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893B1 -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893B1
KR101907893B1 KR1020160163062A KR20160163062A KR101907893B1 KR 101907893 B1 KR101907893 B1 KR 101907893B1 KR 1020160163062 A KR1020160163062 A KR 1020160163062A KR 20160163062 A KR20160163062 A KR 20160163062A KR 101907893 B1 KR101907893 B1 KR 10190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ipe
fishing
sub
nee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431A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이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훈 filed Critical 이용훈
Priority to KR1020160163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8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낚시줄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낚시바늘이 마련된 바늘유닛과, 일단이 상기 바늘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늘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페이서유닛과, 상기 스페이서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는 부력부재로부터 낚시바늘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유닛에 의해 낚시바늘이 수중의 바닥면에 가라앉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홀치기 낚시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시채비{Fishing tackle}
본 발명은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바늘이 수중 바닥면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력부재와 낚시바늘 사이에 스페이서유닛이 마련된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의 장르는 담수어, 계류어, 바다 어종에 맞게 찌낚시나 던질낚시, 가짜미끼(루어)낚시 등 다양하며, 이외에도 수중에서 채비를 끌어당기는 훌치기 낚시 기법이 있다.
훌치기 낚시는 수중에서의 순간 낚시채비를 끌어당겨 비교적 대형 어종을 낚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조류를 따라 이동하는 숭어, 잉어, 농어 등등의 어종을 주로 낚을 때 사용된다.
통상 채비를 투척하여 수거하기 위한 장비로는 릴 및 릴 낚시대가 사용되며, 낚시채비로는 3방향의 갈고리 형태로 제작된 바늘과 수중에 투척 후 침강을 위해 무게 추가 사용된다.
종래의 훌치기 채비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6546호가 있다. 종래의 훌치기 채비는 3방향 낚시바늘과, 낚시바늘의 기둥이 되는 목 부분 상부와 바늘의 허리와 품의 경계가 되는 하부에는 낚시 원줄을 매달기 위한 연결고리가 납땜방식으로 부착되며, 하부에는 무게 추가 부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훌치기 채비는 낚시바늘이 무게 추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무게 추와 함게 수중의 바닥면에 가라앉아 낚시바늘이 돌과 같은 장애물에 걸리거나 낚시바늘이 수중에 부유하지 못해 훌치기 낚시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낚시바늘이 수중의 바닥면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력부재로부터 낚시바늘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유닛이 마련된 낚시채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는 낚시줄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낚시바늘이 마련된 바늘유닛과, 일단이 상기 바늘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늘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페이서유닛과, 상기 스페이서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는 상기 바늘유닛의 상부 또는 상기 바늘유닛과 스페이서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수중에 잠길 시 상기 바늘유닛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바늘유닛을 견인 시 물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유닛는 상기 중량부재로부터 상기 바늘유닛을 이격시키기 위해 수중에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유닛은 상기 바늘유닛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바늘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량부재가 설치된 서브관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관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이 마련되며, 타단면에는 상기 서브관이 상기 중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유닛은 상기 메인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 및 서브관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는 상기 메인관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서브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되, 내측면이 상기 서브관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링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관은 내측면이 상기 서브관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의 내측면 또는 서브관의 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마찰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는 상기 마찰홈의 내측면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마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관의 내측면 또는 서브관의 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마찰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바늘유닛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관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관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관통되어 묶일 수 있도록 일단부에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결속구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관은 내부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면에 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유닛은 상기 메인관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묶일 수 있도록 상기 메인관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관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결속봉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는 부력부재로부터 낚시바늘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유닛에 의해 낚시바늘이 수중의 바닥면에 가라앉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홀치기 낚시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낚시채비의 스페이서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스페이서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스페이서유닛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메인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의 메인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채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채비(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낚시채비(100)는 낚시줄(15)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낚시바늘(112)이 마련된 바늘유닛(110)과, 일단이 상기 바늘유닛(1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늘유닛(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페이서유닛(120)과, 상기 바늘유닛(110)과 스페이서유닛(120) 사이에 설치되며, 수중에 잠길 시 상기 바늘유닛(110)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130)와, 상기 스페이서유닛(12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부재(140)를 구비한다.
바늘유닛(110)은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에 설치된 다수의 낚시바늘(112)과, 상기 본체(111)의 상부에 마련되어 낚시줄(15)이 연결되는 연결로드(113)와, 본체(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부력부재(130)가 설치되는 하부로드(114)를 구비한다.
본체(1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낚시바늘(112)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삽입공간(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111) 내부에는 상시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낚시바늘(112)들의 상단부를 구속하여 본체(1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지부재는 낚시바늘(112)들이 삽입된 본체(111)의 삽입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낚시바늘(112)들을 가압한다. 한편, 상기 방지부재 대신에 낚시바늘(112)들의 상단부를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체(111)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연결로드(113)는 본체(111)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낚시줄(15)이 묶일 수 있도록 제1연결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로드(114)는 본체(111)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후술되는 연결부재(121)의 연결와이어(123)가 묶일 수 있도록 제2연결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바늘유닛(110)이 낚시바늘(112)이 3개가 마련된 홀치기 낚시용 바늘유닛(110)이 도시되어 있으나, 바늘유닛(11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낚시바늘(112)이 2개 이하 또는 4개 이하가 마련되거나 홀치기 낚시 대신에 루어 낚시와 같은 다른 낚시법에 사용되는 낚시바늘(112)이 적용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유닛(120)은 상기 바늘유닛(110)에 연결된 연결부재(121)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121)에 결합되며, 상기 바늘유닛(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이격봉(122)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121)는 일단이 상기 바늘유닛(110)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123)와, 상기 연결와이어(123)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관(210)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124)를 구비한다.
