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808Y1 - 김 양식용 부구 - Google Patents

김 양식용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808Y1
KR200436808Y1 KR2020060029266U KR20060029266U KR200436808Y1 KR 200436808 Y1 KR200436808 Y1 KR 200436808Y1 KR 2020060029266 U KR2020060029266 U KR 2020060029266U KR 20060029266 U KR20060029266 U KR 20060029266U KR 200436808 Y1 KR200436808 Y1 KR 200436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connecting rod
float
protru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범식
Original Assignee
황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범식 filed Critical 황범식
Priority to KR2020060029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8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고안은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으로 다수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김을 양식하는 부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몸체는, 횡 방향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 중심부가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연결봉이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밀착부, 및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을 끈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부구에 두 개의 연결봉을 끈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구와 연결봉의 체결력을 견고히 할 수 있고, 부구가 외풍에 대하여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구의 설치 및 해제 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질의 김을 생산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부구, 부구, 부통, 김, 양식, 김발, 해태발

Description

김 양식용 부구{Floating pall for the level cultivation}
도 1은 종래의 김 양식용 부구 및 연결봉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의 정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에 연결봉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에 연결봉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부구 110 : 몸체
120a : 제1연결부 120b : 제2연결부
121a,121b : 관통홀 122a,122b : 안착홈
130 : 돌출부 131 : 밀착부
140 : 홈부 150 : 체결부
200 : 연결봉 210 : 끈
본 고안은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면에 부류하는 불순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부구와 연결봉의 체결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김은 소화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김의 올리고당은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리 국민에게는 중요하게 인식되는 식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김의 양식의 과정은, 성숙한 김 엽체(葉體)에서 나온 과포자(carpo-spore)를 채취하여 지상의 배양 수조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수온과 조도를 조절해 가면서 배양을 한다. 그리고, 굴이나 조가비 등의 패각에 이식하여 패각의 진주층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으로 파고든 사상체(絲狀體)의 번식 및 포자낭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포자낭에 들어 있는 과포자가 패각으로부터 방출되어 그물(해태발)이나 지주봉에 부착시켜 부구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해태발이나 부구에 구비된 지주봉에서 김 엽체의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김 양식용 부구가 연결봉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부구(10)는 스트리폼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부구(10)는 연결봉(20)에 각각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부구(10)와 상기 연결봉(20)은 끈(30)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 부구(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끈(30)을 감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구(10)의 일면을 상기 연결봉(20)에 밀착시키고 상기 끈(30)으로 상기 연결봉(20)과 상기 부구(1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구(10)는 끈(30)을 이용하여 연결봉(20)과 부구(10)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부구(10)가 외풍에 대하여 뒤틀리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부구(10)가 상기 연결봉(20)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해태발이나 부구(10)는 일주에 수차례 뒤집어서 해수면 상부로 2∼3시간 정도 노출시켜 준다. 그런데, 해태발이나 부구(10)를 뒤집는 작업이 수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부구(10)는 뒤집기 작업시 스트로폼 부스러기가 발생되어 김 포자에 혼입되는 불량김이 양식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김 포자가 양식되는 부구의 뒤집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부구의 뒤집기 작업시 스트로폼이 발생되지 않는 김 양식용 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하나의 부구마다 두 개의 연결봉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외풍으로 인해 부구가 뒤틀리거나, 부구가 연결봉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김양식용 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부구를 연결봉에 억지끼움으로 고정하여 별도의 끈으로 부구와 연결봉을 묶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구를 신속하게 설치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김 양식용 부구는,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으로 다수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김을 양식하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횡 방향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 중심부가 돌출 형성된 돌출부; 상기 연결봉이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밀착부; 및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을 끈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의 다른 실시예는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으로 다수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김을 양식하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이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ㆍ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ㆍ제2연결부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 일부분이 지지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횡 방향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에 있어서, 상기 김 양식용 부구는, 수면에서 상기 부구의 상ㆍ하면 위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더 구비되어지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ㆍ제2연결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에 있어서, 상기 김 양식용 부구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위치되고, 돌출부가 형성되어 연결줄로 각각의 몸체가 연결되는 체결부;가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도 2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 양식용 부구(100)는 몸체(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10)에는 제1ㆍ제2연결부(120a,120b)와 돌출부(130), 홈부(140) 및 체결부(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몸체(110)는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기 몸체(110)가 파손되지 않도록 내부는 밀폐되고, 외형은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원기둥의 형상은 상기 몸체(110)가 횡 방향으로 배치됐을 때의 형상을 말한다.
