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935B1 -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935B1
KR100582935B1 KR1020040073908A KR20040073908A KR100582935B1 KR 100582935 B1 KR100582935 B1 KR 100582935B1 KR 1020040073908 A KR1020040073908 A KR 1020040073908A KR 20040073908 A KR20040073908 A KR 20040073908A KR 100582935 B1 KR100582935 B1 KR 100582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member
bands
gimbal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016A (ko
Inventor
강연자
Original Assignee
강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자 filed Critical 강연자
Priority to KR102004007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9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결착부재로서 뒤집기식 김발에 사용되는 간답대와 부구를 조립식으로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뒤집기식 김발을 설비하는 데 따른 능률을 제고하여 주는 동시에, 유지 관리가 용이한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는 상부에 사방으로 고정띠(11)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단면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끼움공(12)이 수평하게 형성된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결착부재(2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재(10)는 부구(40)의 하부에 배치하되, 상기 결착부재(20)는 김발(1)의 테두리가 걸어진 상태로 부구(40)의 상부에 배치하여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결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10)의 끼움공(12)에 간답대(30)의 끝단을 끼우고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between cross bar and float for producing la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확대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부재 10a: 몸통
11: 고정띠 12: 끼움공
20: 결착부재 21, 22: 종측 및 횡측 결착띠
30: 간답대 40: 부구
본 발명은 뒤집기식 김발에 사용되는 간답대와 부구를 조립식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해수면에는 김 양식 방법에 따라 지주식 김발 또는 부류식 김발을 설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부류식 김발의 일종인 뒤집기식 김발이 제공되어서 김 양식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뒤집기식 김발은 망체의 길이방향 등간격마다 횡방향으로 간답대를 배치하고, 상기 간답대의 양단에 연결된 상태로 망체의 테두리에 결박되도록 부구를 설치하여서, 주간에는 망체가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뒤집어서 김 포자가 햇빛을 받아 광합성 작용을 하게 하는 동시에 잡대의 번식을 예방하고, 야간에는 망체가 수중에 잠수되도록 뒤집어서 김 포자가 바닷물에 녹아 있는 영양분을 흡수하게 하여서, 양식 김이 건강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설비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뒤집기식 김발은 망체를 뒤집어서 수면 위에 부상하게 하거나 수중에 잠수되도록 하기 위해서, 망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간답대와 그 망체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구를 연결하여 결박할 때에, 취급이 까다롭고 번거로운 로프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뒤집기식 김발을 설비하는 데 불필요하게 많은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뒤집기식 김발을 설치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간답대와 부구를 연결 결박한 로프가 쉽게 풀어져서, 분리된 간답대와 부구를 다시 로프로 연결 결박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결착부재로서 뒤집기식 김발에 사용되는 간답대와 부구를 조립식으로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뒤집기식 김발을 설비하는 데 따른 능률을 제고하여 주는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뒤집기식 김발의 유지 관리가 용이한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에 사방으로 고정띠(11)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단면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끼움공(12)이 수평하게 형성된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결착부재(2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재(10)는 부구(40)의 하부에 배치하되, 상기 결착부재(20)는 김발(1)의 테두리가 걸어진 상태로 부구(40)의 상부에 배치하여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결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10)의 끼움공(12)에 간답대(30)의 끝단을 끼우고 고정시켜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부구(40)의 직경크기와 동일한 길이로서 폭이 좁은 박스형의 몸통(10a)으로 만들어서, 부구(40)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0)는 몸통(10a) 상부의 사방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띠(11)들을 가져서, 부구(40)의 타측에 배치되는 결착부재(20)를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몸통(10a)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띠(11)들은 일자형으로서 상향 연장되도록 하고, 몸통(10a)의 폭방향 양측단에 형성되는 고정띠(11)들은 절곡형으로서 상향 연장되게 하며, 그 각각의 고정띠(11)들의 일면에는 걸림돌기(111)들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서, 부구(40)의 하부 및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결착부재(20)들과 결착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또, 상기 고정부재(10)는 몸통(10a)을 뚫어서 배열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공(12)을 가져서, 그 각각의 끼움공(12)을 통하여 김발(1)의 망체(1a)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간답대(30)의 끝단을 끼우고 고정시켜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간답대(30)의 끝단에는 별도의 막이캡(50)으로 덮고 나사못(51)으로 견고히 고정시켜서, 상기 고정부재(10)에 연결된 간답대(30)가 분리됨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 간답대 내에 바닷물이 유입되어서 침수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10)의 끼움공(12)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조립구멍에 끼워지는 간답대(30)를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 파이프(30a)로 만들어서, 상기 고정부재(10)의 끼움공(12)에 끝단을 끼우고 고정시켜서 연결된 간답대(30)가 임의로 회전할 수 없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결착부재(20)는 부구(40)의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고정부재(10) 의 고정띠(11)들과 결착되도록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때,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은 모두 하향 절곡되는 절곡형으로서 부구(40)의 상부와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결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착부재(20)는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이 김발(1)의 망체(1a) 테두리 부분에 걸어져서 결박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간단히 