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24A - 낚시용 리그 - Google Patents

낚시용 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24A
KR20170003424A KR1020160080115A KR20160080115A KR20170003424A KR 20170003424 A KR20170003424 A KR 20170003424A KR 1020160080115 A KR1020160080115 A KR 1020160080115A KR 20160080115 A KR20160080115 A KR 20160080115A KR 20170003424 A KR20170003424 A KR 20170003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hole
weight
hold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407B1 (ko
Inventor
에이센 류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72943A external-priority patent/JP6534360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31Artificial bait for fishing mounted on hooks
    • A01K85/1833Jig head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낚싯바늘의 바늘 끝이 특정 방향에 위치하도록, 당해 낚싯바늘을 추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수용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리그는, 낚싯바늘부와 추부로 구성되고, 상기 낚싯바늘부는, 낚싯바늘과, 낚싯바늘의 근원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갖고, 상기 추부는, 낚싯줄이 통과되는 관통 구멍과, 보유 지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낚시용 리그 {FISHING RIG}
본 발명은, 낚시용 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낚시에 사용되는 리그 중 하나로서, 텐야 또는 지그 헤드 등이라고 불리는 장치가 존재한다(특허문헌 1 참조). 이 리그는, 생 미끼 또는 인조 미끼를 부착하는 낚싯바늘이 추에 고정되어 있고, 낚싯바늘과 추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 리그의 경우, 일반적으로, 추가 해저에 착상하였을 때에 낚싯바늘의 바늘 끝을 상부 방향으로 위치시켜,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후킹되기 쉬워지도록, 추에 고정되는 낚싯바늘의 바늘 끝이 특정 방향, 즉, 상향으로 위치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낚싯바늘과 추가 일체화되어 있는 리그에서는, 낚싯바늘에 부착되어 있는 미끼 또는 인조 미끼를 물고기가 물었을 때, 추에 의해 낚싯바늘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충분히 후킹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물고기가 물었을 때에 낚싯바늘이 추로부터 빠져 유동하도록, 낚싯바늘이 추에 대해 이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발명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931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172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39352호 공보
특히, 인조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 후킹에 실패하여 물고기가 달아난 경우라도, 다시 낚싯줄을 당김으로써 추와 낚싯바늘이 일체화됨으로써 낚싯바늘을 일일이 인상할 필요가 없이, 그대로 해저에 가라앉혀 두면 되지만, 특허문헌 2, 3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한번 추부로부터 분리된 낚싯바늘부를, 다시 일체화시키려고 해도, 낚싯바늘의 바늘 끝이 제각기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수용되어 버리므로, 낚싯바늘이 반드시 상향으로 되지는 않아, 모처럼 미끼를 문 물고기를 후킹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생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 미끼만 먹힌 상태에서 낚싯바늘을 끌어올렸을 때, 추부와 낚싯바늘부가 제각각의 관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낚시꾼이 추부에 대해 일일이 낚싯바늘부의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리그는, 추부와 낚싯바늘부를 분리 또한 끼워 맞춤 가능하게 하면서, 분리 상태에 있는 추부와 낚싯바늘부를 일체화할 때에는, 항상 낚싯바늘의 바늘 끝이 특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리그는, 낚싯바늘부와 추부를 분리 또한 끼워 맞춤 가능하게 구성한 낚시용 리그이며, 상기 낚싯바늘부는, 낚싯바늘과, 상기 낚싯바늘의 근원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낚싯줄이 장착되는 낚싯줄 장착부를 갖고, 상기 추부는, 낚싯줄이 통과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보유 지지부를 끼워 맞춤 수용하는 끼워 맞춤 수용부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부와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는, 상기 보유 지지부가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에 끼워 맞춤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항상 소정의 끼워 맞춤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는 낚싯바늘부를, 낚싯바늘의 바늘 끝이 특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끌어당겨 추부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해저에 착상한 상태에 있어서, 낚싯바늘이 항상 물고기를 후킹하기 쉬운 상향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미끼만 먹힌 후에도, 낚시꾼이 일일이 추부와 