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511B1 -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 Google Patents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511B1
KR101009511B1 KR1020080071260A KR20080071260A KR101009511B1 KR 101009511 B1 KR101009511 B1 KR 101009511B1 KR 1020080071260 A KR1020080071260 A KR 1020080071260A KR 20080071260 A KR20080071260 A KR 20080071260A KR 101009511 B1 KR101009511 B1 KR 10100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ate
fish
hole
bobber
dir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34A (ko
Inventor
이동화
Original Assignee
이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화 filed Critical 이동화
Priority to KR102008007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511B1/ko
Priority to JP2009159242A priority patent/JP2010022369A/ja
Publication of KR2010001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에 관한 것이다. 즉, 초기 입질을 수표면의 어신 찌에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압을 받는 압력판과 압력판에 설치된 방향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판이나 방향핀의 내부로 원줄이 관통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물고기의 입질이 원줄의 수직 움직임으로 유도되어 초기 입질이 어신 찌에 나타나는 효과가 있는 수중 찌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압을 받을 수 있는 일정 넓이를 가진 압력판; 상기 압력판의 일측면 가운데에 돌출되게 설치된 방향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향핀의 상단부 또는 압력판의 상단부에 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압력판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에 하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통공과 하부관통공은 방향핀과 압력판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가 제공된다.
수중 찌, 어신 찌, 압력판, 방향핀

Description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Fishing sink float}
본 발명은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에 관한 것이다. 즉, 초기 입질을 수표면의 어신 찌에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압을 받는 압력판과 압력판에 설치된 방향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판이나 방향핀의 내부로 원줄이 관통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물고기의 입질이 원줄의 수직 움직임으로 유도되어 초기 입질이 어신 찌에 나타나는 효과가 있는 수중 찌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13276호, 2006.03.30
[문헌 2] 한국 특허등록 제0673584호, 2007.01.17
낚시란 물고기 자체에 대한 즐거움인 동시에 낚는 방법과 채비에 대한 즐거움이기도 하다. 바다에 나가면 그날의 일기에 따라 다양한 필드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를 극복하며 자신만의 채비로 공략하고자 하는 어종을 어떻게 낚느냐를 고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기 나름대로의 낚시방법(채비)을 통하여 기대하는 바를 이루어내는 과정에서 낚시의 즐거움이 배가된다.
따라서 필드 상황에 따라 가장 잘 맞는 적합 채비를 구성하고 적절히 운용하는 것에 낚시의 즐거움이 더욱 커지고, 손맛에 대한 즐거움인 동시에 장비 및 채비에 대한 즐거움이 낚시이다.
이와 같이 낚시는 단순히 봉돌, 찌, 낚시줄, 낚시대의 획일적인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채비로 단지 고기만을 잡기 위한 스포츠가 아니다. 이왕이면 좀 더 세련되고 첨단화된 민감한 채비와 낚시도구를 사용하여, 잘 잡고 손맛을 가감없이 즐기기 위해 물고기를 잡기 전 준비단계에서부터 전 과정을 즐기는 것이 낚시인의 큰 기쁨이다.
봉돌의 경우를 보더라도, 그 기능이 진화하여 필드 조건에 적합한 기능을 구비할 목적으로 만들어지면서 지금에 이르러 봉돌이 단순히 채비를 가라앉히는 기능의 개념을 넘어 물속의 조건에 따라 반응하는 찌(수중 찌)로서의 인식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찌는 일반 구멍 봉돌, 속공형 구멍 봉돌, 밑밥 동조형 수중 찌, 채비 정렬형 수중 찌, 조류형 수중 찌, 잠수 찌, 잠길 찌 등이 있고, 그 특징은 아래와 같다.
일반 구멍 봉돌의 경우는 기본적이고 단순한 형태를 취하여 낚시 바늘을 물 속에 가라앉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속공형 구멍 봉돌은 채비가 신속하게 가라앉도록 유체 저항을 고려한 형태를 가지고, 바람이 원줄을 날려 채비를 띄우려는 힘을 이기고 채비를 신속하게 내려서 잡어의 성화를 극복하며 목표 수심까지 빠르게 채비를 내리고자할 때 사용된다.