연결와이어(123)는 일단이 하부로드(114)의 제2연결구(116)에 관통하여 하부로드(114)에 묶이는 것으로서, 낚시줄(15)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갖고, 연성인 나일론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124)는 상면에 연결와이어(123)의 타단부가 묶일 수 있도록 고정고리(125)가 형성되며, 메인관(2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볼트(124)는 메인관(210)에 용이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봉(1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고정볼트(12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126)이 마련되어 있다. 이격봉(122)은 수중에 잠길 시 기립되어 중량부재(140)로부터 바늘유닛(110)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는 나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부력부재(130)는 하부로드(114)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설치구가 형성되어 있고, 수중에 잠길 시 부력이 발생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부력공간(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부력부재(130)는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력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늘유닛(110)을 견인 시 물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력부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112) 상측의 본체(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중량부재(14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결합볼트 또는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이격봉(122)의 하단에 고정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납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채비(100)는 수중에 잠겨 중량부재(140)가 바닥면에 가라앉더라도 스페이서유닛(120)의 이격봉(122)이 기립되어 바늘유닛(110)을 중량부재(14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므로 바늘유닛(110)이 호수나 강의 바닥면에 가라앉는 것이 방지되어 용이하게 홀치기 낚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유닛(2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페이서유닛(200)은 상기 바늘유닛(110)에 연결된 연결부재(121)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121)에 결합되며, 상기 바늘유닛(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메인관(210)과, 상기 메인관(210)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량부재(140)가 설치된 서브관(220)과, 상기 메인관(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210) 및 서브관(22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121)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연결부재(12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관(210)은 상면에 연결부재(121)의 고정볼트(12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126)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211)이 마련되며, 타단면에는 상기 서브관(220)이 상기 중공(211)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서브관(220)은 메인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공(2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서브관(220)은 내부에 중량부재(14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량부재(140)는 서브관(22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서브관(220) 내부에 인입된다.
한편, 중량부재(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서브관(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서브관(2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중량부재(140)의 일부가 서브관(2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중량부재(140)를 서브관(220)에 세팅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부재(140)와 바늘유닛(110) 사이의 이격거리를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부재(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 또는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서브관(220)의 하단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마찰부(230)는 상기 메인관(210)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서브관(2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된 마찰링(231)을 구비한다. 상기 마찰링(231)은 메인관(2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이 메인관(2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마찰링(231)은 서브관(22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며, 내측면이 상기 서브관(2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링(231)에 서브관(220)이 삽입시 서브관(220)에 의해 삽입구 내경이 확장되고, 탄성력에 의해 마찰링(231)은 서브관(220)을 가압하여 마찰력을 향상시키므로 서브관(220)이 메인관(210)에 대한 세팅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마찰부(230)는 1개의 마찰링(231)을 구비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마찰부(23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의 마찰링(231)이 메인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페이서유닛(200)은 메인관(210)에 서브관(220)이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메인관(210)에 대해 서브관(220)을 진퇴시켜 중량부재(140)에 대한 바늘유닛(11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찰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관(210)은 내측면이 상기 서브관(32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관(3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중공(211)이 형성되어 있고, 서브관(320)의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마찰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홈(321)은 서브관(320)의 외측면에 대해 내측으로 인입되며, 서브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한편, 마찰부(240)는 마찰홈(321)의 내측면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마찰홈(3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관(21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마찰돌기(241)를 구비한다. 이때, 마찰돌기(241)는 마찰홈(321)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메인관(210)의 내측면에 대해 중공(2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서브관(320)은 메인관(2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마찰돌기(241)가 마찰홈(321)에 삽입되어 접촉면적이 확장되므로 마찰력이 증가하여 서브관(320)이 메인관(210)에 대한 세팅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된다.
이때, 도시된 예에서는 메인관(210)에 마찰돌기(241)가 형성되고, 서브관(320)에 마찰홈(321)이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메인관(210)에 마찰홈(321)이 형성되고, 서브관(320)에 마찰돌기(241)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관(25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관(250)은 연결부재(121)의 고정볼트(124) 대신에 상기 연결부재(121)의 연결와이어(123) 타단부가 관통되어 묶일 수 있도록 일단부에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결속구(251)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연결와이어(123)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124) 대신에 메인관(250) 일단부에 결속구(25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관(26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관(260)은 고정볼트(124) 대신에 내부로 상기 연결부재(121)의 연결와이어(123) 타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면에 보조구(261)가 형성된다. 또한, 메인관(260)의 일단부에는 결속봉(262)이 설치된다.
상기 결속봉(262)은 메인관(26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관(26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메인관(260)의 일단부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사용자는 연결와이어(123)의 타단부를 보조구(261)를 삽입하여 결속봉(262)에 묶어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결속봉(262)은 메인관(260)의 일단부에 리벳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낚시채비
110: 바늘유닛
111: 본체
112: 낚시바늘
113: 연결로드
114: 하부로드
120: 스페이서유닛
121: 연결부재
122: 이격봉
123: 연결와이어
124: 고정볼트
125: 고정고리
126: 체결홀
130: 부력부재
140: 중량부재

