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391B1 -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 Google Patents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391B1
KR101226391B1 KR1020100047291A KR20100047291A KR101226391B1 KR 101226391 B1 KR101226391 B1 KR 101226391B1 KR 1020100047291 A KR1020100047291 A KR 1020100047291A KR 20100047291 A KR20100047291 A KR 20100047291A KR 101226391 B1 KR101226391 B1 KR 101226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ring
ba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829A (ko
Inventor
정영묵
Original Assignee
정영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묵 filed Critical 정영묵
Priority to KR102010004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39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2Illuminating devices for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에 관한 것으로 환상(環狀)의 부체(浮體)와, 상기 부체의 부력과 평형(平衡)을 유지하는 중추(重錘)와, 상기 중추에서 방사상으로 교차된 탄성질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상면에 평면적으로 중첩된 그물과, 상기 살대의 고리에 연결하는 복수의 클립이 구비된 환상의 조임줄과, 상기 조임줄에서 낚시줄에 연결되는 당김줄로 이루어진 포획부(A)와,
중추의 고리에 연결되는 하부고리와 상부의 당김줄 고리가 구비된 수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측에 감착된 복수의 낚시고리가 구비된 고리관과, 상기 고리관에 구비된 미끼고리와, 지지대에 구비된 형광램프와, 부구(浮球)가 내장된 떡밥주머니로 이루어진 미끼부(B)의 결합으로 망낚시를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의 기능과 어망의 기능이 결합되어 낚시의 쾌감과 어망의 포획감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FISHING ROD WITH A NET}
본 발명은 낚시의 기능과 어망의 기능이 결합되어 다어종(多魚種)을 포획할 수 있는 망낚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낚시바늘에 달린 먹이를 물려는 수중 고기의 입질을 찌의 움직임에 의해 판단하여, 낚시바늘의 먹이를 문 고기를 낚아채는 순간적인 쾌감을 주는데 특징이 있고, 투망은 넓게 펴지도록 어망을 던질 때의 요령과 육체적인 운동이 수반되면서도 비교적 단순하게 많은 양의 고기를 잡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낚시는 어망의 기능이 없고 또한 어망은 낚시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어구(漁具)의 기능적 효용성이 미흡하고 또한 낚시의 수중환경과 투망의 수중환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낚시와 어망을 각각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수중의 저층(底層)에는 토종 붕어나 장어, 게 등이 서식하고, 수중의 중층(中層)에는 중국산 떡붕어, 돔 등이 유영(遊泳)하며, 수중의 상층(上層)에는 새우, 피라미, 학 꽁치, 자리돔 등이 때(群)를 이루며 몰려다니고 있다. 따라서 잡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각각 정해진 어구를 준비해야 하고 다어종(多魚種)을 잡고자 하면, 각각 다양한 종류의 어구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어구(漁具)로 고기의 입질을 감지하여 낚아채는 짜릿한 쾌감을 가질 수 있는 낚시의 기능과, 낚시바늘에 비하여 보다 많은 고기를 포획할 수 있는 어망의 기능을 가지며, 수중의 저층과 중층 및 상층에서 노는 각종 고기를 잡을 수 있는 새로운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어구(漁具)로 낚시기능과 어망기능을 구비한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력(浮力)을 가진 부체(浮體)와, 무게를 가진 중추(重錘)와, 방사상으로 교차된 탄성질의 강철사로 된 가느다란 살대와, 살대에 지지된 그물과, 살대의 주연부에 연결되어 그물을 주머니처럼 오므리는 환상의 조임줄이 결합하여 된 포획부와, 상기 중추의 고리에 연결되는 지지대에 미끼를 다는 복수의 낚시바늘과, 미끼고리 및 부력을 가진 떡밥주머니가 구비된 미끼부의 결합으로 망낚시를 구성하여, 낚시 특유의 짜릿한 쾌감과 투망의 특유의 어획감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포획부와 미끼부가 고리와 클립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이 간편하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수중의 수준(水準)에 상응하게 부력조절을 하여 다양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망낚시구는 포획부와, 미끼부의 2부분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망낚시의 포획부(捕獲部)는, 수중(水中)의 원하는 수준(水準)에 포획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부력을 부가(附加)하는 환상(環狀)의 부체(浮體)와, 상기 부체의 부력과 평형(平衡)을 유지하는 중추(重錘)와, 상기 중추에서 방사상으로 교차된 탄성질의 가는 강철사로 된 가느다란 살대와, 상기 살대의 상면에 평면적으로 중첩되어 지지 된 그물과, 상기 살대의 외단부에 거는 복수의 클립이 구비된 환상의 조임줄과, 상기 조임줄에서 낚시대에 연결되는 당김줄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포획부의 부체는 링이나 클립과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 살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살대는 본 발명자가 등록을 받은 등록고안 제20-0434854호(2006. 12. 28. 공고)에서 부분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하중을 가하지 않으면 자체 탄성에 의해 직선적으로 살대가 펴지고 살대의 중추에 하중이 걸리면 사방으로 교차된 살대가 만곡하게 된 것이다.
