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097B1 -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 Google Patents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097B1
KR102642097B1 KR1020200090690A KR20200090690A KR102642097B1 KR 102642097 B1 KR102642097 B1 KR 102642097B1 KR 1020200090690 A KR1020200090690 A KR 1020200090690A KR 20200090690 A KR20200090690 A KR 20200090690A KR 102642097 B1 KR102642097 B1 KR 10264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ntact
rotation
band
bongd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880A (ko
Inventor
정이규
Original Assignee
정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이규 filed Critical 정이규
Priority to KR102020009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0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봉돌결속구의 봉돌에 결합된 편대에 묶여진 낚시바늘에 물린 물고기의 수평이동에 의해 봉돌결속구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나선연결부재 및 접속연결부재가 회전 작동하는 외력에 대해 자체 회전하여 나선연결부재에 나사결합된 봉돌결속구의 나사결합력이 해지되거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물고기의 반복적인 잔입질시에는 봉돌뿐만 아니라 편대에도 닻 역할을 부과하여 찌의 예민한 반응을 지양하고, 본입질시에는 중력관성이 쉽게 깨지도록 하여 봉돌의 무게로 인한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Rotating structure connector used for fishing line}
본 발명은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봉돌결속구의 봉돌에 결합된 편대에 묶여진 낚시바늘에 물린 물고기의 수평이동에 의해 봉돌결속구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는 나선연결부재 및 접속연결부재가 회전 작동하는 외력에 대해 자체 회전하여 나선연결부재에 나사결합된 봉돌결속구의 나사결합력이 해지되거나 느슨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물고기의 반복적인 잔입질시에는 봉돌뿐만 아니라 편대에도 닻 역할을 부과하여 찌의 예민한 반응을 지양하고, 본입질시에는 중력관성이 쉽게 깨지도록 하여 봉돌의 무게로 인한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켜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채비의 구성에 있어 자체 회전 작동하는 회전 연결구를 이용한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는 다양한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회전 고리는 몸체와 그 몸체의 상 하단 양측으로 각각 고리가 독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의 크레인 스위블 타입으로 제조되었으나, 이것은 몸체의 상하측으로 각각 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극히 간단한 구조를 갖춘 것이지만 고리의 회전이 매끄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몸체의 한쪽에 고리를 일체로 연결하고, 반대쪽의 고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핀으로 연결되고, 상기 핀은 몸체의 내부에서 볼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는 볼베어링 스위블이 공지되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9528호(2005.10.18.등록)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36827호(1998.11.17.등록)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03033호(2000.09.01.등록)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21970호(2003.07.22.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최소의 부품 수로 단순 간결하게 구성하여 기술을 풍부하게 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돌의 무게로 인한 붕어가 느낄 이물감을 최소화시키는 구성을 채택하되, 민감한 찌반응의 개선하여 수중물살에 의한 휘말림 및 붕어의 잔입질시에는 중력관성이 쉽사리 깨지지 않아 찌반응의 민감도를 낮추지만, 붕어의 본입질시에는 중력관성이 쉽게 깨져 찌반응이 즉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과(釣果)를 향상시키는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는 길이방향 중간부의 둘레면에 회전내홈을 구비한 작동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나사부를 구비한 나선연결부재; 및 관통형 몸체로, 상기 작동부를 수용하는 몸체의 일측인 회전수용에 수용된 상기 회전내홈이 회전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내홈에 부합하는 형태로 상기 회전수용부가 변형되어 회전외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나선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설치되고, 몸체의 타측에는 접속부를 구비한 접속연결부재; 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작동부와 상기 회전수용부의 상대 회전으로 외력을 상세시킴으로써, 상기 나사부를 통한 나사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연결부재의 나사부에는 하면에 조립홈이 형성된 봉돌의 상면으로 체결봉을 구비한 봉돌결속구의 상기 체결봉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봉돌의 조립홈에는 편대가 더 고정결합하되, 상기 편대는 상기 조립홈에 결합하는 결속대의 양측으로 절곡 연장된 수평밀착대가 바닥면에 선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밀착대에 끼워져 바닥면에 접촉하는 목줄연결대의 단부에는 낚시바늘이 구비된 목줄이 묶이는 목줄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이다.
본 발명은 나선연결부재의 작동부를 수용하는 접속연결부재의 회전수용부가 상기 작동부에 대응하여 변형가공되는 단순하고 간결한 구성을 통해서도 나선연결부재와 접속연결부재가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나선연결부재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봉돌결속구의 나사결합력에 전혀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중량체인 봉돌을 최하단에 배치하고, 양쪽단에 끼움결합된 목줄연결대와 함께 바닥면에 선 접촉하는 수평밀착대의 중간부인 결속대를 상기 봉돌에 고정결합시킴으로써, 봉돌의 닻 역할을 바닥면에 접촉하는 수평밀착대의 길이만큼 편대에도 부과하였다. 이로 인해 수중물살이나 잔입질시 중력관성이 깨져 발생하던 예민한 찌반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봉돌의 닻 역할이 수평밀착대에 의해 편대에도 부과됨에 따라, 이물감으로 인해 붕어가 미끼를 흡입했다가 뱉어내는 잔입질시에는 편대의 수평밀착대가 바닥면에 접촉되어 있는 관계로 찌가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지만, 붕어가 미끼를 완전히 흡입하는 붕어의 본입질시에는 수평밀착대가 바닥면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중력관성이 깨져 찌올림이 표시되도록 구성하여 챔질순간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회전연결구의 저면사시도 및 평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회전연결구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접속연결부재의 접속부의 다양한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선접지형 편대의 다양한 실시예.
