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989A -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 Google Patents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989A
KR20160001989A KR1020140080594A KR20140080594A KR20160001989A KR 20160001989 A KR20160001989 A KR 20160001989A KR 1020140080594 A KR1020140080594 A KR 1020140080594A KR 20140080594 A KR20140080594 A KR 20140080594A KR 20160001989 A KR20160001989 A KR 2016000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uoyant body
float
core memb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섭
Original Assignee
한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섭 filed Critical 한인섭
Priority to KR102014008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989A/ko
Publication of KR2016000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심대(10)와; 상기 심대(10)의 단부에 관통되어 부착되는 제1부력체(20)와; 상기 제1부력체(20)가 부착된 심대(10)의 반대측 단부에 중심부분이 삽입되어 부착되며 단부에는 낚시 원줄과 연결을 위한 연결도래(32)가 구비된 제2부력체(30)와; 상기 제1부력체(20) 및 제2부력체(30)가 설치된 심대(10) 사이에 중심이 관통되어 심대(10)로부터 유동가능한 무게추(40)와; 상기 무게추(40)가 위치한 심대(10)의 전후 측에서 중심이 관통되어 무게추(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톱퍼(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바다낚시용 찌는 수면에 투척되어 채비가 정렬된 상태에서 보편적인 구멍 찌 혹은 막대찌와 같이 찌톱이 돌출되는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면서, 이들을 각각 자립, 비자립, 반자립으로 제1부력체와 제2부력체 사이의 심대에 유동가능하고, 고정될 수 있는 무게추의 위치선택으로 다양한 부력조절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면이 잔잔하거나 파고가 높은 날에 맞추어 찌낚시가 가능하고, 상층부부터 바닥층까지 전유동 방식으로 탐색낚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찌의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Have various buoyancy control function 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바다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바다낚시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찌를 개선하여 파고에 따라, 낚고자 하는 어종의 취이에 따라서 찌를 자립, 반자립, 비자립으로 다양하게 부력조절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찌를 갖추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투척시 줄 꼬임 없는 투척의 용이성과 투척에 따른 비거리에 유리하도록 하고, 수심의 상층부에서 바닥층까지 물고기가 있는 수심층 탐색기능 및 물고기 취이에 의해 전달되는 어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낚고자 하는 어종을 선별하여 낚는 재미를 더해 줄 수 있도록 한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바다낚시는 다양한 장르가 있으며, 민물낚시와 더불어 대표적인 낚시가 찌낚시 위주로 이루어진다.
바다낚시용 찌는 구멍찌, 막대찌로 각기 부력 호수별로 나뉘어 사용되며, 이들은 파고에 따라 시인성에 따라 낚시인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게 사용하고 있다.
어신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본지와는 더불어 별도의 목줄찌, 수중찌를 사용하여 낚고자 하는 어종의 취이 습성이나 대류 및 파고영향에 따라 이들을 유효적절하게 오랜 경험을 토대로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바다낚시 중에서도 찌낚시는 비교적 릴과 낚싯대의 간단한 조합과는 달리 많은 찌와 더불어 보조적인 소품 및 소품을 다루기 위한 도구들을 지참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찌는 물고기의 입질을 알아낼 수 있는 어신찌인 낚시찌와 봉돌역활을 하면서 채비가 조류의 흐름을 잘 타도록하기 위한 수중찌를 사용하는데 바다 상황에 따라 큰 음성부력을 가지는 수중찌를 이용할 때도 있고, 작은 음성부력의 수중찌 채비를 사용할 때도 있지만 예민한 입질을 파악하기 위해 항상 어신찌의 양성부력과 수중찌의 음성부력의 합이 0 또는 약간의 양성부력이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바다는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그때마다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부력조절이 필요로 하게 되며 자주 채비를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여러 상황에 맞는 찌를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고, 이들은 찌른 자립, 반자립, 비자립의 형태에 맞게 각각 조절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에서의 자립 낚시찌에 대한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7823호(명칭: 자립 낚시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자립 낚시찌는 바다낚시 중에서도 대체로 던질 지낚시 위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피면,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1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1);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2);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4);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과 나란하게 관통홀(3a)이 형성된 