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367B1 -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367B1
KR102479367B1 KR1020200049211A KR20200049211A KR102479367B1 KR 102479367 B1 KR102479367 B1 KR 102479367B1 KR 1020200049211 A KR1020200049211 A KR 1020200049211A KR 20200049211 A KR20200049211 A KR 20200049211A KR 102479367 B1 KR102479367 B1 KR 10247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ion
rod
bongdol
cap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987A (ko
Inventor
정이규
Original Assignee
정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이규 filed Critical 정이규
Priority to KR1020200049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3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봉돌에 편대가 고정결합된 찌올림낚시(바닥낚시)용 편대조립체에서,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하지 않고 반복적인 잔입질을 할 때에는 봉돌뿐만 아니라 편대까지도 닻 역할을 하여 찌가 지나치게 예민한 반응으로 까불지 않음은 물론, 물고기의 확실한 미끼 흡입시에는 중력관성이 쉽게 깨지도록 하여 봉돌의 무게로 인한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로서, 편대가 결합하는 봉돌과 캡이 결합하는 체결봉의 결합체인 봉돌결속구를 포함하며, 양단에 목줄고리를 구비한 편대의 중간부인 결속대를 상기 봉돌의 하면 조립홈에 결속시키되, 양단의 목줄고리가 상향으로 말리는 상향 목줄고리를 통해 결속대와 상향 목줄고리를 연결하는 수평밀착대를 바닥면과 선 형태로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선접지형으로 상기 편대를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목줄고리를 하향으로 말리는 하향 목줄고리로 구성함에 있어 결속대와 하향 목줄고리를 연결하는 절곡대의 절곡점을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과 동일선상에서 바닥면과 점 형태로 접촉하는 다점접지형으로 상기 편대를 구성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이다.

Description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a fishing tool whose bobber rises when a fish bites its bait}
본 발명은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봉돌에 편대가 고정결합된 찌올림낚시(바닥낚시)용 편대조립체에서,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하지 않고 반복적인 잔입질을 할 때에는 봉돌뿐만 아니라 편대까지도 닻 역할을 하여 찌가 지나치게 예민한 반응으로 까불지 않음은 물론, 물고기의 확실한 미끼 흡입시에는 중력관성이 쉽게 깨지도록 하여 봉돌의 무게로 인한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로서, 편대가 결합하는 봉돌과 캡이 결합하는 체결봉의 결합체인 봉돌결속구를 포함하며, 양단에 목줄고리를 구비한 편대의 중간부인 결속대를 상기 봉돌의 하면 조립홈에 결속시키되, 양단의 목줄고리가 상향으로 말리는 상향 목줄고리를 통해 결속대와 상향 목줄고리를 연결하는 수평밀착대를 바닥면과 선 형태로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선접지형으로 상기 편대를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목줄고리를 하향으로 말리는 하향 목줄고리로 구성함에 있어 결속대와 하향 목줄고리를 연결하는 절곡대의 절곡점을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과 동일선상에서 바닥면과 점 형태로 접촉하는 다점접지형으로 상기 편대를 구성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반적으로 찌올림낚시라 함은 낚시찌의 부력과 그에 상응하는 봉돌의 침력을 일치시켜 미끼가 꿰어진 채 바닥에 놓인 낚시바늘을 물고기가 흡입하여 봉돌의 무게를 일정부분 분담했을 때, 부력과 침력의 균형이 깨져 낚시찌가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한 낚시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바닥낚시라고도 한다. 이러한 찌올림낚시는 붕어를 낚는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전통낚시법이다.
찌올림낚시에서는 봉돌에 상응하는 낚시찌의 부력이 존재하더라도, 부력과 침력의 균형을 통해 정지상태인 봉돌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중력관성을 깨는 힘이 필요하다. 정지상태인 봉돌을 움직여 중력관성을 깨는 힘은 붕어의 미끼흡입행위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중력관성이 크면 그것을 깨기 위한 힘도 커야한다. 이러한 중력관성은 기본적으로 봉돌의 무게에 기초하며, 나아가 이러한 봉돌의 무게는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과 직결된다. 다시 말해, 고중량의 봉돌은 붕어의 미끼흡입시 미끼와 함께 딸려오는 봉돌로 인해 봉돌의 고중량 자체가 고스란히 이물감으로 작용한다. 저중량일지라도 부피가 큰 소재의 봉돌은 부피에 따른 수중저항이 고스란히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미끼흡입행위시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낚시채비가 제안된바, 그 대표적인 것이 분할봉돌 낚시채비이다. 분할봉돌 낚시채비는 부력을 갖는 낚시찌에 대응하는 침력을 갖는 봉돌을 여러 개로 나누어 붕어의 미끼흡입행위시 붕어가 최소한의 봉돌 무게만을 느끼도록 하여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낚시채비이다.