도 8은 종래 낚시채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나사부(220)의 반대 단부인 나선연결부재(20)의 작동부(210)가, 접속부(120)의 반대 단부인 접속연결부재(10)의 회전수용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외력에 대해 상기 회전수용부(110)와 상기 작동부(210)가 서로 상대 회전하여,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에 의한 나사결합이 풀리지 않는 회전연결구(1)를 포함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1의 부분확대도 (B)와 같이,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에는 하면에 조립홈(411)이 형성된 봉돌(410)의 상면으로 체결봉(420)을 구비한 봉돌결속구(4)의 상기 체결봉(420)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봉돌(410)의 조립홈(411)에는 편대(440)가 더 고정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접속연결부재(10)는 파이프 형태의 관통형 몸체를 갖는다. 그리고 이 몸체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회전수용부(110)와 접속부(120)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접속연결부재(10)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의 구멍이 뚫린 다이스 위에 재료를 놓고 펀치를 압입하여 원통형 또는 반구형으로 성형하는 드로잉 가공(Drawing work)을 통해 가공된다.)
상기 회전수용부(110) 및 상기 접속부(120)는 변형 가공이 가능한 가소성 접속부(120)이다.
상기 회전수용부(110)는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작동부(210)가 삽입된 후 회전수용부(110)와 작동부(210)가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작동부(2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외홈(111)이 가공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120)는 연장부(13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변형된다. 이때,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연장부(130)를 고정시키기 수월하도록 도 4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A)와 같이 고리(131)가 삽입설치될 수 있다. 이 고리(131)는 도 1과 같은 경우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인 원줄(S1)이 묶이는 원줄고리(131)가 된다. 그리고 도 4(B)처럼 수나사(132)가 삽입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도 4(C)처럼 연결선(133)이 구비되고, 이 연결선(133)의 단부에는 연결형 수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선(133)은 합성섬유를 직조(織造)하여 제조하는 중공형(中空形) 직조끈(일명 '릴리안사'라고도 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 직조끈은 중공형의 안쪽에 내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선(133)은 직조끈 이외에도 변형이 자유로운 금속체인이 사용될 수 있는바, 상기 금속체인은 일명 써지컬 스틸(Surgical Steel)로서, 녹이 잘 쓸지 않아 의료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금속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나선연결부재(20)는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작동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나사부(22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봉형상인 상기 나선연결부는 길이방향 양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작동부(210)와 나사부(220)가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멈춤단(23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작동부(210)의 일단부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나사부(220)가 작동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바, 상기 작동부(210)와 상기 나사부(220)의 연결부분인 확장된 나사부(220)의 단부가 작동부(210)의 단부와 직경의 차이로 인해 단이 형성되는데, 이 직경차이로 인한 단이 멈춤단(230)이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210)는 봉형상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둘레면을 따라서 홈형태의 회전내홈(2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부(220)는 바람직하게 봉형상의 단에서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암나사부이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부의 외부 둘레면에는 파지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작동부(210)는 상기 접속연결부재(10)의 회전수용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때, 상기 회전수용부(110)의 끝단은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멈춤단(23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므로, 상기 나선연결부재(20) 및 상기 접속연결부재(10)는 서로 상기 멈춤단(230)을 넘어서는 진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수용부(110)의 끝단이 멈춤단(230)에 지지되므로, 접속연결부재(10)와 나선연결부재(20)의 조립작업시 회전수용부(110)의 단을 멈춤단(230)에 지지시킨 후 아래에서 설명한 상기 회전외홈(111)의 형성작업이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210)를 수용한 상기 회전수용부(110)에는 상기 작동부(210)의 회전내홈(211)에 대응하는 회전외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외홈(111)은 