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677A - 낚시용 전자 기울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자 기울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677A
KR20130119677A KR1020120042660A KR20120042660A KR20130119677A KR 20130119677 A KR20130119677 A KR 20130119677A KR 1020120042660 A KR1020120042660 A KR 1020120042660A KR 20120042660 A KR20120042660 A KR 20120042660A KR 20130119677 A KR20130119677 A KR 20130119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case
weight
electronic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용
Original Assignee
최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용 filed Critical 최상용
Priority to KR102012004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677A/ko
Priority to JP2013089897A priority patent/JP5716974B2/ja
Publication of KR2013011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신을 파악하기 위해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되는 낚시용 전자 기울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인성이 우수하여 야간에도 효율적으로 낚시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수면에 부상되는 경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날씨 및 파도 등의 외부 영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낚시용 전자 기울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되는 기울찌의 본체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게 되므로 시인성이 우수하여 야간에도 효율적으로 낚시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제2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중량체의 중량 조절을 통해 수면에 부상되는 경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날씨 및 파도 등의 외부 영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낚시용 전자 기울찌{AN ELECTRONIC INCLINE 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어신을 파악하기 위해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되는 낚시용 전자 기울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인성이 우수하여 야간에도 효율적으로 낚시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수면에 부상되는 경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날씨 및 파도 등의 외부 영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낚시용 전자 기울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낚시에 사용되는 찌는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미끼를 물었을 경우의 신호, 즉 어신을 낚시인에게 전달하기 위한 부표물을 말하는 것으로, 크게 구멍찌와 막대찌로 대별되는데, 구멍찌의 경우는 계란형이나 원추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낚시줄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막대찌는 표현 그대로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낚시줄을 걸어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멍찌는 크게 수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상되는 직립형 구멍찌와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되는 기울찌로 구분될 수 있으며, 직립형 구멍찌는 통상 반유동 낚시에 널리 사용되며, 기울찌는 전유동 낚시에 주로 사용되는 만큼 기울찌는 줄빠짐이 좋고 예민한 어신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야간에도 시인성을 확보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근래에는 상기 구멍찌에 발광수단을 내장한 일명, 전자찌가 제공되고 있어 야간에는 전자찌로 채비를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자찌의 경우에는 수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상하는 구멍찌 타입이라 기울찌를 선호하는 낚시인도 야간에는 시인성 문제로 인해 선택의 여지없이 전자찌로 채비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울찌에 케미컬 라이트를 꽂을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울찌가 제공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90635호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기울찌의 상면에 캐미삽입홈을 형성하여 자체 발광되는 케미컬 라이트를 야간에 꽂아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케미컬 라이트는 발광물질에 의해 자체 발광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발광력이 현저히 떨어져 낚시장소 근접한 곳을 벗어나게 되면 시인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인성이 우수하여 야간에도 효율적으로 낚시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수면에 부상되는 경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날씨 및 파도 등의 외부 영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낚시용 전자 기울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시 가운데 부분에는 낚시줄이 관통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2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일측에는 야간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발광수단 타측에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체는 상기 제2케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중량 조절에 따라 수면에 부상되는 본체의 경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케이스의 표면에는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모아 집중 발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되는 기울찌의 본체 내부에 발광수단을 구비하게 되므로 시인성이 우수하여 야간에도 효율적으로 낚시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나아가 제2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중량체의 중량 조절을 통해 수면에 부상되는 경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날씨 및 파도 등의 외부 영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 기울찌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 기울찌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울찌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낚시용 전자 기울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 기울찌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 기울찌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낚시용 전자 기울찌의 본체(100)는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116,124)를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케이스(110,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무게추(112)가 구비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14)이 형성된 돌기봉(1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120) 또한 가운데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어 두 케이스(110,120)의 결합시 상기 돌기봉(113)이 상기 제2케이스(120)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면서 가운데 부분에 낚시줄(200)이 관통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두 케이스(110,120) 및 관통공(114,122)의 결합 부분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미도시 하였으나 패킹 등으로 밀폐하게 됨은 당연하다.