일례로, 도 6과 같이,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4196호(2014.07.09. 공개)의 '사슬체인을 이용한 낚시채비'는 주 중량체인 본봉돌(2)의 하측으로 낚시찌의 상단인 찌톱의 부력을 상세하며 하단이 바닥에 닿는 분할봉돌(4)을 사슬형태로 구성하여, 사슬형태의 분할봉돌(4) 하단에 연결된 낚시바늘(7)을 붕어가 흡입할 때, 중력관성이 분할봉돌(4)의 각 사슬(4-1)마다 분산됨에 따라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부력과 침력의 균형 또한 쉽게 깨질 수 있도록 한 분할봉돌 낚시채비이다. 미설명부호 L은 원줄, 1은 원줄고리, 3은 분할봉돌 연결고리, 5는 목줄고리, 6은 목줄, 8은 바닥면이다.
이러한 분할봉돌 낚시채비에서 본봉돌과 분할봉돌의 중량은 낚시찌와 깊은 관련이 있다. 우선, 본봉돌은 낚시찌의 중간부인 찌몸통이 물에 잠기는 정도의 중량체이다. 그리고 분할봉돌은 분할봉돌의 하단이 바닥에 닿았을 때, 찌톱만 물 밖으로 노출되는 부력에 대응하는 침력을 갖는 다수개의 연속 중량체로, 여기서 당연하게도 가장 하단인 바닥에 닿는 분할봉돌은 찌톱만 물 밖으로 노출되는 구간에서 낚시찌 전체 부력에 대응하는 침력을 갖는 중량체가 된다.
이렇게 하단의 분할봉돌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이 하단 분할봉돌의 중량만을 붕어가 흡입하여 부담하면, 침력으로 작용하는 봉돌이 중량을 상실하고, 그 순간 낚시찌의 부력이 증가하여 찌몸통까지 수면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에서 분할봉돌의 무게는 찌몸통의 체적(부피)과 관련되는바, 찌몸통의 체적이 크면 그만큼 높은 수중부력으로 인해 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분할봉돌이 필요하고, 찌몸통의 체적이 작아지면 수중부력도 작아져 분할봉돌의 크기 또한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여기서 분할봉돌이 작아진다는 의미는 붕어가 미끼를 흡입할 때, 적은 힘만으로도 부력과 침력의 균형이 깨져 중력관성이 쉽게 깨지며, 작은 부피로 인해 수중저항도 줄어들어 낚시찌로 전달되는 신호인 어신이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4196호는 붕어가 입질하는 신호인 어신이 빠르고 민감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부피가 큰 본봉돌이 수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본봉돌의 하측으로 분할봉돌이 바닥에 닿도록 길다랗게 형성된다. 여기서 부피가 큰 본봉돌은 아무래도 큰 부피로 인해 체적에 비례하여 분할봉돌보다 수중 물살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상기 고안은 어신을 민감하게 전달하는 낚시채비를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민감하게 반응하는 낚시찌의 반응이 과연 붕어의 입질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상대적으로 수중 물살에 쉽게 반응하는 본봉돌에 의한 것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조과(釣果)를 높이기 위해서는 붕어가 본입질에 들어갔을 때 챔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너무 예민한 찌반응은 붕어가 미끼를 살짝살짝 자주 건드리기만 하는 경우인 잔입질과, 완전히 미끼를 흡입한 경우인 본입질을 구별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조과율을 오히려 떨어뜨릴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77222호(215.05.13. 등록)인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낚시채비'이다. 여기서는 분할봉돌의 구성을 상기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4196호와 달리하여, 낚시바늘이 양쪽으로 연결되는 일자형 편대구조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였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77222호 (215.05.13. 등록)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4196호 (2014.07.09.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1363323호 (2014.02.10. 등록) 국내 등록특허 제10-1621308호 (2016.05.1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봉돌의 무게로 인한 붕어가 느낄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는 구성을 채택하되, 이러한 구성으로 말미암아 선행기술들에서 야기될 수밖에 없었던 너무 민감한 찌의 반응을 개선하여, 수중물살에 의한 휘말림 및 붕어의 잔입질시에는 중력관성이 쉽사리 깨지지 않아 찌반응의 민감도를 낮추지만, 붕어의 본입질시에는 중력관성이 쉽게 깨져 찌반응이 즉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과(釣果)를 향상시키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조절이 가능한 삿갓추를 봉돌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된 체결봉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켜 수중물살에 의한 영향을 줄이는 한편, 상기 삿갓추에는 미세 무게조절이 가능한 미세조절추를 설치 가능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수심과 수중물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는, 편대가 결합하는 봉돌과 캡이 결합하는 체결봉의 결합체인 봉돌결속구를 포함하며, 양단에 목줄고리를 구비한 편대의 중간부인 결속대를 상기 봉돌의 하면 조립홈에 결속시키되, 양단의 목줄고리가 상향으로 말리는 상향 목줄고리를 통해 결속대와 상향 목줄고리를 연결하는 수평밀착대를 바닥면과 선 형태로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선접지형으로 상기 편대를 구성하거나, 또는 양단의 목줄고리를 하향으로 말리는 하향 목줄고리로 구성함에 있어 결속대와 하향 목줄고리를 연결하는 절곡대의 