회전수용부(110)로 작동부(210)가 수용된 후 작동부(210)의 회전내홈(211)에 맞쳐 회전수용부(110)를 프레싱에 의해 내향으로 밀어넣어 작동부(210)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도 3의 부분확대도 (A) 및 (B)를 참고하면, 기본적으로 상기 회전외홈(111)은 이 회전외홈(111)의 내측인 외홈단턱(112)에 회전내홈(211)의 내홈단턱(212)이 저지되어 상기 작동부(21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외홈(11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양쪽 외홈단턱(112) 사이의 길이인 외홈단거리(112d)는 상기 회전내홈(211)의 양쪽 내홈단턱(212) 사이의 길이인 내홈단거리(212d)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작동부(210)는 회전내홈(211)이 회전외홈(111)에 안내됨에 따라 길이방향의 이동이 제한되기는 하나, 외홈단거리(112d)와 내홈단거리(212d)의 차이인 홈단거리(D1)만큼의 길이방향 이동이 보장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더해, 상기 회전외홈(111)은 상기 회전내홈(211)의 회전을 안내한다. 회전외홈(111)과 회전내홈(211)의 효과적인 상대 회전을 위해서는 서로 마찰이 적을수록 원활한 회전이 보장된다. 이같은 이유로, 회전내홈(211)과 회전외홈(111)은 마찰이 많은 면접촉을 피하고, 마찰이 적은 선접촉(線接觸) 또는 점접촉(鮎接觸)만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먼저, 상기 회전내홈(211)과 상기 회전외홈(111)의 맞닿는 내·외홈단턱(212,112) 경사면끼리 선접촉(線接觸)하는 경우이다. 도 3의 (A)와 같이, 상기 회전내홈(211)과 상기 회전외홈(111)의 대응하는 내·외홈단턱(212,112)의 경사면이 선접촉 하도록 대응하는 내·외홈단턱(212,112) 경사면의 경사도를 서로 달리할 수 있다. 대응하는 내·외홈단턱(212,112) 경사면의 경사도를 달리하면 서로 상이한 경사각에 의해 대응하는 양쪽 경사면이 서로 면접촉하지 못하고 상이한 경사각이 겹치는 곳에서 서로 선접촉하게 되는바, 이 선이 마찰선(L; 빨간점으로 표시)이 된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도 3의 (B)처럼 대응하는 내·외홈단턱(212,112) 경사면의 경사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대응하는 양쪽 면 중 어느 한쪽 홈단턱 경사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테(113)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외홈(111)의 프레싱 과정에서 호형(弧形)의 돌출테(113)가 형성되도록, 회전외홈(111)을 누르는 프레스의 면에 호형돌출테(113)에 대응하는 돌출테(113)를 형성하여 회전외홈(111)의 외면을 누르면 눌림에 의해 회전외홈(111)의 내면에 호형돌출테(113)가 돌출된다. 이렇게 회전외홈(111)에 호형돌출테(113)를 형성하면, 동일할 경사도를 갖는 회전내·외홈 일지라도 호형돌출테(113)로 인해 회전내·외홈이 면접촉하지 못하고 대응하는 한쪽 홈단턱(112) 경사면의 호형돌출테(113)와 접점을 이루는 다른 한쪽 홈단턱(212) 경사면이 선접촉하게 되는데, 바로 이선이 마찰선(L; 빨간점으로 표시)이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내홈(211)과 상기 회전외홈(111)의 맞닿는 내·외홈단턱(212,112) 경사면끼리 점접촉(鮎接觸)하는 경우이다. 회전내·외홈의 점접촉의 경우에는 상기 회전내·외홈의 선접촉(線接觸)과 동일한 조건에서, 선접촉하는 상기 마찰선(L)을 따라 일정 개수의 마찰돌기(114)가 더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마찰돌기(114)는 회전내·외홈의 선접촉하는 상기 마찰선(L)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찰돌기(114)는 도 3의 부분확대도 (A) 중 마찰선(L)에 파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마찰돌기(114)에 해당는바, 마찰선(L)을 따라 회전외홈(111)에 일정간격으로 마찰돌기(114)가 형성되면 회전내홈(211)의 내홈단턱(212) 테두리는 마찰선(L)이 아닌 마찰돌기(114)와 맞닿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마찰돌기(114)를 통해 회전내·외홈의 접촉점은 더 감소하므로, 상기 나선접속부재와 상기 접속연결부재(10)의 상대 회전은 더욱 원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작동부(210)가 홈단거리(D1)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과 함께, 상기 회전수용부(110)의 끝머리인 끝단 또한 상기 멈춤단(230)과 단간거리(D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단간거리(D2)는 상기 홈단거리(D1)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단간거리(D2)가 홈단거리(D1)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회전내·외홈이 서로 상대 회전할 때, 회전수용부(110)의 단과 멈춤단(230)은 서로 맞닿지 않고 항상 이격거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회전수용부(110)와 멈춤단(230)의 이격거리 유지로 인해 상기 나선연결부재(20)와 상기 접속연결부재(10)의 상대 회전시 서로에 대한 마찰을 최소화시켜 더욱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서는 회전내·외홈의 내·외홈단턱(212,112) 중 하단이 서로 맞닿아 마찰선(L)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된 것이다. 이에 따라 홈단거리(D1)는 결합된 회전내·외홈의 상측으로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므로 도 3에서의 상기 단간거리(D2)는 도면을 기준으로 회전수용부(110)의 끝단과 멈춤단(230)의 공간에 홈단거리(D1)를 더한 거리가 단간거리(D2)가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에는 낚시바늘(H)이 묶인 편대(440)를 고정결합한 상기 봉돌결속구(4)의 체결봉(420)이 나사결합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회전연결구(1)는 낚시바늘(H)과 바로 연결되는 상기 봉돌결속구(4)의 체결봉(420)이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에 나사결합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게 작용한다.