낚싯바늘부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가 갖는 추부(2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가 갖는 추부(20)의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가 해저에 착상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의 낚싯바늘부(30)가 추부(20)로부터 빠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의 낚싯바늘부(30)가 추부(20)에 수중에서 수용되어 일체화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의 외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의 외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설명하는 「보유 지지부와 끼워 맞춤 수용부는, 보유 지지부가 끼워 맞춤 수용부에 끼워 맞춤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항상 소정의 끼워 맞춤 상태로 된다」라 함은, 추부의 저부를 수평면에 적재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부를 끼워 맞춤 수용부에 수용한 경우, 도 4, 도 7,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항상, 낚싯바늘의 바늘 끝이,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리그(10)의 외관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그(10)는, 일반적으로 「텐야」라고 불리는 종류의 리그이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부(20)와, 당해 추부(20)와 분리, 또한 일체화가 가능한 낚싯바늘부(30)를 구비한다. 도 1은, 낚싯바늘부(30)가 추부(20)로부터 분리되어 빠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리그(10)는, 낚싯대로부터의 낚싯줄이,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추부(20)를 통해 낚싯바늘부(30)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낚싯줄은, 도 1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으로 권취된다. 이하, 이 낚싯줄이 권취되는 방향(도 1의 좌측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인 낚싯바늘부(30)가 위치하는 방향(도 1의 우측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추부(2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반타원 기둥 형상을 갖고, 전방의 면이 후방 방향으로 경사짐과 함께 후방의 면이 전방 방향으로 경사지고, 추부(20)의 저부는, 대략 평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추부(20)는, 측면에서 보아, 상저보다 하저의 쪽이 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이에 의해, 추부(20)의 무게 중심은 저면 측에 편위되어 있어, 착수하였을 때에는, 도 4∼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이 해저면 상에 위치하는 형태로 되기 쉬워진다. 추부(20)의 전방의 면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10°이고, 후방의 면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40°이다. 이와 같이, 추부(20)는 후방의 면(즉, 낚싯바늘부(30)가 수용되는 면)의 경사 각도의 쪽이, 전방의 면의 경사 각도보다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부(20)는, 납, 납 합금, 텅스텐, 또는 텅스텐 합금 등의 비중이 큰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부(2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낚싯줄이 통과되는 관통 구멍(22)과, 이 관통 구멍(22)의 후방의 면 측의 단부의 연직 방향 하방에 설치된 끼워 맞춤 수용부(24)를 갖는다. 관통 구멍(22)은,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 부재(22a)에 의해 획정되어 있고, 추부(20)의 전방의 면의 대략 상단부 부분으로부터(도 2를 참조), 후방의 면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추부(20)를 관통하고 있다. 즉, 관통 구멍(22)은, 추부(20)의 상측 부분을 관통하고(측면에서 보아 무게 중심보다 상방 측을 관통함), 전방의 면 측의 단부의 위치보다 후방의 면 측의 단부의 위치의 쪽이 낮고, 추부(20)의 평탄 형상의 저부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 각도(예를 들어, 20°)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가령, 추부(20)가, 그 저면 이외의 면을 아래로 하여 해저에 착상하고 있었다고 해도, 낚시꾼이 낚싯줄을 당김으로써, 이른바 기립 동작이 발생하여, 저면을 아래로 한 방향의 자세로 바꿀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22)은, 추부(20)의 전방의 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고 있고, 추부(20)의 후방의 면에 있어서는, 통 형상 부재(22a)의 단부의 일부(상측 부분)가 돌출되고, 이 통 형상 부재(22a)의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이, 추부(20)를 형성하는 재료에 의해 덮여 있다.
끼워 맞춤 수용부(24)는, 후방의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구멍)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는,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종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끼워 맞춤 수용부(24)가 오목하게 들어가는 방향은, 추부(20)의 평탄 형상의 저부에 대해 대략 평행하다. 따라서, 상술한 관통 구멍(22)은,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대해서도 상술한 경사 각도를 갖고 있다. 또한, 끼워 맞춤 수용부(24)는, 추부(20)의 무게 중심 위치 부근, 또는 무게 중심보다 하측에 형성하고 있다.
