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069A -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 Google Patents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069A
KR20160084069A KR1020150000511A KR20150000511A KR20160084069A KR 20160084069 A KR20160084069 A KR 20160084069A KR 1020150000511 A KR1020150000511 A KR 1020150000511A KR 20150000511 A KR20150000511 A KR 20150000511A KR 20160084069 A KR20160084069 A KR 20160084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unit
adjusting
fishing
buoyancy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섭
Original Assignee
한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섭 filed Critical 한인섭
Priority to KR102015000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069A/ko
Publication of KR2016008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에 관한 것으로서, 시인성 확보를 위한 막대형의 찌톱부 및 찌톱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부력부 하부에 결합되고,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는 부력조정부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하부 중앙에 결합홈 및 결합홈으로부터 더 깊이를 갖는 작은 직경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중공의 자석관이 매입 설치되며, 상기 부력조정부는 일면 중앙에 암나사를 갖고, 암나사가 형성된 반대측에 낚시원줄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암나사에 일측이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관에 안내되어 부착되는 금속소재의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중앙이 관통되게 다수개 끼워져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기 위한 링형의 부력조절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하부 또는 찌톱부와 부력부의 중간에 부력조정부를 마련하되, 부력조정부는 강압적으로 잡아당기거나 다시 원위치로 꽂아 자력의 힘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기존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조립하였던 부력조절추의 부력조정보다 취급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하고, 또한 자석관을 이용한 방식으로 부력부로부터 찌톱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낚시상황에 따라 찌톱부를 교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찌톱부, 부력조절추의 미세조으로 예미한 입질을 파악하여 어종을 낚는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Buoyancy control stick float for sea fishing}
본 발명은 바다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바다낚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막대찌의 부력조절부분을 개선하여 막대찌 사용에 있어, 부력조절추를 용이하게 세팅하여 부력조절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력조절과 관련한 찌톱의 교체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파고에 따라, 낚고자 하는 어종의 취이에 따른 민감도에 대처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바다낚시는 다양한 장르가 있으며, 민물낚시와 더불어 대표적인 낚시가 찌낚시 위주로 이루어진다.
바다낚시용 찌는 구멍찌, 막대찌로 각기 부력 호수별로 나뉘어 사용되며, 이들은 파고에 따라 시인성에 따라 낚시인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게 사용하고 있다.
어신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본지와는 더불어 별도의 목줄찌, 수중찌를 사용하여 낚고자 하는 어종의 취이 습성이나 대류 및 파고영향에 따라 이들을 유효적절하게 오랜 경험을 토대로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바다낚시 중에서도 찌낚시는 비교적 릴과 낚싯대의 간단한 조합과는 달리 많은 찌와 더불어 보조적인 소품 및 소품을 다루기 위한 도구들을 지참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찌는 물고기의 입질을 알아낼 수 있는 어신찌인 낚시찌와 봉돌역활을 하면서 채비가 조류의 흐름을 잘 타도록 하기 위한 수중찌를 사용하는데 바다 상황에 따라 큰 음성부력을 가지는 수중찌를 이용할 때도 있고, 작은 음성부력의 수중찌 채비를 사용할 때도 있지만 예민한 입질을 파악하기 위해 항상 어신찌의 양성부력과 수중찌의 음성부력의 합이 0 또는 약간의 양성부력이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바다는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그때마다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부력조절이 필요로 하게 되며 자주 채비를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여러 상황에 맞는 찌를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찌 부력조절과 관련한 성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45069호(명칭: 부력조절이 가능한 2중부력 바다낚시찌와 수중찌, 등록일자: 2004년 03월 04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낚시찌는 바다낚시 중에서도 대체로 던질 찌낚시(투척낚시) 위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피면,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고정표시부(11)와 유동표시부(12)는 둥글고 큰 형태로 시인성을 높히면서 부력을 가지도록 설계하였으며, 유동표시부(12)는 상단고정표시부(11)와 주부력부(13)의 간격인 (a)만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입질에 의한 찌의 하강시에 자체 부력에 의해 항상 수면에 위치하며 찌의 하강운동에 부하를 주지 않고 상단고정표시부(11)와의 간격이 좁아져 보이게 되어 입질 파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낚시찌는 주부력부(13)과 보조부력부(14)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보조부력부의 하부에 마련된 몹체(16)로부터 일측에 홈이 있는 부력조절용나사(26)를 상기 몹체의 측부에서 찌 부력에 맞게 안내시키고 그 하부측에서 나사잠금너트(27)를 돌려 각 부력조절나사를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반대로는 상기 나사잠금너트를 풀어 각각의 부력조절용나사(26)를 분리해냄으로써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부력조절용나사(26)를 다수개 조합하여 몸체에 