계속해서, 상기 제2케이스(120)의 내부 일측에는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수단(13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본체(100)를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시키기 위한 중량체(14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발광수단(130)은 상기 제2케이스(120)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홀단자(132), 상기 홀단자(132)와 연결된 기판(134), 상기 기판(134)과 연결된 LED전구(136) 및 상기 홀단자(132)로 결합되는 막대 건전지(13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막대 건전지(138)가 상기 홀단자(132)로 삽입되면 기판(134)과 연결된 LED전구(136)가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이 발광되는 빛을 집중시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케이스(120)의 표면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볼록부(126)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140)는 상기 제2케이스(120)에 결합된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파지가 용이하도록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케이스(1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케이스(120) 내부 타측에 결합구(128)를 형성하여 이 결합구(128)로 상기 중량체(140)가 삽입되도록 하여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는데, 이렇게 하는 것은 중량이 다른 중량체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구성되면 본 제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른 중량을 가지는 중량체(140)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안정감 있는 부상을 위해 상기 결합구(128)를 대칭되게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구(128) 사이에는 막대 건전지(138)를 사용하지 않을 때 꽂아 놓을 수 있는 삽입구(129)를 형성하여 전지 소모를 방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케이스(110)에 구비된 무게추(112)는 수면에 본체(100)가 부상될 때 수직 방향으로 부상되도록 하나, 제2케이스(12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중량체(140)에 의해서 본체(100)는 수평 방향으로 부상하게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상기 중량체(140)의 중량을 조절하여 수면에 부상되는 본체(100)의 경사를 선택적으로 조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체(10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본체(100)의 관통공(114,122)을 통과하는 낚시줄(200)의 입수각도를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 기울찌에 대한 사용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울찌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전자 기울찌의 본체(100)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114,122)으로 낚시줄(200)을 관통시키고 그 하단에 낚시 바늘(202)을 묶게 되는데, 수심이 깊거나 신속한 채비 입수를 위해서 선택적으로 상기 낚시 바늘(202) 상층부에 수중찌(204)를 달 수 있으며, 미도시 하였으나 완충고무나 좁쌀봉돌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채비가 완성되면 수면으로 기울찌 즉, 본체(100)를 던지게 되고, 수면에 닿게 되면 본체(100)는 제1,2케이스(110,120) 내부에 구비된 무게추(112) 및 중량체(140)에 의해서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부상한 상태에서 어신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다, 야간이 되면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제1,2케이스(110,120)를 분리하여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제2케이스(120) 내부에 구비된 발광수단(130)의 홀단자(132)로 막대 건전지(138)를 삽입시켜 빛을 발광하여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케이스(120)의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126)에 의해서 빛을 집중 발산시킬 수 있어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것은 자명하다.
계속해서, 수시로 변화되는 외부 날씨나 파도 등에 의해 낚시줄(200)의 입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된 무게추(112)와 제2케이스(120) 내부에 구비된 중량체(140)가 1 : 1의 중량을 가질 때 수면에 거의 수평 상태의 경사로 부상된다 가정하면, 본체(100)를 구성하는 제1,2케이스(110,120)를 분리한 뒤 이미 삽입되어 있는 중량체(140)를 분리하고 중량이 작은 다른 중량체를 삽입시켜 무게추(112)와 중량체(140)의 중량비를 1 : 0.8 정도로 조절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수면으로 던지게 되면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제2케이스(120) 부분이 수면 상측으로 올라간 비스듬한 경사로 조절되어 부상됨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되는 본체(100) 내부에 발광수단(130)을 구비하여 시인성이 확보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외에도 중량체(140)의 중량 조절에 따라 본체(100)의 부상 각도를 조절 할 수 있어 낚시줄(200)의 입수각도 조절에 따른 입수 속도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낚시줄(200)의 입수각도를 조절한다는 것은, 낚시바늘(202)이 수중으로 가라앉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가"와 같은 경우에는 본체(100)가 수면에 거의 수평 상태로 부상되어 있으므로 본체(100)를 관통한 낚시줄(200)은 거의 직각으로 꺾이면서 수중으로 내려가고 있으며, "나"와 같은 경우에는 본체(100)가 수면에 비스듬한 상태로 부상되어 있으므로 본체(100)를 관통한 낚시줄(200) 또한 비스듬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다.