낚싯바늘부(30)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낚싯바늘로서 구성되는 낚싯바늘(32)과, 이 낚싯바늘(32)의 근원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4)를 갖는다. 보유 지지부(34)는, 2개의 대략 입방체가 계단 형상으로 결합된 형상을 갖는 전방부(34a)와, 이 전방부(34a)의 후방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후방부(34b)를 갖는다. 보유 지지부(34)는, 추부(2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납, 납 합금, 텅스텐, 또는 텅스텐 합금 등의 비중이 큰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유 지지부(34)의 전방부(34a)는, 전방보다 후방의 쪽이 한층 높은(상방에 위치하는) 계단 형상의 형상을 갖고, 2개의 대략 입방체를 결합하는 부분의 상하 양측이 각각 경사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 경사면에는, 각각 링 형상의 제1 장착부(36)(낚싯바늘 장착부(36)) 및 제2 장착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장착부(36)는, 관통 구멍(22)을 통과하는 낚싯줄을 장착하기 위한 낚싯줄 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하측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장착부(38)는 인조 미끼가 되는 넥타이, 스커트, 혹은 어시스트 바늘 등을 장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여기서, 보유 지지부(34)의 전방부(34a)의 전방 측의 부분(계단 형상의 형상을 구성하는 전방 측의 대략 입방체에 상당하는 부분)은, 추부(20)의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대해 끼워 맞춤된다. 따라서, 전방부(34a)의 전방 측의 부분의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종단면의 크기는, 끼워 맞춤 수용부(24)의 상기 종단면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약간 작다. 또한, 보유 지지부(34)의 전방부(34a)는,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보유 지지부(34)의 후방부(34b)는, 원통 형상의 내측의 중공 부분에 낚싯바늘(32)의 근원이 삽입 및 접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후방부(34b)는 낚싯바늘(32)의 근원을 보유 지지하고 있다. 또한, 낚싯바늘(32)은, 바늘 끝(40)이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도록 보유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낚싯줄이 장착되는 상술한 제1 장착부(36)는, 보유 지지부(34)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제1 장착부(36)는 낚싯바늘(32)의 축에 대해 바늘 끝(40)이 위치하는 측과 동일한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34b)는, 외주면의 전방부(34a) 측에 오목 홈(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 홈은, 스커트 등의 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낚시용 리그(10)가 사용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낚시용 리그(10)가 수중에 투입되어 해저에 착상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낚시용 리그(10)를 수중에 투입하기 전에, 낚시꾼은, 낚싯대로부터의 낚싯줄(L)을 추부(20)의 관통 구멍(22)에 통과시켜 낚싯바늘부(30)의 제1 장착부(36)에 장착한다. 그 후, 낚싯줄(L)을 권취 방향으로 당기면서, 낚싯바늘부(30)의 보유 지지부(34)(전방부(34a))를 추부(20)의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수용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미끼가 낚싯바늘(32)에 장착된 리그(10)가 수중에 투입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부(20)의 평탄 형상의 저부가 하향으로 되도록 해저에 착상하고, 낚싯바늘(32)의 바늘 끝(40)은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낚싯줄(L)이 통과되는 관통 구멍(22)은, 추부(20)의 상측 부분을 관통하고 있으므로(추부(20)의 무게 중심이 관통 구멍(22)보다 하방에 위치하므로), 리그(10)가 수중에 투입되었을 때, 추부(20)의 저부가 하향으로 되기 쉽다.
여기서, 낚싯바늘(32)에 부착된 미끼를 물고기가 물면, 낚싯바늘부(30)에 낚싯줄(L)의 권취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 결과, 낚싯바늘부(30)가 추부(20)로부터 분리되어 빠진다(도 5). 추부(20)로부터 빠져 유동하는 낚싯바늘부(30)는, 그 움직임이 추부(20)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므로, 낚싯바늘(32)에 물고기가 후킹되기 쉬워진다.
