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442B1 - 낚시대용 소품부재 - Google Patents

낚시대용 소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442B1
KR101043442B1 KR1020110008336A KR20110008336A KR101043442B1 KR 101043442 B1 KR101043442 B1 KR 101043442B1 KR 1020110008336 A KR1020110008336 A KR 1020110008336A KR 20110008336 A KR20110008336 A KR 20110008336A KR 101043442 B1 KR101043442 B1 KR 10104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fishing
fishing rod
insertion hole
co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봉
Original Assignee
이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봉 filed Critical 이수봉
Priority to KR102011000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442B1/ko
Priority to PCT/KR2012/000743 priority patent/WO201210259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대용 소품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중앙에 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일측이 절개되어 양단부가 상호 접하도록 형성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는 탄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 방향으로 진입되는 경우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가 휘어지면서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에 유입되면 휘어진 일단부가 탄력에 의해 상기 낚시줄이 진입하기 전인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낚시줄의 진입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배치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코어부를 본체에 삽입결합하고, 낚시줄을 코어부의 절개부를 통해 배치공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를 낚시줄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낚시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체가 낚시줄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 또는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대용 소품부재{Aticle unit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시대용 소품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를 낚시줄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낚시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체가 낚시줄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 또는 소품부재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낚시대용 소품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대용 소품부재는 물속에 잠겨 낚시바늘에 끼워진 미끼를 물고기가 물었을 때 어신을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찌부재와, 낚시바늘을 물속에 잠기도록 하기 위한 무게추, 스토퍼, 유동홀더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낚시대는 낚시찌와, 무게추, 스토퍼, 유동홀더(막대찌,고리찌)와, 낚시바늘등이 함께 낚시줄에 결착됨으로써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한 낚시대용 소품부재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고, 낚시줄의 끝단을 중공에 삽입함으로써 낚시줄에 결착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하나의 낚시대용 소품부재를 교환하고자 하더라도 낚시줄로부터 찌부재와, 무게추 및 쿠션고무, 스토퍼등의 낚시소품을 낚시줄로부터 모두 탈거한 후 교환하고자 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를 다른 낚시대용 소품부재와 같이 낚시줄에 다시 결합해야함으로써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교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낚시줄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한 낚시대용 소품부재가 개발된 바 있다.
도1은 종래의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대용 소품부재(100)는 중공(111)이 형성되고 중공(111)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개된 본체(110)와, 본체(110)의 중공(111)에 삽입되고 본체(110)의 절개영역과 대응되는 일측이 절개된 내부체(1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낚시대용 소품부재(100)는 내부체(120)의 절개된 영역을 통해 낚시줄을 삽입하고, 삽입된 낚시줄의 일측이 내부체(120)의 내측에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낚시줄에 결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낚시대용 소품부재(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체(120)의 내부에 낚시줄을 압입하는 구조로서, 내부체(120)의 내부에 배치된 낚시줄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낚시줄이 내부체(120)의 절개된 일측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탈거되면서 낚시줄로부터 본체(110)가 분리될 뿐 아니라 분리된 본체(110)가 분실되어 새제품을 구입해야 함으로써 낚시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유지비용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낚시줄의 일측이 내부체(120)의 절개된 일측에 끼이게 되어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배치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코어부를 본체에 삽입결합하고, 낚시줄을 코어부의 절개부를 통해 배치공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를 낚시줄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낚시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체가 낚시줄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 또는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낚시대용 소품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낚시줄의 일부가 배치공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이탈된 낚시줄의 일측이 걸림홈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본체가 낚시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낚시대용 소품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낚시줄 일측에 결합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에 있어서, 상부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중앙에 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일측이 절개되어 양단부가 상호 접하도록 형성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는 탄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 방향으로 진입되는 경우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가 휘어지면서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에 유입되면 휘어진 일단부가 탄력에 의해 상기 낚시줄이 진입하기 전인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낚시줄의 진입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삽입공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부는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어부는 일단부가 다른 일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배치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된 코어부를 본체에 삽입결합하고, 낚시줄을 코어부의 절개부를 통해 배치공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를 낚시줄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낚시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본체가 