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386B1 -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 Google Patents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386B1
KR102388386B1 KR1020200049624A KR20200049624A KR102388386B1 KR 102388386 B1 KR102388386 B1 KR 102388386B1 KR 1020200049624 A KR1020200049624 A KR 1020200049624A KR 20200049624 A KR20200049624 A KR 20200049624A KR 102388386 B1 KR102388386 B1 KR 102388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line
rod member
fishing
m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171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102020004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38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4Fixed nets with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를 낚도록 된 자망주낙기구로서, 부력부재들이 마련된 메인지지줄과, 상기 메인지지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단부가 고정되는 낚시줄들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낚시줄에 고정되며 내부에 물고기 먹이가 충진되는 먹이주머니와, 상기 먹이주머니를 감싸면서 상기 낚시줄에 고정되는 자망그물로 이루어져, 먹이주머니 및 자망그물을 침하시키도록 된 봉돌부재를 메인지지줄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낚시줄에 선별적으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봉돌부재가 체결된 낚시줄의 자망그물은 수중의 바닥에 배치되도록 하고 봉돌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자망그물을 바닥과 수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자망그물이 분포되어 물고기의 어획량을 늘릴 수 있도록 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 Fishing gear with sorting subsidence structure }
본 발명은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먹이주머니 및 자망그물을 침하시키도록 된 봉돌부재를 메인지지줄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낚시줄에 선별적으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봉돌부재가 체결된 낚시줄의 자망그물은 수중의 바닥에 배치되도록 하고 봉돌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자망그물을 바닥과 수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자망그물이 분포되어 물고기의 어획량을 늘릴 수 있도록 된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자망은 물고기를 어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어획하고자 하는 표적 어류에 따라 그물코의 크기, 그물실의 굵기 및 그물의 폭이나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자망의 일반적인 구조는 뜸줄과, 이 뜸줄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발줄과, 뜸줄과 발줄 사이에 설정된 그물코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그물을 포함한다. 한편, 뜸줄에는 그물을 부상시키기 위한 부구가 결합되고, 발줄에는 그물을 수중에 가라앉히기 위한 납 등의 추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자망은 수중에서 뜸줄과 발줄에 의해 그물을 수직상태로 직립 배치하여 표적 어류를 어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자망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1529호(힘줄 자망 또는 P.L-G.NET)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힘줄 자망 또는 P.L-G.NET는 속그물이 뜸줄과 발줄 사이에 배치되고 힘줄이 속그물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되 속그물이 힘줄의 중간위치에 별도의 결속끈에 의해 중간묶음으로 결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속그물이 뜸줄과 발줄 사이에서 수중의 유속에 의해 받던 장력을 힘줄이 받게 됨으로써 속그물을 보호하면서도 그물코의 형상을 원하는 대로 유지시켜 표적 어류를 어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망 또는 낚시줄에는 자망이나 낚시줄을 침하시키도록 봉돌이 체결되며, 상기한 봉돌의 무게에 의해 수중의 바닥면에 자망 이나 낚시줄의 하단부가 맞닿게 배치되어, 물고기를 어획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망이나 낚시줄은 하단부가 체결되는 봉돌은 수중의 바닥면과 맞닿게 배치되므로, 수중의 바닥이 아닌 수면부분이나 수중의 중간부분에 배치되는 물고기를 잡기 어려워 어획량이 한정적이게 되고, 바닥부분에 물고기가 없는 경우 어획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03859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먹이주머니 및 자망그물을 침하시키도록 된 봉돌부재를 메인지지줄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낚시줄에 선별적으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봉돌부재가 체결된 낚시줄의 자망그물은 수중의 바닥에 배치되도록 하고 봉돌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자망그물을 바닥과 수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자망그물이 분포되어 물고기의 어획량을 늘릴 수 있도록 된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고기를 낚도록 된 자망주낙기구로서, 부력부재들이 마련된 메인지지줄과, 상기 메인지지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단부가 고정되는 낚시줄들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낚시줄에 고정되며 내부에 물고기 먹이가 충진되는 먹이주머니와, 상기 먹이주머니를 감싸면서 상기 낚시줄에 고정되는 자망그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낚시줄에는 상기 먹이주머니 및 상기 자망그물을 침하시키도록 봉돌부재들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먹이주머니 