밑밥 동조형 수중 찌는 공략지점에 투여된 밑밥과 낚시바늘의 미끼가 동조할 수 있도록 최대한 가벼운 동시에 유체와 닿는 면적을 넓혀서 채비(미끼)가 조류를 타고 밑밥과 같이 움직이도록 할 목적이 강하고, 바늘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연출되도록 한다.
채비 정렬형 수중 찌는 채비를 고도로 가볍게 하기 위한 목적과 동시에 유체 저항이 적도록 디자인을 하여 작은 무게에도 불구하고 무리없이 채비를 가라앉히게 한다. 기존의 봉들은 자체 무게로 채비를 내리지만 이런 형태의 찌는 무게에 의존한 채비 하강이라기보다는 찌의 윗면에 닿는 조류의 저항으로 채비를 내리거나 파랑 및 파도에 의해 어신 찌가 원줄을 출렁일 때 수중 찌 상면에 닿는 저항으로 원줄을 조금씩 내린다고 볼 수 있으며, 원줄의 뒷줄 견제 시 자체 무게가 가볍고 조류를 받으므로 채비 정렬에 유리하다.
조류형 수중 찌는 조류가 있는 상황에서 채비가 조류를 타고 밑밥에 동조하거나 이러한 조류 상황 속에서 날개를 이용하여 채비를 정렬하거나 목표지점에 흘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잠수 찌와 잠길 찌는 물고기의 공략 수심이 일정치 않고 다양한 층을 탐색하고자 할 때 유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원투력(던질 힘)을 가지려고 찌가 크고 수중에서 비중은 물과 동일하거나 약간 무겁게 하여 물속을 자유로이 유영하며 여러 수심층을 탐색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수중 찌는 새로운 구조로 개발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기존의 수중 찌의 입질 반응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고기가 바늘(미끼)을 물고 수면에 대해 직하방으로 이동하면 입질 초기부터 나타나는 물고기의 이동거리가 상당부분 감소 없이 그대로 어신 찌에 전달된다. 그러나 대부분 이동성이 강하고 활성도가 높은 물고기(떠다니는 어종을 공략하는 찌낚시 - 고등어, 전갱이 등)들은 먹이를 물고 평행이동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줄의 굵기에 의한 표면적에 의해 원줄의 측면에 미치는 물의 저항으로 물고기의 수평이동거리가 다소 원줄의 수직이동으로 변환되지만, 원줄의 굵기가 가늘어서 입질 초기에는 수직이동으로 변화되기는 더욱 어렵다. 그리고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이동을 시작하는 시점인 입질 초기에는 부력을 가진 어신 찌가 가라앉는 힘에 저항함으로써, 어신 찌가 아주 잠깐 미세하게 깜박거리거나, 아주 미소한 이동만을 보이게 되므로, 입질 초기의 물고기 이동거리가 어신 찌에 잘 표현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원줄이 물고기의 진행 방향으로 당겨지면, 원줄과 물고기의 이동 방향 사이의 각(θ)이 좁혀지고, 이 때 비로소 본 격적인 어신 찌의 잠수(입수)가 나타난다. 즉, 어신 찌의 부력과 원줄의 아랫 방향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동안(입질 초기)은 원줄이 수평이동을 하다가 어느 정도 물고기 방향과 원줄과의 각(θ)이 줄어서 균형이 무너지면서 어신 찌가 본격적으로 입수를 하게 된다.