또 상기 그물의 가장자리의 망공으로 상기 살대의 외단부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되어 별도의 부착수단 없이 살대 위에 그물의 중첩유지가 가능하며, 따라서 살대에서 그물을 분리하거나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망공을 관통한 살대의 고리에는 조임줄을 삽입할 수 없고 별도의 조임줄을 클립에 의하여 살대의 고리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그물의 중앙부를 관통한 중추의 고리에 원판의 구멍이 삽입 고정되어 수중에서 그물의 중앙부가 위로 뜨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다.
망낚시의 미끼부는, 상기 중추의 고리에 클립으로 연결되는 하단 고리와 상단부의 당김줄 고리가 형성된 수직으로 뻗은 강철사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지지관에 의해 부착된 화학반응으로 발광하는 형광램프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측에 감착된 복수의 낚시고리가 구비된 고리관과, 상기 고리관에 감합된 미끼고리와, 부구(浮球)가 내장되어 부력을 가진 떡밥주머니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상기 미끼부의 낚시고리에는 낚시바늘이 실로 연결되어 있고 미끼고리는 고정관에 의해 미끼를 단 미끼고리의 일단부를 끼워 고정하게 되어 있다. 떡밥주머니는 끈과 클립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상부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물론 떡밥주머니를 낚시줄의 적당한 위치에 걸어 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망낚시는 포획부와 미끼부를 고리와 클립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하고 또 포획부의 부구와 살대, 그물 및 당김줄도 고리와 클립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수리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당김줄은 낚시줄에 연결되고 낚시줄은 낚시대에 연결되며, 낚시줄에는 통상의 부구를 가진 찌가 구비되어 있다. 찌는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망낚시를 사용하여 수중의 저층에 서식하는 고기를 잡는 경우에는 살대의 하부에 부착된 부체를 분리하여 중추에 의해 포획부가 수중 저층에 가라앉도록 하며, 수중의 중층의 고기를 잡는 경우에는 포획부의 부체와 중추와 여기에 조절추를 부가하여 포획부가 수중의 중층에 위치되게 조절하고 상층의 고기를 잡는 경우에는 살대의 하부에 부체를 부착하여 부체의 부력과 중추의 중량과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찌가 수면에 노출되도록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포획부가 수중의 상층에 위치되게 조절하여, 각각 원하는 수중의 수준(水準)에 위치되게 한다.
본 발명의 망낚시에 의해 수중의 저층이나, 중층 및 상층의 고기를 잡는 방법과 미끼와 떡밥에 대해서는 일반 낚시와 차이가 없다. 즉 망낚시의 미끼부에 잡고자 하는 고기가 좋아하는 미끼를 낚시바늘과 미끼고리에 달고 떡밥이 담긴 떡밥주머니가 달린 망낚시를 수중에 넣으면, 찌는 수면에 노출되고 포획부는 설정된 수중의 수준에 위치되며, 이때 미끼부의 지지대에 부착된 형광램프가 수중에서 미끼부의 중앙부에서 발광하면서 고기를 미끼부로 유인하며, 떡밥주머니는 부구의 부력에 의해 미끼부의 상부측으로 뜬다. 따라서 떡밥주머니의 망공을 통하여 떡밥 입자가 누출되면서 포획부의 영역으로 살포된다.