및 상기 자망그물을 침하시키도록 봉돌부재들이 더 체결되며, 상기 봉돌부재는 상기 낚시줄에 체결되되, 상기 메인지지줄에는 상기 봉돌부재가 체결된 낚시줄과 상기 봉돌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낚시줄이 모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돌부재에는 상기 낚시줄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중공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돌부재에는 상기 메인지지줄에 연결되는 상기 낚시줄에 관통되게 끼움된 후 걸림됨과 아울러 탄성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탄성형걸림고정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걸림고정수단은 상기 봉돌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이 안내되는 슬릿안내홀과, 상기 슬릿안내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슬릿홀과, 상기 걸릿슬릿홀의 내측 상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슬릿홀에 배치되는 낚시줄을 가압하는 상부압착탄성패널과, 상기 걸림슬릿홀의 내측 저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슬릿홀에 배치되는 낚시줄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하부압착탄성패널과, 상기 봉돌부재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낚시줄이 안착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양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에 안착된 상기 낚시줄을 지지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는 먹이주머니 및 자망그물을 침하시키도록 된 봉돌부재를 메인지지줄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낚시줄에 선별적으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봉돌부재가 체결된 낚시줄의 자망그물은 수중의 바닥에 배치되도록 하고 봉돌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자망그물을 바닥과 수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자망그물이 분포되어 물고기의 어획량을 늘릴 수 있도록 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를 나타낸 부분확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먹이주머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를 나타낸 부분확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먹이주머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의 봉돌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자망주낙기구라 명명함)는 강이나 바다에서 물고기를 낚도록 된 자망주낙기구(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자망주낙기구(10)는 메인지지줄(20)과 연결부(30)와 먹이주머니(40)와 자망그물(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지지줄(20)은 부력부재(21)들이 마련된다.
상기 메인지지줄(20)은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부력부재(21)가 부착되거나 와이어에 의해 상기 메인지지줄(20)에 묶여 고정된다.
다르게는 상기 메인지지불과 상기 부력부재(21)에 고리를 형성하여 상호 끼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력부재(21)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물에 뜨도록 스티로폼으로 형성시키게 되며, 발포함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력부재(21)에 의해 상기 메인지지줄(20)이 수중의 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수중이나 수면에 상기 메인지지줄(20)을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메인지지줄(2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단부가 고정되는 낚시줄(31)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낚시줄(31)은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상기 메인지지줄(20)에 묶음되어 고정되거나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먹이주머니(40)는 상기 낚시줄(31)에 고정되며 내부에 물고기 먹이가 충진된다.
상기 먹이주머지는 망구조로 이루어지며, 상측에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먹이를 상기 먹이주머니(40)에 충진시키게 된다.
상기 먹이주머니(40)의 투입구에는 링구조의 탄성밴드를 더 부착시키거나 조임와이어를 역어 상기 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먹이주머니(40)는 상기 낚시줄(31)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묶음되어 고정되거나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먹이주머니(40)는 외면에 통수공들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으로 대체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낚시줄(31)을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망그물(50)은 상기 먹이주머니(40)를 감싸면서 상기 낚시줄(31)에 고정된다.
상기 자망그물(50)은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섬유재로 형성되고 망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망그물(50)은 상기 먹이주머니(40)를 감싸면서 상기 낚시줄(31)에 묶음되어 고정되고, 다르게는 집게를 물려 상기 낚시줄(31)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먹이주머니(40)의 먹이를 먹으로 물고기가 모이면서 상기 자망그물(50)에 걸리게 된다.
상기 연결부(30)의 낚시줄(31)에는 상기 먹이주머니(40) 및 상기 자망그물(50)을 침하시키도록 봉돌부재(60)들이 더 체결되어, 수중의 바닥 부분끼지 상기 자망그물(50)을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봉돌부재(60)는 금속재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봉돌부재(60)에는 상기 낚시줄(31)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중공의 관통홀(61)이 형성된다.