결합하는 구조는 그대로 별도의 수중찌(24)에 수중찌나사잠금너트(28)를 풀거나 체결하여 부력조절용나사(26)를 탈착함으로써, 낚시찌를 용이하게 부력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다낚시찌는 상기 부력조절용나사(26)들을 일일이 나사체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체결하는 과정에서 분실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부력조절용나사(26)들은 몹체(16)의 측편에서 끼워 체결한다는 장점은 있지만 안내시킨 상태에서 체결하기 쉽지 않고, 나사부분 가공은 적어도 2 내지 3mm정도로 체결되어야만 안정감이 있다는 점에서 무게추 조절역할로서 미세한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내포되어 있으며, 채비 투척과정에서 낚시도중 부력조절용나사(26)의 최하부측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잠금너트(27) 또는 수중찌(24)의 수중찌나사잠금너트(28) 풀림이 발생하면 상기 몹체(16)로부터 부력조절용나사(26)가 각각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바다낚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막대찌의 부력조절부분을 개선하여 막대찌 사용에 있어, 부력조절추를 용이하게 세팅하여 부력조절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력조절과 관련한 찌톱의 교체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파고에 따라, 낚고자 하는 어종의 취이에 따른 민감도에 대처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인성 확보를 위한 막대형의 찌톱부 및 찌톱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부력부 하부에 결합되고,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는 부력조정부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하부 중앙에 결합홈 및 결합홈으로부터 더 깊이를 갖는 작은 직경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중공의 자석관이 매입 설치되며, 상기 부력조정부는 일면 중앙에 암나사를 갖고, 암나사가 형성된 반대측에 낚시원줄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암나사에 일측이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관에 안내되어 부착되는 금속소재의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중앙이 관통되게 다수개 끼워져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기 위한 링형의 부력조절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는 찌톱부와 부력부로 나누어져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찌톱부의 저부에는 금속소재의 연결봉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부력부는 상부에 연결부재를 안내하여 자력으로 부착하는 자석관이 매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력조절추는 황동소재로 두께 0.5 내지 3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인성 확보를 위한 막대형의 찌톱부 및 찌톱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부력부 하부에 결합되고,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는 부력조정부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부 중앙에 결합홈 및 결합홈으로부터 더 깊이를 갖는 작은 직경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중공의 자석관이 매입 설치되며, 상기 찌톱부의 저부와 부력부사이에 부력조정부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부력조정부는 찌톱부의 저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석관에 안내되는 금속소재의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중앙이 관통되게 다수개 끼워져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기 위한 링형의 부력조절추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부의 저면에는 낚시원줄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연결구가 고정 설치되어 막대찌를 반자립형태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는 하부 또는 찌톱부와 부력부의 중간에 부력조정부를 마련하되, 부력조정부는 강압적으로 잡아당기거나 다시 원위치로 꽂아 자력의 힘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기존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조립하였던 부력조절추의 부력조정보다 취급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하고, 또한 자석관을 이용한 방식으로 부력부로부터 찌톱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낚시상황에 따라 찌톱부를 교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찌톱부, 부력조절추의 미세조으로 예미한 입질을 파악하여 어종을 낚는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바다낚시용 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바다낚시용 찌 및 수중찌의 부력조절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바다낚시용 막대찌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대찌의 부력조정부를 보여주는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부력조정부를 부력부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막대찌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찌톱부의 분리 및 조립상태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부를 막대찌의 길이방향에 설치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부력조정부를 통해 부력조정추를 결합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와 같은 형태로 막대찌를 반자립 형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다낚시용 찌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인성 확보를 위한 막대형의 찌톱부(110) 및 찌톱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부(120)를 갖는 몸체(101)와, 상기 부력부(120) 하부에 결합되고,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는 부력조정부(130)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100)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0)는 하부 중앙에 결합홈(121) 및 결합홈(121)으로부터 더 깊이를 갖는 작은 직경의 안내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21)에는 중공의 자석관(M1)이 매입 설치된다.