추(3);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1a)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4)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6, 7); 상기 하부고정관(7)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4)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43)에 걸려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8); 및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에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 결합되는 수중찌(1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바다낚시 전용 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멍 찌를 변형한 것으로서, 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찌를 자립형태를 제외한 비자립 혹은 반자립 형태로 각기 사용하기 위해서는 찌와 채비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를 위해서 바다의 조류에 대해 다양한 대처목적에서 다량의 찌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바다낚시용으로 사용하는 찌를 개선하여 파고에 따라, 낚고자 하는 어종의 취이에 따라서 찌를 자립, 반자립, 비자립으로 다양하게 부력조절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찌를 갖추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투척시 줄 꼬임 없는 투척의 용이성과 투척에 따른 비거리에 유리하도록 하고, 수심의 상층부에서 바닥층까지 물고기가 있는 수심층 탐색기능 및 물고기 취이에 의해 전달되는 어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낚고자 하는 어종을 선별하여 낚는 재미를 더해 줄 수 있도록 한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다낚시용 찌는, 심대와; 상기 심대의 단부에 관통되어 부착되는 제1부력체와; 상기 제1부력체가 부착된 심대의 반대측 단부에 중심부분이 삽입되어 부착되며 단부에는 원줄과 연결을 위한 연결도래가 구비된 제2부력체와; 상기 제1부력체 및 제2부력체가 설치된 심대 사이에 중심이 관통되어 심대로부터 유동가능한 무게추와; 무게추가 위치한 심대의 전후 측에서 중심이 관통되어 무게추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부력체가 부착되는 심대는 중공형으로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테이퍼형의 관으로 형성되되, 심대에는 출몰 가능한 테이퍼형의 찌톱이 외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되고, 찌톱이 삽입되는 심대의 단부에는 물 유입을 차단 및 심대에 안내된 찌톱을 고정하기 위한 하는 관형의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부력체는 심대가 관통되는 내경에 파이프형의 금속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부력체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부력체는 고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게추는 부식이 없는 황동소재를 가공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다낚시용 찌는 수면에 투척되어 채비가 정렬된 상태에서 보편적인 구멍 찌 혹은 막대찌와 같이 찌톱이 돌출되는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면서, 이들을 각각 자립, 비자립, 반자립으로 제1부력체와 제2부력체 사이의 심대에 유동가능하고, 고정될 수 있는 무게추의 위치선택으로 다양한 부력조절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면이 잔잔하거나 파고가 높은 날에 맞추어 찌낚시가 가능하고, 상층부부터 바닥층까지 전유동 방식으로 탐색낚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찌의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바다낚시용 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찌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바다낚시용 찌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찌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찌를 자립형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찌를 비자립형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찌를 반자립형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찌의 찌톱을 상승시켜 막대 찌 형태로 자립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찌의 투척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다낚시용 찌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심대(10)와; 상기 심대(10)의 단부에 관통되어 부착되는 제1부력체(20)와; 상기 제1부력체(20)가 부착된 심대(10)의 반대측 단부에 중심부분이 삽입되어 부착되며 단부에는 낚시 원줄과 연결을 위한 연결도래(32)가 구비된 제2부력체(30)와; 상기 제1부력체(20) 및 제2부력체(30)가 설치된 심대(10) 사이에 중심이 관통되어 심대(10)로부터 유동가능한 무게추(40)와; 상기 무게추(40)가 위치한 심대(10)의 전후 측에서 중심이 관통되어 무게추(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톱퍼(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심대(10)는 통상 낚시대 제작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카본소재로 제작되며, 민물낚시대를 구성함에 있어 초릿대(일명 '1번대'라고도 함) 다음으로 연결되는 2번대를 사용하여 적정길이로 절단하고, 그 양단을 매끄럽게 가공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력체(20)와 제2부력체(30)와 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1부력체 및 제2부력체는 순부력이 좋은 발사 목 혹은 내구성을 갖는 오동목을 가공하고, 그 표면은 도장 처리하여 내부로 물이 침투하지 않게 매끄럽게 방수처리된 것으로, 상기 제1부력체는 흔히 대다수의 낚시인들이 바다낚시용 찌로 사용하고 있는 구멍 찌의 형상으로 제작하고, 제2부력체는 목줄 찌의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들을 심대에 결합부착한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부력체(2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부력체(30)는 고추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제1부력체(20)와 제2부력체(30)는 순부력을 달리하거나 혹은 양쪽 모두동일 수준의 순부력을 갖추도록 하고, 상기 심대(10)에 유동가능한 무게추(40), 스톱퍼(50)와 함께 부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력체(20)가 부착되는 심대(10)는 테이퍼형의 중공 관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부력체 및 제2부력체 외에도 잔존부력을 갖도록 한다. 