상기 봉돌부재(60)는 상기 낚시줄(31)에 관통되게 끼움된 후 묶음 고정되고, 다수의 봉돌부재(60)를 상기 낚시줄(31)에 끼울 경우 하단에 배치되는 봉돌부재(60)만 낚시줄(31)에 묶어 고정시킨 후 묶여진 봉돌부재(60)의 상측에 다른 봉돌부재(60)들이 적층되게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봉돌부재(60)는 상기 낚시줄(31)에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봉돌부재(60)의 관통홀(61)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환형의 압착링을 더 부착하여, 상기 낚시줄(31)이 상기 관통홀(61)에 고정된 상기 압착링에 억지끼움되어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낚시줄(31)을 상기 압착링이 탄성에 의해 압착하여 상기 봉돌부재(60)가 상기 낚시줄(3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에는 상기 먹이주머니(40) 및 상기 자망그물(50)을 침하시키도록 봉돌부재(60)들이 더 체결되며, 상기 봉돌부재(60)는 상기 낚시줄(31)에 체결되되, 상기 메인지지줄(20)에는 상기 봉돌부재(60)가 체결된 낚시줄(31)과 상기 봉돌부재(60)가 체결되지 않은 낚시줄(31)이 모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봉돌부재(60)가 체결된 낚시줄(31)의 상기 먹이주머니(40) 및 상기 자망그물(50)은 수중의 바닥에 배치되도록 하고, 봉돌부재(60)가 체결?? 않은 상기 먹이주머니(40) 및 상기 자망그물(50)은 수중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균일하게 상기 먹이주머니(40) 및 상기 자망그물(50)를 분포시켜 바닥과 수중의 물고기를 낚아 어획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봉돌부재(60)에는 상기 메인지지줄(20)에 연결되는 상기 낚시줄(31)에 관통되게 끼움된 후 걸림됨과 아울러 탄성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탄성형걸림고정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걸림고정수단(70)은 상기 봉돌부재(6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61)에 관통되게 끼움된 상기 낚시줄(31)이 안내되는 수직의 슬릿안내홀(71)과, 상기 슬릿안내홀(71)의 상단부에 일레로 형성되는 수평의 걸림슬릿홀(72)과, 상기 걸릿슬릿홀의 내측 상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슬릿홀(72)에 배치되는 낚시줄(31)을 가압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상부압착탄성패널(73)과, 상기 걸림슬릿홀(72)의 내측 저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슬릿홀(72)에 배치되는 낚시줄(31)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하부압착탄성패널(74)과, 상기 봉돌부재(60)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낚시줄(31)이 안착되는 안내홈(75)과, 상기 안내홈(75)의 양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안내홈(75)에 안착된 상기 낚시줄(31)을 지지하는 걸림돌기(76)로 이루진다.
상기 상부압착탄성패널(73)과 상기 하부압착탄성패널(74)은 상호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낚시줄(31)은 상기 상부압착탄성패널(73)과 상기 하부압착탄성패널(74) 사이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상부압착탄성패널(73)과 상기 하부압착탄성패널(74)의 탄성에 의해 가압고정되고, 상기 상부압착탄성패널(73)과 상기 하부압착탄성패널(74) 사이에 끼움되면서 외부에 노출되는 낚시줄(31)이 상기 안내홈(75)에 끼움되어 상기 걸림돌기(76)에 걸림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낚시줄(31)을 상기 봉돌부재(60)에 묶어 고정시키기 않고 끼움식으로 고정시켜 낚시줄(31)에서 상기 봉돌부재(60)는 탈부착시키기 용이하게 되다.
또한, 상기 상부압착탄성패널(73)과 상기 하부압착탄성패널(74)의 탄성에 의해 상기 낚시줄(31)이 지지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낚시줄(31)이 상기 봉돌부재(60)와 마찰되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76)를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상기 걸림돌기(76)들 사이에 상기 낚시줄(31)이 억지끼움되어 상기 안내홈(75)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홈(75)에 배치된 상기 낚시줄(31)을 상기 걸림돌기(76)들이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홈(75)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상기 낚시줄(31)이 모서리 부분에 걸림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홈(75)에는 상기 낚시줄(31)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롤러들을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자망주낙기구
20 : 메인지지줄
21 : 부력부재
30 : 연결부
31 : 낚시줄
40 : 먹이주머니
50 : 자망그물
60 : 봉돌부재
61 : 관통홀
70 : 탄성형걸림고정수단
71 : 슬릿안내홀
72 : 걸림슬릿홀
73 : 상부압착탄성패널
74 : 하부압착탄성패널
75 : 안내홈
76 : 걸림돌기

Claims (5)

  1. 물고기를 낚도록 된 자망주낙기구로서,
    부력부재들이 마련된 메인지지줄;
    상기 메인지지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단부가 고정되는 낚시줄들로 이루어진 연결부;
    상기 낚시줄에 고정되며 내부에 물고기 먹이가 충진되는 먹이주머니; 및
    상기 먹이주머니를 감싸면서 상기 낚시줄에 고정되는 자망그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먹이주머니 및 상기 자망그물을 침하시키도록 봉돌부재들이 더 체결되며,
