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025B1 -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 Google Patents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025B1
KR102370025B1 KR1020210110611A KR20210110611A KR102370025B1 KR 102370025 B1 KR102370025 B1 KR 102370025B1 KR 1020210110611 A KR1020210110611 A KR 1020210110611A KR 20210110611 A KR20210110611 A KR 20210110611A KR 102370025 B1 KR102370025 B1 KR 10237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body member
freshwater
fluid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빈
Original Assignee
안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빈 filed Critical 안수빈
Priority to KR102021011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낚시 원줄에 연결되고,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민물용 낚시찌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찌다리(1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스토퍼부재(110); 상기 스토퍼부재(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부재(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찌다리에 설치되는 유동몸체부재(130);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찌다리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재(150);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찌탑(170);을 마련하여 낚시찌에 유동몸체부재가 설치되어 낚시찌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낚시찌의 중량 증가로 낚시의 손맛을 즐길 수 있으며, 낚시찌의 중량 증가에 의해 낚시찌의 상승 속도를 늦출 수 있고, 이로 인해 낚시의 손맛 뿐만 아니라 대물을 낚는 것과 같은 낚시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Freshwater floats with delayed ascent speed}
본 발명은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민물 낚시에서 낚시찌의 상승 속도를 늦추어 대물을 낚는 것과 같은 찌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물낚시에는 낚시대를 비롯하여 낚시채비가 반드시 적용되며, 민물낚시의 대표적으로는 찌낚시가 보편적으로 행하여 지고 있다.
상기 낚시채비는 낚시대의 초릿대에 연결되는 원줄에 찌, 찌를 고정하기 위한 찌홀더, 찌홀더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톱퍼 및 찌의 부력에 맞는 무게 추(이하, 봉돌이라 칭함), 무게 추에 목줄을 매달아 달리는 낚시 바늘이 세팅되어 사용된다.
민물낚시 찌는 그 기본적인 형태가 몸통, 찌톱, 다리부분으로 크게 나뉘어 지며, 몸통의 소재는 가벼운 목(木) 소재, 자연소재인 갈대, 수수대, 공작 깃, 나노 폼 등등으로 그 형태는 원추형, 유선형 등으로 제작된다.
상기 찌톱은 각기 다른 색상의 컬러가 칠해진 카본, 솔리드(유리섬유), 연신 튜브 등의 소재로서 가는 굵기로 제작되어 찌 몸통과 결합되거나 찌 몸통을 관통하고, 찌 몸통의 하부는 다리로 구분하여 각 부분을 균형있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찌톱은 일반적으로 최상단에 발광체인 케미컬라이트 혹은 낮캐미(일명 주간캐미), 배터리가 결합, 분리되는 전자캐미를 꽂기 위한 캐미홀더가 구비된다.
또한 지의 종류에 짜라 일명, 전자찌는 찌 몸통 내부에 소형 배터리의 장착과 더불어 소형램프를 식재하여 찌톱에 빛이 전도되게 하는 일명 전자찌 전용 찌톱이 사용된다.
상기 찌는 반드시 봉돌의 무게를 포함하여 부력과 침력을 맞추어 사용하게 되는바, 부력보다 봉돌의 침력이 강한 경우에는 봉돌을 조금씩 깍아 내거나 편납인 경우에는 가위로 조금씩 잘라내어 부력 대비 침력이 1 대 1이 되게 맞추어 줌으로써, 미끼를 취한 붕어 및 기타 어종은 섭이(攝餌) 동작에 따라 침력의 균형이 깨지면서 찌 부력에 영향을 주어 찌톱이 수면 위로 더 올라가거나 수면 아래로 내려가 동작을 낚시인이 이를 판별하고 낚시대를 잡고서 챔질 함으로써 해당 어종을 훅킹하여 낚을 수 있었다.
최근에는 기존의 납성분으로 제작된 봉돌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인 소재의 봉돌이 사용되고 있으며, 부식이 없는 스테인레스, 황동재질로 제작된 보조링을 채비에 가감하는 방식으로 찌의 부력을 정밀하게 맞추어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 외에도 최근에는 일일이 봉돌의 무게를 찌 부력대비 보조링을 추가하지 않고 찌 자체에서 조절하도록 한 찌들도 있다.