만약, 파랑이 있거나 파도가 출렁이는 상황에서는 초기 이동으로 나타나는 미세한 어신 찌의 움직임은 더더욱 인지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목줄의 채비 정렬이 미쳐 이루어지지 않는 입수중에 물고기가 입질하면, 입질이 어신 찌에 표현되지 않거나, 미약하게 나타나므로 입질을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수중 찌는 필드 상황에 적합하게 낚시하는 사람의 의도와 목적을 최대한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나 어디까지나 입질하기전(입질을 유도하기까지)까지에 관한 기능이고, 입질 이후의 기능은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한정된 기능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다시 정리해 보면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물고기는 바늘을 물고 항상 직하방의 바닥으로만 향하지 않기 때문에,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이동하는 초기에는 실제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이동한 거리만큼 어신 찌에 전달되지 않고, 어신 찌에 표현된다 하더라도 도 2와 같이 바늘의 이동이 상당히 진행되어 원줄이 어느 정도 물고기의 이동 방향과의 각(θ)이 이루어진 후 어신 찌가 입수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챔질 타이밍을 놓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돌(수중 찌)이 가라앉는 도중에 목줄의 채비 정렬이 미쳐 이루어지기 전에 입질이 오면 입질의 전달량은 훨씬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중 찌의 기능을 보다 더 확장하여 입질 후에 확실한 어신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또 다른 채비 조합을 가능케 하며, 조과에 도움을 주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수중 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어신을 강화하는 본 발명의 수중 찌는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든지 물고기의 이동거리를 원줄의 상하이동으로 변환하여 입질 초기부터 바로 어신 찌에 전달 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압을 받을 수 있는 일정 넓이를 가진 압력판과, 상기 압력판에 수직으로 설치된 방향핀으로 구성되고; 원줄이 압력판이나 방향핀의 상하부로 삽입될 수 있고, 원줄이 나오는 하부 관통공의 출구가 원줄의 작용점이 되어 물고기의 입질방향에 대한 상대적 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고기가 바늘을 물고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든지 물고기의 이동거리가 원줄의 상하이동으로 변환되어 바로 어신 찌에 전달되는 효과가 있 다. 즉, 입질 방향이 어떤 방향이든지 불구하고 물고기의 입질로 인해 목줄이 본 발명을 움직이는 최초의 작용 순간에 방향핀에 의해 압력판이 물고기의 진행 방향으로 압력을 받도록 전환되고, 방향 전환된 압력판이 이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물고기 이동 방향에 대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비행함으로써, 입질 초기부터 원줄의 상하 방향 변위를 극대화하여 수표면에 있는 어신 찌에 표현되도록 어신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원줄의 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다양한 각도의 입질시 파도 및 수표면의 요동으로 판별하기 어려웠던 입질 초기의 미세한 어신 찌의 반응(예신이라고도 표현함)이 생략되고 곧바로 시원스럽게 어신 찌가 잠수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정확한 챔질 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게 되며, 수표면이 고르지 못한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어신 판별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100)는 수압을 받을 수 있는 일정 넓이를 가진 압력판(1); 상기 압력판(1)의 일측면 가운데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입질 즉시 방향을 전환하고 비행시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방향핀(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판(1)의 상부(상단부 또는 상부측) 또는 방향핀(2)의 상부(상단부 또는 상부측)에 상부관통공(3)이 형성되고; 압력판(1)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의 하부(하부측 또는 하단부)와, 방향핀(2)의 하부(하부측 또는 하단부)에 하부 관통공(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통공(3)과 하부관통공(4)은 방향핀(2)과 압력판(1)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압력판(1)의 하부에는 중량체(5)가 외부에 부착되거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수중 찌(100)의 침강시 자세를 잡아주고 원줄(50)을 내리기 위한 최소한의 무게를 제공한다. 상기 중량체(5)는 다양한 무게로 되어 있어, 개인의 운용에 따라 적절한 수중 찌(1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하부관통공(4)은 압력판(1)에 다수 개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다수 개의 하부관통공(4)은 하나의 상부관통공(3)과 각각 연결된 구조이다. 다수 개의 하부관통공(4)이 압력판(1)에 형성된 경우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가지런히 배열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하부관통공(4)은 원줄(50)이 압력판(1)에 힘을 가하는 힘의 작용점이 된다.