이러한 형광램프의 시각(視覺)적인 유혹과 떡밥주머니에서 유출되는 떡밥과 낚시바늘에 달린 미끼의 취각(臭覺)적인 유혹에 의해 고기가 미끼부로 몰려든다. 물론, 미끼부는 포획부의 영역 내에 있기 때문에 낚시바늘의 미끼를 입질하는 경우에는 그물의 포획영역 내에 이미 고기가 들어와 있는 상태이다. 고기가 미끼를 입질하면 찌가 예민하게 움직인다. 낚시에 익숙한 사람은 찌의 동작만으로 고기가 미끼를 물었는지, 입질만 하는지 알 수 있다. 설령 고기가 미끼를 입질하는 상태라 해도 낚시대를 순간적으로 위로 채면, 낚시줄의 당김에 의해 당김줄에 연결된 조임줄이 살대를 사방에서 당기어, 살대를 위로 당기는 인력(引力)과 하부로 처지는 중력(重力) 사이에서 살대가 만곡되어 그물이 주머니처럼 감싸진다. 따라서 그물의 범위 내에 들어있는 고기는 순간적으로 포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망낚시는 찌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낚시대를 순간적으로 채는 낚시 특유의 짜릿한 쾌감과, 낚시대를 채는 순간 그물이 오므라지면서 집단으로 고기를 포획하는 어망 특유의 어획감(漁獲感)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또 망낚시의 사용중 포획부의 살대나 그물이 훼손되면 살대의 고리에 연결된 조임줄의 클립을 풀어 간단하게 살대나 그물을 교체하거나 훼손부분의 수리가 가능하다. 또 낚시바늘의 실이 끊기거나 떡밥주머니가 훼손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고리나, 클립을 풀어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또 망낚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포획부의 중추의 고리에서 미끼부의 지지대를 분리하여 미끼부와 포획부를 각각 분리상태로 포대에 넣어 보관 및 취급하면 미끼부의 낚시바늘이 포획부의 그물에 걸리지 않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력(浮力)을 가진 부체(浮體)와, 무게를 가진 중추(重錘)와, 탄성질의 강철사로 된 방사상으로 교차된 살대와, 살대에 지지된 그물과, 살대의 주연부에 클립으로 연결되어 그물을 주머니처럼 오므리는 환상의 조임줄이 결합된 포획부와, 상기 중추의 고리에 연결된 지지대에 복수의 낚시바늘과 미끼고리 및 부력을 가진 떡밥주머니가 구비된 미끼부의 결합으로 망낚시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어구로서 낚시의 기능과 어망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낚시 특유의 채는 쾌감과 투망 특유의 어획감을 동시에 즐길 수 있고 어구의 효용성이 증대된다.
또한 포획부와 미끼부가 고리와 클립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고기를 잡는 수중(水中)의 수준(水準)에 따라 포획부의 부력조절에 의해 다양한 어종의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망낚시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망낚시의 포획부의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망낚시의 미끼부의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망낚시의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망낚시의 고기잡이 예시도로서,
도5(a)는 수중의 저층 낚시의 예시도
도5(b)는 수중의 중층 낚시의 예시도
도5(c)는 수증의 상층 낚시의 예시도
본 발명의 망낚시(H)는 포획부(A)와 미끼부(B)의 2부분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방명의 망낚시(H)에 있어, 포획부(捕獲部)(A)는, 도1 및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부력을 부가(附加)하는 발포성 재질의 환상(環狀)의 부체(浮體)(1)와, 상기 부체(1)의 부력과 평형(平衡)을 유지하는 중추(重錘)(2)와, 상기 중추(2)의 주면에서 방사상으로 교차된 탄성질의 가는 강철사로 된 살대(3)와, 상기 살대(3)의 상면에 평면적으로 전개(展開)되어 살대에 중첩되는 그물(4)과, 상기 살대(3)의 외단부의 고리에 복수의 클립(5c)에 의해 연결되는 환상의 조임줄(5)과, 상기 조임줄(5)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된 당김줄(5a)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포획부(A)의 