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09U -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 Google Patents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09U
KR20210000809U KR2020190004048U KR20190004048U KR20210000809U KR 20210000809 U KR20210000809 U KR 20210000809U KR 2020190004048 U KR2020190004048 U KR 2020190004048U KR 20190004048 U KR20190004048 U KR 20190004048U KR 20210000809 U KR20210000809 U KR 202100008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gdol
fishing
handle
cephalopods
cap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이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길 filed Critical 이영길
Priority to KR2020190004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809U/ko
Publication of KR20210000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봉돌과, 봉돌에 연결되는 다수의 낚싯바늘과 봉돌의 상부의 중앙에서 돌출되게 연결되며 끝단에 낚싯줄이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SINKER APPARATUS FOR CAPTURING CEPHALOPODS}
본 고안은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꾸미, 문어, 갑오징어 등의 두족류를 포획할 수 있는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꾸미, 꼴뚜기, 문어, 낙지, 갑오징어 등과 같은 두족류는 생존 특성상 바다 지면의 바위틈, 지면 아래 또는 지면의 어패류 껍질 내에서 서식하며 주변의 먹잇감을 노리는 습성이 있어서 포획시 조개류의 패각을 이용하거나 주낙, 통발 등으로 포획하고 있다.
즉, 주꾸미 등의 두족류는 소라껍데기 등과 같은 빈 패각에 몸을 은닉하는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두족류 포획에 빈 패각을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빈 패각은 쉽게 파손, 훼손되어 반복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최근에는 레저활동으로서 낚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어업이 아닌 레저활동으로 낚시를 즐기는 경우에는 패각을 이용하는 것이 불편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두족류 낚시채비가 개발되고 있는데, 그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3096호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두족류 포획용 낚시 어구를 살펴보면, 추의 하부에 낚싯바늘이 설치되고, 추의 상부에 축광안료가 포함된 볼이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볼이 추보다 크게 형성되어 추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추의 중앙 상부로 낚싯줄이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낚싯바늘에 두족류가 걸리게 되면, 잡힌 두족류를 낚싯바늘에서 분리해야 하는데, 낚싯줄을 잡고 낚싯바늘에 걸린 두족류를 분리해내는 작업이 쉽지 않아, 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바늘에 찔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추의 상부에 추보다 사이즈가 큰 볼이 설치됨에 따라서 물속에서 큰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낚시할 때 민감도가 떨어지게 되어 초보자의 경우 낚시도구에 주꾸미 등이 올라탄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효과적으로 낚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309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낚시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는, 봉돌; 상기 봉돌에 연결되는 다수의 낚싯바늘; 상기 봉돌의 상부의 중앙에서 돌출되게 연결되며, 끝단에 낚싯줄이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간단한 구성을 갖게 되어, 낚시할 때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봉돌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봉돌의 상부에서 돌출되게 연장되는 손잡이용 고정와이어; 및 상기 손잡이용 고정와이어의 외측에 결합되며, 야광 또는 축광재질로 형성되는 손잡이용 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손잡이부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낚싯바늘에 걸린 두족류를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싯바늘은 상기 결합홀에 끼워져서 상기 손잡이용 고정와이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낚싯바늘의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싯바늘은 상기 봉돌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낚싯바늘을 봉돌과 일체로 결합하여 낚싯바늘의 변형이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돌의 외측면에는 야광띠 또는 축광띠를 결합하기 위해 상하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띠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봉돌의 외측에 야광띠 또는 축광띠는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싯바늘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슬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낚싯바늘로 두족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획확률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에 따르면, 봉돌에 직접 낚싯바늘을 연결하고, 봉돌의 상부에는 손잡이부를 길게 연결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물속에서 봉돌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봉돌의 민감도를 향상시켜서 초보자도 낚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봉돌의 상부로 길게 손잡이부를 설치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낚싯바늘에 걸린 두족류를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낚싯바늘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 각각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돌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100)는 봉돌(110)과, 봉돌(110)에 연결되는 낚싯바늘(120)과 봉돌(110)의 상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30) 및 상기 낚싯바늘(120)에 결합되는 구슬(140)을 구비한다.