도 6은, 추부(20)로부터 빠져 있는 낚싯바늘부(30)가, 낚시꾼의 낚싯대 등의 조작에 의해, 수중에서, 추부(20)에 대해 다시 끼워 맞춤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낚싯대 등의 조작에 의해 낚싯줄(L)이 권취 방향으로 당겨지면, 낚싯바늘부(30)의 제1 장착부(36)는 추부(20)의 후방의 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22)의 단부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화살표 A1). 추부(20)의 끼워 맞춤 수용부(24)는 관통 구멍(22)의 단부의 연직 방향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제1 장착부(36)는 보유 지지부(34)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보유 지지부(34)의 전방부(34a)는, 제1 장착부(36)의 연직 방향 하방에 위치함), 제1 장착부(36)가 관통 구멍(22)의 단부에 끌어당겨짐에 따라서, 보유 지지부(34)의 전방부(34a)는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근접한다. 그리고, 보유 지지부(34)의 전방부(34a)가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도달하면, 낚싯바늘부(30)는 낚싯바늘(32)이 기립하는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고, 그 후, 보유 지지부(34)의 전방부(34a)가 추부(20)의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수용된다(화살표 A2). 여기서, 보유 지지부(34)의 전방부(34a)는,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수용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싯바늘부(30)가 추부(20)로부터 빠진 상태로 되었지만, 물고기가 후킹되지 않은 경우에는, 낚시꾼은, 낚싯바늘부(30)를 추부(20)에 다시 끼워 맞춤 수용시킬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리그(10)는, 낚싯대 등의 조작에 의해, 낚싯바늘(32)의 바늘 끝(40)이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도록, 낚싯바늘부(30)를 추부(20)에 끼워 맞춤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일일이 낚시꾼의 손끝까지 인상하지 않아도, 낚싯바늘의 바늘 끝은 추부(20)에 대해 항상 소정의 방향인 상향으로 끼워 맞춤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수중에서의 낚싯바늘부(30)의 추부(20)에의 끼워 맞춤 수용을 더욱 용이한 것으로 하기 위해, 리그(10)에, 또 다른 변경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장착부(36) 및 낚싯바늘(32)의 바늘 끝(40)이 연직 방향 상방으로 위치하는 자세를 유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낚싯바늘부(30)의 보유 지지부(34)를, 상측(제1 장착부(36)가 설치되어 있는 측)보다 하측의 쪽이 무거워지도록, 즉, 무게 중심 위치를 하측에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보유 지지부(34)를, 단면 사다리꼴, 단면 반원형, 단면 반타원형 등, 상측 부분보다 하측 부분의 쪽이 체적이 큰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고, 하측 부분을, 상측 부분의 재료보다 비중이 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추부(20)의 끼워 맞춤 수용부(24)(오목부의 바닥)에 제1 자석을 설치하고, 이 제1 자석과 서로 끌어당기도록, 낚싯바늘부(30)의 보유 지지부(34)(전방부(34a)의 전방 단부)에 제2 자석을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및 제2 자석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낚싯바늘부(30)의 추부(20)에의 끼워 맞춤 수용이 더욱 용이해진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추부(20)의 끼워 맞춤 수용부(24) 및 낚싯바늘부(30)의 보유 지지부(34)(전방부(34a))의 종단면의 형상을 대략 정사각형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대략 직사각형, 임의의 다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종단면으로 해도 된다. 또한, 어느 형상으로 하는 경우라도, 보유 지지부(34)(전방부(34a))의 전방 단부를 테이퍼 형상(구상을 포함함) 등으로 함으로써, 보유 지지부(34)가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수용되기 쉬워진다.
또한, 낚싯바늘부(30)가 추부(20)로부터 의도치 않게 빠져 버리는(예를 들어, 리그(10)를 수중에 투입하였을 때에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보유 지지부(34)(전방부(34a))에 끼워 맞춤 수용부(24)와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부재(예를 들어, 고무제의 O링 등)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우측이 리그 전체의 측면 단면도, 좌측이 A-A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관통 구멍(22)의 단부와 끼워 맞춤 수용부(24)의 일부가 세로 구멍(37)에 의해 연통되고, 당해 세로 구멍(37) 내에, 낚싯바늘 장착부(36)의 링부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점이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낚싯바늘 장착부(36)의 링부가 세로 구멍(37) 내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낚싯바늘의 바늘 끝 방향을 항상 상향 상태로 되도록 규제하여, 보유 지지부(34)를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끼워 맞출 수 있다. 도 7의 끼워 맞춤 수용부(24), 보유 지지부(34)의 형상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끼워 맞춤 수용부(24), 보유 지지부(34)의 형상을 단순한 원통 형상이나 원뿔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잡하고 특별한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제1, 제2 실시 형태는, 관통 구멍(22), 낚싯줄 장착부(36), 끼워 맞춤 수용부(24)의 상호 위치 관계나 세로 구멍(37)의 형성에 의해, 보유 지지부(34)가 항상 소정의 끼워 맞춤 상태, 즉, 낚싯바늘의 바늘 끝이 상향으로 되도록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끼워 맞춤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들 이외의 수단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우측이 리그 전체의 측면 단면도, 좌측이 B-B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실시 형태가 제1,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관통 구멍(22)과 끼워 맞춤 수용부(24)가, 하나의 축선 상에 연통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추부(20)로부터 분리되어 빠진 상태의 낚싯바늘부(30)를, 다시 추부(30)의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수용할 때, 항상 소정의 끼워 맞춤 상태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끼워 맞춤 수용부(24) 및 보유 지지부(34)의 단면을, 반타원형 형상으로 하고, 또한 끼워 