록 한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가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9163호에는 낚시구 본체에 회전봉돌을 장착하여 걸림방지와 중량추의 교체로 포인트 안착을 용이하게 한 두족류 포획용 낚시구가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4290호에는 메인본체, 서브본체, 미끼보관함으로 이루어지고 메인본체 입구에 이탈방지수단을 구비시켜 파손된 부분만 교환 및 교체가 가능하게 한 두족류 포획용 어구가 게재되어 있다.
그리고, 주로 오징어 포획 등을 위한 루어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189호에 투명재질의 몸체 내부에 발광램프, 밧데리, 스위치, 가변저항기 등을 내장하여 루어 자체에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징어를 효과적으로 유인하도록 한 낚시용 루어가 게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666호에는 유인관체 하단에 다수의 바늘체가 각각 2단으로 형성된 오징어낚시바늘이 게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779호에는 본체의 홈에 클립형태로 된 연결고리를 고정시켜 연결한 오징어낚시용 루어가 게재되어 있다.
또, 낚시용 발광부재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361호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1670호에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LED)가 내장된 캡의 탈착공 형성되어 배터리가 탈착되는 발광소자에 빛을 발광시키는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에도 다양한 두족류 포획어구가 개발되고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무게추(100) 사방으로 다수의 낚시바늘(101,101')을 형성하고 무게추(100) 상부에는 구체(球體;102)를 결합하여 흡사 주꾸미 등의 두족류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 포획구가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구를 일부 개량한 것이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3096호에 게재되어 있는 데 이는 무게추 상부의 구체에 축광안료를 혼합 성형하여 축관안료에 의해 빛을 발산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축광안료를 혼합하여 구체를 형성한 종래 두족류 포획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축광안료의 수명과 기능저하로 발광효과가 떨어져 반복 및 장기간 사용이 용이치 않을 뿐만 아니라 빛의 밝기도 약한 등으로 그 기능성이 저조하였고 이에 그 조과(釣果)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포획구에 전자찌 등에 사용되는 발광부재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발광부재에 의해 밝은 빛이 발산되게 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재를 반복적이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또, 포획구에는 두족류의 형상으로 된 유인부재를 탈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유인부재는 상기 발광부재와 함께 더욱 향상된 유인기능을 발휘하여 뛰어난 조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수개의 낚시바늘이 돌출 형성된 무게추 상부로 구체가 결합된 포획구를 형성하고 상기 포획구에는 발광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재가 구비된 포획구에는 유인부재를 결합한 두족류 낚시채비에 있어서,상기 포획구의 구체에 발광실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발광실에는 결합공을 형성하여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LED)가 내장된 캡에 배터리가 탈착결합되는 발광부재를 탈착결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구체의 발광실 외측에 두부(頭部)가 둥글게 형성되고 그 아래에 다리부(足部)가 형성된 유인부재의 두부를 씌워 발광실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발광실내의 발광부재가 구체에 결합된 유인부재을 발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은 두족류 포획구에 발광부재를 교체가능하게 하여 발광부재에 의한 유인효과가 기능성 저하없이 발휘되어 발광부재에 의한 유인기능을 안정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 우수한 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 포획구에는 유인부재를 탈착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재와 더불어서 유인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포획구를 구비시킨 두족류 낚시채비의 제공으로 누구나 간편하고 용이하게 두족류 낚시를 즐길 수 있는 등의 이익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중 포획구에 유인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도이다.
도 6은 종래 두족류 포획구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기구에 발광부재를 교체가능하게 결합하여 발광부재에 의한 유인기능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포획구에는 유인부재를 탈착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발광부재는 유인부재를 발광시켜 유인부재의 발광기능을 더욱 향상시킨 두족류 낚시채비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두족류 포획구는 무게추 하부에 사방으로 수개의 낚시바늘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 상부에는 구체가 결합된 것으로, 이러한 포획구의 구성 등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포획구에 발광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발광부재에 의해 구체에서 빛이 발산되게 하며, 상기 발광부재는 구체로부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포획구에는 주꾸미, 문어, 낙지의 형상으로 된 유인부재를 탈착 결합하여 유인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 유인부재는 포획구에 결합된 유인부재에 발광기능을 제공하여 유인부재가 발광부재에 의해 발광되어 향상된 유인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두족류 낚시채비를 구성한 것이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일부 발췌 단면도이다.