주로 낚시바늘(H)이 바닥면(P)에 접촉된 상태에서 낚시를 즐기는 찌올림낚시의 주요 대상은 토종 어류인 (참)붕어이다. 통상 붕어의 섭식 형태는 평소 바닥면(P)에서 이격된 물속을 유영(遊泳)하며 먹이감을 찾다가 바닥면(P)에 있는 미끼를 발견하면, 미끼를 가볍게 물은 상태에서 수평이동을 하며 미끼가 먹을 수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미끼가 있던 바닥면(P)에서 수평이동을 하며 먹이감을 파악한 후 먹어도 된다고 판단되면 붕어는 유영하던 본래의 위치까지 미끼를 물고 올라가 그 곳에서 미끼를 먹는다. 여기서 미끼의 본래 위치에서 수평이동을 하며 먹이 상태를 파악하는 붕어의 행위가 잔입질이 되고, 유영하던 위치로 미끼를 물고 올라가는 붕어의 행위가 본입질이 된다. 찌올림낚시에서는 붕어의 본입질시 챔질을 해야 조과(釣果)를 높일 수 있는 특성이 있다.
그런데, 상기에서 붕어 잔입질시, 붕어가 먹이를 가볍게 물고 봉돌결속구(4)를 중심으로 좌우로 수평이동을 하며 먹이를 파악하는 과정이 수반되는데, 이 과정에서 낚시바늘(H)에 묶인 편대(440)도 함께 좌우로 수평이동을 하게됨은 당연한 이치이다. 여기서 상기 편대(440)는 봉돌(410)에 고정결합되고, 이 봉돌(410)은 체결봉(420)과 일체화 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봉(420)이 다시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구성상의 특징으로 말미암아, 붕어의 수평이동으로 발생하는 외력은 일체화가 가장 덜한 나사결합부분인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와 봉돌결속구(4)의 체결봉(420)에 고스란히 전달되어 나사결합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하며, 종국에는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통해서는 이렇게 전달되는 외력을 접속연결부재(10)와 나선연결부재(20)의 상대 회전을 통해 상세하여 완전히 소멸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와 봉돌결속구(4)의 체결봉(420)의 나사결합에는 외력이 전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와 봉돌결속구(4)의 체결봉(420)의 나사결합은 언제나 일정한 나사결합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나사결합이 해지되거나 느슨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봉돌결속구(4)는 주 중량체인 봉돌(410)과, 이 봉돌(4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체결봉(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봉돌(410)은 바람직하게 타원형의 구체(球體)이다. 그리고 상기 봉돌(410)의 하부에는 조립홈(411)이 형성된다. 이 조립홈(411)은 바람직하게 구체의 지름 연장선을 따라 하부를 가로지르며 형성되는바, 바람직하게는 구체의 중간부분까지 파여 형성된다.
또한, 도 1의 부분확대도 (A)와 같이 상기 봉돌(410)은 상기 조립홈(411)과 평행하게 양측단이 절단되어 절단부(4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봉돌(410)의 중량을 감량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홈(411)에 끼워진 후 조립홈(411)의 평행방향 양쪽에서의 가압으로 고정되는 상기 편대(4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데 필요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절단부(412)로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봉돌(410)에 절단부(412)를 형성하여 무게를 줄임으로써, 가벼워진 무게로 인해 붕어가 미끼를 흡입했다가 이물감 때문에 뱉어내는 시간을 길게 하여 충분한 챔질시간을 갖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의 부분확대도 (B)를 참고하면, 상기 봉돌(410)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기 체결봉(420)은 봉 중간에 구비되는 회전체로 그 단면이 상부가 좁은 등변사다리꼴인 밀착경사부(422)를 사이로, 직경을 달리하는 원기둥 형상인 상부봉(421)과 하부봉(423)이 상기 밀착경사부(422)의 상하에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봉(421)에는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암나사부의 단부에는 상기 밀착경사부(422)에 면접촉하여 접촉결합력을 향상사키는 밀착경사면(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봉(42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하부봉(423)에는 이 하부봉(423)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상부봉(421)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삿갓추(5)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삿갓추(5)는 상단이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 끝단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상기 체결봉(420)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삿갓추(5)는 내부가 공간부를 형성하며, 이 공간부에는 다수개의 미세조절추(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절추(51)는 낚시 장소 및 유속 등 낚시환경에 맞추어 개수를 가감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미세조절추(51)는 삿갓형 또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돌(410)의 조립홈(411)에 상기 편대(440)가 고정결합된다.