상기의 압력판(1)의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일정한 수압을 받을 수 있는 넓이를 가지면 되고, 방향핀(2)은 입질 순간 방향 전환을 신속히 하고 비행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넓이를 가지면 되는 것이므로, 상기 압력판(1)이나 방향핀(2)은 형상이나 넓이를 특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원줄(50)이 상부관통공(3)과 하부관통공(4)을 관통하게 되고, 하부관통공(4)의 인접된 하부의 원줄(50)에 도래(51)와 무게추(5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 4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압력판(1) 및 방향핀(2)의 형상은 삼각이나 사각 등을 포함한 다각형, 원형, 타원 형 등등 본 수중찌(100)의 기능을 실현한다면 어떠한 형상과 구조도 가능하며,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형상을 가지도록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관통공(3)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판(1)의 상단부에 형성되거나, 방향핀(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단부가 아닌 상부측 어딘가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하부관통공(4)은 압력판(1)의 일측면 하부측이나 하단부에 형성되거나, 방향핀(2)의 하부측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관통공(3)과 하부관통공(4)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중 찌(100)의 거동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우선, 상부관통공(3)이 방향핀(2)의 상부(상부측 또는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부관통공(4)이 방향핀(2)의 하부(하부측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는 도 6의 (b)와 (c)이다. 그리고 상부관통공(3)이 방향핀(2)의 상부(상부측 또는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부관통공(4)이 압력판(1)의 하부(하부측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는 도 5와 도 7의 (b)이다. 그리고 상부관통공(3)이 압력판(1)의 상부(상부측 또는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부관통공(4)이 방향핀(2)의 하부(하부측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는 도 6의 (a)이다. 그리고 상부관통공(3)이 압력판(1)의 상부(상부측 또는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부관통공(4)이 압력판(1)의 하부(하부측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경우는 도 7의 (a)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압력판(1)의 압력중심이 위치한 압력면과, 하부관통공(4)과의 거리(이하 '작용거리'라고 함)가 다르게 되고, 물고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압력판(1)이 앞서고 방향핀(2)이 뒤따르는 경우와, 방향핀(2)이 앞서 고 압력판(1)이 뒤따르는 경우도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본 발명은 입질 순간 방향 전환을 신속히 하고, 힘의 방향에 대한 특정 진행 방향을 갖도록 압력면에 대한 작용점(작용위치), 작용거리에 대한 역학을 고려하여 압력판(1)과 방향핀(2)의 형상을 결정하면 된다.
즉, 작용점은 하부관통공(4)이 되므로, 상기 작용점과 압력판(1)의 압력 중심과의 거리가 클수록 입질 순간 압력판(1)의 방향 전환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부관통공(4)이 방향핀(2)에 형성된 경우가 보다 신속히 압력을 받도록 정렬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방향핀(2)이 압력판(1)보다 진행 방향에 대하여 선행하는 경우이다.
상기의 어떠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수중 찌(100)는 연을 날리는 것과 같은 작용에 의하여 어신이 강화된다. 즉,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날리면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연의 비행 방향이 다르고, 바람을 받는 연의 압력면에 대하여 힘의 작용점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강도의 바람에서도 연의 고도(연실에 작용하는 힘과 연의 진행 방향과의 각도)가 달라진다.
즉,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을 날리다 보면, 연의 압력면의 압력중심에 대하여 목줄의 작용점(B)이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동일한 바람에서 연의 고도가 달라지듯이, 물고기의 입질 방향에 대하여 수중 찌(100)의 작용점과 압력면과의 상관관계를 조정하여 원줄(50)의 수평이동을 줄이고 상하 방향의 이동을 강화할 수 있다.
도 9의 (가)의 경우는 AB 거리가 BC 거리보다 약간 긴 경우로서, 바람을 잘 받고 적정 고도까지 올라가지만, 수직에 가까이 올라가지 못하고 멈춘다. (나)의 경우는 AB 거리가 BC 거리보다 많이 긴 경우로서, 90도까지 올라갈 수 있다. (다)의 경우는 AB 거리가 BC 거리보다 짧은 경우로서, 올라가지도 못한다. (라)의 경우는 AB 거리가 BC 거리보다 지나치게 긴 경우로서, 고도를 높이다가 결국 날리는 사람의 머리를 지나 곤두박질치고 만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본 발명의 수중 찌(100)는 하부관통공(4)이 압력판(1)이나 방향핀(1)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가에 따라 달라지는 작용거리 등에 의하여, 물고기의 힘의 방향에 대하여 수중 찌(100)의 주행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입질 후 물고기의 이동 방향에 의한 원줄(50)의 수평 이동을 특정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기능이 수중 찌(100)에 있게 되어, 수표면의 어신 찌(60)의 이동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입질 순간부터 바로 어신 찌(60)에 입질이 표현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입질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입질 후의 거동을 도시한 것이다.