상기 봉돌(11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상기 봉돌(110)의 외주에 야광부재(113)를 부착할 때, 틈새 없이 견고하게 밀착시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봉돌(11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낚싯바늘(120)은 복수가 봉돌(110)에 설치되며, 봉돌(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낚싯바늘(120)은 일단이 봉돌(110)의 결합홀(111)에 끼워져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낚싯바늘(120)의 설치 수는 6개 내지 8개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수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낚싯바늘(120)의 일단이 봉돌(110)의 결합홀(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홀(111)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용 고정와이어(131)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봉돌(110)의 중앙 상부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낚싯줄(10)이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봉돌(110)의 중앙에 결합되는 손잡이용 고정와이어(131)와, 상기 고정와이어(131)의 외측에 결합되는 손잡이튜브(133)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용 고정와이어(131)는 봉돌(110)의 결합홀(111)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봉돌(110)의 상부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손잡이부(130)의 변형을 방지하고,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봉돌(110)과 낚싯바늘(120)에 걸린 주꾸미, 갑오징어 등의 무게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굵기를 갖는 금속와이어인 것이 좋다. 이러한 손잡이용 고정와이어(131)는 하단에 결합홀(111)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는 고정용 링부(131a)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낚싯줄(1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131b)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튜브(133)는 관 형상을 가지며, 손잡이용 고정와이어(13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튜브(133)는 야광 또는 축광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어두운 물속에서 손잡이튜브(133)가 빛을 냄으로써, 두족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두족류의 포획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튜브(133)의 상단에는 발광구슬(135)이 더 설치되는 좋이 좋다. 상기 발광구슬(135)은 야광 또는 축광재질로 형성되며, 손잡이용 고정와이어(131)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여기서 발광구슬(135)은 손잡이튜브(133)의 외경에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 것이 좋다.
상기 구슬(140)은 낚시바늘(120)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구슬(140)은 야광 또는 축광 재질로 형성되며, 복수의 낚싯바늘(120) 중에서 일부에만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낚싯바늘(120) 중에서 교번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처럼 낚싯바늘(120)에 구슬(140)을 설치하게 되면, 물속에서 낚싯바늘(120) 부분에서 빛이 나도록 하여 두족류를 낚싯바늘(120) 쪽으로 용이하게 유인하여 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100)는 봉돌(110)에 낚싯바늘이 직접 연결되어 있고, 봉돌(110)의 상부에 손잡이부(130)가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낚싯줄(10)에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속에서 조류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받게 되어 낚시질할 때 낚싯줄(10)을 통해 전달되는 민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초보자도 두족류 낚시를 하면서 낚싯바늘(120)에 두족류가 올라탈 때 느끼는 감도를 쉽게 인지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봉돌장치(100)를 연결한 낚싯줄(10)이 조류에 의해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10)에 본 고안의 봉돌장치(100)만을 연결하여 낚시를 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10)의 끝단에 봉돌 장치(100)를 연결하고, 그 상부에 갑오징어를 낚을 수 있도록 루어(2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루어(200)가 조류에 의한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낚시 민감도가 떨어질 수는 있으나, 종래와는 달리 봉돌장치(100)의 구성이 간단하고, 봉돌장치(100)의 조류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도 갑오징어 낚시와 주꾸미 낚시 등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봉돌장치(100)는, 봉돌(110)의 상부에 손잡이부(120)가 길게 연결된 구조이므로, 루어(200)에 낚였다가 채는 과정에서 다리만 끊고 떨어지는 갑오징어가 하부의 봉돌장치(100)에 마련된 낚싯바늘(120)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즉, 봉돌(110) 상부에 갑오징어가 낚싯바늘(120)에 걸리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 요소가 없으므로, 루어(200)에 걸렸다가 떨어져 나가는 갑오징어가 봉돌장치(100)의 낚싯바늘(120)에 다시 걸릴 확률이 높으므로, 낚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낚싯바늘(120)에 걸린 주꾸미 등의 두족류는 봉돌을 감싸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낚인 두족류를 낚싯바늘(120)에서 떼어내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손잡이부(13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두족류를 봉돌(110)과 낚싯바늘(120)에서 분리해낼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손잡이부(13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고, 바로 낚싯줄(10)에 연결된 구조이므로, 한 손으로 낚싯줄을 잡고 다른 손으로 낚싯바늘에 걸린 주꾸미를 떼어내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의 경우에는 봉돌(110)의 상부로 변형이 쉽지 않은 손잡이부(130)를 충분히 길게 연결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한 손으로 손잡이부(130)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낚싯바늘(120)에 