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352B1 - 낚시용 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352B1
KR100375352B1 KR10-2000-0023211A KR20000023211A KR100375352B1 KR 100375352 B1 KR100375352 B1 KR 100375352B1 KR 20000023211 A KR20000023211 A KR 20000023211A KR 100375352 B1 KR100375352 B1 KR 10037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bobber
buoyancy
floating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891A (ko
Inventor
나호열
Original Assignee
나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호열 filed Critical 나호열
Priority to KR10-2000-002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352B1/ko
Priority to KR2020000012891U priority patent/KR200202746Y1/ko
Publication of KR2001009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찌에 관한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막대찌의 찌톱에 승하강이 가능케 유동찌를 장치하여 부력의 조절이 쉽고 어신을 예민하게 탐지할수 있게 한 것으로 하단에 몸통이 형성되고 몸통의 상부에 찌톱(2)이 형성되는 낚시용찌에 있어서 중심부에 통공(301)을 가진 유동찌(3)를 형성하여 유동찌(3)를 찌톱(2)에 끼워서 승,하강 작동되게 하고 찌톱(2)의 상부에 멈춤링(5)을 끼워서 형성한 구조로 되며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찌를 입수시키면 유동찌(3)는 부력에 의하여 찌톱(2)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멈춤링(5)에 걸려서 그 위치가 고정되며 찌의 부력을 유동찌(3)의 상단이 수면에 위치하게 부력을 조절하여 고기가 미끼를 물고 상승하게 되면 유동찌(3)는 수면에 위치한 상태로 찌톱(2)만이 상승하게 됨으로 유동찌 (3)의 무게가 찌톱(2)에 가하지 않게 되므로 찌톱의 상승폭이 크고 기밀하며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어 어신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찌{The float}
본 발명은 낚시용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막대찌의 찌톱에 승,하강이 가능케 유동찌를 장치하여 부력의 조절이 쉽고 어신을 예민하게 탐지할수 있게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찌는 대상어종 습성이나 호수나 강 및 바다등의 낚시장소와 수심과 날씨등 낚시의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크게 분류하면 몸통의 상부에 찌톱을 결합한 막대형찌와 구슬형의 구멍찌로 구분할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막대찌에 관한것으로 막대찌는 찌의 하단에 부력을 받는 찌의 몸통과 그 상부에 몸통부의 상하 승하강 운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찌톱으로 형성되고 찌톱에 승하강이 가능하게 유동찌를 장치하여서 된 것이다.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의 막대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막대찌의 사용시에는 찌의 부력조절 즉 찌가 가지는 부력과 낚시추와 바늘이 가지는 무게를 일치시켜서 고기가 낚시바늘의 미끼를 취식시에 추의 무게를 찌가 감당하게 하여 고기가 이물감을 갖지 않게하여 고기가 미끼를 다시 뱉어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찌가 민감하게 승,하강하여 고기의 입질을 낚시인에게 보여 주게 하며 찌의 부력조절은 찌에 추 및 바늘을 달고 바늘이 수중의 떠있는 상태로 찌톱의 상부끝이 수면과 일치되게 하여 찌와 추의 부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되는 찌의 부력조절은 찌톱의 끝을 수면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육안으로 찌톱의 상부 끝의 위치를 보며 추의 무게를 가감해야 함으로 찌의 부력조절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찌의 부력조절이 대단히 어렵고 상기와 같이된 찌의부력은 고기가 낚시바늘의 미끼를 물고 상승하게 되면 찌도 민감하게 상승하여 어신을 전달하여야 하나 찌의 부력이 조절된 상태에서 찌가 상승하면 상승한 찌톱의 무게만큼 찌를 눌러주게 됨으로 찌가 예민하게 승강하지못하게 되며 주간에 낚시를 하다가 날이 어두워져서 야간낚시로 전환시에는 낚시찌에 발광하는 케미라이트를 꽂아서 찌의 식별이 좋게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케미라이트의 무게로 인하여 찌의 부력이 달라지게 됨으로 민감한 어신의 전달을 위해서는 찌의 부력조절을 다시하여야 하나 야간에 찌톱의 노출량을 확인하기가 어려워 부력조절이 어렵고 특히 떡밥과 같은 미끼를 사용시에 수면에 물결이 일면 찌가 물결의 높이로 출렁이게 되고 이때 낚시바늘도 함께 승하강하게 되어 떡밥이 쉽게 풀어지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여 찌의 부력조절이 쉽고 케미라이트의 사용시에도 찌의 부력조정이 편리하게 하며 찌의 승,하강폭을 크고 빠르게 하여 민감한 어신을 탐지할수있게 한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민물낚시용 찌.
도 3는 본 발명의 찌의 찌톱상부에 케미라이트꽂이를 장치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다낚시용 찌를 나타낸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찌를 이용하여 부력맞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찌톱승강예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몸통 2 : 찌톱
3 : 유동찌 301 : 통공
4 : 케미라이트꽂이 5 : 멈춤링
도 1은 본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하단에 몸통(1)이 형성되고 몸통(1)의 상부에 찌톱(2)이 형성되는 낚시용찌에 있어서 외측에 형광도료를 도포하고 중심부에 통공(301)을 가진 유동찌(3)를 형성하여 유동찌(3)를 막대찌의 찌톱(2)에 끼워서 승,하강 작동되게 하고 찌톱(2)의 상부에 멈춤링(5)을 끼워서 된 구조이다.
또한 도 2는 본발명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찌톱의 상부에 케미라이트꽂이를 장치한 것으로 찌톱(2)의 상부끝에 케미라이트꽂이(4)를 찌톱(2)에 포삽한형태로 끼우고 그외측에 멈춤링(5)을 끼워서 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된 본 발명은 멈춤링(5)을 빼고 유동찌(3)를 찌톱(2)에 끼워서 멈춤링(5)을 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되며 찌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찌를 입수시키면 유동찌(3)는 부력에 의하여 찌톱(2)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멈춤링(5)에 걸려서 그 위치가 고정되며 낚시추의 무게를 유동찌(3)의 상단이 수면에 위치하게 부력을 조절하면 된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고기가 미끼를 물고 상승하게 되면 유동찌(3)는 수면에 위치한 상태로 찌톱(2)이 상승하게 됨으로 유동찌(3)의 무게가 찌돕(2)에 가하지 않게 됨으로 찌톱(2)의 상승이 기밀하고 빠르게 이루어 지게되고 케미라이트의 사용시에는 케미라이트에 대응하는 부력을 가진 유동찌(3)를 교환하면 별도의 부력 조절없이 사용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된 본 발명은 유동찌(3)의 부력과 찌몸통(1)의 부력을 이용하여 낚시추와 부력을 맞추게 됨으로 찌의 상승시에는 유동찌(3)와 찌톱(2)이 분리되어 찌톱(2)만 상승하게 되고 유동찌(3)는 형광도료가 도포되고 수면에 위치하게 됨으로 찌톱(2)의 상부와 유동찌(3)의 거리의 변화에 의해 찌톱(2)의 상승폭을 쉽게 알수있으며 유동찌(3)의 하중이 찌에 미치지 않게 되어 찌톱(2)의 상승력이 크고 많게 되어 민감한 어신을 전달할수 있고 찌톱(2)을 유동찌(3)에서 일정량 노출되게 부력을 조정하면 수면에 파도가 일어도 유동찌(3)만이 수면을 따라 승하강 함으로 고기의 입질을 쉽게 파악하고 낚시바늘이 수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바닥에 닿아 있음으로 떡밥의 요동에 의해 쉽게 풀어지는것을 방지할수 있으며 유동찌(3)를 케미라이트의 사용시에 케미라이트에 대응하는부력을 가진 유동찌(3)로 교환하면 별도의 부력조정없이 야간낚시도 가능하게 됨으로 그 사용이 편리한 잇점이 있는것이다.