실선의 상태와 같이 있는 중에는 본 발명의 수중 찌(100)는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물고기가 입질을 하여 움직이게 되면, 방향핀(2)이 물고기가 움직이는 방향과 나란한 평판이 되는 상태로 정렬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방향핀(2)에 수직으로 일체화된 압력판(1)의 일측면이 물고기 운동 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향핀(2)이 물고기의 움직임에 의해 압력판(1)의 방향을 신속히 정렬하여 수압을 받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수압을 받는 압력판(1)은 원줄(50)이 인출되는 하부관통공(4)의 압력판(1)에서의 위치에 따라 비행 방향 및 각도가 결정되고, 이에 의해 수표면의 어신 찌(60)를 잠수하게 한다.
즉, 물고기의 입질로 원줄(50)의 작용점이 되는 하부관통공(4)에 힘이 작용하면, 방향핀(2)이 수중 찌(100)를 힘이 작용하는 쪽으로 회전하게 하고, 이에 따라 압력판(1)은 물고기의 운동 방향과 수직이 되어 최대의 압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압력판(1)이 물고기의 운동에 의해 수압을 받게 되므로, 종래 원줄(50)의 측면이 받던 수압과는 비교할 수 없는 큰 압력이 된다. 따라서 물고기의 입질 초기에 원줄(50)에 작용되는 힘이 압력판(1)을 정렬시키고, 수압을 최대로 받는 자세에서 압력판(1)이 움직이게 되어 연이 연실에 묶여 날리는 것과 같이 거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의 연을 날릴 때 관찰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서, 연의 압력면의 압력 중심에 대하여 목줄에 연줄이 묶이는 지점인 작용점(B)이 목줄의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동일한 바람에서도 연의 고도 및 비행 각도가 달라지듯이, 물고기의 입질 방향에 대하여 수중 찌(100)의 작용점인 하부관통공(4)과 압력면(압력판의 압력중심이 위치한 면) 및 작용거리와의 상관 관계를 조정하여 원줄(50)의 수평 이동을 줄이고 아래 방향으로 이동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작용점이 되는 하부관통공(4)의 위치에 따라 수중 찌(100)가 진행하는 방향이 결정되는데, 도 8에 도시된 것보다 윗쪽에 하부관통공(4)이 형성되면 보다 더 수직에 가깝게 하강하고, 아랫쪽에 형성되면 비스듬하게 하향하는 움직임을 보 인다. 따라서 물고기의 활성도 및 특성에 따라 입질시 물고기가 받는 이물감(저항력)을 다수 개의 하부관통공(4)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부관통공(4)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이 나타나므로, 하나의 수중 찌(100)에 하나의 하부관통공(4)을 형성하거나, 도 5와 같이 하나의 수중 찌(100)에 다수 개의 하부관통공(4)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하부관통공(4)이 형성된 위치가 다른 다수 개의 수중 찌(100)를 구비하고 있다가, 상황에 맞는 수중 찌(100)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도 5와 같은 수중 찌(100)를 사용하되 상황에 따라 다른 하부관통공(4)에 원줄(50)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압력판(1)이 정렬되면, 유체 저항으로 압력판(1)이 원줄(50)의 수평이동에 저항하여, 물고기의 이동방향을 수중 찌(100)의 이동방향으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물고기가 수평으로 이동하더라도 그 변위는 수직 방향으로 더 크게 변환된다. 따라서 수중 찌(100)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은 바로 어신 찌(60)의 움직임으로 나타나 입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관통공(4)이 작용점이 되고, 하부관통공(4)이 방향핀(2)이나 압력판(1)의 특정 위치에 있게 함으로써 작용거리의 개념을 갖고, 신속한 방향 전환을 돕는 동시에 비행시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채비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고, 어종이나 조류 또는 파도 등의 상황에 따라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수중 찌를 사용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수중 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예시 및 그 작용 설명도
도 9은 본 발명의 작용을 연에 비유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판 2 : 방향핀
3 : 상부관통공 4 : 하부관통공
5 : 중량체
50 : 원줄 51 : 도래
52 : 무게추 60 : 어신 찌
100 : 수중 찌

Claims (3)

  1. 삭제