이는 찌의 순부력을 높여주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심대(10)에는 출몰 가능한 테이퍼형의 찌톱(60)이 외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되고, 찌톱(60)이 삽입되는 심대(10)의 단부측 내경에는 물 유입을 차단 및 심대(10)에 안내된 찌톱(60)을 고정하기 위한 하는 관형의 패킹(70)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찌톱(60)의 상부는 심대(10)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 직경으로 굵게 형성하되, 시인성이 좋은 형광도료로 도색처리하고, 여기에는 야간낚시시 캐미라이트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함)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력체(20)는 심대(10)가 관통되는 내경에 파이프형의 금속관(22)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이는 제1부력체(20)에 자중을 실어 찌와 함께 채비의 투척(캐스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게추(40)는 부식이 없는 황동소재를 가공, 제작하여 심대(10)에 적용하고, 상기 무게추의 위치조정을 위한 스톱퍼(50)는 질기고 마찰력이 높은 우레탄소재로 제작된 스톱퍼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찌의 전체적인 도면부호는 100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다양한 부력조절이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찌낚시용 바다낚싯대는 릴대와 릴, 바다낚시용 찌(100)를 포함한 바늘채비, 소형 봉돌 등을 갖추고, 크릴 및 갯지렁이 등과 같은 생미끼 위주로 낚시가 이루어진다.
릴로부터 권선되어 있는 낚싯줄은 낚시대의 가이드를 통해 원줄을 세팅하고, 이 원줄에는 원줄의 호수보다 낮은 목줄을 세팅하되, 원줄은 찌를 고정하는 찌스톱퍼(면사매듭)을 이용하여 제2부력재의 연결도래를 통해 찌를 세팅하고, 목줄부분에는 바늘 및 소형 봉돌을 가감하여 세팅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세팅된 바다낚시용 찌(100)는 상기 심대(10)에 설치된 무게추(40)의 위치에 따라 찌를 자립, 비자립, 반자립 형태로 각각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력체(20)와 제2부력체(30)가 갖는 각각의 부력에 대해 무게추(40)의 위치를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제2부력체(30)측으로 위치시키고 스톱퍼(50)로서 이동시킨 무게추(4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면, 상기 바다낚시용 찌(100)는 투척 후 수면상에서 직선상으로 유지하는 자립상태가 된다.
한편, 비자립 상태는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40)의 위치를 제1부력체(20)와 제2부력체(30)의 부력이 상호 일치하도록 심대에서 무게추의 위치를 찾으면, 수면에 투척된 바다낚시용 찌(100)의 형태는 제1부력체와 제2부력체가 수평으로 일부분 잠김 상태로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무게추(40)의 무게는 제1부력체 및 제2부력체가 갖는 부력을 각각 자립시켜 줄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적용한 것이나, 상기 제1부력체 및 제2부력체의 합한 부력에 대한 침력은 0점을 이루는 무게로 적용되어 수면상에서 수평으로 드울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자립 형태는 말 그대로 찌가 눕혀진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바늘채비측을 수심의 바닥층부터 상층부까지 탐색하고, 낚고자 하는 어종의 수심층을 찾아 낚시를 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준다.
즉, 상기 비자립 형태로 찌를 사용함으로써, 바늘채비를 수심에 따른 원하는 위치로 위치시키기 용이하여 다양한 어종을 낚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비자립 형태와 다르게 바다낚시용 찌를 자립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찌의 투척과 함께 수면에서 찌가 서서히 자립함으로써, 대략 15~20m의 수중 깊이에서도 수심체크에 용이하며, 파도에 대한 채비의 정렬을 도와 안정성을 주고,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예민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시인성 확보에도 유리하다.
특히 파고가 낮고 잔잔한 수면상에서는 찌톱(60)을 심대(10)로부터 돌출시켜 사용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보다 유리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찌톱(60)의 길이조절은 심대(10)의 내측에 안내된 패킹(70)에 의해 심대(10) 내부로 물의 유입은 차단하면서도 찌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찌톱(60)을 올려놓고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반자립 형태로 바다낚시용 찌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찌의 자립상태 혹은 비자립 상태에서 무게추의 위치를 제1부력체와 제2부력체가 대응하여 갖는 무게 중심점에서 제1부력체측으로 약간 가깝게 위치시킨다면, 찌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비스듬히 기우는 형태가 되어 반자립 형태를 이룬다.