부체(1)는 링이나 클립과 같은 부착수단(1f)에 의해 상기 살대(3)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수중의 저층에서 고기를 잡을 경우에는 부체(1)를 살대(3)에서 분리하고 수중의 중층에서 고기를 잡을 때는 부체(1)를 살대(3)에 부착하고 중추(2)와 고리(2c)에 조절추(2w)를 부가하여 포획부(A)의 수중위치를 조절하며, 수중의 상층에서 고기를 잡을 때에 부체(1)를 살대(2)에 부착하여 포획부(A)의 수중위치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그물(4)의 가장자리의 망공(4h)으로 상기 살대(3)의 협지관(3a)의 고리(3h)부분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시키어 별도의 부착수단 없이. 그물(4)이 살대(3)의 상면에 펴진 상태로 중첩되게 부착되며, 반대로 살대(3)의 고리(3h)부분을 망공(4h)의 하방으로 빼어내면 그물(4)은 살대(3)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 망공(4h)으로 살대(3)의 고리(3h)를 관통시키어 그물(4)을 살대(3)의 상면에 중첩하기 때문에 살대(3)의 고리(3h)에 조임줄(5)이 삽입되어 있으면 살대(3)의 고리(3h)부분을 그물(4)의 망공(4h)으로 관통시킬 수 없다. 따라서, 그물(4)의 망공(4h)으로 관통된 살대(3)의 고리(3h)에 조임줄(5)을 클립(5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그물(4)의 중앙부를 관통한 상기 중추(2)의 고리(2c)에 원판(4p)의 구멍(4q)이 고정되어 수중에서 그물의 중앙부가 위로 뜨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망낚시(H)에 있어, 미끼부(B)는,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추(2)에 구비된 고리(2c)에 클립(6c)으로 연결되는 하단 고리(6a)와 상단의 당김줄고리(6b)를 가진 강철사로 된 지지대(6)와, 상기 지지대(6)의 중간부에 지지관(7d)에 의해 부착된 수중에서 화학적 반응으로 발광하는 형광램프(7)와, 상기 지지대(6)의 상부측에 감합된 복수의 낚시고리(8a)(8b)가 구비된 고리관(8)과, 상기 고리관(8)에 고정된 미끼고리(9)와, 부구(10p)가 내장되어 수중에서 부력을 가진 떡밥주머니(10)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미끼부(B)의 고리관(8)에 구비된 낚시고리(8a)(8b)에는 복수의 낚시바늘(h1)(h2)가 줄(t')로 매달려 있다.
미끼고리(9)는 큰 미끼에 사용되며 미끼고리(9)의 자유단(9a)은 미끼를 끼운 다음 지지대(6)에 관삽된 고정관(9d)에 끼워 잠그게 되어 있다.
떡밥주머니(10)는 내부에 부구(10p)가 내장되어 수중에서 부력을 가지게 되며 비교적 긴 끈(10t)과 클립(10c)에 의해 상기 지지대(6)의 상단부측 담김줄고리(6b)나 낚시줄(t)에 걸게 되어 있다. 떡밥주머니(10)는 수중에서만 부력으로 뜨게 되면 떡밥의 성분이 아래로 하강되어 포획부(A)의 영역으로 고기를 유인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망낚시(H)에 있어, 포획부(A)의 중추(2)의 고리(2c)에 미끼부(B)의 지지대(6)의 하단고리(6a)를 클립(6c)으로 연결하고 조임줄(5)에 연결된 당김줄(5a)을 상기 지지대(6)의 상단부에 구비된 당김줄 고리(6b)에 관통하여 낚시줄(t)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J는 부구를 가진 찌(표시대)이고 P는 낚시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망낚시(H)는 다음과 같이 어류를 포획한다.
즉, 도5(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망낚시를 사용하여 수중(水中)의 저층(底層)에 서식(棲息)하는 고기를 잡는 경우에는 살대(3)의 하부에 부착된 부체(1)를 분리하여 중추(2)에 의해 망낚시(H)의 포획부(A)가 수중 저층에 가라앉도록 하고 찌(J)가 수면에 노출되게 낚시줄에서 찌의 위치를 조절하여 낚시한다.
도5(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망낚시(H)를 사용하여 수중의 중층(中層)에서 고기를 잡는 경우에는 살대(3)의 하부에 부체(1)를 부착수단(1f)에 의해 부착하고 중추(2)의 고리(2c)측에 조절추(2w)를 부가시키어 부체(1)의 부력과 중추(2) 및 조절추(2w)의 중력의 관계에서 망낚시(H)의 포획부(A)가 수중의 중층에 위치되게 조절하고 찌(J)가 수면에 노출되게 낚시줄에서 찌의 위치를 조절하여 낚시한다.