상기 편대(440)는 편대(440)의 양쪽 단부가 바닥면(P)에 선형태로 닿아 있는 선접지형(繕接地形) 편대(440)이다. 이러한 선접지형 편대(440)는 상기 봉돌(410)의 조립홈(411)에 끼워져 가압으로 고정결합되는 결속대(441), 상기 결속대(441)의 양쪽 단부가 연장되어 바닥면(P)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밀착대(442), 및 상기 수평밀착대(442)에 끼워져 실질적으로 바닥면(P)과 접촉하는 목줄연결대(4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목줄연결대(430)의 단부에는 목줄홈(431)이 구비되고, 이 목줄홈(431)에 낚시바늘(H)이 묶인 목줄(S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목줄홈(431)의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수평밀착대(442)가 삽입결합하는 삽입구(432)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접착제를 바른 상기 수평밀착대(442)의 단부를 상기 목줄연결대(430)의 삽입구(432)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선접지형 편대(440)의 결속대(441)는 상기 봉돌(410)의 조립홈(411)에 끼워진 후 가압에 의해 조립홈(411) 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가압과정에서 조립홈(411)은 가압하는 힘에 의해 조립홈(411)의 하단부가 조립홈(411)의 중심을 향해 늘어나면서, 도 1의 부분확대도 (A) 및 (B)의 하단처럼 상기 결속대(441)의 하단을 일정부분 감싸게 된다. 이럴 경우 봉돌(410)의 하면이 평면으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결속대(441)의 양측에 구비된 일자형태의 상기 수평밀착대(442)는 조립홈(411)의 하단부가 결속대(441)를 감싸는 일정부분만큼 바닥면(P)에서 띄워지게 된다. 이렇게 편대(440)가 봉돌(410)의 조립홈(411)에 끼워져 가압에 의해 결합되는 특성으로 인해, 전체가 일자형태인 편대(440)는 이 편대(440)를 감싸는 조립홈(411)에 의해 편대(440)의 양측이 모두 바닥면(P)에 닿기가 곤란하거나, 또는 기울어진 형태로 봉돌(410)의 하면단과 함께 한쪽만 바닥면(P)에 닿게 된다. 설령, 편대(440)의 양측이 모두 바닥면(P)에 닿는다 하더라도 바닥면(P)에 접촉하는 편대(440)의 접촉부분이 선 형태가 아니라, 점 형태로 닿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편대(440)의 양측이 바닥면(P)에 점 형태로 접촉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도 8과 같이 목줄고리를 하향으로 말아 하향 목줄고리를 적용한 종래기술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편대(440) 양단을 하향 목줄고리로 구성하면, 봉돌(410)의 조립홈(411)에 편대(440) 중간이 끼워져 결합 되더라도, 도 8처럼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인 편대(440)의 양단만이 점 형태로 바닥면(P)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편대(440) 양단만이 하향 목줄고리에 의해 점 형태로 바닥면(P)에 접촉하는 경우, 물고기가 낚시바늘(H)을 흡입하면 낚시바늘(H)에 연결된 한쪽 하향 목줄고리가 당겨지면서 점 형태로 바닥면(P)에 접촉하고 있는 한쪽 하향 목줄고리의 하단점이 바닥면(P)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쪽 하향 목줄고리가 바닥면(P)에서 떨어지는 동작은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했을 때의 신호인 어신으로 감지되어 고스란히 낚시찌에 전달되므로, 물 밖으로 나와 있던 낚시찌의 찌톱은 올라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물고기의 입질은 미끼를 완전히 삼키지 않고 살짝살짝 자주 건드리면서 미끼의 상태를 확인하는 잔입질과, 미끼를 완전히 삼키기 위해 행하는 본입질로 구별할 수 있다. 그런데 편대(440)의 양단을 하향 목줄고리로 구성하여 점 형태로 편대(440)의 양단만을 바닥면(P)과 접촉시킬 경우, 접지면적이 한 점에 불과한 점 형태 접촉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아주 미약한 잔입질에도 점 형태로 접촉하던 편대(440)의 한쪽 접지점이 바닥면(P)에서 쉽게 이탈되고, 이러한 이탈은 낚시찌에 전달되어 찌톱이 빈번하게 오르내리게 된다. 낚시의 조과(釣果)는 물고기가 미끼를 완전히 흡입했을 때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챔질하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빈번한 움직임을 보이는 찌톱을 보고 챔질하는 순간을 정확하게 결정한다는 것은 경험이 많은 낚시꾼에게도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의 편대(440)는 종래 양단이 점(點) 형태로 접지되던 것을 선(線) 형태로 접지되도록 결속대(441), 수평밀착대(442) 및 목줄연결대(430)가 상호 유기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결속대(441)와 수평밀착대(442)는 절곡대(443)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접지형 편대(440)는 상기 결속대(441)가 상기 봉돌(410)의 조립홈(411)에 끼워진 후 가압되어 고정결합됨에 따라 조립홈(411)의 단부가 결속대(441)를 일정부분 감싸면서 형성되어 안정적인 결합이 담보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봉돌(410)의 하면이 평탄면이거나 혹은 구(球)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이거나를 막론하고, 조립홈(411)의 단부가 결속대(441)의 아래쪽까지 감싸기 때문에 조립홈(411)의 하면단이 결속대(441)의 하단 끝보다 아래쪽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결속대(441)가 일자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결속대(441)의 양단부는 동시에 바닥면(P)에 접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대(441)는 이 결속대(441)의 양단에서 연속하는 상기 수평밀착대(442)가 동시에 바닥면(P)에 접촉되도록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일부 또는 전체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5는 상기 선집지형 편대(440)의 결속대(441)가 상향 벌림각으로 형성되는 경우이다. 