걸린 두족류를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봉돌(110)이 상하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봉돌(110)의 외주에 별도의 야광(축광)띠나 야광(축광)테이프를 부착하거나, 결합할 때 용이하게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돌장치(100;)는 봉돌(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낚싯바늘(120')이 봉돌(1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봉돌(110)을 원기둥 형상으로 가공시에, 낚시바늘(120')이 봉돌(110)에 삽입된 상태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낚싯바늘(120')을 봉돌(110)에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고, 낚싯바늘(120')의 끝단이 봉돌(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더 멀게 위치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봉돌(110)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돌(110')을 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의 일부 구간을 상하로 평평하게 형성하여 야광띠나 축광띠와 같은 야광부재(113)가 결합되는 띠 결합부(110a)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구형으로 형성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봉돌(110")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원통형상을 가지는 다각형 구조를 가지는 봉돌(310)로서, 외측에는 상하 일정 구간 동일한 직경을 갖는 띠 결합부(110a)가 형성되어 야광띠 또는 축광띠와 같은 야광부재(113)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돌의 형상을 원기둥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만 외측에 일부 구간에서 상하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 구간 즉, 띠 결합부(310a)가 구비됨으로써, 야광띠나 축광띠와 같은 야광부재(113)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낚싯바늘(120)이 봉돌의 하부에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봉돌의 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낚싯줄 100,100'..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110,110',110",310..봉돌 120,120'..낚싯바늘
130..손잡이부 131..손잡이용 고정와이어
133..손잡이튜브 140..구슬
200..루어

Claims (6)

  1. 봉돌;
    상기 봉돌에 연결되는 다수의 낚싯바늘;
    상기 봉돌의 상부의 중앙에서 돌출되게 연결되며, 끝단에 낚싯줄이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봉돌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봉돌의 상부에서 돌출되게 연장되는 손잡이용 고정와이어; 및
    상기 손잡이용 고정와이어의 외측에 결합되며, 야광 또는 축광재질로 형성되는 손잡이용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바늘은 상기 결합홀에 끼워져서 상기 손잡이용 고정와이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바늘은 상기 봉돌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돌의 외측면에는 야광띠 또는 축광띠를 결합하기 위해 상하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띠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바늘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KR2020190004048U 2019-10-04 2019-10-04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KR202100008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048U KR20210000809U (ko) 2019-10-04 2019-10-04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048U KR20210000809U (ko) 2019-10-04 2019-10-04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09U true KR20210000809U (ko) 2021-04-14

Family

ID=7546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048U KR20210000809U (ko) 2019-10-04 2019-10-04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80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270U (ko) 2021-12-14 2023-06-21 김안식 낚시용 봉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96B1 (ko)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96B1 (ko)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270U (ko) 2021-12-14 2023-06-21 김안식 낚시용 봉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US7841129B2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KR200485088Y1 (ko) 오징어 낚싯바늘 유닛
WO2005089401A2 (en) Terminal tackle including bearing for fishing line
US10492478B1 (en) Weedless fishing lure jig with offset bait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KR200479507Y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1581644B1 (ko) 자동 작살낚시장치
KR102484460B1 (ko) 두족류 포획용 애자
KR20210000809U (ko) 두족류 포획용 봉돌장치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US3435553A (en) Live bait holders
US20060260180A1 (en) Deep-water squid jig
KR101226391B1 (ko)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KR102668668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US2874510A (en) Fishing device
US4785568A (en) Specific arrow for fishing in shore
JP2007252263A (ja) 釣り用仕掛
KR20190011937A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KR20160097737A (ko) 유인 기능이 향상된 두족류 포획용 낚시 어구
US20170325435A1 (en) Rattling fishing jig
CN101171911B (zh) 拟饵
KR102425249B1 (ko) 구멍치기낚시용 낚시대
KR20230000870U (ko)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JP5709361B2 (ja) 釣り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