도5(c)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망낚시(H)를 사용하여 수중의 상층에서 고기를 잡는 경우에는 살대(3)의 하부에 부체(1)를 부착수단(1f)에 의해 부착하여 부체(1)의 부력과 중추(2)의 중량의 관계에서 포획부(A)가 수중의 상층에 위치되게 조절하고 찌(J)가 수면에 노출되도록 낚시줄에서 찌의 위치를 조절하여 낚시한다.
이때, 미끼부(B)의 형광램프(7)가 수중에서 화학적 반응에 의해 형광을 발광하여 고기를 유인하며, 부구(10p)에 의해 위쪽으로 부상(浮上)한 떡밥주머니(10)에서는 고기가 좋아하는 떡밥이 담겨 있어, 떡밥입자가 누출되면서 포획부(A)의 영역으로 살포된다. 또 낚시바늘(h1)(h2)과 미끼고리(9)에는 잡고자 하는 고기가 좋아하는 미끼가 달려 있다.
형광램프의 시각적인 유혹과, 떡밥주머니(10)에서 유출되는 떡밥과 낚시바늘(h1)(h2)과 미끼고리(9)에 달린 미끼의 취각(臭覺)적인 유혹에 의해 고기가 몰려든다. 물론, 미끼부(B)는 포획부(A)의 영역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바늘(h1)(h2)의 미끼를 입질하는 경우에는 그물(4)의 포획영역 내에 이미 고기가 들어와 있는 상태이다, 고기가 미끼를 입질하면 찌(J)가 예민하게 움직이며, 이때, 낚시대(P)를 순간적으로 위로 채면, 낚시줄(t)의 당김에 의해 당김줄(5a)이 조임줄(5)을 당기어 사방에서 살대(3)를 들어올리는 인력(引力)과 하부측의 중추(2)의 중력(重力)사이에서 살대(3)가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그물(4)이 주머니처럼 감싸진다. 따라서 그물(4)의 범위에 들어와 있는 고기는 순간적으로 포획된다. 그물(4)의 망공(4h)이 작기 때문에 새우나 피라미 등 작은 고기도 빠저나가지 못하고 집단으로 잡힌다.
수중의 저층에서는 토종붕어, 장어가 잘 잡히고 수중의 중층에서는 떡붕어, 도미가 잘 잡히며, 수중의 상층에서는 새우, 멸치, 피라미, 학 꽁치, 자리돔 등이 잘 잡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망낚시(H)는 낚시기능과 어망의 기능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어구로 낚시대를 채는 순간의 낚시 특유의 짜릿한 쾌감을 느낄 수 있는 동시, 낚시대를 채는 순간 그물이 오므라지면서 집단으로 고기를 포획하는 어망 특유의 어획감(漁獲感)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또 망낚시(H)의 사용중 포획부(A)의 살대(3)나 그물(4)이 훼손되면 연결된 고리와 클립을 풀어 간단하게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또 낚시바늘(h1)(h2)의 실(t)이 끊기거나 떡밥주머니(10)가 훼손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고리와 클립을 풀어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또 미끼부(B)의 낚시바늘(h1)(h2)이 포획부(A)의 그물(4)에 엉키지 않도록 망낚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중추(2)의 고리(2c)에서 미끼부(B)의 지지대(6)의 클립(6c)을 분리하여 포획부(A)와 미끼부(B)를 각각 포대에 넣어 간편하게 보관 및 취급한다.
1 : 부체, 2 : 중추, 2w : 조절추, 3 : 살대, 4 : 그물, 5 : 조임줄,
6 : 지지대, 7 : 형광램프, 8 : 고리관, 9 : 미끼고리, 10: 떡밥주머니,
A : 포획부, B : 미끼부, H : 망낚시.