결착시켜서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착부재(20)의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의 끝단에는 각각 끼움통로(231, 241) 내에 스토퍼(232, 242)를 형성하여서 된 체결구(23, 24)를 갖추어서, 그 각각의 체결구(23, 24)의 끼움통로(231, 241) 내에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를 끼워서 조이면, 고정띠(11)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11)가 스토퍼(232, 242)에 걸려서 체결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의 끝단에는 각각 끼움통로(131) 내에 스토퍼(132)를 형성하여서 된 체결구(13)를 갖추고, 상기 결착부재(20)의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의 일면에는 걸림돌기(211, 221)들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서,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상기 결착부재(20)의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의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는, 상부에 고정띠(11)들이 형성되고 단면내에 끼움공(12)이 형성된 고정부재(10)와,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을 가지는 결착부재(20)로서 부구(40) 를 감싸서 김발(1)의 망체(1a) 테두리에 결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10)의 끼움공(12)에 간답대(30)의 끝단을 끼우고 고정시켜서, 조립식으로 간답대(30)와 부구(40)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뒤집기식 김발(1)을 설비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뒤집기식 김발(1)을 사용할 때에 간답대(30)와 부구(40)가 서로 분리됨을 방지하여 유지 관리에 따른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결착부재로서 뒤집기식 김발에 사용되는 간답대와 부구를 조립식으로 보다 간단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뒤집기식 김발을 설비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면서도, 뒤집기식 김발을 사용하는 중에 간답대와 부구가 서로 분리됨을 방지하여 유지 관리에 따른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상부에 사방으로 고정띠(11)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단면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끼움공(12)이 수평하게 형성된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결착부재(2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재(10)는 부구(40)의 하부에 배치하되, 상기 결착부재(20)는 김발(1)의 테두리가 걸어진 상태로 부구(40)의 상부에 배치하여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결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10)의 끼움공(12)에 간답대(30)의 끝단을 끼우고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답대(30)의 끝단에는 별도의 막이캡(50)으로 덮고 나사못(51)으로 견고히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의 끼움공(12)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조립구멍에 끼워지는 간답대(30)를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 파이프(30a)로 만들어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11)들은 각각 일면에 걸림돌기(111)들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착부재(20)의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의 끝단에는 각각 끼움통로(231, 241) 내에 스토퍼(232, 242)를 형성하여서 된 체결구(23, 24)를 갖추어서,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상기 결착부재(20)의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의 끝단에는 각각 끼움통로(131) 내에 스토퍼(132)를 형성하여서 된 체결구(13)를 갖추고, 상기 결착부재(20)의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의 일면에는 걸림돌기(211, 221)들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서, 상기 고정부재(10)의 고정띠(11)들과 상기 결착부재(20)의 종측 및 횡측 결착띠(21, 22)들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KR1020040073908A 2004-09-15 2004-09-15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KR100582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908A KR100582935B1 (ko) 2004-09-15 2004-09-15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908A KR100582935B1 (ko) 2004-09-15 2004-09-15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016A KR20060025016A (ko) 2006-03-20
KR100582935B1 true KR100582935B1 (ko) 2006-05-25

Family

ID=3713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908A KR100582935B1 (ko) 2004-09-15 2004-09-15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9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86A (ko) 2020-03-23 2021-10-01 오상훈 양식용 그물망 고정을 위한 틀 보강구조와 그 제조방법
KR20210118584A (ko) 2020-03-23 2021-10-01 오상훈 김발용 누수 방지를 위한 간답대와 그 제조방법
KR20220143413A (ko) 2021-04-16 2022-10-25 동원철강 주식회사 김발용 간답대 일체형 부표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86A (ko) 2020-03-23 2021-10-01 오상훈 양식용 그물망 고정을 위한 틀 보강구조와 그 제조방법
KR20210118584A (ko) 2020-03-23 2021-10-01 오상훈 김발용 누수 방지를 위한 간답대와 그 제조방법
KR20220143413A (ko) 2021-04-16 2022-10-25 동원철강 주식회사 김발용 간답대 일체형 부표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016A (ko) 200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0598A (ko) 궤도형 인공 어초
KR100720121B1 (ko) 해중림조성용 반원통상 조림초
KR100582935B1 (ko)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KR20130004765U (ko)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
KR101895581B1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KR200441928Y1 (ko)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KR20060006667A (ko) 다목적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블록 조립체
KR200409213Y1 (ko) 전복양식 구조물
KR200436808Y1 (ko) 김 양식용 부구
JP2007151491A (ja) 海苔養殖網の深さ調整綱の固定器具
KR100797938B1 (ko) 사다리꼴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KR100720124B1 (ko) 해중림조성용 계단식 조림초
KR100866375B1 (ko) 슬래그 패널형 인공어초
JPH10276598A (ja) 浮きプランター及びその固定方法
KR20210036615A (ko) 새꼬막 채묘틀장치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20020045588A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결속구
JP2007014236A (ja) 中層浮藻場
KR20200113608A (ko) 인공 수초 설치용 조립식 콘크리트 매트리스 블록
KR200495235Y1 (ko) 양식로프 고정구
NO20171477A1 (en) Installation for cultivating marine biomass
KR200283816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결속구
KR200463237Y1 (ko) 갯바위 낚시용 낚싯대 받침대
KR20190054880A (ko) 해파리 대량발생 방지를 위한 유영형 해파리 유생 확산 방지막 및 이를 이용한 유영형 해파리의 대량발생 조절방법
KR200444127Y1 (ko) 폐 타이어를 이용한 전복 및 해삼 가두리 양식용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