절곡점을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과 동일선상에서 바닥면과 점 형태로 접촉하는 다점접지형으로 상기 편대를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밀착대는 상기 봉돌의 하면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의 하면단과 함께 바닥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봉돌의 하면단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의 하면단을 바닥면에서 이격시킨 채로 바닥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대는, 상기 절곡점이 상기 봉돌의 하면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의 하면단과 함께 바닥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절곡점이 상기 봉돌의 하면단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의 하면단을 바닥면에서 이격시킨 채로 바닥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절곡대의 절곡점과 상기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은 동일점이거나, 또는 이종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봉에는 무게조절용 삿갓추가 분리 가능하게 더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삿갓추는 개방된 하면 테두리단이 상기 봉돌의 둘레면 상단인 멈춤단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하면 테두리단에 연결되는 내측 공간부의 상부에 형성된 추고정나사부가 상기 체결봉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추삽입나사부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은 내주면에 형성된 캡고정나사부가 상기 추삽입나사부의 상측으로 상기 체결봉의 상부에 구비된 캡삽입나사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캡의 내주면 하단인 캡경사면이 상기 추삽입나사부와 상기 캡삽입나사부를 연결하는 상부가 좁은 등변사다리꼴인 캡밀착경사부에 면접촉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추삽입나사부에 끼워져 상기 삿갓추의 내측 공간부에 교체 가능하게 적층되는 미세조절추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돌은 하면을 가로지르는 조립홈이 몸체의 둘레면 하부까지 연장형성되고, 상기 둘레면의 상단인 멈춤단의 상측으로는 폭이 좁아지는 결합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경사면의 상단에 상기 체결봉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 중량체인 봉돌을 최하단에 배치하고, 양쪽단에 형성된 상향 목줄고리를 통해 바닥면에 선 접촉하는 수평밀착대의 중간부인 결속대를 상기 봉돌에 고정결합시킴으로써, 봉돌의 닻 역할을 바닥면에 접촉하는 수평밀착대의 길이만큼 편대에도 부과하였다. 이로 인해 수중물살에 낚시채비가 휘말려 중력관성이 깨져 발생하던 예민한 찌반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돌의 조립홈에 결합된 결속대의 양측으로 구부러진 절곡점이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절곡대를 구성함과 함께 절곡대의 끝단에 구비된 목줄고리를 하향으로 말아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이 절곡대의 절곡점과 함께 바닥면에 다점접지되도록 구성하여 낚시채비가 수중물살에 휘말리거나 잔입질시 중력관성이 쉽게 깨져 발생하던 예민한 찌반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봉돌의 닻 역할이 수평밀착대 또는 절곡대의 절곡점과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에 의해 편대에도 부과됨에 따라, 이물감으로 인해 붕어가 미끼를 흡입했다가 뱉어내는 잔입질시에는 편대의 수평밀착대 또는 절곡대의 절곡점과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이 바닥면에 접촉되어 있는 관계로 찌가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지만, 붕어가 미끼를 완전히 흡입하여 붕어의 입걸림시 수평밀착대 또는 절곡대의 절곡점과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이 바닥면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중력관성이 깨져 찌올림이 표시되도록 구성하여 챔질순간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 중량체인 봉돌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이 봉돌에 연결된 체결봉에 무게 조절이 가능한 삿갓추와 미세조절추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결합시키는 것으로, 가벼운 무게로 인해 붕어가 미끼를 흡입했다가 이물감 때문에 뱉어내는 시간을 길게 하여 충분한 챔질시간을 갖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삿갓추와 미세조절추를 이용해 다양한 수심과 수중물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편대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저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단면 개념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선접지 편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 다점접지 편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 분할봉돌의 일실시예
도 7은 종래 분할봉돌의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하면에 조립홈(111)이 형성된 봉돌(110)의 상면으로 체결봉(120)을 구비한 봉돌결속구(100)와, 상기 조립홈(111)에 고정결합하는 편대(200,200') 및 상기 체결봉(120)에 체결되는 캡(300)을 포함한다.
