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226B1 - 원투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원투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226B1
KR102511226B1 KR1020220096816A KR20220096816A KR102511226B1 KR 102511226 B1 KR102511226 B1 KR 102511226B1 KR 1020220096816 A KR1020220096816 A KR 1020220096816A KR 20220096816 A KR20220096816 A KR 20220096816A KR 102511226 B1 KR102511226 B1 KR 10251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ishing
sleeve
present
buoyanc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석
김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2009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원투 낚시채비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원투 낚시채비는 원줄; 상기 원줄의 단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돌; 상기 원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낚싯줄; 및 상기 낚싯줄의 단부에 결합하는 낚싯바늘을 포함하며, 상기 원줄 상에서 상기 슬리브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낚싯바늘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투 낚시채비{FISHING TACKLE}
본 발명은, 원투 낚시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낚싯바늘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서 유인이 잘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는 원투 낚시채비에 관한 것이다.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낚시를 살펴보면, 낚싯대, 낚싯줄, 찌, 봉돌, 낚싯바늘 순서로 연계되어 구성된다.
낚싯대에는 물고기가 걸렸을 때 휘어지는 기점이 있으며 그 기점에 따라 휘는 감도가 달라진다. 휨새란 고기가 걸렸을 때 낚싯대가 휘어지면서 고기의 저항으로 느껴지는 유연하면서도 강인하게 받쳐주는 탄력을 말하는 것으로 낚싯대에서는 휨새가 가장 중요하다. 휨새는 낚싯대의 휘는 범위·정도·각도·부위 등을 총체적으로 나타내며, 이것으로 낚싯대의 좋고 나쁨 또는 용도에 맞는지의 여부 등의 성능과 기능을 가늠하는 기준이 된다.
낚싯줄은 본줄(원줄)과 목줄로 구분되는데, 영어로 본줄은 라인(line)이라 하고 목줄은 리더(leader)라고 한다. 목줄이란 본줄의 끝과 바늘의 윗부분까지의 줄로, 채비 안에 바늘과 연결된 줄을 말한다. 목줄은 본줄과는 다르게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는데 미끼의 종류나 수중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낚시도구는 모두 중요하지만, 낚싯바늘이 고기의 크기·입질·당김새 등의 습성에 맞지 않거나, 부러지거나 뻗어버린다면 만사는 허사이다. 그런 만큼 낚싯바늘은 낚시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로 항상 샌드페이퍼 등으로 날카롭게 손질해 두어야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봉돌의 명칭은 지방에 따라 다른데, 납봉,봉, 뽕, 몽깃돌, 연철(鉛鐵), 납추, 추 등 여러 가지로 부른다. 낚싯줄에 매단 납덩이나 돌덩이에 불과하지만, 찌의 부력에 상응하는 침력으로 무중량상태를 유지하면서 고기의 입질을 정확하고 빠르게 찌에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미끼를 원하는 바닥 포인트까지 운반하고,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힐 때는 무게 구실을 하며, 물속에 가라앉아 미끼가 움직이지 않게 닻의 역할을 한다. 미끼를 빨리 바닥에 닿게 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며 고기가 회유하는 층(層)으로 자유롭게 미끼를 내려보낼 수 있다. 또한 물살이 빠르거나 파도가 거셀 때는 미끼를 고정시켜 주고, 목줄에 달린 미끼를 자연스럽게 흔들어 주는 역할을 하며, 낚시를 멀리 던지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찌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히고,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지형이나 물고기의 먹이 취이 특성에 따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수심을 잴 때는 자의 구실도 하는데 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수초나 장애물에 걸렸는 지를 판별케 한다.
또한, 바닥의 생김새나 수초의 유무도 판별할 수 있고, 물 흐름의 여부, 방향, 속도도 알 수 있다. 찌의 성능은 낚시를 던졌을 때 물속으로 천천히 잠겨야 하고 찌올림은 빠른 것이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낚싯대에 묶인 낚싯줄의 끝단의 낚싯바늘을 바닥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중량체인 봉돌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봉돌에는 낚싯바늘이 본줄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낚싯줄에 끼워진 찌고무에는 어신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찌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꽂혀 있다.
이때, 봉돌의 무게는 찌의 부력에 따라 적당한 무게를 갖도록 조절하여야 되는데, 그 무게는 낚시를 즐기는 장소, 계절, 조사의 취향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낚시 장소에 따라 알맞은 먹이를 낚싯바늘에 매달고 투척하면 먹이가 매달린 낚싯바늘이 봉돌의 무게에 의해 물 속의 바닥면에 가라앉아 안착되면서 찌가 무게중심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므로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류가 낚싯바늘에 매달린 먹이를 먹기 위해 입질을 하면 어류의 입질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낚싯대를 잡아당겨 낚싯바늘에 어류가 걸리도록 하므로 어류를 잡게 된다.