민물 낚시찌는 낚싯줄에 끼워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먹이가 매달린 바늘과 낚싯줄을 수직상태로 유지하여 물고기의 먹이활동이 이루어지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챔질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민물 낚시찌는 낚싯줄의 끝단에 매달린 봉돌 및 낚싯바늘의 무게와 상관관계를 갖는데, 낚시찌의 부력이 클수록 봉돌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 무중력상태를 유지하여야 고기가 입질할 때 찌가 예민한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민물 낚시찌는 부력이 좋은 소재로 제작해서 부피도 작고 가벼울수록 입질이 약한 계절에도 찌가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며, 물속에 많이 잠기게 제작할수록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낚시찌의 제작에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민물 낚시찌는 일반적으로 찌 전체의 길이가 길어 어신이 있을 때 부력에 의한 상승량이 큰 이점을 갖으나, 찌에 작용되는 부력이 분산되므로 반드시 찌몸통을 크게 제작하여야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고, 이때 휴대 이용은 물론 소재 사용의 증대로 인해 어신에 둔감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찌몸통을 둥글게 형성한 경우에는 부력이 작용되는 부위가 작아 어신이 매우 민감한 장점을 갖으나, 입질시 찌의 상승 시간이 매우 짧아서 타이밍을 놓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낚시찌'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낚시찌는 하부 중앙에 상부보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찌톱이 결합되어 있는 상부몸통과, 상기 상부몸통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 찌꼬리가 결합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 상부보어와 연결되도록 하부보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줄이 통과되어 상기 하부보어에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보어와 연결되는 관통구멍이 외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통과, 상기 상부보어와 상기 하부보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상부보어와 상기 하부보어에 장착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하부보어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원줄과 접촉하는 추와, 상기 추와 연동되어 부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상부보어에 장착되어 있는 부레와, 상기 상부보어와 상기 하부보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상부보어와 상기 하부보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추와 상기 부레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하단에 상기 추의 하단이 돌출되어 상기 원줄과 접촉하도록 개방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낚시용 찌'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낚시용 찌는 비중이 물보다 작아 물에 뜨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는 낚시줄이 통과될 수 있는 수직공이 관통되고, 상부에는 찌보기가 통과되는 찌보기공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하고, 수직중심에는 상기 수직공을 통과하는 상기 낚시줄이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줄관통홀이 형성된 찌본체 및 상기 찌본체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찌본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찌보기공을 통해 상기 외통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그의 내부로 인입되는 찌보기를 포함한다.
상기 찌보기공과 수직공은 하나의 구멍으로 되어 있고, 상기 찌보기는 낚시줄을 에워싼 상태로 하단이 상기 찌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천 또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되, 꽃잎과 같이 복수의 장으로 이루어져 물 위에 펼쳐지고, 상기 찌본체 또는 외통의 내부에는 엘이디 소자가 상부에 위치된 찌보기를 향해 빛을 발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통은 수나사와 암나사에 의해 나사결합 가능한 상부통과 하부통으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64289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95841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530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민물용 낚시찌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유동몸체부재를 설치하여 낚시찌의 상승 속도를 늦추어 찌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민물용 낚시찌의 찌다리와 찌탑 사이에 유동(이동) 가능한 중량물을 설치하여 낚시찌를 낚아챌 때 물고기의 중량과 함께 중량물을 함께 낚아채도록 하는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시찌의 상승 시 초기 상승에 따른 속도를 완화시킨 다음 중량물에 의해 낚시찌의 상승이 서서히 떠오르게 하는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는 낚시 원줄에 연결되고,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민물용 낚시찌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찌다리(1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스토퍼부재(110); 상기 스토퍼부재(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부재(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찌다리에 설치되는 유동몸체부재(130);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찌다리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재(150);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찌탑(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스토퍼부재(110)와 상기 고정몸체부재(15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스토퍼(110)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제1 유동몸체유닛(131)와,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제2 유동몸체유닛(14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은 상기 스토퍼부재(110)에 접촉 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몸체(132)와, 상기 하부몸체(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35)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132)는 하부에 외측을 향해 유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유선부(133)와, 상기 제1 유선부(13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유선부(1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유선부(133)와 상기 제2 유선부(134)는 전체적인 형상이 배흘림의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볼몸체(142);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볼몸체(143);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볼몸체(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찌다리(111)와 상기 찌탑(17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110)와 접촉된 후 상기 낚시찌와 동일하게 상승하면서,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의 중량에 의해 상기 낚시찌의 