상기 봉돌결속구(100)는 주 중량체인 봉돌(110)과, 이 봉돌(1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체결봉(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봉돌(110)은 바람직하게 원기둥 형상의 하부몸체에 원뿔 형상인 상부몸체를 갖는다. 이 봉돌(110)의 하부몸체 하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처럼 그 단면이 하향으로 볼록한 호형의 구(球) 절단체이다. 그리고 이러한 하면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솟아있는 하부몸체인 둘레면(112)의 상단인 멈춤단(113)의 윗쪽으로, 상부몸체에 해당하는 꼭짓점 부근이 절단된 원뿔형상으로 옆면이 경사면인 결합경사면(114)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돌(110)의 하면에는 조립홈(111)이 형성되는데, 이 조립홈(111)은 바람직하게 지름 연장선을 따라 하면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둘레면(112)의 하부까지 파여 형성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봉돌(110)은 상기 조립홈(111)과 평행하게 양측단이 절단되어 절단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봉돌(110)의 중량을 감량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홈(111)에 끼워진 후 조립홈(111)의 평행방향 양쪽에서의 가압으로 고정되는 상기 편대(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데 필요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절단부(115)로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봉돌(110)에 절단부(115)를 형성하여 무게를 줄임으로써, 가벼워진 무게로 인해 붕어가 미끼를 흡입했다가 이물감 때문에 뱉어내는 시간을 길게 하여 충분한 챔질시간을 갖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봉돌(110)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기 체결봉(120)은 봉 중간에 구비되는 회전체로 그 단면이 상부가 좁은 등변사다리꼴인 캡밀착경사부(122)를 사이로, 직경을 달리하는 원기둥의 둘레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캡삽입나사부(123)와 추삽입나사부(121)가 상기 캡밀착경사부(122)의 상하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체결봉(12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추삽입나사부(121)에는 이 추삽입나사부(121)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캡삽입나사부(123)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후술할 삿갓추(400)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삽입나사부(123)에는 상기 캡(300)이 나사결합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편대(200,200')는 선접지형(繕接地形) 편대(200)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점접지형(多點接址形) 편대(2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선접지형(繕接地形) 편대(20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선접지형 편대(200)는 상기 봉돌(110)의 조립홈(111)에 끼워져 가압으로 고정결합되는 결속대(201), 상기 결속대(201)의 각 단부가 서로 일자 형태로 연장되어 바닥면(P)에 접촉하는 수평밀착대(210) 및 상기 수평밀착대(210)의 끝단이 윗쪽을 향해 말려 고리를 이루는 상향 목줄고리(2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향 목줄고리(211)에는 낚시바늘(H)을 연결하는 목줄(S2)이 연결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선접지형 편대(200)의 결속대(201)는 상기 봉돌(110)의 조립홈(111)에 끼워진 후 가압에 의해 조립홈(111)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가압과정에서 조립홈(111)은 가압하는 힘에 의해 조립홈(111)의 하단부가 조립홈(111)의 중심을 향해 늘어나면서, 도 2의 하단 확대도처럼 상기 결속대(201)의 하단을 일정부분 감싸게 된다. 이럴 경우 봉돌(110)의 하면이 평면으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결속대(201)의 양측에 구비된 일자형태의 상기 수평밀착대(210)는 조립홈(111)의 하단부가 결속대(201)를 감싸는 일정부분만큼 바닥면(P)에서 띄워지게 된다. 이렇게 편대(200)가 봉돌(110)의 조립홈(111)에 끼워져 가압에 의해 결합되는 특성으로 인해, 전체가 일자형태인 편대(200)는 이 편대(200)를 감싸는 조립홈(111)에 의해 편대(200)의 양측이 모두 바닥면(P)에 닿기가 곤란하거나, 또는 기울어진 형태로 봉돌(110)의 하면단과 함께 한쪽만 바닥면(P)에 닿게 된다. 설령, 편대(200)의 양측이 모두 바닥면(P)에 닿는다 하더라도 바닥면(P)에 접촉하는 편대(200)의 접촉부분이 선 형태가 아니라, 점 형태로 닿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편대의 양측이 바닥면(P)에 점 형태로 접촉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도 7과 같이 목줄고리를 하향으로 말아 하향 목졸고리를 적용한 종래기술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편대 양단을 하향 목줄고리로 구성하면, 봉돌(110)의 조립홈(111)에 편대(200) 중간이 끼워져 결합 되더라도, 도 7처럼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인 편대의 양단만이 점 형태로 바닥면(P)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편대 양단만이 하향 목줄고리에 의해 점 형태로 바닥면(P)에 접촉하는 경우, 물고기가 낚시바늘(H)을 흡입하면 낚시바늘(H)에 연결된 한쪽 하향 목줄고리가 당겨지면서 점 형태로 바닥면(P)에 접촉하고 있는 한쪽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이 바닥면(P)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쪽 하향 목줄고리가 바닥면(P)에서 떨어지는 동작은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했을 때의 신호인 어신으로 감지되어 고스란히 낚시찌에 전달되므로, 물 밖으로 나와 있던 낚시찌의 찌톱은 올라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물고기의 입질은 미끼를 살짝살짝 자주 건드리기만 하고 삼키지 않는 잔입질과, 미끼를 완전히 삼키기 위해 행하는 본입질로 구별할 수 있다. 