즉, "나"의 경우에는 낚시줄(200)이 직각으로 꺾이지 않고 비스듬한 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마찰이 "가"의 경우보다 덜 발생되어 입수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처럼 낚시줄(200)의 입수 속도를 조절하게 되면 주변 여건이나 수시로 변화되는 날씨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케이스(120) 내부에 구비된 중량체(140)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수면으로 본체(100)를 던지면 제1케이스(110) 하측에 구비된 무게추(112)에 의해서 수직 상태로 부상되므로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전자찌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직립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본체 110 : 제1케이스
112 : 무게추 113 : 돌기봉
116 : 결합부 120 : 제2케이스
122 : 관통공 124 : 결합부
126 : 볼록부 128 : 결합구
129 : 삽입구 130 : 발광수단
132 : 홀단자 134 : 기판
136 : LED전구 138 : 막대 건전지
140 : 중량체 200 : 낚시줄
202 : 낚시바늘 204 : 수중찌

Claims (3)

  1.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시 가운데 부분에는 낚시줄이 관통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2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 일측에는 야간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발광수단 타측에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수면에 수평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 기울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제2케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중량 조절에 따라 수면에 부상되는 본체의 경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 기울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표면에는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모아 집중 발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 기울찌.
KR1020120042660A 2012-04-24 2012-04-24 낚시용 전자 기울찌 KR20130119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60A KR20130119677A (ko) 2012-04-24 2012-04-24 낚시용 전자 기울찌
JP2013089897A JP5716974B2 (ja) 2012-04-24 2013-04-23 釣り用電気斜め浮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60A KR20130119677A (ko) 2012-04-24 2012-04-24 낚시용 전자 기울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677A true KR20130119677A (ko) 2013-11-01

Family

ID=4967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660A KR20130119677A (ko) 2012-04-24 2012-04-24 낚시용 전자 기울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16974B2 (ko)
KR (1) KR201301196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274A (ko) 2022-07-25 2024-02-01 최상용 낚시용 전자 기울찌의 중량추 교환이 용이한 중량추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5060B (zh) * 2018-06-11 2023-07-04 丁龙兴 发光七星浮漂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8232Y2 (ko) * 1971-05-17 1974-10-19
JPS6062268U (ja) * 1983-10-04 1985-05-01 松本 博文 電気浮子
US4748761A (en) * 1987-05-27 1988-06-07 Machovina William J Fishing float
JP2520635Y2 (ja) * 1991-04-06 1996-12-18 栄一 田中 釣用うき
CN1041888C (zh) * 1994-08-30 1999-02-03 株式会社钓研 钓鱼用倾斜浮子
JP2001346486A (ja) * 2000-06-02 2001-12-18 Daiwa Seiko Inc 釣り用中通し電気浮き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5074678A1 (ja) * 2004-02-04 2007-10-18 株式会社釣研 釣り用浮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274A (ko) 2022-07-25 2024-02-01 최상용 낚시용 전자 기울찌의 중량추 교환이 용이한 중량추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26137A (ja) 2013-11-07
JP5716974B2 (ja)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KR200473427Y1 (ko) 낚시 채비
KR102370025B1 (ko)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101177823B1 (ko) 이단자립 낚시찌
JP3140792U (ja) 蟹釣り用掛け針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KR102479367B1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101483970B1 (ko) 낚시용 루어 및 이를 바닥 포인트로 운반하는 낚시용 싱커
KR102229119B1 (ko) 낚시용 찌
KR20160074112A (ko) 다목적 낚시전자찌 및 그 제조방법
JP6312352B1 (ja) 釣り用浮子
US7874095B2 (en) Fishing lure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JP2012161299A (ja) 釣り具
KR20150002173U (ko) 두족류 연체동물 낚시용 낚시어구
KR101695939B1 (ko) 낚시용 찌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347617Y1 (ko) 이중 구멍찌.
KR200302108Y1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KR200381287Y1 (ko) 속이 비어있는 낚시용 막대찌
JP2019180321A (ja) 中通しウキ
KR20120124884A (ko) 낚시용 구멍찌
KR200481994Y1 (ko) 막대형 바다 낚시찌
TWI441594B (zh) Wood shri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