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752B1 -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봉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752B1
KR0153752B1 KR1019950013498A KR19950013498A KR0153752B1 KR 0153752 B1 KR0153752 B1 KR 0153752B1 KR 1019950013498 A KR1019950013498 A KR 1019950013498A KR 19950013498 A KR19950013498 A KR 19950013498A KR 0153752 B1 KR0153752 B1 KR 0153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buckle
neck
hol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146A (ko
Inventor
김삼랑
Original Assignee
김삼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랑 filed Critical 김삼랑
Priority to KR101995001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752B1/ko
Publication of KR96004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목적] 목줄을 교체하기가 용이하고, 또한 목줄이나 본줄이 끊겨서 이들이 사용불능에 처하더라도 회수해 재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연납제 본체(10)에 축중심을 관통하는 라이너공(12)을 형성하고, 이 라이너공(12)에는 라이너(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며, 위 아래에 본줄고리(32)와 목줄고리(34)를 갖고 한쪽 가닥의 하반부 일부를 틔워 목줄출입구(36)로 한 버클(30)을 본줄고리(32)는 본체(10) 위로 솟아 버클의 밑빠짐이 저지되고 목줄고리(34)는 라이너공(12)의 밑언저리에 걸려 버클의 윗빠징이 저지되도록 라이너(20)에 끼우며, 본체(10)위로 솟구친 버클(30)의 본줄고리(32)와 그 이하 부분에 탄성관제 캡(40)을 씌운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봉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봉돌의 분해도.
제2도는 동 봉돌 조립체의 종단정면도로서, 낚시 본줄과 목줄의 연결상태가 가상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목줄을 교체하기 위하여 버클을 내려뜨린 경우의 단면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봉돌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라이너공
14 : 윗언저리 16 : 밑언저리
20 : 라이너 22 : 스톱핀공
30 : 버클 32 : 본줄고리
34 : 목줄고리 36 : 목줄출입구
38 : 윗가닥 38a : 스토핀
40 : 캡
본 발명은 낚시용 봉돌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목줄을 교체하기가 용이 하고, 또한 목줄이나 본줄이 끊겨서 이들이 사용불능에 처하더라도 회수해 재사용 할 수 있게 한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봉돌은 아무래도 납을 소재로 한 납봉돌이 단연 으뜸간다.
납봉돌은 소재자체가 가공이 용이한 연납으로 되어 있어서 찌의 부력을 조절할 때 봉돌의 무게 조절작업이 수월하다. 이러한 납봉돌은 중심선상에 본줄 또는 목줄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뚫린 구멍봉돌과, 길이방향 전반에 걸쳐서 줄삽입용 줄홈이 형성된 계란형 봉돌로 대별된다.
이러한 봉돌에는 대개 낚시바늘이 매달린 목줄을 끼우거나 끼운채로 집어물려서 낚시대에 매단 본줄에 목줄의 상단을 연결하여 물고기를 낚을 채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납봉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민물낚시의 경우 대개 목줄을 끼우고 집게로 집어 목줄을 물린다.
그런데 낚시를 즐기는 도중에 의도적이든 아니든간에 봉돌은 그대로인채 목줄 또는 본줄을 교체할 필요가 생기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낚을 어종을 바꾼다든지, 어획코자 하는 물고기의 크기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 또 억센 수초나 수중 장애물에 바늘이 걸려서 어설프게 당기는 바람에 바늘이 펴졌거나 부러졌거나 목줄이 끊겼을 때, 혹은 예상밖의 큰 물고기가 낚시에 걸려서 물고기와의 승부를 겨루다가 지는 바람에 목줄이 끊어진 경우등에는 목줄을, 본줄이 끊어졌으나 목줄만은 온전한 경우에는 목줄은 다시 쓰고 본줄만 다시 매서 사용하는 것 등이다.
일단 목줄이 물려진 봉돌은 목줄이 재사용가능한 경우에는 그 봉돌도 그 목줄과 함께 사용을 계속할 수가 있다. 그러나 낚시바늘이나 목줄이 사용불능 상태에 빠지면 봉돌을 분리하는 것이 별로 의미없는 일이므로 대개의 경우 그 봉돌도 못쓰게 된 목줄과 함께 버리는 것이 보통이다. 목줄이나 본줄에 물리지 아니한 구멍봉돌의 경우는 사정이 조금 다르긴 하지만 이것도 목줄이나 본줄을 물고 있을 때에는 그 결과는 마찬가지다.