그런데 편대의 양단을 하향 목줄고리로 구성하여 점 형태로 편대의 양단만을 바닥면(P)과 접촉시킬 경우, 접지면적이 한 점에 불과한 점 형태 접촉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아주 미약한 잔입질에도 점 형태로 접촉하던 편대의 한쪽 접지점이 바닥면(P)에서 쉽게 이탈되고, 이러한 이탈은 낚시찌에 전달되어 찌톱이 빈번하게 오르내리게 된다. 낚시의 조과(釣果)는 물고기가 미끼를 완전히 흡입했을 때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챔질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빈번한 움직임을 보이는 찌톱을 보고 챔질하는 순간을 정확하게 결정한다는 것은 경험이 많은 낚시꾼에게도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의 편대(200)는 종래 양단이 점 형태로 접지되던 것을 선 형태로 접지되도록 결속대(201), 수평밀착대(210) 및 상향 목줄고리(211)가 상호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접지형 편대(200)는 상기 결속대(201)가 상기 봉돌(110)의 조립홈(111)에 끼워진 후 가압되어 고정결합됨에 따라 조립홈(111)의 단부가 결속대(201)를 일정부분 감싸면서 형성되어 안정적인 결합이 담보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봉돌(110)의 하면이 평탄면이거나 혹은 구(球)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이거나를 막론하고, 조립홈(111)의 단부가 결속대(201)의 아래쪽까지 감싸기 때문에 조립홈(111)의 하면단이 결속대(201)의 하단 끝보다 아래쪽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결속대(201)가 일자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결속대(201)의 양단부는 동시에 바닥면(P)에 접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대(201)는 이 결속대(201)의 양단에서 연속하는 상기 수평밀착대(210)가 동시에 바닥면(P)에 접촉되도록 도 4와 같이 일부 또는 전체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선접지형 편대(200)의 실시예이다. 여기서, 상기 결속대(201)는 상향 목줄고리(211)와 연계하여 수평밀착대(210)가 바닥면(P)에 선접지 가능한 직선형 및/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A)처럼 결속대(201)는 바닥면(P)과 수평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밀착대(210)와 연결되는 양단부는 일정 각도로 꺽임부(201a)를 구비함으로써, 수평밀착대(210)가 바닥면(P)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와 도 4(C)처럼 결속대(201)는 하향으로 벌어지는 직선형 또는 호형(弧形)의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호형 양단부는 호형 그대로 연장되거나 혹은 직선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4(D)와 도 4(E)처럼 결속대(201)는 상향으로 벌어지는 직선형 또는 호형의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평밀착대(210)와 연결되는 결속대(201)의 양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꺽임부(201a)가 구비됨으로써, 수평밀착대(210)가 바닥면(P)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대(201)는 결속대(201)의 연장 길이 및/또는 중심에서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수평밀착대(210)와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이 바닥면(P)에 닿는 것이 결정된다. 도 4(B)를 예로 들면, 상기 결속대(201)는 상기 한 쌍의 수평밀착대(210)와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이 동시에 바닥면(P)에 접촉되도록 벌어지는 각도와 연장길이를 조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봉돌(110)과 수평밀착대(210)가 모두 바닥면(P)에 접지되므로, 낚시채비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찌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둔감해진다. 여기서 길이를 동일하게 하고 벌어지는 각도를 작게하거나, 또는 각도는 동일하게 하고 연장되는 결속대(201)의 길이를 더 길게 하면 봉돌(110)의 하면단이 바닥면(P)에서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A), (C), (D) 및 (E)의 상기 결속대(201)는 중심에서 벌어지는 각도 및/또는 연장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평밀착대(210)가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이 바닥면(P)에서 이격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향으로 벌어지는 도 4의 (D) 및 (E)의 경우에는 꺽임부(201a)의 꺽임각을 이용해 봉돌(110)의 하면단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한 쌍의 수평밀착대(210)가 바닥면(P)에 접지되므로 안정적인 낚시채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 이외에도, 바닥면(P)에서 이격된 봉돌(110)에 떡밥을 덧붙여 붕어를 낚시바늘(H) 쪽으로 유인함으로써 붕어가 낚시바늘(H)을 흡입하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접지형 편대(200)에서는, 상기 한 쌍의 수평밀착대(210)가 바닥면(P)에 접촉되기 위해서 이 수평밀착대(210)의 끝단에 구비된 상기 목줄고리가 반드시 위쪽 방향으로 말려 상향 목줄고리(211)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만약, 목줄고리가 도 7인 종래기술처럼 하향 목줄고리로 형성되거나 혹은 목줄고리의 중점(혹은 중심선)이 수평밀착대(210)의 연장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목줄고리의 하단부로 인해 수평밀착대(210)는 바닥면(P)에 접촉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이렇게 목줄고리가 위쪽을 향해 말려 올라가는 구조를 갖되, 위쪽으로 말린 상향 목줄고리(211)의 하단점(212)이 수평밀착대(210)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구성인 상향 목줄고리(211)를 통해서만 수평밀착대(210)가 바닥면(P)에 접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다점접지형(多點接址形) 편대(2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점접지형 편대(200')는 상기 봉돌(110)의 조립홈(111)에 결합되는 결속대(201)의 양쪽으로 각각 구비되는 절곡대(220) 및 하향 목줄고리(222)로 구성된다.