상승 속도를 완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에 의하면, 낚시찌에 유동몸체부재가 설치되어 낚시찌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낚시찌의 중량 증가로 낚시의 손맛을 즐길 수 있으며, 낚시찌의 중량 증가에 의해 낚시찌의 상승 속도를 늦출 수 있고, 이로 인해 낚시의 손맛 뿐만 아니라 대물을 낚는 것과 같은 낚시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가 수면에서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는 낚시 원줄에 연결되고,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민물용 낚시찌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찌다리(1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스토퍼부재(110)와, 상기 스토퍼부재(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부재(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찌다리에 설치되는 유동몸체부재(130)와,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찌다리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재(150)와,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찌탑(1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는 찌다리(111)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재(110)와, 상기 찌다리(111)에 유동(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몸체부재(130)와,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의 상승을 제한시키는 고정몸체부재(150)와, 상기 찌다리(111)로부터 연결된 찌탑(1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찌다리(111)는 낚시찌의 일부분으로써,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찌다리(111)의 소정 위치에는 유동몸체부재(130)의 하강을 제한시킬 수 있게 스토퍼부재(110)가 고정된다.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찌다리(111)의 스토퍼부재(110)와 고정몸체부재(150) 사이에 유동(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스토퍼부재(110)와 상기 고정몸체부재(15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스토퍼(110)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제1 유동몸체유닛(131)와,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제2 유동몸체유닛(1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은 상기 스토퍼부재(110)에 접촉 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몸체(132)와, 상기 하부몸체(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몸체(132)는 하부에 외측을 향해 유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유선부(133)와, 상기 제1 유선부(13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유선부(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선부(133)와 상기 제2 유선부(134)는 전체적인 형상이 배흘림의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은 하부몸체(132)와 상부몸체(135)로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몸체(132)는 낚시찌가 수면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갈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35)는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일정 직경을 갖는 원판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32)는 수면 아래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유선부(133)와, 상기 제1 유선부(13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유선부(1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볼몸체(142)와,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볼몸체(143)와,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볼몸체(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3개의 볼(142~14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제1 유동몸체유닛(131)과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과 제2 유동몸체유닛(141)으로 이루어진 유동몸체부재(130)는 대략 2~4g의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이 3g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제1 볼몸체(142), 제2 볼몸체(143), 제3 볼몸체(14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볼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유동몸체부재(130)의 중량을 늘리거나 줄이고자 할 때 볼의 개수에 따라 유동몸체부재(130)의 중량을 보다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찌다리(111)의 상부에는 유동몸체부재(130)의 상승 높이를 제한시키는 고정몸체부재(150)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부재(110)와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의 높이는 대략 4~8㎝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동몸체부재(130)의 승강 높이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몸체부재(150)는 유동몸체부재(130)의 제1 유동몸체유닛(131)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의 상부에는 낚시찌의 일부인 찌탑이(170)이 연장 형성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가 수면에서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낚시찌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낚시찌의 상승으로 상기 스토퍼부재(110)가 유동몸체부재(130)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낚시찌는 수면 아래에 잠겨 있는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함에 따라 낚시찌를 잡아채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낚시찌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낚시찌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스토퍼부재(110)에 접촉되고, 낚시찌의 상승 시 물고기의 중량과 함께 유동몸체부재(130)의 중량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낚시꾼의 손에는 유동몸체부재(130)의 중량만큼 중량이 더해진 상태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낚시에 따른 손맛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찌다리(111)와 상기 찌탑(17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110)와 접촉된 후 상기 낚시찌와 동일하게 상승하면서,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의 중량에 의해 상기 낚시찌의 상승 속도를 완화시켜 주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민물용 낚시찌는 유동몸체부재(130)의 제2 유동몸체유닛(141)를 달리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41)의 제1 볼몸체(142)는 제2 및 제3 볼몸체(143, 144)에 비해 중량이 무거우면서 직경이 큰 구(球)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볼몸체(143)는 제1 볼몸체(142)에 비하여 직경이 작으면서 가벼운 중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볼몸체(144)는 제2 볼몸체(143)에 비하여 직경이 작으면서 가벼운 중량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볼몸체(142~144)의 직경 및 중량을 달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유동몸체부재(130)의 중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스토퍼부재 111: 찌다리