이와같이 봉돌까지 못쓰게 된 목줄과 함께 폐기하는 것은 봉돌을 잃어버리는 꼴이므로 손실이 아닐 수 없고, 수질오염에 토양오염 문제까지 일으키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또, 합사제 목줄에 나일론사제 본줄, 또는 그 반대인 경우, 혹은 양줄 모두 합사이거나 나일론사이거나를 막론하고 봉돌이 목줄 또는 본줄 등 어느 쪽을 물고 있든 간에 본줄에 목줄을 엮어매고 엮어맨 것을 풀기가 간단치 못했다.
또한, 본줄과 목줄과의 연결부분이 노출되어 있어서 물, 수중지면, 장애물과의 접촉등 외부물체와의 마찰을 일으키기 쉽고, 이 때문에 연결부가 상하고 심하면 끊어져서 다시 고쳐 매야하는 불편도 큰 문제중 하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줄이 사용불능 상태에 빠지더라도 간단히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줄에 대한 목줄의 잇기 및 목줄풀기 작업이 수월한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시대에 묶지 않는 본줄의 자유단과 낚시바늘이 매달리지 않는 목줄의 자유단, 즉 각 줄이 서로 이어지는 연결부분을 숨겨서 타물체와의 접촉기회를 배제함으로써 본줄과 목줄의 연결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철저히 보호할 수 있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납을 주재로 한 봉돌 본체를 구멍봉돌 형태로 하되 그 구멍을 라이너공으로써 횡단면이 타원형이게 형성하고, 이 라이너공에는 그 횡단면의 모양을 본뜨고 또한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제 라이너를 삽입하여 버클이 라이너공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라이너공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며, 한편으론 버클이 라이너공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때 그것을 안내하는 봉돌을 제공한다.
의도적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라이너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변경이 가능한 버클에는 본줄을 얽어매는 윗고리와 목줄을 손쉽게 끼워걸고 또한 빼낼 수 있게 한쪽 줄기의 하반부 일부를 틔운 목줄 축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슬리브에 헐겁지만 탄력적으로 끼워서 멋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안정시킬 수 있는 봉돌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버클의 윗고리와 여기에 맨 본줄의 연결부분에 캡을 씌워서 보호할 수 있고, 버클에 있어서 윗고리와 본체의 상면 사이 부분에는 캡의 목부를 끼워서 버클이 라이너를 타고 윗고리쪽으로 함부로 유동하지 못하게 저지한다. 그래서 본줄과 목줄을 연결한 부분이 정상 위치가 되는 본체와 라이너가 제위치에서 안정되고, 목줄을 걸고 라이너속으로 숨어 목줄을 잠그게 되는 버클의 목줄출입구도 봉쇄상태를 유지하여 목줄출입구의 무단하강으로 인하여 목줄이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봉돌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은 본체(10)와 라이너(20), 버클(30)과 캡(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는 연납 등의 중량체로서, 전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유체의 저항을 덜 받는 형상, 예를들면 구상, 타원구상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장축선상에 형성된 라이너공(12)은 타원공의 형태를 띄고 있다. 이것은 이후 설명하는 버클이 강선을 소재로 하여 일측이 열린 장타원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랙형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안내하는 라이너 역시 버클안내용 부재로서 적합한 타원관, 장방형관, 또는 기타 적절한 형상의 관으로 형성되는데 기인한다.
라이너공(12)의 위 아래 언저리(14,16)는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이렇게 오목한 언저리(14,16)는 라이너공(12)에 라이너를 삽입한 후 라이너가 꼼짝달싹 못하게 가두기 위해 고정시켰을 때 그 고정부가 본체(10) 밖으로 노정되지 않도록 숨기는데 필요하다.
라이너(20)는 상기 라이너공(12)에 삽입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버클과의 접촉이 빈번한 점을 고려하여 라이너공(12)을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내식성이 우수하고 강도도 높은 금속관(예를들면 스테인레스강관)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라이너(20)는 적어도 상기 라이너공(12) 보다 짧게하던지 아니면 라이너공(12)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라이너공(12)에 삽입한 후에 언저리(14,16)의 오무림 또는 라이너(20)의 단부에 대한 벌징가공 등의 간편한 방법을 통하여 쉽게 그리고 맵씨좋게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버클(30)은 내식성을 가진 강선을 소재로 하여 본줄고리(32)와 목줄고리(34)를 갖고, 또한 옆가지의 하반부 일부를 틔워서 형성한 목줄출입구(36)가 구성되어 있다. 본줄고리(32)와 목줄고리(34)의 외경은 상기 라이너(20)의 장축보다도 크게 형성한다. 이 버클(30)이 라이너(20)에 끼웠을 때 본줄고리(32)에 의해서는 버클(30)의 밑빠짐이 그리고 목줄고리(34)에 의하여는 버클(30)의 윗빠짐이 각각 저지된다. 또 목줄출입구(36)는 버클(30)을 윗쪽으로 최대한 당기면 라이너(20) 속으로 기어들어가 숨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와같이 목줄출입구(36)를 부여함으로써 목줄고리(34)에 건 목줄이 봉돌로 부터 함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캡(40)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또는 유연성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한다.