상기 다점접지형 편대(200')의 결속대(201)는 상기 선접지형 편대(200)의 결속대(20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양단이 꺽임부(201a)를 갖는 수평일직선형태이거나, 아래를 향해 벌어지는 직선/곡선 형태이거나, 위를 행해 벌어지는 직선/곡선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점접지형 편대(200')의 목줄고리는 상기 선접지형 편대(200)의 상향 목줄고리(211)와는 달리 목줄고리가 아랫쪽을 향해 말리는 하향 목줄고리(222)로 형성된다. 이는 하향 목줄고리(222)의 가장 아래쪽인 하단점(223)과 상기 절곡대(220)의 절곡부위 최하단점인 절곡점(221)이 다점으로 바닥면(P)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편대(200')가 다점으로 바닥면(P)에 접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편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던 너무 예민한 찌반응을 감소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도 상기 절곡대(220)의 절곡점(221) 및 상기 하향 목줄고리(222)의 하단점(223)과 함께 바닥면(P)에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다점접지형 편대(200')의 절곡대(220)는 도 5(A), 도 5(C) 및 도 5(D)처럼, 상기 결속대(201)의 꺽임부(201a)에 해당하는 절곡선단(220a)에서 상기 하향 목줄고리(222)에 이르는 절곡선미(220b)의 중간에 바닥면(P)에 접촉하는 변곡점으로서 절곡점(221)을 구비하면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도 5(B), 도 5(E) 및 도 5(F)처럼, 상기 절곡선단(220a)이 상기 결속대(201)의 단부와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중, 도 5(B) 및 도 5(F)에서는 바닥면(P)에 접촉하는 절곡점(221)에 연결되는 결속대(201)의 단부가 절곡선단(220a)이 된다. 상기한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및 도 5(F)처럼 상기 절곡대(220)의 절곡점(221)과 하향 목줄고리(222)의 하단점(223)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이종점(異種點)의 형태로 바닥면(P)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도 5(E)처럼 상기 절곡대(220)의 절곡점(221)과 하향 목줄고리(220)의 하단점(223)은 동일점(同一點)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도 5(E)와 같은구성에서는 위로 향해 벌어진 곡선 형태의 상기 결속대(201) 중심부는 상기 봉돌(110)의 조립홈(111)에 결합되고, 이 결속대(201)의 양단에는 하향하는 꺽임부(20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대(201)의 꺽임부(201a) 단부에 형성된 하향 목줄고리(222)의 하단점(223)이 바닥면(P)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되, 이때 상기 봉돌(110)의 하단면 또한 바닥면(P)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편대(200')가 바닥면(P)과 3점 형태로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다점접지형 편대(200')는 선접지형 편대(200)에 비해 접지면적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점접지형 편대(200')에서는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을 바닥면(P)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편대(200')가 닻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을 바닥면(P)에 접촉시키면 편대(200')를 포함하는 낚시채비 전체가 3점 내지 5점으로 바닥면(P)과 접지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E)는 낚시채비 전체가 3점으로 바닥면(P)과 접지되고, 도 5(D) 및 도 5(F)는 4점으로 접지되며, 도 5(A), 도 5(B) 및 도 5(C)는 5점으로 접지된다. 접지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다점접지형 편대(200')에서는 도 5(D) 및 도 5(F)와 같이, 봉돌(110)의 하면단이 바닥면(P)과 이격되어 수중에 놓이면, 상대적으로 수중물살의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이러한 4점 접지형태의 편대(200')는 상대적으로 물살이 약한 곳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점접지형 편대(2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절곡대(220)에 절곡점(221)을 형성함에 있어, 하나의 절곡대(220)마다 절곡점(221)을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보다 많은 수의 절곡점(221)을 만들어 접지면적을 넓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나의 절곡대(220)마다 2개 이상의 절곡점(221)을 구성하는 것은 제작상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 효과를 감안할 때 상기한 선접지형 편대(200)로 대체 가능하므로 그 필요성은 부족하다 하겠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편대(200,200')의 구성을 통해, 봉돌(110)의 닻 역할을 바닥면(P)에 접촉하는 상기 수평밀착대(210)의 길이만큼 선접지 형태로 편대(200)에도 부과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상기 절곡대(220)의 절곡점(221) 및 하향 목줄고리(222)의 하단점(223)이 바닥면(P)에 여러 개의 점으로 동시에 접촉하는 다점접지 형태로 편대(200')에 부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잔입질이나 혹은 수중물살에 낚시채비가 휘말려 중력관성이 깨져 발생하던 예민한 찌반응을 현저하게 줄여, 붕어의 본입질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여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편대(200) 구성은 붕어의 이물감을 줄이기 위해 감량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봉돌(110)의 경우에 특히 더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 중량체인 봉돌(110)이 가벼워짐에 따라 잔입질시에도 봉돌(110)과 낚시찌의 상호작용에 의한 중력관성이 쉽게 깨져 찌톱이 빈번하게 오르내리는 이른바 찌가 까부는 현상인 찌 까불림 현상이 잦아질 수 있는바, 바닥면(P)과 접지되는 편대(200)의 접촉면적을 점이 아닌 선 형태가 되도록 편대(200)를 결속대(201), 수평밀착대(210) 및 상향 목줄고리(211)로 구성하고, 길어진 접지면적을 갖는 수평밀착대(210)를 통해 편대(200)의 바닥면(P)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붕어의 잔입질이나 수중물살 등의 작은 외력에는 편대(200)가 바닥면(P)과의 접지력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외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전달되는 본입질시에는 수평밀착대(210)의 선 형태 접지력과 더불어 감량된 봉돌(110)의 유기적 작용으로 인해 편대(200)의 접지력이 쉽게 깨져 챔질 순간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삿갓추(400)는 주 중량체인 상기 봉돌(110)을 보충하여 낚시채비에 중량을 부가한다. 이러한 삿갓추(400)는 삿갓(고깔)모양의 상·하단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 공간부(401)가 외부와 연결되는데, 상부의 내경면에는 나사산인 추고정나사부(402)가 구비된다. 상기 삿갓추(40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추고정나사부(402)가 상기 체결봉(120)의 하부인 추삽입나사부(121)에 나사결합하여 삿갓추(400)를 체결봉(120)에 견고하게 고정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삿갓추(400)의 하단 테두리단은 상기 봉돌(110)의 둘레면(112) 상단인 멈춤단(113)에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된다.