아래 표 1은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막대 찌를 기준하여 자립, 비자립, 반자립시에 대한 보편적인 장단점을 나열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다낚시용 찌를 이용시 하나의 찌로서 자립, 지자립, 반자립 형태로 만들어 줄 수 있는 부력조절을 할 수 있다.
예민성
자립 < 비자립
비자립형은 막대 찌의 예민성이 우수함
투척성
자립 > 비자립
자립형은 무게중심이 하부에 집중하여 있어 원거리 투척 공략에 의한 비거리가 뛰어남
반응성
자립 < 비자립
비자립형은 바람이나 파도에 불필요할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함.
시인성
자립 > 비자립
자립형은 무게 중심 덕분에 안정적인 시인성 확보에 유리함
조작성
자립 > 비자립
자립형은 강한 조류에 대한 반응이 둔하고 바람이 세게부는날에도 채비 투척성이 좋고 안정적인 자세로 시인성 양호함
상기와 같은 표 1에서와 같이 찌의 자립, 비자립, 반자립에 대한 특성을 살려 낚시를 행하게 되는바, 대다수의 낚시인의 경우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찌를 선택하게 되는데 기본적인 두가지 타입으로 시판되는 막대 찌 또는 구멍 찌로 나누어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찌의 예민성, 투척성, 시인성 등을 고려할 때 초보자인 경우 시인성이 좋고 예민한 막대 찌를 선호한다.
막대 찌에서 자립형은 막대 찌의 아랫부분에 금속이 있기 때문에 막대 찌가 수면에 착수 후에 바로 서게 되면서 채비를 입수시키고, 내장된 추의 무게로 인하여 멀리 원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면에 막대 찌가 착수 후에 서있는 관계로 채비의 입수과정에서 앞으로 밀려 오는 단점도 있고, 비자립 보다는 물속의 환경에 대해 조금 둔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다.
한편, 통상적인 비자립형으로 제조된 막대 찌는 아랫부분에 금속이 없기 때문에 찌 착수 후에 수면에 그냥 누워있는 형태가 되며, 이는 찌 하부로 향해 있는 채비의 봉돌이 완전히 내려가고 난 뒤에 봉돌의 무게로 찌가 서는 타입이다.
이는 막대 찌가 수면에 착수 후에 채비가 입수과정에서 앞으로 밀려오는 현상은 자립형보다는 덜한 장점은 있지만 자체무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원투시에 멀리 나가지 않는 단점이 있고, 원투시 바람의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비자립 형의 막대 찌는 약간의 이상에도 찌가 수면에서 눕게 되고, 수중 밑걸림시에도 자립형의 막대 찌보다 훨씬 선명하게 찌에 표시가 난다는 특성이 있다.
한편, 반자립형의 막대 찌는 자립과 비자립의 중간형태로 수면에 착수 후에 비스듬히 누워있는 형태에서 낚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특징은 자립과 비자립의 장단점을 각각 절반씩 갖고 있다.
상기한 막대 찌는 구멍 찌에 비해 캐스팅하기 까다롭고 원줄에 찌와 채비가 채비가 잘 엉킨다는 단점이 있으나, 똑같은 부력이라도 구멍 찌에 비해 채비 입수가 빠르고 가시성이 뛰어나 먼 거리를 공략에도 유리하며, 잡어 입질도 곧바로 전달될 정도로 예민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 및 단점을 고려하여 보았을 때, 본원발명의 바다낚시용 찌는 낚시용 원줄에 매달린 찌를 투척함에 있어, 제1부력체가 갖는 자중과 그 내측의 금속관(22)의 제1부력체가 수면 외측에서 갖는 비중에 대해 무게를 높여줌으로써, 일반적인 구멍 찌 사용과 같이 찌낚시에서 투척이 용이하고, 첨부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채비의 투척시 제1부력체(20)가 투척지점으로 앞서가면서 채비를 끌고 날아가는 형태가 되어 찌와 줄 꼬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다낚시용 찌(100)를 심대(10)에 설치된 무게추(40)를 고정이 아닌 유동으로 세팅하였을 경우, 상기 제1부력체(20)의 자중과 더불어 무게추(40)의 위치가 제1부력체(20)측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도 찌의 투척 비거리를 보장이 되며, 투척 직후 수면에서의 바다낚시용 찌가 자립하면서 바늘채비 측의 안정된 정렬을 보장한다.