낚시줄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 또는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코어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낚시줄의 일부가 배치공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이탈된 낚시줄의 일측이 걸림홈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본체가 낚시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절개부를 통해 낚시줄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배치공으로 낚시줄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걸림홈에 낚시줄의 일측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부로부터 낚시줄을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소품부재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씨용 찌부재(1)는 몸체부(10)와, 코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0)는 오동나무, 공작기털, 스기나무 또는 합성수지, 카본화이버등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물위에 뜰 수 있는 부력체로 외면은 강이나 바다의 물흐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부(10)는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된 삽입공(11)이 형성되고, 삽입공(11)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개되어 삽입공(11)과 연통되는 절개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공(11)은 후술하는 코어부(20)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공(11)을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삽입공(11)에 삽입결합되는 코어부(20)의 외면이 삽입공(11)이 형성된 몸체부(10)의 내면 중 직경이 좁은 내면 일측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0)와 코어부(2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낚시줄을 유입하는 경우 낚시줄이 코어부(20)의 경사진 내면을 따라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코어부(20)는 양단부가 상호 접하도록 필름이 원형으로 말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배치공(21)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게 형성되며, 몸체부(10)의 삽입공(11)에 삽입결합된다.
이때, 코어부(20)는 외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몸체부(10)에 삽입되어 몸체부(10)와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한 코어부는 티타늄, 카본, 세라믹, 플라스틱 및 비철금속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코어부(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10)의 절개부(12)를 통해 삽입되는 낚시줄이 절개된 일측을 통해 배치공(21)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0)가 낚시줄에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몸체부(1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낚시줄로부터 몸체부(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몸체부(10)를 낚시줄로부터 탈부착하는 동작은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코어부(20)는 상호 접하는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걸림홈(22)이 형성되어 배치공(21)으로부터 이탈된 낚시줄의 일측이 걸림홈(22)이 형성된 코어부(20) 내측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낚시줄에 외력이 가해져 낚시줄의 일부가 배치공(21)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이탈된 낚시줄의 일측이 코어부(20)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하여 낚시줄로부터 몸체부(10)가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코어부(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낚시줄의 일측은 작업자의 움직임 및 물살 또는 바람등의 영향으로 움직임이 많아 코어부(20)의 상측으로부터 이탈될 확률이 높으므로 낚시줄이 배치공(21)의 상측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최소한의 영역만 이탈되도록 상기한 걸림홈(22)은 양단부 중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부(20)는 걸림홈(22)이 형성된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 일측에 걸림홈(22)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부(23)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낚시줄의 일측이 배치공(21)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홈(22)에 유입되는 경우 걸림홈(22)에 배치된 낚시줄의 일측이 다시 걸림홈(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코어부(20)는 양단부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낚시줄을 코어부(20)의 배치공에 밀어넣는 경우 양단부가 상호 지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낚시줄이 코어부(2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밀고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의 절개부(12)를 통해 낚시줄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부(20)의 배치공(21)으로 낚시줄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부(20)의 걸림홈(22)에 낚시줄의 일측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부(20)로부터 낚시줄을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씨용 찌부재(1)를 낚시줄에 탈부착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시줄(L)의 일측을 몸체부(10)의 절개부(12)를 통해 삽입하면 낚시줄(L)의 일측이 코어부(20)의 외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코어부(20)의 상하부에 위치한 낚시줄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낚시줄(L)을 코어부(20)의 배치공(21)방향으로 밀어넣으면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시줄(L)의 일측이 코어부(20)의 우측 단부를 밀고 배치공(21)으로 유입된다.
아울러, 낚시줄(L)에 의해 휘어진 코어부(20)의 단부는 탄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낚시줄(L)의 진입로가 차단되면서 낚시줄(L)이 배치공(21)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치공(21)에 배치된 낚시줄(L)에 외력이 가해져 배치공(21)으로 낚시줄(L)이 이탈되는 경우 이탈된 낚시줄(L)의 일측이 걸림홈(22)으로 유입되면서 낚시줄(L)이 배치공(2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작업자가 배치공(21)으로부터 낚시줄(L)을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코어부(20)의 하부에 위치한 낚시줄(L)의 일측을 앞서 설명한 도5 및 도6과 같은 방법으로 코어부(20)의 배치공(21)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시줄(L)의 하측이 배칭공 내에서 "U"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낚시줄(L)을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낚시줄(L)이 배치공(21)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된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사시도이다.
도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코어부(20)의 일단부가 다른 일단부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배치공(21)에 배치된 낚시줄이 코어부(20)의 절개된 일측을 통해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낚시대용 소품부재는 찌부재와, 무게추, 스토퍼(막대찌) 및 유동홀더(막대찌,고리찌)등에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낚시대용 소품부재 10 : 몸체부
11 : 삽입공 12 : 절개부
20 : 코어부 21 : 배치공
22 : 걸림홈 23 : 돌부