Claims (11)

  1. 낚시줄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낚시바늘이 마련된 바늘유닛과;
    일단이 상기 바늘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늘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페이서유닛과;
    상기 스페이서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유닛은
    상기 바늘유닛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바늘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량부재가 설치된 서브관을 구비하는,
    낚시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유닛의 낚시바늘 상부 또는 상기 바늘유닛과 스페이서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수중에 잠길 시 상기 바늘유닛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더 구비하는,
    낚시채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바늘유닛을 견인 시 물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낚시채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유닛는 상기 중량부재로부터 상기 바늘유닛을 이격시키기 위해 수중에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낚시채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이 마련되며, 타단면에는 상기 서브관이 상기 중공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유닛은
    상기 메인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 및 서브관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마찰부를 더 구비하는,
    낚시채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메인관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서브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되, 내측면이 상기 서브관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링을 구비하는,
    낚시채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내측면이 상기 서브관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상기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의 내측면 또는 서브관의 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는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마찰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는 상기 마찰홈의 내측면에 접촉되기 위해 상기 마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관의 내측면 또는 서브관의 외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마찰돌기를 구비하는,
    낚시채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바늘유닛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관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낚시채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관통되어 묶일 수 있도록 일단부에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결속구가 형성된,
    낚시채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내부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면에 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유닛은
    상기 메인관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가 묶일 수 있도록 상기 메인관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관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결속봉을 더 구비하는,
    낚시채비.









KR1020160163062A 2016-12-01 2016-12-01 낚시채비 KR10190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062A KR101907893B1 (ko) 2016-12-01 2016-12-01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062A KR101907893B1 (ko) 2016-12-01 2016-12-01 낚시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431A KR20180063431A (ko) 2018-06-12
KR101907893B1 true KR101907893B1 (ko) 2018-10-16

Family

ID=6262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062A KR101907893B1 (ko) 2016-12-01 2016-12-01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74A (ko) * 2021-02-03 2022-08-10 신승호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58Y1 (ko) * 2019-08-22 2021-10-18 원정미 부력부재가 마련된 루어낚시용 인공미끼
KR102261100B1 (ko) * 2020-07-24 2021-06-03 김회석 낚시용 루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432Y1 (ko) 2001-01-06 2001-06-15 김화규 떡밥 뭉치기용 낚시바늘 지지체
KR200433526Y1 (ko) 2006-09-12 2006-12-13 김경용 부상 훌치기 낚시채비
KR101076546B1 (ko) * 2011-06-13 2011-10-24 김주동 낚시용 훌치기 채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55Y1 (ko) * 2007-09-11 2009-10-29 이형택 훌치기 낚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432Y1 (ko) 2001-01-06 2001-06-15 김화규 떡밥 뭉치기용 낚시바늘 지지체
KR200433526Y1 (ko) 2006-09-12 2006-12-13 김경용 부상 훌치기 낚시채비
KR101076546B1 (ko) * 2011-06-13 2011-10-24 김주동 낚시용 훌치기 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74A (ko) * 2021-02-03 2022-08-10 신승호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KR102559783B1 (ko) 2021-02-03 2023-07-25 신승호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431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893B1 (ko) 낚시채비
US3733734A (en) Quick-change slip-float
US5351434A (en) Breakaway jig
US10448624B2 (en) Deepwater fish release device
US7454863B1 (en) Bobber incorporating fishing line handling assembly
US20160330945A1 (en)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60260180A1 (en) Deep-water squid jig
KR20160084069A (ko)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KR101926399B1 (ko) 낚시용 봉돌
KR20140001491U (ko) 루어기능을 갖는 봉돌
CN209950178U (zh) 一种打窝渔具和打窝饵料结构
KR101022128B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463305Y1 (ko) 낚시추
KR102175432B1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KR101040910B1 (ko) 친환경적인 낚시용 봉돌
KR200324455Y1 (ko) 유동 홀드가 구비된 낚시용 찌
AU2018208770B2 (en) Subsurface Shellfish Farm
KR101043442B1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KR102554883B1 (ko) 낚시 채비
KR20100124124A (ko) 낚시용 봉돌
KR200321173Y1 (ko) 어신감지 자동챔질 낚시기구
KR102571729B1 (ko) 두족류 낚시용 미끼
CN211881821U (zh) 一种自动化蟹笼锁扣装置
KR200373267Y1 (ko) 봉돌 걸림 방지 캡(280)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