  2. 수압을 받을 수 있는 일정 넓이를 가진 압력판(1); 상기 압력판(1)의 일측면 가운데에 돌출되게 설치된 방향핀(2);을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향핀(2) 또는 압력판(1)의 상부에 상부관통공(3)이 형성되며, 상기 압력판(1)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의 하부 또는 방향핀(2)의 하부에 하부관통공(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관통공(3)과 하부관통공(4)은 원줄(50)이 관통하도록 방향핀(2)과 압력판(1)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판(1)의 하부에는 중량체(5)가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수중 찌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통공(4)은 압력판(1) 또는 방향핀(2)의 일면에 하나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가지런히 배열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3. 삭제
KR1020080071260A 2008-07-22 2008-07-22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KR10100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60A KR101009511B1 (ko) 2008-07-22 2008-07-22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JP2009159242A JP2010022369A (ja) 2008-07-22 2009-07-03 魚信を強化する水中浮き(Fishingsinkflo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60A KR101009511B1 (ko) 2008-07-22 2008-07-22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34A KR20100010334A (ko) 2010-02-01
KR101009511B1 true KR101009511B1 (ko) 2011-01-18

Family

ID=4172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260A KR101009511B1 (ko) 2008-07-22 2008-07-22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022369A (ko)
KR (1) KR101009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35B1 (ko) 2012-05-25 2014-05-30 전재락 낚시용 수중찌 및 수중찌와 낚시줄의 연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79B1 (ko) * 2013-04-22 2014-12-01 김문수 낚시용 수중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302A (ko) * 1995-07-31 1997-02-21 최훈 법면 시공용 규준틀 설치기
KR970001360Y1 (ko) * 1993-10-25 1997-03-04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낚시용 수중찌
JPH1189491A (ja) 1997-09-19 1999-04-06 Nagoo Sakamoto 魚釣り用仕掛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0000778A1 (en) * 1978-10-23 1980-05-01 K Yuji Fishing buoy
JPH10178993A (ja) * 1996-12-27 1998-07-07 Tsuriken:Kk 釣用水中浮き
JP3789626B2 (ja) * 1998-01-09 2006-06-28 株式会社釣研 釣用水中浮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360Y1 (ko) * 1993-10-25 1997-03-04 가부시키가이샤 츠리겡 낚시용 수중찌
KR970007302A (ko) * 1995-07-31 1997-02-21 최훈 법면 시공용 규준틀 설치기
JPH1189491A (ja) 1997-09-19 1999-04-06 Nagoo Sakamoto 魚釣り用仕掛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35B1 (ko) 2012-05-25 2014-05-30 전재락 낚시용 수중찌 및 수중찌와 낚시줄의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22369A (ja) 2010-02-04
KR20100010334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901B1 (ko) 사계절 낚시용 편대
US20190208756A1 (en) Fishing lure
US20100031554A1 (en) Plastic fishing cork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KR101967363B1 (ko) 낚시찌
KR200384445Y1 (ko) 사출형 구멍찌
KR101776407B1 (ko) 다기능 낚시찌
CN213603913U (zh) 浮漂渔具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KR101753967B1 (ko) 다기능 낚시찌
KR200333513Y1 (ko) 바다낚시용 구멍찌
CN217884846U (zh) 一种可更换鱼头并可调整自身重量的仿生鱼饵
KR20170044959A (ko) 다기능 낚시찌
CN214339535U (zh) 花管式漂尾进排水浮漂
JP7298050B1 (ja) 餌が動く釣り具
KR20180096232A (ko) 낚시찌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CN212589730U (zh) 一种摆动灵活的仿生鱼饵
CN117356529A (zh) 一种头足类繁育亲本捕获装置及方法
JP3159066U (ja) 疑似餌
KR20230000115A (ko) 밑밥 연동 다기능찌
KR200327142Y1 (ko) 낚시용 찌
KR200442560Y1 (ko) 낚시용 탑찌
KR100356278B1 (ko) 낚시용 구멍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