두족류 포획구(1)는 상부에 구체(11)와, 구체(11)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게추(12)에는 사방으로 수개의 낚시바늘(13,13')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포획구(1)의 구성은 일반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포획구(1)의 구체(11)에 발광실(2)을 형성하고 발광실(2)에 결합공(21)을 형성하여 여기에 발광부재(3)를 결합한다. 상기 발광부재(3)는 캡(31)에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LED)가 내장되며 상기 캡(31)에는 배터리(32)가 탈착결합되어 발광소자에 배터리(32)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발광소자를 점등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발광부재(3)는 도시된 예와 같이 막대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발광부재(3)는 일반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발광부재(3)가 긴밀히 삽입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크기(직경)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체(11)의 발광실(2)에 결합공(21)을 형성하여 결합공(21) 내로 발광부재(3)를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발광실(2)은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11) 양측을 상부로부터 직각형태로 요입 성형하여 구성하고, 상기 발광실(2)의 바닥측에 결합공(21)을 형성하여 발광부재(3)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발광실(2)은 도2a와 같이 구체(11) 양측으로 오목하게 요입형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발광실(2)은 결합공(21)에 발광부재(3)가 결합되고, 구체(11)에 씌워진 유인부재(4)가 폐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발광실(2)을 구성한다.
상기 발광부재(3)는 배터리(32)를 교체하거나 발광부재(3) 전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발광부재(3)를 결합공(21)으로부터 분리하여 발광부재(3) 전체를 교체하거나 배터리(32)를 캡(31)으로부터 분리하여 배터리(32)를 교체할 수 있어 발광부재(3)의 기능저하 없이 안정적이고 반복적으로 발광부재(3)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발광부재(3)는 구체(11)의 지름 내에 위치하여 발광실(2)내부에서 보호됨으로써 위치하여 사용도중 외부와의 접촉이 방지되어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포획구(1)의 구체(11)에는 주꾸미, 문어, 낙지의 형상 등으로 된 유인부재(4)를 결합하여 유인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유인부재(4)는 유연성과 신축성있는 실리콘, 고무 등의 얇은 재질로 둥글게 두부(頭部)(41)를 형성하고 그 아래로 다리부(足部;42)를 형성하여 두부(41)를 구체(11)에 씌워 결합함으로써 흡사 두족류의 형상이 이루도록 한다.
상기 유인부재(4)는 구체(11)를 감싼 형태로 띄워져 발광실(2)을 형성하고, 상기 발광실(2)내의 발광부재(3)는 발광실(2)의 공간을 통해 유인부재(4) 전체를 발광시킨다.
또, 발광부재(3)가 내장된 양측 발광실(2)은 유인부재(4)의 양측을 투영(透映)시켜 흡사 생물과 같은 시각효과로 유인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유인부재(4)는 그 형상 자체로 유인기능을 달성하는 것임은 물론 구체(11)의 발광실(2)에 내장된 발광부재(3)에 의해 발산되는 빛이 내부로부터 조명되어 더욱 향상된 유인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상기 유인부재(4)는 축광, 야광 등의 재질을 혼합 성형하여 발광부재(3)에 관계없이 스스로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포획구(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포획구(1)에는 연결줄(5)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줄(5)에 고정핀(63)과 구슬(62)로 연결도래(6)를 결합하여 자유회전되는 구성하고, 상기 연결도래(6)에는 클립(61)을 구비시켜 여기에 오징어바늘 등의 루어(7)를 결합하여 두족류 낚시채비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줄(5) 상하에는 도래(51,51')와 클립(52,52')을 구비시켜 하부에 포획구(1)를 연결하고 상부에는 원줄을 연결할 수 있게 하여 간편하게 두족류 낚시채비를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두족류 낚시를 즐길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연결줄(5) 상에 결합되는 루어(7)에도 결합공(71)을 형성하고 여기에 발광부재(3)를 결합하여 발광부재(3)에 의한 유인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포획구 11: 구체
12: 무게추 13,13':낚시바늘
2: 발광실 21:결합공
3:발광부재 31:캡
32:배터리
4:유인부재
41:두부(頭部) 42:다리부(足部)
5:연결줄
51,51':도래 52,52':클립
6:연결도래 7:루어

Claims (1)

  1. 수개의 낚시바늘(13,13')이 돌출 형성된 무게추(12) 상부로 구체(11)가 결합
    된 포획구(1)를 형성하고 상기 포획구(1)에는 발광부재(3)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재(3)가 구비된 포획구(1)에는 유인부재(4)를 결합한 두족류 낚시채비에 있어서,
    상기 포획구(1)의 구체(11)에 발광실(2)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발광실(2)에는 결합공(21)을 형성하여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LED)가 내장된 캡(31)에 배터리(32)가 탈착결합되는 발광부재(3)를 탈착결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구체(11)의 발광실(2) 외측에 두부(頭部)(41)가 둥글게 형성되고 그 아래에 다리부(足部)(42)가 형성된 유인부재(4)의 두부(41)를 씌워 발광실(2)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발광실(2)내의 발광부재(3)가 구체(11)에 결합된 유인부재(4)을 발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채비.