또한, 상기 삿갓추(400)의 내측 공간부(401)에는 교체 가능한 복수의 미세조절추(410)가 적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 (A)와 같이, 상기 미세조절추(410)는 상기 삿갓추(400)의 내측 공간부(401)에 대응하는 삿갓(고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단이 개방된 관통홀(411) 형태이다. 하나의 미세조절추(410)의 외면은 바깥쪽에 적층되는 다른 미세조절추(410) 또는 상기 삿갓추(400)의 내측 공간부(401)에 접하여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봉돌(110)의 결합경사면(114)에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전체적으로 외력에 의해 요동됨이 없이 삿갓추(400)의 내측 공간부(401)에 안정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도 3의 확대도 (B)와 같이, 상기 미세조절추(410)는 상기 삿갓추(400)의 내측 공간부(401)에 적층 가능하도록 중앙에 관통홀(411)이 형성된 오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세조절추(410)의 관통홀(411)은 상기 추삽입나사부(1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봉(120)에 저항없이 탈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 중량체인 상기 봉돌(110)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이 봉돌(110)에 연결된 체결봉(120)에 무게 조절이 가능한 상기 삿갓추(400)와 상기 미세조절추(410)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결합시킨 구성이다. 이렇게 가벼우면서도 무게조절이 용이하여 붕어가 미끼를 흡입했다가 이물감 때문에 뱉어내는 시간을 길게 하여 충분한 챔질시간을 갖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삿갓추(400)와 미세조절추(410)를 이용해 다양한 수심과 수중물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캡(300)은 개방된 하면에 연결되는 내경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인 캡고정나사부(301)가 상기 체결봉(120)의 캡삽입나사부(123)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개방된 하면의 내측 테두리단은 상기 체결봉(120)의 캡밀착경사부(122)에 대응하는 캡경사면(302)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캡(300)의 캡고정나사부(301)가 상기 체결봉(120)의 캡삽입나사부(123)에 나사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캡(300)의 캡경사면(302)이 상기 체결봉(120)의 캡밀착경사부(122)에 면접촉 결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캡(3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요철부(30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요철부(303)로 인해 캡(300)과 체결봉(120)의 나사결합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캡(300)의 상단에는 낚시 원줄(S1)이 연결되는 원줄고리(304)가 형성될 수 있다.