캡(40)이 탄성을 지녀야 하는 이유는 조립후 본체(10) 위로 드러나는 버클(30)의 윗고리 부분과 그 아래 부분을 탄력적으로 협지하여 버클(30)의 밑빠짐을 저지하는 동시에 본줄고리(32)에 묶인 본줄의 연결부분을 가려서 보호하는 임무를 띄었기 때문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상기 본체(10)와 라이너(20) 그리고 버클(30)과 캡(40)을 조립한 봉돌 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체(10)의 라이너공(12)에 끼워진 라이너(20)의 상하 연부는 라이너공(12)의 언저리(14,16)에서 벌징가공되어 위 아래 어느 쪽으로 유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라이너(20)에는 버클(30)이 끼워진 가운데 목줄출입구(36)는 라이너(20)의 하반부내에서 봉쇄되고, 목줄고리(34)는 라이너(20)의 밑둘레에 윗걸림되어 그 이상 높이로 올라 갈 수 없다. 또 본체(10)위로 솟구친 본줄고리(32)와 그 아랫부분에는 캡(40)이 씌워져 있다. 이 캡(40)은 중앙이 상하로 관통되며, 본줄고리(32)에 씌워지는 고리삽입부분(42a)이 블록하게 형성되고, 그 하부에 본줄고기(32)의 직하부가 씌워지는 하부목부분(42b)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낚시본줄(50)이 통과하는 상부목부분(4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캡(40)의 하단은 라이너(20)의 상단둘레 및 본체(10)의 윗언저리(14)에 밀착된다. 이러한 캡(40)의 부위별 변화는 탄성을 지니기 때문에 가능하며, 일단 이렇게 씌워지고 나면 버클(30)에서 캡(40)이 멋대로 벗겨지는 일은 없으므로 버클(30)의 조립자세, 즉 목줄고리(34)에 목줄(51)을 걸어 잠그고 또한 본줄고리(32)에 맨 본줄(50)의 묶음부분을 가려서 보호하는 자세를 견지하게 된다. 제4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캡(40)을 본줄고리(32)로부터 위로 벗겨내고 본체(10)를 버클(30)의 상부로 올려 본체(10)의 밑언저리(16) 아래로 목줄출입구(36)를 노출시켜서 목줄(51)을 교체할 수 있게 조작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 하부로 노출된 목줄출입구(36)를 통하여 헌 목줄을 빼내고 새로운 목줄을 건 다음에 본체(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다시 캡(40)을 본줄고리(32)에 덮어씌우면 버클(30)은 제2도와 같은 모습으로 복귀한다. 그래서 목줄고리(34)에 꿴 목줄은 목줄출입구(36)가 라이너(20)속에 숨어들어 잠기므로 고리걸림 상태가 안전해진다.
그리고, 윗고리(32)에 묶인 본줄의 매듭은 캡(40)의 상반부내로 잠입되므로 낚시를 즐기는 도중에 목줄이 상기 매듭에 걸림으로써 겪었던 불편도 사라지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두드러진 점은 라이너(20)와 버클(30) 사이에 록크수단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목줄출입구(36)의 줄기와 마주보는 쪽 라이너공(12) 부분에 형성한 홈(18)과, 목줄출입구(36)의 윗줄기(38)의 하단을 상기 홈(18)쪽으로 절곡하여 이룬 스톱핀(38a), 그리고 위로 가지껏 당겨올려진 버클(30)에서 상기 스톱핀(38a)이 위치하는 지점의 라이너(20)상에 스톱핀공(22)이 뚫려 있으며, 이 구성은 버클(30)을 당겨올려서 고정했을 때 스톱핀(38a)은 스톱핀공(22)을 지나 홈(18)에 이르러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스톱핀(38a)이 스톱핀공(22)에 끼어걸림에 따라 목줄을 걸어꿰 잠금상태가 한층 공고해진다. 상기 홈(18)은 스톱핀(38a)이 라이너(20)의 두께보다도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 필요한 것일 뿐 절대적인 요소는 아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은 목줄이 사용불능상태에 빠진 경우 목줄은 본체 아래로 버클을 밀어내려서 목줄출입구를 노출시키면 목줄을 간단히 교체할 수 있고, 또한 목줄과 본줄의 잇기작업 및 본줄에서 목줄의 분리작업이 대단히 편리하며, 또한 빗물림식 봉돌이므로 본줄과 목줄로부터 언제든 회수하여 재사용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은 본줄과 목줄의 연결부분이 봉돌속으로 숨길 수 있으므로 타물체와의 접촉기회가 완전배제되고, 이에따라 본줄과 목줄의 연결부분의 손상방지에도 이롭고, 매듭에 목줄이 걸려 엉키던 문제도 해소된다.