KR2020110002793U 2010-04-15 2011-04-04 두족류 낚시채비 KR2004562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61 2010-04-15
KR20100003961 2010-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208Y1 true KR200456208Y1 (ko) 2011-10-20

Family

ID=5367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793U KR200456208Y1 (ko) 2010-04-15 2011-04-04 두족류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08Y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737A (ko) 2015-02-10 2016-08-18 장병수 유인 기능이 향상된 두족류 포획용 낚시 어구
KR20160097738A (ko) 2015-02-10 2016-08-18 장병수 미끼 장착 구조에 의한 유인 기능이 향상된 두족류 포획용 낚시 어구
KR101679994B1 (ko) 2015-12-31 2016-11-25 김진욱 두족류 낚시채비 및 그 제작방법
KR20170000078U (ko) 2016-12-26 2017-01-04 박영제 주꾸미 낚시용 바늘채비
KR101741365B1 (ko) 2016-07-25 2017-05-30 김진욱 두족류 낚시채비
KR101838849B1 (ko) * 2017-06-12 2018-03-14 김진욱 두족류 낚시용 지그
KR20180098184A (ko) 2018-03-05 2018-09-03 김진욱 줄지어 배치된 다수의 구슬을 구비한 낚시채비
KR20180097983A (ko) 2017-02-24 2018-09-03 김진욱 줄지어 배치된 다수의 구슬을 구비한 낚시채비
KR20190036139A (ko) 2017-09-27 2019-04-04 김진욱 찌걸이구
KR102026219B1 (ko) * 2019-06-17 2019-09-27 이진우 낚시용 루어 및 이를 이용하는 도래 조립체
KR20200001405A (ko) * 2018-06-27 2020-01-06 유현옥 낚시 바늘 교체가 용이한 낚시 바늘 홀더
KR20200136652A (ko) * 2019-05-28 2020-12-08 신승호 가시성이 향상된 타이러버헤드
KR20200145196A (ko) 2019-06-21 2020-12-30 정경희 조립형 도래 고정구
KR20210034394A (ko) * 2019-09-20 2021-03-30 김진욱 도래가 조밀하게 배치된 낚시채비
KR20210128112A (ko) 2020-04-16 2021-10-26 김상진 호환성을 갖는 낚시 채비
KR20210152904A (ko) 2020-06-09 2021-12-16 김진욱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KR20220000937U (ko) 2020-10-23 2022-05-02 배길용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KR20220060673A (ko) 2020-11-05 2022-05-12 권봉엽 인조미끼가 결합된 낚시채비
KR20220002448U (ko) 2021-04-05 2022-10-12 안정현 두족류 포획용 낚시 바늘 장치
KR20230046416A (ko) 2021-09-30 2023-04-06 권봉엽 유인성이 향상된 낚시채비
KR20230001923U (ko) 2022-03-29 2023-10-06 김화규 한치 낚시채비
KR20230154574A (ko) 2022-05-02 2023-11-09 임용석 낚시용 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85Y1 (ko) * 2005-05-28 2005-08-17 병 호 김 집어등이 설치된 오징어 낚시
KR200398086Y1 (ko) * 2005-07-15 2005-10-11 주식회사 원양어구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100923096B1 (ko) *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85Y1 (ko) * 2005-05-28 2005-08-17 병 호 김 집어등이 설치된 오징어 낚시
KR200398086Y1 (ko) * 2005-07-15 2005-10-11 주식회사 원양어구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100923096B1 (ko) *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738A (ko) 2015-02-10 2016-08-18 장병수 미끼 장착 구조에 의한 유인 기능이 향상된 두족류 포획용 낚시 어구
KR20160097737A (ko) 2015-02-10 2016-08-18 장병수 유인 기능이 향상된 두족류 포획용 낚시 어구