맞춤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표면에 테이퍼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단면을 상기한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은, 추부(20)로부터 분리되어 빠진 상태의 낚싯바늘부(30)를 끌어당길 때, 낚싯바늘이 걸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즉, 단면 반원형, 단면 반타원형으로 하면, 평탄한 저면측이 해저면을 향하게 하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낚싯바늘을 당해 저면과 반대 방향으로 고정해 두면, 낚싯바늘의 걸림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이지만,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 계란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추부(20)의 형상은, 제1,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그 저면 이외의 면을 아래로 하여 해저에 착상하고 있었다고 해도, 낚시꾼이 낚싯줄을 잡아당김으로써, 이른바 기립 동작이 발생하여, 저면을 아래로 한 방향의 자세로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통 구멍(22)은 추부(30)의 무게 중심보다 상방 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부(20)의 상기 관통 구멍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 반원 형상, 또는 반타원 형상이어도 되고, 혹은 원호 부분이 해저에 접하는 부채형이어도 된다. 부채형으로 하는 경우, 그 중심각은, 60∼15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시용 리그(10)는, 낚싯바늘(32)과, 낚싯바늘(32)의 근원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4)와, 낚싯줄이 장착되는 낚싯줄 장착부를 갖는 낚싯바늘부(30), 및 낚싯줄이 통과되는 관통 구멍(22)과, 낚싯바늘부(30)의 보유 지지부(34)를 끼워 맞춤 수용하는 끼워 맞춤 수용부(24)를 갖는 추부(20)를 구비하고, 보유 지지부(34)와 끼워 맞춤 수용부(24)는, 보유 지지부(34)가 끼워 맞춤 수용부(24)에 끼워 맞춤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항상 소정의 끼워 맞춤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낚싯바늘부(30)가 추부(20)로부터 분리되어 빠진 후, 다시 일체화할 때, 항상 낚싯바늘의 바늘 끝이 소정의 방향(상향)을 향한 상태로 일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인조 미끼를 사용하는 리그에 유리하지만, 생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미끼만 먹힌 상태에서 낚싯바늘을 끌어올렸을 때, 추부와 낚싯바늘부가 항상 원하는 관계로 되어 있으므로, 낚시꾼이 추부에 대해 일일이 낚싯바늘부의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0 : 낚시용 리그
20 : 추부
22 : 관통 구멍
24 : 끼워 맞춤 수용부
30 : 낚싯바늘부
32 : 낚싯바늘
34 : 보유 지지부
36 : 제1 장착부
37 : 세로 구멍
40 : 바늘 끝

Claims (19)

  1. 낚싯바늘부와 추부를 분리 또한 끼워 맞춤 가능한 낚시용 리그이며,
    상기 낚싯바늘부는, 낚싯바늘과, 상기 낚싯바늘의 근원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낚싯줄이 장착되는 낚싯줄 장착부를 갖고, 상기 추부는, 낚싯줄이 통과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보유 지지부를 끼워 맞춤 수용하는 끼워 맞춤 수용부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부와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는, 상기 보유 지지부가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에 끼워 맞춤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항상 소정의 끼워 맞춤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평탄 형상의 저면을 갖고, 그 무게 중심은 상기 저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상기 관통 구멍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 반원 형상, 또는 반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는, 상기 관통 구멍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 보아 부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형의 중심각은, 60∼1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추부의 무게 중심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추부의 무게 중심 위치 부근 또는 무게 중심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추부의 상기 관통 구멍 하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장착부는, 상기 보유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낚싯바늘의 축에 대해 바늘 끝이 위치하는 측과 동일한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낚싯바늘 측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는, 상기 볼록부를 끼워 맞춤 수용하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관통 구멍의 관통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추부의 상기 저면에 대해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추부의 상기 저면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의 무게 중심은, 상기 낚싯줄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에 대해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는, 상기 관통 구멍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한쪽 출구 측에 있어서 세로 구멍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낚싯줄 장착부는, 상기 보유 지지부가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에 끼워 맞춤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 구멍에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과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는, 상기 추부 내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 및 상기 보유 지지부의 단면은, 끼워 맞춤되었을 때에 소정의 관계로 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 및 상기 보유 지지부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 반원 형상, 반타원 형상, 또는 계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1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수용부에는, 제1 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유 지지부에는, 상기 제1 자석과 서로 끌어당기는 제2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리그.