즉, 본 발명의 바다낚시용 찌는 통상의 구멍찌, 목줄찌, 수중찌가 갖는 장점을 모두 갖춘 것으로 부력조절이 무게추에 의해 상기와 같은 자립, 비자립, 반자립 형태로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수시로 변하는 바다의 조류상태에 의해 찌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막대 찌의 예민성을 갖추어 낚고자 하는 어종의 입질시 초보자라도 쉽게 입질을 파악 및 챔질이 가능하여 물고기를 낚는 즐거움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심대 20: 제1부력체
22: 금속관 30: 제2부력체
32: 연결도래 40: 무게추
50: 스톱퍼 60: 찌톱
70: 패킹 100: 바다낚시용 찌

Claims (5)

  1. 심대(10)와;
    상기 심대(10)의 단부에 관통되어 부착되는 제1부력체(20)와;
    상기 제1부력체(20)가 부착된 심대(10)의 반대측 단부에 중심부분이 삽입되어 부착되며 단부에는 낚시 원줄과 연결을 위한 연결도래(32)가 구비된 제2부력체(30)와;
    상기 제1부력체(20) 및 제2부력체(30)가 설치된 심대(10) 사이에 중심이 관통되어 심대(10)로부터 유동가능한 무게추(40)와;
    상기 무게추(40)가 위치한 심대(10)의 전후 측에서 중심이 관통되어 무게추(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톱퍼(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력체(20)가 부착되는 심대(10)는 테이퍼형의 중공 관으로 형성되되, 심대(10)에는 출몰 가능한 테이퍼형의 찌톱(60)이 외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되고, 찌톱(60)이 삽입되는 심대(10)의 단부측 내경에는 물 유입을 차단 및 심대(10)에 안내된 찌톱(60)을 고정하기 위한 하는 관형의 패킹(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력체(20)는 심대(10)가 관통되는 내경에 파이프형의 금속관(2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력체(2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부력체(30)는 고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40)는 부식이 없는 황동소재를 가공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KR1020140080594A 2014-06-30 2014-06-30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KR20160001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594A KR20160001989A (ko) 2014-06-30 2014-06-30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594A KR20160001989A (ko) 2014-06-30 2014-06-30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89A true KR20160001989A (ko) 2016-01-07

Family

ID=5516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594A KR20160001989A (ko) 2014-06-30 2014-06-30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9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6909A (zh) * 2019-07-23 2019-11-22 钟冠群 空心标身及其组合浮标
KR102370025B1 (ko) * 2021-08-23 2022-03-08 안수빈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102492210B1 (ko) * 2022-09-01 2023-01-27 손성훈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6909A (zh) * 2019-07-23 2019-11-22 钟冠群 空心标身及其组合浮标
KR102370025B1 (ko) * 2021-08-23 2022-03-08 안수빈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102492210B1 (ko) * 2022-09-01 2023-01-27 손성훈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10798A (en) Fishing bobber with bait guard
US7861456B2 (en) Fishing rig
US20160050897A1 (en) Fish Call
US8832991B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float
US4845884A (en) Fishing line float
SE432340B (sv) Anordning vid fiskeredskap innefattande ett kastflote
US20060254121A1 (en) Two-way sensitive fishing bobber and stop bead for use therewith
KR20160001989A (ko)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US2931124A (en) Fishing bobber
JP2012217406A (ja) 遠投用コマセ籠
US4890410A (en) Automatic fishing hook setting device
KR200384445Y1 (ko) 사출형 구멍찌
JP2012161299A (ja) 釣り具
JP3140557U (ja) 根掛かり防止用のルアー用錘
KR101776407B1 (ko) 다기능 낚시찌
KR102456712B1 (ko) 교체형 유동찌 고무
JP2008035729A (ja) 魚釣り用の錘
KR101753967B1 (ko) 다기능 낚시찌
JP3127262U (ja) 万能コマセ篭
KR102609356B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437351Y1 (ko) 전유동 및 잠수찌 채비법의 병행운용이 가능한 낚시찌
KR200324455Y1 (ko) 유동 홀드가 구비된 낚시용 찌
JP2003061531A (ja) 浮き及びルアー
KR200442560Y1 (ko) 낚시용 탑찌
CN206629805U (zh) 一种无人值守多方式钓鱼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