상기 부력조정부(130)는 일면 중앙에 암나사(132a)를 갖고, 암나사(132a)가 형성된 반대측에 낚시원줄(L)이 관통되는 통공(132b)이 형성된 연결구(132)와, 상기 연결구(132)의 암나사(132a)에 일측이 체결되는 수나사(134a)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관(M1)에 안내되어 부착되는 금속소재의 연결봉(134)과, 상기 연결봉(134)에 중앙이 관통되게 다수개 끼워져 부력부(120)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기 위한 링형의 부력조절추(W)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1)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부(110)와 부력부(120)로 나누어져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찌톱부(110)의 저부에는 금속소재의 연결봉부재(112)가 부착되고, 상기 부력부(130)는 상부에 연결봉부재(112)를 안내하여 자력으로 부착하는 자석관(M2)이 매입 설치된다.
상기 부력조절추(W)는 황동소재로 두께 0.5 내지 3mm로 이루어진다. 즉, 부력조절추의 두께가 갖는 무게를 미세하게 배치하여 미세한 부력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써, 첨부된 도 8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찌를 반자립 형태로 부력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100)에 있어, 상기 부력부(120)는 상부 중앙에 결합홈(121') 및 결합홈(121')으로부터 더 깊이를 갖는 작은 직경의 안내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21')에는 중공의 자석관(M3)이 매입 설치된다.
상기 찌톱부(110)의 저부와 부력부(120)사이에 부력조정부(130')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부력조정부(130')는 찌톱부(120)의 저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석관(M3)에 안내되는 금속소재의 연결봉(114)과, 상기 연결봉(114)에 중앙이 관통되게 다수개 끼워져 부력부(120)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기 위한 링형의 부력조절추(W)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력부(120)의 저면에는 낚시원줄(L1)이 관통되는 통공(140a)이 형성된 연결구(140)가 고정 설치되어 막대찌(100)를 반자립형태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력조절추(W) 또한 황동소재로 두께 0.5 내지 3mm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막대찌에 있어, 부력부는 각 구성요소의 결합을 위해 발사목 소재보다는 내구성이 있고, 무게를 갖고, 비중이 낮은 오동목으로 제작되도록 한다.
또한, 찌톱부(110)는 내부에 튜브형과 같이 중공으로 제작하되, 막대찌에 있어, 지톱부가 갖는 중공부분에 대한 잔존부력을 줄이기 위해 내부에는 외부 형광부분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백색실리콘이 주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바다낚시용 막대찌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찌낚시용 바다낚시는 릴낚시대와 릴, 바다낚시용 막대찌(100)를 포함한 바늘채비, 소형 봉돌 등을 갖추고, 크릴 및 갯지렁이 등과 같은 생미끼 위주로 낚시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바다낚시용 막대찌(100)의 부력조절은 통상적으로 자립형으로 사용하기 위해 부력조정부(130)에 세팅된 부력조절추(W)의 개수를 조정하여 조절한다.
이는 부력부(120)의 최하부에 위치한 연결구(132)를 강압적으로 잡아당기면, 연결구(132)의 암나사(132a)에 체결된 연결봉(134)은 부력부(120)의 결합홈(121)에 삽입 고정된 자석관(M1)으로부터 자력을 상실시키면서 이탈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134)에 부력조절추(W)를 각 호수별로 나누어 맞게 끼우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가감하여 막대찌(100)에 대한 부력을 조정하고, 다시 상기 연결봉(134)을 자석관(M1) 중앙으로 삽입시키면, 연결봉(134)의 단부는 자석관(M1)을 지나 부력부(120)의 안내홈(122)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자석관(M1)은 자력으로서 연결봉(134)을 강력하게 지지한 상태로 부력조절을 세팅할 수 된다.