즉, 중앙이 상기 봉돌(410)에 결합된 상기 결속대(441)의 양단이 수면을 향해 윗쪽으로 벌어지는 각을 갖는 곡선형(도 5의 (A),(B)) 및/또는 직선형(도 5의 (C))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결속대(441)는 목줄연결대(430)를 결합한 수평밀착대(442)가 바닥면(P)에 선접지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대(443)를 통해 수평밀착대(442)와 연결된다. 도 5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대(441)는 수면을 향해 벌어지는 형태이다. 이에 반해 상기 목줄연결대(430)를 결합한 상기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는 바닥면(P)에 수평하게 선접지 한다. 이러한 상기 절곡대(443)와 상기 수평밀착대(442)의 형태적 특성으로 말미암아 양자는 그 연장선 상으로 아무리 연장된다하더라도 만나지 못한다. 그리므로 이 둘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절곡대(443)의 구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선접지형 편대(440)의 결속대(441)가 하향 벌림각으로형성되는 경우이다. 즉, 중앙이 상기 봉돌(410)에 결합된 상기 결속대(441)는 양단이 바닥면(P)을 향해 아랫쪽으로 벌어지는 곡선형(도 6의 (A)) 및/또는 직선형(도 6의 (B),(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면(P)을 향하는 상기 결속대(441)는 바닥면(P)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와 연장선 상에서 만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하향 벌림각을 갖는 결속대(441)의 경우에는 도 6의 (A), (B) 및 (C)와 같이 상기 절곡대(443)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다만, 도 7과 같이, 상기 결속대(441)가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와 마찬가지로 바닥면(P)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속대(441)와 수평밀착대(442)는 그 연장선 상에서 만나지 못한다. 때문에 이 경우에도 상향 벌림각을 갖는 결속대(441)와 마찬가지로 절곡대(443)가 결속대(441)와 수평밀착대(442)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편대(440)의 구성에서, 상기 편대(440)는 기본적으로 상기 결속대(441)의 연장길이 및/또는 중심에서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수평밀착대(442)와 상기 봉돌(410)의 하면단이 바닥면(P)에 닿는 것이 결정된다. 여기에 더해 상기 편대(440)에 상기 절곡대(443)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 절곡대(443)의 연장길이 및/또는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상기 수평밀착대(442)와 상기 봉돌(410)의 하면단이 바닥면(P)에 닿는 것이 결정된다.
예컨데, 도 5(A)와 같이 상기 절곡대(44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결속대(441)는 상기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와 상기 봉돌(410)의 하면단이 동시에 바닥면(P)에 접촉되도록 벌어지는 각도와 연장길이를 조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도 5(B)는 도 5(A)와 동일한 상향 벌림각과 연장길이를 갖는 결속대(441)에 절곡대(443)의 각도를 달리하여 봉돌(410)의 하면단을 바닥면(P)에서 이격시킨 것이다. 여기 도 5(B)에서 절곡대(443)의 길이를 조금 더 짧게 구성한다면 봉돌(410)의 하면단과 수평밀착대(442)는 모두 바닥면(P)에 접촉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절곡대(443)를 포함하는 상기 편대(440)의 구성에서는 절곡대(443)의 벌어지는 각도 및/또는 절곡대(443)의 연장길이를 조절하는 것 만으로도 봉돌(410)의 하면단이 바닥면(P)에 닿거나 이격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6(C)를 예로 들면, 상기 결속대(441)는 상기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와 상기 봉돌(410)의 하면단이 동시에 바닥면(P)에 접촉되도록 벌어지는 각도와 연장길이를 조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B)처럼 결속대(441)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고 벌어지는 각도를 작게하거나, 또는 각도는 동일하게 하고 연장되는 결속대(441)의 길이를 더 길게 하면(미도시) 봉돌(410)의 하면단이 바닥면(P)에서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를 바닥면(P)에 접지시키면, 낚시채비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도 5의 (A) 및 (C), 도 6의 (C)와 같이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와 함께 봉돌(410)의 하면단까지 바닥면(P)에 접지되는 경우 낚시채비는 더욱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이에 반해 찌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둔감해진다. 또한, 도 5의 (B), 도 6의 (A) 및 (B), 도 7과 같이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만 바닥면(P)에 선접지되고 봉돌(410)은 바닥면(P)에서 이격되는 경우, 이격된 봉돌(410)에 떡밥을 덧붙여 붕어를 낚시바늘(H) 쪽으로 유인할 수 있기에 붕어가 낚시바늘(H)을 흡입하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수평밀착대(442)가 바닥면(P)에 선접촉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밀착대(442)가 편대(440)의 양단에서 바닥면(P)과 수평하게 연장되고, 연장된 수평밀착대(442)에는 도 1의 부분확대도 (C)와 같이 일자형태의 목줄연결대(430)가 끼움결합된다. 이때, 상기 목줄연결대(430)의 바깥 단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목줄홈(431)이 형성된다. 이 목줄홈(431)에 낚시바늘(H)이 묶인 목줄(S2)이 연결된다.