Claims (4)

  1. 낚시줄 일측에 결합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에 있어서,
    상부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중앙에 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일측이 절개되어 양단부가 상호 접하도록 형성되는 코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는 탄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 방향으로 진입되는 경우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가 휘어지면서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낚시줄이 상기 배치공에 유입되면 휘어진 일단부가 탄력에 의해 상기 낚시줄이 진입하기 전인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낚시줄의 진입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삽입공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일단부가 다른 일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소품부재
KR1020110008336A 2011-01-27 2011-01-27 낚시대용 소품부재 KR10104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36A KR101043442B1 (ko) 2011-01-27 2011-01-27 낚시대용 소품부재
PCT/KR2012/000743 WO2012102596A2 (ko) 2011-01-27 2012-01-27 낚시대용 소품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36A KR101043442B1 (ko) 2011-01-27 2011-01-27 낚시대용 소품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442B1 true KR101043442B1 (ko) 2011-06-27

Family

ID=4440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336A KR101043442B1 (ko) 2011-01-27 2011-01-27 낚시대용 소품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3442B1 (ko)
WO (1) WO201210259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10B1 (ko) 2012-10-02 2014-07-09 (주)아티누스 도래 삽입홈이 형성된 낚시 채비용 쿠션고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370U (ja) * 1993-01-11 1994-08-02 株式会社釣研 中通し浮き
JPH081128U (ja) * 1991-04-18 1996-07-30 株式会社テッ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 釣 具
JPH099836A (ja) * 1995-06-23 1997-01-14 Hiroo Omori 釣用浮子
KR20030006509A (ko) * 2001-07-13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청정실의 환경분석 장치
KR200306509Y1 (ko) 2002-12-17 2003-03-11 김상옥 채비를 풀지 않고 교체가 가능한 중통찌(구멍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8U (ja) * 1991-04-18 1996-07-30 株式会社テッ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 釣 具
JPH0655370U (ja) * 1993-01-11 1994-08-02 株式会社釣研 中通し浮き
JPH099836A (ja) * 1995-06-23 1997-01-14 Hiroo Omori 釣用浮子
KR20030006509A (ko) * 2001-07-13 2003-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청정실의 환경분석 장치
KR200306509Y1 (ko) 2002-12-17 2003-03-11 김상옥 채비를 풀지 않고 교체가 가능한 중통찌(구멍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10B1 (ko) 2012-10-02 2014-07-09 (주)아티누스 도래 삽입홈이 형성된 낚시 채비용 쿠션고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2596A3 (ko) 2012-12-20
WO2012102596A2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442B1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KR20170003424A (ko) 낚시용 리그
US8341872B2 (en) Magnetic slip bobber
KR101279290B1 (ko) 부력조절체가 공기중에 위치하는 부력조절찌.
KR20210000696U (ko) 도래와 바늘이 일체로 몰딩 성형된 갈치낚시 전용 바늘체
JP4820794B2 (ja) 釣り糸係止具
JP2008000110A (ja) 釣用係止具
KR20110013645A (ko) 낚시용 찌고무
KR200361634Y1 (ko) 낚시찌의 중량부재 및 이를 포함한 낚시찌
KR200464893Y1 (ko) 케미라이트 장착용 끼움구
KR101022128B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384465Y1 (ko) 낚시대 유실방지구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KR200221827Y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US3456379A (en) Sinkable fishing float
KR102048263B1 (ko) 낚싯바늘용 수심측정추
KR200481657Y1 (ko) 낚시 채비 세트
KR200361696Y1 (ko) 낚시용 자동 챔질기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KR100961839B1 (ko) 밑걸림 봉돌 분리장치
JPH06292493A (ja)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KR100798304B1 (ko) 민물용 자석 찌
KR200293001Y1 (ko) 릴 결합용 낚시 받침대
JP3541242B2 (ja) 瞬間着脱式ウキ
KR200332614Y1 (ko) 낚시용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