이러한 부력조절은 기존 막대찌 채비에 있어, 각 나사를 돌려 체결하는 방식보다 편리하게 부력을 조정할 수 있고 사용과정에서도 부력조절추가 이탈하여 유실되는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채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던질 찌낚시를 행함에 있어, 채비를 투척시 낚시원줄(L)이 연결된 연결구(132)는 연결봉(134)의 수나사(134a)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134)은 부력부(120)에 삽입된 자석관(M1)의 자력으로서 투척 정도에는 빠지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이는 막대찌(100)의 투척시 원하는 비거리와 함께 예민한 찌 맞춤이 모두 가능하고, 부력조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력조절추(W)의 가감 정도만으로도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찌톱부(110)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찌톱부(110)의 하부에 마련된 연결봉부재(112)를 상기 부력부(120)의 상부에 매입한 자석관(M2)에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결합시키면, 상기 몸체(101)는 찌톱부(110)와 부력부(120)로 나누어져 분리가 가능하다.
이는 자석관(M2)에 연결봉부재(112)를 쉽게 잡아당기거나 삽입시켜 찌톱부(110)를 교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더 시인성이 확보된 찌톱부, 또는 길이가 길거나 짧은 찌톱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찌톱부가 갖는 자체 비중을 고려하여 찌의 예민성을 갖추어 낚시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막대찌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조정부를 몸체의 중간 즉, 찌톱부와 부력부 사이에 위치시킨 것으로,
상기 부력부(120)는 상부 중앙에 결합홈(121') 및 결합홈(121')으로부터 더 깊이를 갖는 작은 직경의 안내홈(122')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121')에는 중공의 자석관(M3)이 매입 설치한 구조로서, 이와 같은 형태는 부력조정부(130')을 찌톱부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몸체(101)중 찌톱부와 부력부가 구분되도록 분리시킨 상태에서 부력조정한다.
이는 찌톱부(120)를 잡아당기면, 찌톱부(120)의 저부에 부착된 연결봉(114)은 부력부(120)의 상부에 매입된 자석관(M3)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봉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부력조절추(W)를 끼워주며, 다시 연결봉(114)을 자석관(M3)에 삽입시켜 줌으로써, 부력부에 대한 찌톱부를 결합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부력조절추(W)는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수중에 막대찌(100)가 투척되어 잠긴 형태가 비스듬히 경사를 이룬 상태에 위치되도록 조정하여 반자립 형태로 만들어 준다.
참고로, 반자립형의 막대 찌는 자립과 비자립의 중간형태로 수면에 착수 후에 비스듬히 누워있는 형태에서 낚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특징은 자립과 반자립의 장단점을 각각 절반씩 갖고 있다.
따라서 수시로 변하는 바다의 조류상태 또는 어종의 취이 예민성 정도에 따라 찌에 대한 부력조정시 단순히 부력조정부(130')를 잡아당기거나 자석관(M3)으로 삽입시켜 합체시켜 부력조정하거나 또는 찌톱부(110)를 부력부(120)로부터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점은, 현장에서의 부력조절추(W)의 교체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부력조정한 막대 찌(100)의 예민성을 갖추어 줌으로써, 낚고자 하는 어종의 입질시 초보자라도 쉽게 어종의 입질을 파악 및 챔질이 가능하여 물고기를 낚는 즐거움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막대 찌 101: 몸체
110: 찌톱부 112: 연결봉부재
114,134: 연결봉 120: 부력부
121,121': 결합홈 122,122': 안내홈
130,130': 부력조정부 132a: 암나사
134a: 수나사 132, 140: 연결구
M1,M2,M3: 자석관 W: 부력조절추

Claims (5)

  1. 시인성 확보를 위한 막대형의 찌톱부(110) 및 찌톱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부(120)를 갖는 몸체(101)와, 상기 부력부(120) 하부에 결합되고,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는 부력조정부(130)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100)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0)는 하부 중앙에 결합홈(121) 및 결합홈(121)으로부터 더 깊이를 갖는 작은 직경의 안내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21)에는 중공의 자석관(M1)이 매입 설치되며,
    상기 부력조정부(130)는 일면 중앙에 암나사(132a)를 갖고, 암나사(132a)가 형성된 반대측에 낚시원줄(L)이 관통되는 통공(132b)이 형성된 연결구(132)와, 상기 연결구(132)의 암나사(132a)에 일측이 체결되는 수나사(134a)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관(M1)에 안내되어 부착되는 금속소재의 연결봉(134)과, 상기 연결봉(134)에 중앙이 관통되게 다수개 끼워져 부력부(120)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기 위한 링형의 부력조절추(W)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막대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는 찌톱부(110)와 부력부(120)로 나누어져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찌톱부(110)의 저부에는 금속소재의 연결봉부재(112)가 부착되고, 상기 부력부(130)는 상부에 연결봉부재(112)를 안내하여 자력으로 부착하는 자석관(M2)이 매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막대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절추(W)는 황동소재로 두께 0.5 내지 3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막대찌.