이때, 봉돌과, 낚싯바늘이 서로 연계된 부분을 낚시채비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낚시채비는 도 1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
다만, 이러한 낚시채비는 봉돌이 바닥에 고정되면서 낚싯바늘의 위치가 유동되지 않아 유인이 잘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어신이 잘 안 느껴진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보완할 낚시채비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297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9444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8-000201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9-00895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바늘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서 유인이 잘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는 원투 낚시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원줄; 상기 원줄의 단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돌; 상기 원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낚싯줄; 및 상기 낚싯줄의 단부에 결합하는 낚싯바늘을 포함하며, 상기 원줄 상에서 상기 슬리브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낚싯바늘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 낚시채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슬리브는 비중 1 이하의 부력체일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부력 바디; 및 상기 부력 바디 내에 배치되되 상기 원줄이 통과하는 원줄 통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 바디는 상기 원줄의 상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절두원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싯바늘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서 유인이 잘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낚시채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원줄과 슬리브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원줄과 슬리브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원줄과 슬리브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원줄과 슬리브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의 구조도, 도 3은 원줄과 슬리브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100)에 의하면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서 유인이 잘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100)는 원줄(110)과, 원줄(110)의 단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돌(120)과,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리브(130)와, 슬리브(1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낚싯줄(140)과, 낚싯줄(140)의 단부에 결합하는 낚싯바늘(142)을 포함하며,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1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한다. 이처럼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1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되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원줄(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100)의 메인 라인(line)을 이룬다. 원줄(110)의 단부에 봉돌(120)이 매달린다. 봉돌(120)로 인해서 원하는 장소의 바닥에 놓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줄(110)에는 슬리브(130)의 최대 부상 높이를 제한하는 부상 높이 제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130)는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낚싯바늘(142)이 매달린 낚싯줄(140)이 슬리브(1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낚싯줄(140)이 슬리브(13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했지만, 그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슬리브(130)는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일종의 부력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슬리브(130)는 비중 1 이하의 부력체로 적용될 수 있다.
슬리브(130)는 부력 바디(131)와, 부력 바디(131) 내에 배치되되 원줄(110)이 통과하는 원줄 통과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력 바디(131)는 원줄(110)의 상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절두원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130)가 원줄(110)의 상단부로 이동하기에 좋다.
그리고, 원줄 통과부(132)는 원줄(110)의 단면적보다는 폭이 넓게 형성된다. 그래야 원줄(110)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1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할 경우,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게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서 유인이 잘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의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원줄과 슬리브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200)는 원줄(110)과, 원줄(110)의 단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돌(120)과,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리브(230)와, 슬리브(2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낚싯줄(140)과, 낚싯줄(140)의 단부에 결합하는 낚싯바늘(142)을 포함하며,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2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한다. 이처럼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2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되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한편, 슬리브(230)는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로서 절두원추 형상의 부력 바디(231)와, 부력 바디(231) 내에 배치되되 원줄(110)이 통과하는 원줄 통과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력 바디(231)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룬다. 때문에, 부력 바디(231) 내에는 일정한 공기 공간부(231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기 공간부(231a)로 인해 원하는 만큼의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서 유인이 잘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의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원줄과 슬리브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300)는 원줄(110)과, 원줄(110)의 단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돌(120)과,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리브(330)와, 슬리브(3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낚싯줄(140)과, 낚싯줄(140)의 단부에 결합하는 낚싯바늘(142)을 포함하며,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3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한다. 이처럼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3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되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한편, 슬리브(330)는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로서 절두원추 형상의 부력 바디(331)와, 부력 바디(331) 내에 배치되되 원줄(110)이 통과하는 원줄 통과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력 바디(331)에는 낚싯줄(140)이 고정되는 낚싯줄 고정부(333)가 형성된다. 낚싯줄 고정부(333)로 인해 낚싯줄(140)을 고정하기가 좋다. 낚싯줄 고정부(333)는 홀(hole)의 형태일 수도 있고, 혹은 고리 형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서 유인이 잘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의 구조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원줄과 슬리브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투 낚시채비(400)는 원줄(110)과, 원줄(110)의 단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돌(120)과,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리브(430)와, 슬리브(4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낚싯줄(140)과, 낚싯줄(140)의 단부에 결합하는 낚싯바늘(142)을 포함하며,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4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한다. 이처럼 원줄(110) 상에서 슬리브(430)가 이동함에 따라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되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한편, 슬리브(430)는 원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물로서 절두원추 형상의 부력 바디(431)와, 부력 바디(431) 내에 배치되되 원줄(110)이 통과하는 원줄 통과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력 바디(431)의 내측에는 원줄 통과부(432) 영역에 복수 개의 돌출부(433)가 형성된다. 돌출부(433)는 슬리브(430)가 원줄(110) 상에서 너무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낚싯바늘(142)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어서 유인이 잘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확실한 어신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원투 낚시채비 110 : 원줄
120 : 봉돌 130 : 슬리브
131 : 부력 바디 132 : 원줄 통과부
140 : 낚싯줄 142 : 낚싯바늘

Claims (4)

  1. 원줄;
    상기 원줄의 단부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돌;
    상기 원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낚싯줄; 및
    상기 낚싯줄의 단부에 결합하는 낚싯바늘을 포함하며,
    상기 원줄 상에서 상기 슬리브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낚싯바늘이 조류에 따라 유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고,
    상기 슬리브는,
    부력 바디; 및
    상기 부력 바디 내에 배치되되 상기 원줄이 통과하는 원줄 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바디는 상기 원줄의 상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절두원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 낚시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비중 1 이하의 부력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 낚시채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바디 내에는 공기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 낚시채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바디의 내측에는 원줄 통과부 영역에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투 낚시채비.