상기 제1ㆍ제2연결부(120a,120b)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심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ㆍ제2연결부(120a,120b)는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200)이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각각 관통홀(121a,121b)과 안착홈(122a,12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121a,121b)은 서로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 관통홀(121a,121b)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인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홀(121a,121b)은 상기 몸체(110)의 원기둥 길이방향과 교차된 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22a,122b)은 상기 관통홀(121a,121b)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 안착홈(122a,122b)은 상기 관통홀(121a,121b)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봉(200)의 외주면 일부분이 지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 일부분에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130)는 수면에서 상기 몸체(부구)(110)의 상면, 또는 하면의 위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돌출부(130)는 상기 제1ㆍ제2연결부(120a,120b)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부구(100)가 수면에 대하여 정위치에 놓여졌을 때, 상기 부구(100)보다 상기 연결봉(200)의 위치가 높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부구(100)의 상하면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ㆍ제2연결부(120a,120b)의 구성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역할도 한다. 즉, 상기 돌출부(130)의 위치가 상기 제1ㆍ제2연결부(120a,120b)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결하여 외부의 충격으로 전술되어진 관통홀(121a,121b)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홈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홈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을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121a,121b)의 방향과 90°엇갈린 방향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110)를 평면이나 저면에서 봤을 때, 상기 관통홀(121a,121b)은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140)는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150)는 상기 홈부(140)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50)는 홈부(140)의 중심부에 하나로 형성되거나,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체결부(150)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각각의 부구(10)를 연결시키는 연결줄(미도시)이 묶여지는 부분이다.
한편,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100)는 연결봉(200)이 삽입되지 않고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전술되어진 돌출부(130)의 양측에 각각 밀착부(131)가 구비된다. 이 밀착부(131)는 연결봉(200)이 각각 밀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관통홀(121a,121b)에 끈(210)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봉(200)을 상기 몸체(11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를 가질 경우 연결봉(200)과 몸체(110)의 체결력을 보다 견고히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100)는 해수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즉, 첨부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ㆍ제2연결부(120a,120b)에 구비된 관통홀(121a,121b)에 각각 연결봉(200)을 삽입하여 다수개의 몸체(110)를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봉(200)은 상기 관통홀(121a,121b)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끈으로 상기 연결봉(200)과 상기 관통홀(121a,121b) 주위에 묶을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100)는 첨부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부(130)의 양측에 구비된 밀착부(131)에 각각 연결봉(200)을 위치시키고, 관통홀(121a,121b)에 끈(21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봉(200)이 상기 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두 부재를 묶게 된다.
상기한 방법들로 체결된 부구(100)는 해수면에 존재하는 각종 불순물이 몸체(110)에 붙지 않는다. 또한, 부구(100)가 단일체로 구성되어 부구(100)를 뒤집어서 하루에 한번씩 2∼3시간 정도 수면 위로 노출시킬 때 외풍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부구(100)를 수면 아래로 수침시킬 때는 양질성의 김 포자가 성장되는 간조대(부구의 유효수위 약 15∼20cm)를 자동적으로 물속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녹조가 생기지 않고 우량의 김을 생산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구(100)를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작하여 뒤집는 작업시 파열되거나 부스러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스티로폼 부구는 뒤집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스러기로 인해 그 수명이 1년 정도이지만,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100)는 약 3∼4년의 수명을 갖는다.
그러므로, 김 양식장에서 김을 양식하는 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양질의 김을 생산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연결봉(200)을 부구(100)에 삽입시켜 두 부재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부구(100)의 설치 및 해제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나의 부구(100)에 두 개의 연결봉(200)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각각의 부구(100)마다 뒤틀리거나 연결봉(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김 양식용 부구는 해수면에 부류하는 불 순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김 양식장에서 김을 양식하는 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질의 김을 생산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구를 설치하거나 해제하는 시간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으로 다수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김을 양식하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횡 방향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 중심부가 돌출 형성된 돌출부;
    상기 연결봉이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밀착부; 및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을 끈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2. 김 포자가 양식되는 김발의 연결봉으로 다수개의 몸체를 연결하여 김을 양식하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이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ㆍ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ㆍ제2연결부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 일부분이 지지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횡 방향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김 양식용 부구는,
    수면에서 상기 부구의 상ㆍ하면 위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더 구비되어지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ㆍ제2연결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김 양식용 부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김 양식용 부구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위치되고, 돌출부가 형성되어 연결줄로 각각의 몸체가 연결되는 체결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김 양식용 부구.
KR2020060029266U 2006-11-08 2006-11-08 김 양식용 부구 KR200436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266U KR200436808Y1 (ko) 2006-11-08 2006-11-08 김 양식용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266U KR200436808Y1 (ko) 2006-11-08 2006-11-08 김 양식용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808Y1 true KR200436808Y1 (ko) 2007-10-04