  4. 시인성 확보를 위한 막대형의 찌톱부(110) 및 찌톱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부(120)를 갖는 몸체(101)와, 상기 부력부(120) 하부에 결합되고, 부력부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는 부력조정부(130)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100)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120)는 상부 중앙에 결합홈(121') 및 결합홈(121')으로부터 더 깊이를 갖는 작은 직경의 안내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21')에는 중공의 자석관(M3)이 매입 설치되며,
    상기 찌톱부(110)의 저부와 부력부(120)사이에 부력조정부(130')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부력조정부(130')는 찌톱부(120)의 저부에 부착되어 상기 자석관(M3)에 안내되는 금속소재의 연결봉(114)과, 상기 연결봉(114)에 중앙이 관통되게 다수개 끼워져 부력부(120)에 대한 침력을 조정하기 위한 링형의 부력조절추(W)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부(120)의 저면에는 낚시원줄(L1)이 관통되는 통공(140a)이 형성된 연결구(140)가 고정 설치되어 막대찌(100)를 반자립형태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막대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추(W)는 황동소재로 두께 0.5 내지 3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막대찌.
KR1020150000511A 2015-01-05 2015-01-05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KR20160084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11A KR20160084069A (ko) 2015-01-05 2015-01-05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11A KR20160084069A (ko) 2015-01-05 2015-01-05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69A true KR20160084069A (ko) 2016-07-13

Family

ID=5650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511A KR20160084069A (ko) 2015-01-05 2015-01-05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0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3955A (zh) * 2018-04-12 2018-07-20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敏感的可调浮力的发光鱼漂
CN108522453A (zh) * 2018-04-13 2018-09-14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敏感的可预警可调浮力的发光鱼漂
CN108617607A (zh) * 2018-04-16 2018-10-09 王智 一种快速准确置换配重的垂钓调漂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3955A (zh) * 2018-04-12 2018-07-20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敏感的可调浮力的发光鱼漂
CN108522453A (zh) * 2018-04-13 2018-09-14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敏感的可预警可调浮力的发光鱼漂
CN108617607A (zh) * 2018-04-16 2018-10-09 王智 一种快速准确置换配重的垂钓调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2464A1 (en)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US3733734A (en) Quick-change slip-float
US3874110A (en) Downrigger line release
US3940872A (en) Fishing device
KR20160084069A (ko) 바다낚시용 부력조절 막대찌
KR20170003424A (ko) 낚시용 리그
US7546704B1 (en) Fishing rig with a sinker lifter and a sinker weight
US20160330945A1 (en)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US2754609A (en) Fishing line bobber
US20040006909A1 (en) Fishing lure
KR101907893B1 (ko) 낚시채비
KR101963942B1 (ko) 민물 낚시용 봉돌
US20060260180A1 (en) Deep-water squid jig
US1960488A (en) Fish lure
KR20160001989A (ko)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JPH04228018A (ja) 船引き釣り具
US20140101983A1 (en) Adjustible fishing-reel mount and methods of use
KR20100109147A (ko) 낚시용 구멍찌
CN209950178U (zh) 一种打窝渔具和打窝饵料结构
JP5813271B1 (ja) 中通し浮き
US2419037A (en) Fishing lure
CN109843049B (zh) 钓鱼用浮标
JP4808508B2 (ja) ルアー
JP2007252263A (ja) 釣り用仕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