Claims (7)

  1. 부력을 부가(附加)하는 환상(環狀)의 부체(浮體)와, 상기 부체의 부력과 평형(平衡)을 유지하는 중추(重錘) 및 조절추와, 상기 중추에서 방사상으로 교차된 탄성질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상면에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그물과, 상기 살대의 고리에 클립에 의해 연결되는 환상의 조임줄과, 상기 조임줄에서 낚시줄에 연결되는 당김줄로 이루어진 포획부(A)와,
    상기 중추의 고리에 연결되는 하부고리와 상부의 당김줄 고리가 구비된 수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측에 감착된 복수의 낚시고리가 구비된 고리관과, 상기 고리관에 구비된 미끼고리와, 지지대에 구비된 형광램프와, 부구(浮球)가 내장된 떡밥주머니로 이루어진 미끼부(B)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
  2. 제1항에 있어서, 포획부(A)는 중추(2)에서 방사상으로 교차된 탄성질의 살대(3)의 상부에 그물(4)이 평면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
  3. 제2항에 있어서, 살대(3)의 고리(3h)가 그물(4)의 가장자리의 망공(4h)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 살대(3)에 그물(4)이 부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
  4. 제1항에 있어서, 포획부(A)는 중추(2)에서 방사상으로 교차된 살대(3)의 하부에 중추(2)와 평형을 이루는 부체(1)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중추(2)에 조절추(2w)가 부가되어 포획부(A)의 부력을 조절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
  5. 제1항에 있어서, 포획부(A)는 그물(4)의 망공(4h)으로 관통된 살대(3)의 고리(3h)에 조임줄(5)이 클립(5c)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
  6. 제1항에 있어서, 미끼부(B)는 중추(2)의 고리(2c)에 연결되는 하부 고리(6a)와 상부의 담김줄 고리(6b)가 구비된 지지대(6)와, 상기 지지대(6)의 중간부에 부착된 형광램프(7)과, 지지대(6)의 상부측에 감합된 낚시바늘(h1)(h2)을 연결하는 낚시고리(8a)(8b)가 구비된 고리관(8)과, 미끼고리(9)가 고리관(8)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
  7. 제1항에 있어서, 미끼부(B)는 수중에서 부력을 갖도록 부구(10p)가 내장된 떡밥주머니(10)가 끈(10t)과 클립(10c)에 의해 지지대(6)의 상단부측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
KR1020100047291A 2010-05-20 2010-05-20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KR101226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91A KR101226391B1 (ko) 2010-05-20 2010-05-20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91A KR101226391B1 (ko) 2010-05-20 2010-05-20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829A KR20110127829A (ko) 2011-11-28
KR101226391B1 true KR101226391B1 (ko) 2013-01-24

Family

ID=4539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291A KR101226391B1 (ko) 2010-05-20 2010-05-20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171A (ko) * 2020-04-23 2021-11-02 김영일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9534A (zh) * 2013-12-12 2014-03-05 太仓仕禾线网制造有限公司 诱捕渔网
GB2620619A (en) * 2022-07-14 2024-01-17 Fishtek Marine Ltd A scallop trap and method of catching scallop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3074U (ko) 1979-02-03 1980-08-08
KR200419022Y1 (ko) 2006-03-06 2006-06-16 이공훈 참게 포획기구
KR100846063B1 (ko) 2007-07-27 2008-07-11 차광수 어류 포획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3074U (ko) 1979-02-03 1980-08-08
KR200419022Y1 (ko) 2006-03-06 2006-06-16 이공훈 참게 포획기구
KR100846063B1 (ko) 2007-07-27 2008-07-11 차광수 어류 포획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171A (ko) * 2020-04-23 2021-11-02 김영일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KR102388386B1 (ko) * 2020-04-23 2022-04-19 김영일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829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338B2 (en)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US6786000B1 (en) Pocketed hoop net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101226391B1 (ko)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US7975424B1 (en) Castable framed fish catching net
CN108401997A (zh) 全自动钓鱼器
US20150164058A1 (en) Deepwater fish release device
KR200419022Y1 (ko) 참게 포획기구
KR20180000103U (ko) 갈치 낚시용 낚시채비
US20120030991A1 (en) Floating fishing lure supporting a dancing bait on the water surface
JP3140792U (ja) 蟹釣り用掛け針
KR200448148Y1 (ko) 2열 편대 채비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CN213214974U (zh) 一种新型活扣式螃蟹自动垂钓工具
JP4672810B1 (ja) 海洋生物捕獲篭
CN207836558U (zh) 全自动钓鱼器
KR20220060673A (ko) 인조미끼가 결합된 낚시채비
JP7212980B1 (ja) 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及び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の胴付き仕掛け及びサビキ仕掛けの製造方法。
US20180199552A1 (en) Hooked on fishing lure/spinner bait
JP2005348716A (ja) 一網打尽カニ取り君
CN208462761U (zh) 一种钓鱼用多功能远投浮漂
KR102559783B1 (ko)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KR100310161B1 (ko) 게 잡이용 낚시바늘
RU2794656C1 (ru) Рыболовная морда Девяткина В.Д.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