Family

ID=4162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266U KR200436808Y1 (ko) 2006-11-08 2006-11-08 김 양식용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8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48B1 (ko) 2007-10-09 2010-08-30 (주)아이디어라인 해상 구조물용 부기
KR20170003711U (ko) * 2016-04-18 2017-10-26 우성화학(주) 김 양식용 부구
KR20240001841A (ko) 2022-06-28 2024-01-04 이상명 양식 그물용 부구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48B1 (ko) 2007-10-09 2010-08-30 (주)아이디어라인 해상 구조물용 부기
KR20170003711U (ko) * 2016-04-18 2017-10-26 우성화학(주) 김 양식용 부구
KR200485988Y1 (ko) * 2016-04-18 2018-03-20 우성화학(주) 김 양식용 부구
KR20240001841A (ko) 2022-06-28 2024-01-04 이상명 양식 그물용 부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101044A4 (en) Floatation device for an aquaculture basket
KR100731213B1 (ko) 인공 생태 수초섬
KR101395758B1 (ko) 해삼용 인공어초
KR200436808Y1 (ko) 김 양식용 부구
CN101406162A (zh) 一种虾夷扇贝的养殖装置
KR200402698Y1 (ko) 김 양식용 부자
KR20150143001A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CN216513333U (zh) 一种立体组合式生态浮岛结构
KR100353083B1 (ko) 부어초
KR200391108Y1 (ko) 다기능 투석용 어초
JP4397446B2 (ja) 植生浮島
KR20130127573A (ko) 김양식장의 부구
KR200231640Y1 (ko)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KR20080046384A (ko) 피조개 치패의 중간육성방법 및 그의 장치
JP2997183B2 (ja) 植生浮島
KR100582935B1 (ko) 뒤집기식 김발용 간답대와 부구의 연결구조
KR200339463Y1 (ko) 양식용 구조물
CN207733457U (zh) 抗风浪鲍养殖筏箱
JP2004065141A (ja) 育苗装置
KR100494224B1 (ko) 전복양식을 위한 부표의 연결구조
JPS5942869Y2 (ja) 浮魚礁
KR101178087B1 (ko) 친환경 식생형 부도
KR102485691B1 (ko)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KR200227005Y1 (ko) 전복 양식용 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