100: 봉돌결속구 110: 봉돌
111: 조립홈 112: 둘레면
113: 멈춤단 114: 결합경사면
115: 절단부 120: 체결봉
121: 추삽입나사부 122: 캡밀착경사부
123: 캡삽입나사부
200, 200': 편대 201: 결속대
201a: 꺽임부 210: 수평밀착대
211: 상향 목줄고리 212: 상향 목줄고리의 하단점
220: 절곡대
220a: 절곡선단 220b: 절곡선미
221: 절곡점 222: 하향 목줄고리
223: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
300: 캡 301: 캡고정나사부
302: 캡경사면 303: 요철부
304: 원줄고리
400: 삿갓추 401: 내측 공간부
402: 추고정나사부 410: 미세조절추
411: 관통홀
P: 바닥면 H: 낚시바늘
S1: 원줄 S2: 목줄

Claims (8)

  1. 하면에 조립홈(111)이 형성된 봉돌(110)의 상면으로 체결봉(120)을 구비한 봉돌결속구(100); 상기 조립홈(111)에 고정결합하는 편대(200); 및 상기 체결봉(120)에 체결되는 캡(300); 을 포함하되,
    상기 편대(200)는 상기 조립홈(111)에 결합하는 결속대(201)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밀착대(210)가 바닥면(P)에 선(線) 형태로 접촉되도록 연장단부에 상향으로 말려 형성되는 상향 목줄고리(211)의 하단점(212)이 상기 수평밀착대(210)와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밀착대(210)는,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과 함께 바닥면(P)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을 바닥면(P)에서 이격시킨 채로 바닥면(P)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3. 하면에 조립홈(111)이 형성된 봉돌(110)의 상면으로 체결봉(120)을 구비한 봉돌결속구(100); 상기 조립홈(111)에 고정결합하는 편대(200'); 및 상기 체결봉(120)에 체결되는 캡(300); 을 포함하되,
    상기 봉돌(110)은 경량화를 위해 상기 조립홈(111)의 양측으로 단부가 절단되는 절단부(115)가 구비되고,
    상기 편대(200')는 상기 조립홈에 결합하는 결속대(201)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된 절곡대(220)의 절곡점(221) 및 상기 절곡대(220)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말려 형성되는 하향 목줄고리(222)의 하단점(223)이 동시에 바닥면에 접촉하는 다점접지(多點接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대(220)는,
    상기 절곡점(221)이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과 함께 바닥면(P)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절곡점(221)이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110)의 하면단을 바닥면(P)에서 이격시킨 채로 바닥면(P)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대(220)의 절곡점(221)과 상기 하향 목줄고리(222)의 하단점(223)은 동일점이거나, 또는 이종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120)에는 무게조절용 삿갓추(400)가 분리 가능하게 더 고정결합되되,
    상기 삿갓추(400)는 개방된 하면 테두리단에 연결되는 내측 공간부(401)의 상부에 형성된 추고정나사부(402)가 상기 체결봉(12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추삽입나사부(121)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캡(300)은 내주면에 형성된 캡고정나사부(301)가 상기 추삽입나사부(121)의 상측으로 상기 체결봉(120)의 상부에 구비된 캡삽입나사부(123)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캡(300)의 내주면 하단인 캡경사면(302)이 상기 추삽입나사부(121)와 상기 캡삽입나사부(123)를 연결하는 상부가 좁은 등변사다리꼴인 캡밀착경사부(122)에 면접촉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411)을 통해 상기 추삽입나사부(121)에 끼워져 상기 삿갓추(400)의 내측 공간부(401)에 교체 가능하게 적층되는 미세조절추(4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110)은, 하면을 가로지르는 조립홈(111)이 몸체의 둘레면(112) 하부까지 연장형성되고, 상기 둘레면(112)의 상단인 멈춤단(113)의 상측으로는 폭이 좁아지는 결합경사면(11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경사면(114)의 상단에 상기 체결봉(120)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1020200049211A 2020-04-23 2020-04-23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10247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11A KR102479367B1 (ko) 2020-04-23 2020-04-23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11A KR102479367B1 (ko) 2020-04-23 2020-04-23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87A KR20210130987A (ko) 2021-11-02
KR102479367B1 true KR102479367B1 (ko) 2022-12-20

Family

ID=7847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211A KR102479367B1 (ko) 2020-04-23 2020-04-23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510A (ko) 2022-07-05 2024-01-12 정이규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60B1 (ko) * 2017-10-17 2019-04-01 주식회사 마그마 다기능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569Y1 (ko) * 1999-03-22 2001-03-15 유희찬 오징어 낚시용 추
KR100444437B1 (ko) * 2002-09-25 2004-08-16 김복만 자새낚시
KR20100010372U (ko) * 2009-04-14 2010-10-22 김원근 바다낚시용 편대
KR20140004196U (ko) 2012-11-14 2014-07-09 이종승 사슬체인을 이용한 낚시채비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4-02-14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621308B1 (ko) * 2014-10-02 2016-05-16 정이규 올림 낚시용 추
KR200477222Y1 (ko)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0486554Y1 (ko) * 2016-04-21 2018-06-04 김화규 도다리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60B1 (ko) * 2017-10-17 2019-04-01 주식회사 마그마 다기능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87A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ko) 올림 낚시용 추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102479367B1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CN102858152A (zh) 钓鱼的人造鱼饵
US20020152671A1 (en) Fishing lure
KR200473427Y1 (ko) 낚시 채비
US20120030991A1 (en) Floating fishing lure supporting a dancing bait on the water surface
KR200494549Y1 (ko)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KR20230020105A (ko) 테이퍼형 편대조립체
KR102642097B1 (ko)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KR200318734Y1 (ko) 낚시찌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KR200302108Y1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KR100979305B1 (ko) 낚시찌
KR20210126254A (ko) 로드굴절타입 낚시채비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KR20210001087U (ko)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KR20240005510A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200327146Y1 (ko) 목줄에 부구가 고정 결합되는 민물용 낚시채비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217442Y1 (ko) 낚시 찌
KR200249415Y1 (ko) 낚시찌
KR20240061016A (ko) 민물낚시용 가변 봉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