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465Y1 - 낚시대 유실방지구 - Google Patents

낚시대 유실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465Y1
KR200384465Y1 KR20-2005-0004613U KR20050004613U KR200384465Y1 KR 200384465 Y1 KR200384465 Y1 KR 200384465Y1 KR 20050004613 U KR20050004613 U KR 20050004613U KR 200384465 Y1 KR200384465 Y1 KR 200384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shing
loss
shaped support
separa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헌주
Original Assignee
조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헌주 filed Critical 조헌주
Priority to KR20-2005-0004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4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대의 손잡이 단부에 결합되어 물고기의 챔질로 인해 낚시대가 물속으로 들어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낚시대 유실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통공이 형성된 Y자형 지지대에 거치되는 낚시대의 손잡이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고리, 상기 체결고리와 일체로 되어 길게 연장되며 탄성이 부가된 연장끈, 상기 연장끈의 단부에 일체로 되며 상기 낚시대가 상기 Y자형 지지대의 통공에 걸려 낚시대가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일체로 성형되며, 고무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유실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사용도중 분실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사용가능하고, 커버를 금속소재로 하여 이탈방지부의 무게를 증가시켜 이탈방지부가 통공에 걸리는 것을 확실하게 하고, 야광 또는 축광소재로 하여 야간낚시시에 낚시대의 식별이 가능함으로써 낚시대의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시대 유실방지구{Fishing rod missing prevention device}
낚시를 하다 보면 자리를 비우거나 초보자의 경우 부주의로 물고기의 챔질에 의해 낚시대를 놓쳐 분실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낚시대 유실방지구의 일예는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 유실 방지구(1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103)과 상기 끈(103)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고리와, 낚시대(110)의 손잡이부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고리(101)와 상기 고리(101)를 고정하는 클립(102)과 상기 끈(103)의 타단부의 끈(103)의 매듭(105)에 의하여 체결된 이탈방지구(104)로 구성된다.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의 일측단부에는 클립고리가 결합되고 낚시대의 손잡이 단부에 체결되는 타측단부에는 Y자형 지지대의 통공에 걸리는 이탈방지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낚시대 유실 방지구(100)는 낚시대(110)가 물고기의 챔질에 의해 Y자형 지지대에 걸리게 되어 유실됨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으나, 오래 사용하면 매듭(105)이 손상되거나 풀어져 이탈방지구(104)와 끈(103)이 분리될 우려가 많고, 고리를 형성하는 클립(102)이 끈(103)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금속재질로 된 클립에 녹이 스는 등의 문제가 있어 낚시대 유실방지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일측 단부에 매듭(105)을 매어야 하며, 또한, 클립을 이용하여 고리(101)를 만들어야 하는 수작업이 많아 대량생산이 어렵고,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야간 낚시시에 물고기의 챔질을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어려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어 물고기를 놓쳐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수작업을 줄임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이고,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사용도중 분실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야간낚시시에 물고기의 챔질에 의한 움직임 및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며 낚시대의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유실방지구는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통공이 형성된 Y자형 지지대에 거치되는 낚시대의 손잡이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고리와, 상기 체결고리와 일체로 되어 길게 연장되며 탄성이 부가된 연장끈 및 상기 연장끈의 단부에 일체로 되며 상기 낚시대가 상기 Y자형 지지대의 통공에 걸려 낚시대가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일체로 성형되며, 고무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연장끈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탈방지부의 내측 외부를 감싸 밀착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금속재 또는 야간낚시시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야광 또는 축광소재로 된 합성수지에서 선택되는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70)는 낚시대(10)의 손잡이부(11)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고리(20)와, 상기 체결고리(20)와 일체로 되어 길게 연장된 연장끈(30) 및 상기 연장끈(30)의 단부에 일체로 되는 이탈방지부(4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70)의 체결고리(20)와 연장끈(30) 및 이탈방지부(40)는 고무재질로 되며, 일체로 성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낚시대 유실방지구(70)는 종래의 클립에 끈이 빠지거나 금속재의 클립이 녹이 스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며, 낚시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고리(20)는 낚시대(10)의 손잡이부(11)의 단부에 결합된 고리(12)에 체결되는 원형고리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연장끈(30)은 탄력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게 형성되어 일정길이를 갖으며, 상기 체결고리(20)와 이탈방지부(4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40)는 상기 연장끈(30)의 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낚시대가 거치되는 Y자형지지대(50)에 걸려 낚시대의 유실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연장끈(30)의 단부로부터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며, Y자형 지지대(50)의 통공(51)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40)는 고무재질로 되어있어 이 이탈방지부(40)가 Y자형 지지대(50)의 통공(51)에 자주 걸리게 되면 손상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연장끈(30)과 상기 이탈방지부(4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탈방지부(40)의 내측 외부를 감싸 밀착되는 커버(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6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고리(20)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이탈방지부(40)와 밀착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40)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고, 금속재 또는 야광 또는 축광소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금속재로 된 커버(60)를 이용하게 되면 이탈방지부(40)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낚시대가 물고기의 챔질에 의하여 끌려가게 될 때, Y자형 지지대(50)의 절개부(53)에 연장끈(30)이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이탈방지부(40)에 상기 커버(60)의 자중이 추가됨으로써 상기 Y자형 지지대(50)의 통공(51)에 반드시 걸리도록 하여 낚시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60)는 공지의 야광 또는 축광소재로 되어 야간 낚시시에 낚시대가 끌려가는 것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어 낚시대의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7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유실방지구(7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하여 낚시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에서와 같이, Y자형 지지대(50)의 낚시대 지지부(52) 위에 낚시대(10)의 손잡이부(11)가 거치되어 있고, 상기 낚시대의 손잡이부(11)의 단부에 결합된 고리(12)에 상기 체결고리(20)가 체결되게 되며, 상기 연장끈(30) 및 상기 이탈방지부(40)가 이 이탈방지부(40)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길게 늘어뜨려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챔질을 하게 되면, 도 5b에서와 같이, 낚시대(10)의 손잡이부(11)가 끌려가게 되고 Y자형 지지대(50)로부터 이탈된 낚시대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되며, 낚시대의 손잡이 단부에 결합된 상기 연장끈(30)이 낚시대 지지부(52)와 통공(51) 사이에 위치한 절개부(53)로 삽입되게 되며, 결국 상기 이탈방지부(40)가 상기 통공(51)에 걸리게 되어 낚시대(1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부(53)는 연장끈이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가질 정도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이탈방지부(40)의 내측 외주에는 링 삽입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 삽입부(41)에는 상기 커버(60)와 같은 역할을 하는 링(65)이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60) 대신에 링(65)을 사용하게 되면 가공이 용이하게 되며, 재료비를 줄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사용도중 분실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사용가능하고, 커버를 금속소재로 하여 이탈방지부의 무게를 증가시켜 이탈방지부가 통공에 걸리는 것을 확실하게 하고, 야광 또는 축광소재로 하여 야간낚시시에 낚시대의 식별이 가능함으로써 낚시대의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유실방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낚시대 11: 손잡이부
12: 고리 20: 체결고리
30: 연장끈 40: 이탈방지부
41: 링 삽입구 50: Y자형 지지대
51: 통공 52: 낚시대 지지부
53: 절개부 60: 커버
65: 링 70: 낚시대 유실방지구