KR1020160080115A 2015-06-30 2016-06-27 낚시용 리그 KR102620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0975 2015-06-30
JPJP-P-2015-130975 2015-06-30
JP2016072943A JP6534360B2 (ja) 2015-06-30 2016-03-31 釣用の仕掛け
JPJP-P-2016-072943 201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24A true KR20170003424A (ko) 2017-01-09
KR102620407B1 KR102620407B1 (ko) 2024-01-03

Family

ID=5772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115A KR102620407B1 (ko) 2015-06-30 2016-06-27 낚시용 리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0407B1 (ko)
CN (1) CN10630564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81A (ko) * 2020-01-15 2021-07-23 서민지 낚시추
US20220400661A1 (en) * 2019-08-08 2022-12-22 George Plihal Lure apparatus for fishing and associated methods
KR102622676B1 (ko) * 2022-10-24 2024-01-08 함성국 지그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6981A (zh) * 2017-07-05 2017-12-15 刘强 一种钓鱼用钨合金汲头钩及其制作方法
JP6905943B2 (ja) * 2018-01-05 2021-07-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餌固定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275A (ja) * 1998-11-02 2000-05-23 Tackle House:Kk ジグヘッド
US7415793B1 (en) * 2007-03-12 2008-08-26 Terry Borchardt Fishing rig
JP2009095317A (ja) * 2007-10-19 2009-05-07 Komiyama:Kk 釣具用錘
JP2014193129A (ja) 2013-03-28 2014-10-09 Globeride Inc ジグヘッド、ジグヘッド用釣り針およびジグヘッド用錘
JP2014217289A (ja) 2013-05-02 2014-11-20 株式会社釣研 ルアー仕掛け
JP2015039352A (ja)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シマノ 疑似餌及びそのヘッド
JP2016149949A (ja) * 2015-02-16 2016-08-22 株式会社がまかつ 一つテンヤ仕掛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6704B1 (en) * 2008-06-11 2009-06-16 Ricardo Canales Fishing rig with a sinker lifter and a sinker weigh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275A (ja) * 1998-11-02 2000-05-23 Tackle House:Kk ジグヘッド
US7415793B1 (en) * 2007-03-12 2008-08-26 Terry Borchardt Fishing rig
JP2009095317A (ja) * 2007-10-19 2009-05-07 Komiyama:Kk 釣具用錘
JP2014193129A (ja) 2013-03-28 2014-10-09 Globeride Inc ジグヘッド、ジグヘッド用釣り針およびジグヘッド用錘
JP2014217289A (ja) 2013-05-02 2014-11-20 株式会社釣研 ルアー仕掛け
JP2015039352A (ja)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シマノ 疑似餌及びそのヘッド
JP2016149949A (ja) * 2015-02-16 2016-08-22 株式会社がまかつ 一つテンヤ仕掛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0661A1 (en) * 2019-08-08 2022-12-22 George Plihal Lure apparatus for fishing and associated methods
KR20210091981A (ko) * 2020-01-15 2021-07-23 서민지 낚시추
KR102622676B1 (ko) * 2022-10-24 2024-01-08 함성국 지그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05645B (zh) 2019-11-05
KR102620407B1 (ko) 2024-01-03
CN106305645A (zh)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424A (ko) 낚시용 리그
JP6534360B2 (ja) 釣用の仕掛け
AU2011231456B2 (en) Fishing lure
WO2015153941A1 (en)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10172339B2 (en) Fish hook and leader line holding device
US20120216443A1 (en) Combination sinker and bait stabilizer
JP2014158459A (ja) 頭足類捕獲用釣具
US8341872B2 (en) Magnetic slip bobber
JP2015192607A (ja) テンヤ
US20190082666A1 (en) Ballyhoo/Bait Fish Trolling Hood
JP2019106892A (ja) ジグヘッド付ルアー及びジグヘッド
JP3210806U (ja) ルアー
JP4828660B2 (ja) ジグヘッド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US20090100740A1 (en) Triangular shaped cedar plug fishing lure and method
JP6137517B1 (ja) ジグヘッド
EP1880608B1 (en) Method feeder
JP2017158444A (ja) 魚釣り用のデッドベイトおよびその針保持器
JP5913716B1 (ja) 複合テンヤ
JP2007252263A (ja) 釣り用仕掛
JP4828252B2 (ja) ジグヘッド
JP2020061951A (ja) 潜行姿勢で沈降可能な擬餌
JP3209868U (ja) 釣り針
JP2012161299A (ja) 釣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