    상기 봉돌부재는 상기 낚시줄에 체결되되, 상기 메인지지줄에는 상기 봉돌부재가 체결된 낚시줄과 상기 봉돌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낚시줄이 모두 연결되며,
    상기 봉돌부재에는 상기 낚시줄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중공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봉돌부재에는 상기 메인지지줄에 연결되는 상기 낚시줄에 관통되게 끼움된 후 걸림됨과 아울러 탄성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탄성형걸림고정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걸림고정수단은,
    상기 봉돌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이 안내되는 슬릿안내홀과,
    상기 슬릿안내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슬릿홀과,
    상기 걸림슬릿홀의 내측 상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슬릿홀에 배치되는 낚시줄을 가압하는 상부압착탄성패널과,
    상기 걸림슬릿홀의 내측 저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슬릿홀에 배치되는 낚시줄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하부압착탄성패널과,
    상기 봉돌부재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낚시줄이 안착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양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에 안착된 상기 낚시줄을 지지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낚시줄에는 상기 먹이주머니 및 상기 자망그물을 침하시키도록 봉돌부재들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49624A 2020-04-23 2020-04-23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KR102388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624A KR102388386B1 (ko) 2020-04-23 2020-04-23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624A KR102388386B1 (ko) 2020-04-23 2020-04-23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171A KR20210131171A (ko) 2021-11-02
KR102388386B1 true KR102388386B1 (ko) 2022-04-19

Family

ID=7847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624A KR102388386B1 (ko) 2020-04-23 2020-04-23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3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937B1 (ko) 2001-09-15 2003-06-02 정정호 다용도 활어 자망 어구
JP2010284099A (ja) 2009-06-10 2010-12-24 Yasunori Ota 魚介類捕獲具
KR101226391B1 (ko) * 2010-05-20 2013-01-24 정영묵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7929A (ja) * 1986-12-18 1988-06-30 福原 晄 多面刺し網枠漁具
JPH0174766U (ko) * 1987-11-06 1989-05-22
KR100385938B1 (ko) 2001-09-25 2003-06-02 정정호 바다 및 민물용 자망 어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937B1 (ko) 2001-09-15 2003-06-02 정정호 다용도 활어 자망 어구
JP2010284099A (ja) 2009-06-10 2010-12-24 Yasunori Ota 魚介類捕獲具
KR101226391B1 (ko) * 2010-05-20 2013-01-24 정영묵 다어종 포획용 망낚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171A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016B1 (en) Molluscan bivalve cage system
US1815521A (en) Apparatus for setting seed shellfish
AU2015238795B2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EP3704935A1 (en) Cleaner fish habitat support apparatus
KR102388386B1 (ko) 선별침하구조를 갖는 자망주낙기구
KR100990954B1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200448134Y1 (ko) 어린해삼 양육용 인공어초
KR101974404B1 (ko) 천연 해조장 조성 및 확대를 위한 해조류 이식방법
KR200419022Y1 (ko) 참게 포획기구
KR20110009067A (ko) 두족류 연체동물용 낚시어구 및 제조방법
KR100554620B1 (ko) 안전낚시바늘
KR20160108624A (ko) 휴대용 죽방렴
KR200486874Y1 (ko) 물고기잡이 장치
KR20130005214U (ko) 복층 쉘터 설치용 고정지지틀
KR101976368B1 (ko) 김 양식망 지지장치
KR100582935B1 (ko)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KR102447911B1 (ko) 부유식 인공산란장 제조방법
KR200497913Y1 (ko) 매생이 발 체결구
KR200195413Y1 (ko) 낙지 주낙용 낚시
CN217136519U (zh) 一种海参诱捕装置
JP6245703B2 (ja) 這行性魚介類用魚道
KR102602797B1 (ko) 정치망용 비조업대상 해양생물의 지퍼식 탈출유도장치
KR101277203B1 (ko) 유동성을 가지는 가짓줄 연결용 낚시채비
KR200489613Y1 (ko) 대나무 형상의 부동대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조립이 가능한 양식용 부구장치
KR200470511Y1 (ko) 수목의 해충 포집용 거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