Claims (3)

  1. 하단에 몸통(1)이 형성되고 몸통(1)의 상부에 찌톱(2)이 형성되는 낚시용찌에 있어서 중심부에 통공(301)을 가진 유동찌(3)를 찌톱(2)에 끼워서 승,하강 작동되게 하고 찌톱(2)의 상부에 멈춤링(5)을 끼워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찌.
  2. 상기 1항에 있어서 유동찌(3)의 부력은 0.5푼(0.1875g)의 단위로 가감되게 규격화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찌.
  3. 상기 1항에 있어서 유동찌(3)의 외측에 형광도료를 도포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찌
KR10-2000-0023211A 2000-04-26 2000-04-26 낚시용 찌 KR100375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211A KR100375352B1 (ko) 2000-04-26 2000-04-26 낚시용 찌
KR2020000012891U KR200202746Y1 (ko) 2000-04-26 2000-05-06 낚시용 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211A KR100375352B1 (ko) 2000-04-26 2000-04-26 낚시용 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891U Division KR200202746Y1 (ko) 2000-04-26 2000-05-06 낚시용 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891A KR20010097891A (ko) 2001-11-08
KR100375352B1 true KR100375352B1 (ko) 2003-03-08

Family

ID=1966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211A KR100375352B1 (ko) 2000-04-26 2000-04-26 낚시용 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298A (ko) * 2001-03-19 2002-09-30 김경태 위치 가변식 보조 몸통을 갖는 민물낚시찌
KR101279290B1 (ko) * 2012-10-29 2013-06-26 원철호 부력조절체가 공기중에 위치하는 부력조절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081U (ko) * 1994-06-22 1996-01-17 맹기영 낚시찌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081U (ko) * 1994-06-22 1996-01-17 맹기영 낚시찌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891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352B1 (ko) 낚시용 찌
KR200202746Y1 (ko) 낚시용 찌
KR102370025B1 (ko)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US20040088899A1 (en) Fish strike indicator
KR100979305B1 (ko) 낚시찌
KR200391787Y1 (ko) 낚시찌
KR200204974Y1 (ko) 낚시찌
KR100356278B1 (ko) 낚시용 구멍찌
CN213603913U (zh) 浮漂渔具
KR102511226B1 (ko) 원투 낚시채비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0195014Y1 (ko) 낚시찌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279469Y1 (ko) 릴낚시용 구멍찌
KR20180024087A (ko) 낚시찌
KR200249317Y1 (ko) 낚시찌
KR200179398Y1 (ko) 낚시용 찌 부력 조절구
KR100693073B1 (ko) 수면지시용 케미라이트가 설치된 부양체
KR200227040Y1 (ko) 민물 낚시의 구멍 찌
KR100330514B1 (ko) 낚시용 찌
KR200308337Y1 (ko) 낚시용 구멍찌
KR200292574Y1 (ko) 낚시찌
KR960004135Y1 (ko) 수심 자동조절 회전찌
KR200282111Y1 (ko) 낚시용 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