만약, 목줄연결대(430)가 일자형태가 아니고 도 8인 종래기술처럼 하향 목줄고리를 형성하거나 혹은 목줄고리의 중점(혹은 중심선)이 수평밀착대(442)의 연장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목줄고리의 하단부로 인해 수평밀착대(442)는 바닥면(P)에 접촉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상기와 같은 편대(440)의 구성을 통해, 봉돌(410)의 닻 역할을 바닥면(P)에 접촉하는 상기 수평밀착대(442)의 길이만큼 선접지 형태로 편대(440)에도 부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잔입질이나 혹은 수중물살에 낚시채비가 휘말려 중력관성이 깨져 발생하던 예민한 찌반응을 현저하게 줄여, 붕어의 본입질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여 조과(釣果)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편대(440) 구성은 붕어의 이물감을 줄이기 위해 감량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봉돌(410)의 경우에 특히 더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 중량체인 봉돌(410)이 가벼워짐에 따라 잔입질시에도 봉돌(410)과 낚시찌의 상호작용에 의한 중력관성이 쉽게 깨져 찌톱이 빈번하게 오르내리는 이른바 찌가 까부는 현상인 찌 까불림 현상이 잦아질 수 있는바, 바닥면(P)과 접지되는 편대(440)의 접촉면적을 점이 아닌 선 형태가 되도록 편대(440)를 결속대(441), 수평밀착대(442) 및 목줄연결대(430)에 절곡대(44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길어진 접지면적을 갖는 수평밀착대(442)를 통해 편대(440)의 바닥면(P)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붕어의 잔입질이나 수중물살 등의 작은 외력에는 편대(440)가 바닥면(P)과의 접지력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외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전달되는 본입질시에는 수평밀착대(442)의 선 형태 접지력과 더불어 감량된 봉돌(410)의 유기적 작용으로 인해 편대(440)의 접지력이 쉽게 깨져 챔질 순간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회전연결구 10: 접속연결부재
110: 회전수용부 111: 회전외홈
112: 외홈단턱 112d: 외홈단거리
113: 호형돌출테 114: 마찰돌기
L: 마찰선 D1: 홈단거리
D2: 단간거리
120: 접속부 130: 연장부
20: 나선연결부재 작동부: 210
211: 회전내홈 212: 내홈단턱
212d: 내홈단거리 220: 나사부
221: 요철부 222: 밀착경사면
230: 멈춤단
4: 봉돌결속구 410: 봉돌
411: 조립홈 412: 절단부
420: 체결봉 421: 상부봉
422: 밀착경사부 423: 하부봉
430: 목줄연결대 431: 목줄홈
432: 삽입구 440: 편대
441: 결속대 442: 수평밀착대
443: 절곡대
5: 삿갓추 51: 미세조절추
P: 바닥면 H: 낚시바늘
S1: 원줄 S2: 목줄

Claims (7)

  1. 길이방향 중간부의 둘레면에 회전내홈(211)을 구비한 작동부(210)에 일체로 연결되는 나사부(220)를 구비한 나선연결부재(20); 및
    가소성인 관통형 몸체로, 상기 작동부(210)를 수용하는 몸체의 일측인 회전수용부(110)에 수용된 상기 회전내홈(211)이 회전 안내되도록 상기 회전내홈(211)에 부합하는 형태로 상기 회전수용부(110)가 변형되어 회전외홈(11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나선연결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인 접속부(120)는 수용설치되는 연장부(130)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연장부(130)를 결합시키는 구성을 갖는 접속연결부재(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작동부(210)와 상기 회전수용부(110)는 선접촉 또는 점접촉으로 상대 회전으로 외력을 상세시킴으로써, 상기 나사부(220)를 통한 나사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회전내홈(211)과 상기 접속연결부재(10)의 회전외홈(111)은 회전 가능하게 마찰선(L)을 통해 선접촉하되,
    상기 회전내홈(211)과 상기 회전외홈(111)은 상이한 경사도를 갖는 홈단턱(212,112)의 경사면을 통해 하나의 상기 마찰선(L)으로 서로 선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내홈(211)과 상기 회전외홈(111)은 동일 경사도를 갖되 어느 한쪽 홈단턱(212,112) 경사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호형(弧形) 돌출테(113)가 하나의 상기 마찰선(L)이 되어 서로 선접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회전내홈(211)과 상기 접속연결부재(10)의 회전외홈(111)은 회전 가능하게 점접촉하되,
    상기 회전내홈(211)과 상기 회전외홈(111)은 서로 다른 경사도의 홈단턱(212,112)의 경사면을 통해 형성된 하나의 마찰선(L)을 따라 마찰돌기(114)가 다수개 돌출되어 점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내홈(211)과 상기 회전외홈(111)은 동일 경사도를 갖되 어느 한쪽 홈단턱(212,112) 경사면에 형성된 호형(弧形) 돌출테(113)의 마찰선(L)을 따라 마찰돌기(114)가 다수개 돌출되어 서로 점접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는 암나사부이고,
    상기 접속연결부재(10)의 접속부(120)는 상기 접속부(120)에 수용되는 연장부(130)를 고정하도록 상기 연장부(130)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장부(130)를 고정하는 가소성 접속부(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는 암나사부이고,