Claims (7)

  1. 연납등 중량체로 된 본체(10)에 축중심을 관통하는 라이너공(12)을 형성하고. 이 라이너공(12)에는 라이너(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며, 위 아래에 본줄고리(32)와 목줄고리(34)를 갖고 한쪽 가닥의 하반부 일부를 틔워 목줄출입구(36)로 한 버클(30)을 본줄고리(32)는 본체(10) 위로 솟아 버클의 윗빠짐이 저지되도록 라이너(20)에 끼우며, 본체(10)위로 솟구친 버클(30)의 본줄고리(32)와 그 이하부분에 탄성관제 캡(40)을 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2. 제1항에 있어서, 라이너공(12)이 타원공으로 된 낚시용 봉돌.
  3. 제1항에 있어서, 라이너(20)는 상기 라이너공(12)에 삽입가능한 형태로 하는 낚시용 봉돌.
  4. 제1항에 있어서, 라이너(20)와 버클(30) 사이에는 록크수단을 마련하여서 된 낚시용 봉돌.
  5. 제4항에 있어서, 록크수단은 라이너공(12)의 내벽 일측에 스톱핀용 홈(18)을 형성한 낚시용 봉돌.
  6. 제4항에 있어서, 록크수단은 라이너(20)에 스톱핀공(22)을 형성하여 된 낚시용 봉돌.
  7. 제4항에 있어서, 록크수단은 버클(30)의 목줄출입구(36)쪽 윗가닥(38)의 단부를 외향절곡하여 스톱핀(38a)으로 한 낚시용 봉돌.
KR1019950013498A 1995-05-26 1995-05-26 낚시용 봉돌 KR0153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498A KR0153752B1 (ko) 1995-05-26 1995-05-26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498A KR0153752B1 (ko) 1995-05-26 1995-05-26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146A KR960040146A (ko) 1996-12-17
KR0153752B1 true KR0153752B1 (ko) 1998-10-01

Family

ID=1941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498A KR0153752B1 (ko) 1995-05-26 1995-05-26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6863A (en) * 2016-04-01 2018-06-13 Cully Alan Fishing line connector
KR20220031473A (ko) * 2020-09-04 2022-03-11 서승완 민물낚시용 조립식 봉돌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696A (ko) 2017-07-11 2019-01-21 강훈이 식별 표지를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 및 낚시용 봉돌 인식 방법
KR102436202B1 (ko) * 2019-12-24 2022-09-08 신승호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6863A (en) * 2016-04-01 2018-06-13 Cully Alan Fishing line connector
GB2556863B (en) * 2016-04-01 2022-09-07 Cully Alan Fishing line connector
KR20220031473A (ko) * 2020-09-04 2022-03-11 서승완 민물낚시용 조립식 봉돌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146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347B2 (en) Fishing jigs and l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US4535562A (en) Device for attaching a hooked item for catching fish or the like to a line with a knot therein
KR102436202B1 (ko)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US5666760A (en) Fishing line lock
US4964236A (en) Fishing line slip sinker with quick attachment/detachment means
US20020139038A1 (en) Fishing line float
KR100702172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바늘
US5960579A (en) Fishing rig
US4598493A (en) Retrieving device for snagged fishing apparatus
KR0153752B1 (ko) 낚시용 봉돌
US4536984A (en) Retrieval device for fishing tackle
US5025587A (en) Fish stringer and retainer
US2754615A (en) Fishing line connector
CA1098312A (en) Fish catcher
US4307532A (en) Bait gripping leader
KR200409920Y1 (ko) 낚시채비
US2908991A (en) Bobber
KR19990022800A (ko) 낚시 바늘
KR200463878Y1 (ko) 소프트루어 이탈방지구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JP2000125733A (ja) 釣具における鉤素絡みつき防止具
GB2317800A (en) Angler's weight
GB2373982A (en) Fishing tackle device for releasably retaining a fishing weight
US11427290B2 (en) Anchor rescue system
KR102317753B1 (ko) 장어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