Claims (3)

  1.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통공이 형성된 Y자형 지지대에 거치되는 낚시대의 손잡이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고리;
    상기 체결고리와 일체로 되어 길게 연장되며 탄성이 부가된 연장끈;
    상기 연장끈의 단부에 일체로 되며 상기 낚시대가 상기 Y자형 지지대의 통공에 걸려 낚시대가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가 일체로 성형되며, 고무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유실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끈의 단부에 위치한 상기 이탈방지부의 내측 외부를 감싸 밀착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금속재, 야간 낚시시에 낚시대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는 야광 또는 축광소재로 된 합성수지재에서 선택되는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유실방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내측 외주에 링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링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금속재, 야간 낚시시에 낚시대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는 야광 또는 축광소재로 된 합성수지재에서 선택되는 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유실방지구.
KR20-2005-0004613U 2005-02-21 2005-02-21 낚시대 유실방지구 KR200384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13U KR200384465Y1 (ko) 2005-02-21 2005-02-21 낚시대 유실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13U KR200384465Y1 (ko) 2005-02-21 2005-02-21 낚시대 유실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465Y1 true KR200384465Y1 (ko) 2005-05-16

Family

ID=4368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613U KR200384465Y1 (ko) 2005-02-21 2005-02-21 낚시대 유실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4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94B1 (ko) * 2010-04-27 2013-06-05 김철재 낚시대 이탈 방지용 걸림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594B1 (ko) * 2010-04-27 2013-06-05 김철재 낚시대 이탈 방지용 걸림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459B2 (en) Stem guide and replaceable cartridges
US5335443A (en) Weight for fish lure
US7797877B1 (en) Fixed and slip fishing apparatus for bobbers
US9480243B2 (en) Fishing lure jig
US4986023A (en) Line tie
US20210084877A1 (en) Fishing hook storag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384465Y1 (ko) 낚시대 유실방지구
EP1264542A2 (en) Angling rig device
US7246462B1 (en) Reusable device for release of caught fishing accessories
US20090113785A1 (en) Fish hook
KR20210000696U (ko) 도래와 바늘이 일체로 몰딩 성형된 갈치낚시 전용 바늘체
US2866290A (en) Snag fish hook extricator
US8646202B1 (en) Fishing device and method of attachment to a fishing line
US10034469B2 (en) Fishing lure retrieval apparatus and method
US2802293A (en) Hook protector
US2700244A (en) Fishhook guard
KR101043442B1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US20110283596A1 (en) Fishing Float Device for Ice Fishing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KR0153752B1 (ko) 낚시용 봉돌
JP3240373U (ja) 釣り用集魚部材結束具及び釣り用仕掛け
KR101196286B1 (ko) 목줄보관케이스
US9676451B1 (en) Bilge plug saver device
KR200376342Y1 (ko) 낚싯대용 목줄홀더
EP1629715A1 (en) A fishing l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