KR101679994B1 (ko) 2015-12-31 2016-11-25 김진욱 두족류 낚시채비 및 그 제작방법
KR101741365B1 (ko) 2016-07-25 2017-05-30 김진욱 두족류 낚시채비
KR20170000078U (ko) 2016-12-26 2017-01-04 박영제 주꾸미 낚시용 바늘채비
KR20180097983A (ko) 2017-02-24 2018-09-03 김진욱 줄지어 배치된 다수의 구슬을 구비한 낚시채비
KR101838849B1 (ko) * 2017-06-12 2018-03-14 김진욱 두족류 낚시용 지그
KR20190036139A (ko) 2017-09-27 2019-04-04 김진욱 찌걸이구
KR20180098184A (ko) 2018-03-05 2018-09-03 김진욱 줄지어 배치된 다수의 구슬을 구비한 낚시채비
KR102089157B1 (ko) * 2018-06-27 2020-03-13 유현옥 낚시 바늘 교체가 용이한 낚시 바늘 홀더
KR20200001405A (ko) * 2018-06-27 2020-01-06 유현옥 낚시 바늘 교체가 용이한 낚시 바늘 홀더
KR20200136652A (ko) * 2019-05-28 2020-12-08 신승호 가시성이 향상된 타이러버헤드
KR102304382B1 (ko) * 2019-05-28 2021-09-23 신승호 가시성이 향상된 타이러버헤드
KR102026219B1 (ko) * 2019-06-17 2019-09-27 이진우 낚시용 루어 및 이를 이용하는 도래 조립체
KR20200145196A (ko) 2019-06-21 2020-12-30 정경희 조립형 도래 고정구
KR102344592B1 (ko) 2019-09-20 2021-12-28 김진욱 도래가 조밀하게 배치된 낚시채비
KR20210034394A (ko) * 2019-09-20 2021-03-30 김진욱 도래가 조밀하게 배치된 낚시채비
KR20210128112A (ko) 2020-04-16 2021-10-26 김상진 호환성을 갖는 낚시 채비
KR20210152904A (ko) 2020-06-09 2021-12-16 김진욱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KR20220000937U (ko) 2020-10-23 2022-05-02 배길용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KR20220060673A (ko) 2020-11-05 2022-05-12 권봉엽 인조미끼가 결합된 낚시채비
KR20220002448U (ko) 2021-04-05 2022-10-12 안정현 두족류 포획용 낚시 바늘 장치
KR20230046416A (ko) 2021-09-30 2023-04-06 권봉엽 유인성이 향상된 낚시채비
KR20230001923U (ko) 2022-03-29 2023-10-06 김화규 한치 낚시채비
KR20230154574A (ko) 2022-05-02 2023-11-09 임용석 낚시용 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208Y1 (ko) 두족류 낚시채비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JP6721660B2 (ja) 頭足類釣り用漁具
KR101838849B1 (ko) 두족류 낚시용 지그
US20100293832A1 (en) Fishing lure
KR101809400B1 (ko) 다중 도래걸이구
KR20190066822A (ko) 주꾸미 낚시용 어구
KR200479507Y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0386963Y1 (ko) 야광 지그헤드 스피너
KR20190000285U (ko) 두족류 낚시 채비
KR10242556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220001715U (ko) 다수개의 핀도래를 십자형으로 형성한 봉돌
KR20210090425A (ko) 낚시용 루어에 발광수단을 설치하는 방법과 그에 의해 발광수단을 구비한 루어
JP2010200736A (ja) 発光色可変の出来るイカツノと餌木或いは集魚灯
US11297812B2 (en) Illuminating marine fish attractor
KR200421095Y1 (ko) 낙지 주낙용 낚시구
KR20120002977U (ko) 낚시용 인조미끼
KR200289607Y1 (ko) 발광 낚시채비
KR20210128112A (ko) 호환성을 갖는 낚시 채비
KR20160017566A (ko) 집어 효과와 발광체를 갖는 원투낚시전용 고리 추
CN212260212U (zh) 一种夜间发光引诱假饵
KR102487693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KR101585590B1 (ko) 낚시용 밑밥통
KR20180047237A (ko) 두족류 낚시용 발광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