    상기 접속연결부재(10)의 접속부(120)는 수나사 접속부(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연결부재(20)의 나사부(220)에는, 하면에 조립홈(411)이 형성된 봉돌(410)의 상면으로 체결봉(420)을 구비한 봉돌결속구(4)의 상기 체결봉(420)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봉돌(410)의 조립홈(411)에는 편대(440)가 더 고정결합하되,
    상기 편대(440)는 상기 조립홈(411)에 결합하는 결속대(441)의 양측으로 절곡 연장된 수평밀착대(442)가 바닥면(P)에 선접촉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밀착대(442)에 끼워져 바닥면(P)에 접촉하는 일자형 목줄연결대(430)의 단부에는 낚시바늘(H)이 구비된 목줄(S2)이 묶이는 목줄홈(4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밀착대(442)는, 상기 봉돌(410)의 하면단과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410)의 하면단과 함께 바닥면(P)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봉돌(410)의 하면단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봉돌(410)의 하면단을 바닥면(P)에서 이격시킨 채로 바닥면(P)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KR1020200090690A 2020-07-22 2020-07-22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KR10264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90A KR102642097B1 (ko) 2020-07-22 2020-07-22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90A KR102642097B1 (ko) 2020-07-22 2020-07-22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880A KR20220011880A (ko) 2022-02-03
KR102642097B1 true KR102642097B1 (ko) 2024-02-28

Family

ID=8026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690A KR102642097B1 (ko) 2020-07-22 2020-07-22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0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36Y1 (ko) * 2001-07-06 2001-11-16 신영재 낚싯줄 꼬임 방지구
JP2017012065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支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5003B2 (ja) * 1995-12-28 2004-05-1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り竿
KR0136827Y1 (ko) 1996-11-11 1999-02-01 신태길 릴 낚시대용 미끼 연결고리
KR980000128U (ko) * 1997-11-28 1998-03-30 김승영 낚시대용 회전 원형 가이더
KR200203033Y1 (ko) 2000-05-25 2000-11-15 김홍열 회전형 낚시용 봉돌
KR200321970Y1 (ko) 2003-05-16 2003-08-06 신태길 볼 베어링 회전고리
KR200399528Y1 (ko) 2005-08-08 2005-10-25 주식회사 센트로 볼 베어링 회전 고리
KR101046463B1 (ko) * 2008-12-09 2011-07-04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102230240B1 (ko) * 2018-09-14 2021-03-18 변재만 낚시용 와이어 채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36Y1 (ko) * 2001-07-06 2001-11-16 신영재 낚싯줄 꼬임 방지구
JP2017012065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支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880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443A (en) Weight for fish lure
US7841127B1 (en) Soft bait connector for a fishing hook
KR101144267B1 (ko) 평행한 이중의 바늘허리가 구비되는 루어낚시용 지그헤드
KR102577938B1 (ko) 낚시 채비
KR102642097B1 (ko) 회전작동형 낚시추 조립체
US2589007A (en) Artificial fish bait with weighted hook member
US20090119972A1 (en) Design fishing hook for bait and lure
US4435914A (en) Fish lure
US20140173968A1 (en) Fishing lure
KR102479367B1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200473427Y1 (ko) 낚시 채비
US7363743B2 (en) Safety bobber
US5297356A (en) Bevelled fishhook
KR100751564B1 (ko) 삼본 낚시 편대 채비
US5435095A (en) Bored rigid split shot sinker
KR200494549Y1 (ko)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US4999942A (en) Fishing lure
KR20230020105A (ko) 테이퍼형 편대조립체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JPH11164636A (ja) 釣り針
KR20240005510A (ko) 낚시채비용 편대조립체
KR102607742B1 (ko) 바닥추의 무게조절이 용이한 분할추채비
US20020124456A1 (en) Fish hook with pivoted auxiliary barb
CN211211059U (zh) 一种适用于不同技术阶段的软、硬一体黄鳝钓具
KR200166830Y1 (ko) 낚시용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