130: 유동몸체부재 131: 제1 유동몸체유닛
132: 하부몸체 133: 제1 유선부
134: 제2 유선부 135: 상부몸체
141: 제2 유동몸체유닛 142: 제1 볼몸체
143: 제2 볼몸체 144: 제3 볼몸체
150: 고정몸체부재
170: 찌탑

Claims (5)

  1. 낚시 원줄에 연결되고,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민물용 낚시찌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찌다리(1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스토퍼부재(110);
    상기 스토퍼부재(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부재(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찌다리에 설치되는 유동몸체부재(130);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찌다리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재(150); 및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찌탑(170);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스토퍼부재(110)와 상기 고정몸체부재(15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스토퍼부재(110)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제1 유동몸체유닛(131)과, 상기 고정몸체부재(150)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제2 유동몸체유닛(1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은 상기 스토퍼부재(110)에 접촉 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몸체(132)와, 상기 하부몸체(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35)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몸체(132)는 하부에 외측을 향해 유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유선부(133)와, 상기 제1 유선부(13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유선부(1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유선부(133)와 상기 제2 유선부(134)는 전체적인 형상이 배흘림의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몸체유닛(141)은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볼몸체(142);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볼몸체(143);
    상기 찌다리(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동몸체유닛(131)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와 함께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볼몸체(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몸체부재(130)는 상기 찌다리(111)와 상기 찌탑(17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110)와 접촉된 후 상기 낚시찌와 동일하게 상승하면서, 상기 유동몸체부재(130)의 중량에 의해 상기 낚시찌의 상승 속도를 완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1020210110611A 2021-08-23 2021-08-23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10237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611A KR102370025B1 (ko) 2021-08-23 2021-08-23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611A KR102370025B1 (ko) 2021-08-23 2021-08-23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025B1 true KR102370025B1 (ko) 2022-03-08

Family

ID=8081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611A KR102370025B1 (ko) 2021-08-23 2021-08-23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10B1 (ko) * 2022-09-01 2023-01-27 손성훈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11Y1 (ko) * 2001-01-31 2001-10-25 백명훈 낚시찌
KR200355092Y1 (ko) * 2003-10-18 2004-07-03 김승용 이중몸체 낚시찌
KR100964289B1 (ko) 2009-09-22 2010-06-24 정동길 낚시찌
KR20110053070A (ko) 2009-11-13 2011-05-19 안병석 민물낚시용 낚시찌 및 낚시찌의 제조방법
KR200477222Y1 (ko) *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160001989A (ko) * 2014-06-30 2016-01-07 한인섭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KR20160095841A (ko) 2015-02-04 2016-08-12 이광호 낚시용 찌
KR20170057033A (ko) * 2015-11-16 2017-05-24 원철호 부력체가 유동되는 낚시찌
KR20180024087A (ko) * 2016-08-26 2018-03-08 공성관 낚시찌
KR101967363B1 (ko) * 2018-07-18 2019-04-09 윤재왕 낚시찌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11Y1 (ko) * 2001-01-31 2001-10-25 백명훈 낚시찌
KR200355092Y1 (ko) * 2003-10-18 2004-07-03 김승용 이중몸체 낚시찌
KR100964289B1 (ko) 2009-09-22 2010-06-24 정동길 낚시찌
KR20110053070A (ko) 2009-11-13 2011-05-19 안병석 민물낚시용 낚시찌 및 낚시찌의 제조방법
KR20160001989A (ko) * 2014-06-30 2016-01-07 한인섭 다양한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바다낚시용 찌
KR200477222Y1 (ko) *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160095841A (ko) 2015-02-04 2016-08-12 이광호 낚시용 찌
KR20170057033A (ko) * 2015-11-16 2017-05-24 원철호 부력체가 유동되는 낚시찌
KR20180024087A (ko) * 2016-08-26 2018-03-08 공성관 낚시찌
KR101967363B1 (ko) * 2018-07-18 2019-04-09 윤재왕 낚시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10B1 (ko) * 2022-09-01 2023-01-27 손성훈 낚시용 자기부상 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793B1 (ko) 다기능 낚시찌
US4649662A (en) Curved fishing post
KR102370025B1 (ko)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102570316B1 (ko) 막대찌
KR102229119B1 (ko) 낚시용 찌
KR200496849Y1 (ko)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JP6312352B1 (ja) 釣り用浮子
KR101776407B1 (ko) 다기능 낚시찌
KR101695939B1 (ko) 낚시용 찌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KR101776406B1 (ko) 다기능 낚시찌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KR100678399B1 (ko) 이단 낚시찌
KR200299112Y1 (ko) 이중분리구조를 갖는 낚시찌
JP3127262U (ja) 万能コマセ篭
KR20090129737A (ko) 낚시찌
KR100693073B1 (ko) 수면지시용 케미라이트가 설치된 부양체
KR100375352B1 (ko) 낚시용 찌
KR101384362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200442560Y1 (ko) 낚시용 탑찌
KR101938468B1 (ko) 주야간 겸용 낚시용 구멍찌
KR200361565Y1 (ko) 이단 낚시찌
KR200279403Y1 (ko) 예민성 및 가시성이 향상된 바다 낚시용 구멍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