KR1020220096816A 2022-08-03 2022-08-03 원투 낚시채비 KR102511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816A KR102511226B1 (ko) 2022-08-03 2022-08-03 원투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816A KR102511226B1 (ko) 2022-08-03 2022-08-03 원투 낚시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226B1 true KR102511226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816A KR102511226B1 (ko) 2022-08-03 2022-08-03 원투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22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636A (en) * 1974-02-28 1975-04-22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Still fishing lure
KR200361713Y1 (ko) * 2004-06-18 2004-09-13 윤성열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090013465A (ko) * 2007-08-02 2009-02-05 박병귀 낚시 채비
KR20100029787A (ko) 2007-06-28 2010-03-17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취수구 장치
KR20100056588A (ko) * 2008-11-20 2010-05-28 이정숙 사계절 낚시용 편대
KR20160039921A (ko) * 2014-10-02 2016-04-12 정이규 올림 낚시용 추
KR20160094449A (ko) 2013-12-26 2016-08-09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발광 소자용 재료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180002017A (ko) 2016-06-28 2018-01-05 더 보잉 컴파니 성형된 복합 라미네이트들의 링클 감소
KR20190089501A (ko) 2018-01-23 2019-07-31 이동현 식기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636A (en) * 1974-02-28 1975-04-22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Still fishing lure
KR200361713Y1 (ko) * 2004-06-18 2004-09-13 윤성열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100029787A (ko) 2007-06-28 2010-03-17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취수구 장치
KR20090013465A (ko) * 2007-08-02 2009-02-05 박병귀 낚시 채비
KR20100056588A (ko) * 2008-11-20 2010-05-28 이정숙 사계절 낚시용 편대
KR20160094449A (ko) 2013-12-26 2016-08-09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발광 소자용 재료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160039921A (ko) * 2014-10-02 2016-04-12 정이규 올림 낚시용 추
KR20180002017A (ko) 2016-06-28 2018-01-05 더 보잉 컴파니 성형된 복합 라미네이트들의 링클 감소
KR20190089501A (ko) 2018-01-23 2019-07-31 이동현 식기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US5490347A (en) Fishing lure
US2004414A (en) Bobber
US20100313463A1 (en) Stinger Spinner Jig
KR102511226B1 (ko) 원투 낚시채비
US8448375B1 (en) Fishing apparatus
KR102229119B1 (ko) 낚시용 찌
KR101967363B1 (ko) 낚시찌
KR102175432B1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JP2012161299A (ja) 釣り具
JP3208006U (ja) ルアー
JP3132960U (ja) 摩擦力を利用した浮
JP4842218B2 (ja) 餌木
JP6320835B2 (ja) ルアー
CN213603913U (zh) 浮漂渔具
KR102602077B1 (ko) 낚시용 인조 미끼
KR100356278B1 (ko) 낚시용 구멍찌
KR200221732Y1 (ko) 낚시용 찌 및 그 찌의 중앙관통관
KR20210130423A (ko) 기울찌 및 이를 포함하는 찌 유닛
KR200279403Y1 (ko) 예민성 및 가시성이 향상된 바다 낚시용 구멍찌
JP2016208898A (ja) ルアー
JP2023036343A (ja) ルアー
TWI441594B (zh) Wood shrimp
KR970001359Y1 (ko) 수중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