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640Y1 -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 Google Patents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640Y1
KR200231640Y1 KR2019990007593U KR19990007593U KR200231640Y1 KR 200231640 Y1 KR200231640 Y1 KR 200231640Y1 KR 2019990007593 U KR2019990007593 U KR 2019990007593U KR 19990007593 U KR19990007593 U KR 19990007593U KR 200231640 Y1 KR200231640 Y1 KR 200231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partition
food
hook
sky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593U (ko
Inventor
오영탁
Original Assignee
오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탁 filed Critical 오영탁
Priority to KR2019990007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64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5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5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640Y1/ko

Li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에 관한 것이다.최근 해상가두리는 해수면 1∼2m 하부에 바닥이 그물로 막힌 전복양식함체를 부구에 메달어 양식함체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서,먹이를 공급할때는 선상에 끌어올려 그물을 풀고 먹이를 투여후 다시 묶은후 수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이에 본체(1) 중앙부에(7)에 돌출된 상부걺테(1a)의 천창(2)에 먹이투입망(6)을 씌워 선상의 해수면에서 먹이투입망(6) 으로만 먹이를 투하할수 있는 편리를 제공하며,천창(2) 외주연으로 2개씩의 본체고리부(4)와 그 양편에 걸고리홈(10)을 하방의 하부걺테(1b)에는 하부그물(7)을 형성한 내부에 걸고리판(3a)과 칸막이(3b)로 결합된 칸막이체(3)의 걸고리부(3a')를 상기 걸고리홈(10)에 결속하여 링크(9)체결 한것으로서,칸막이체(3)에 해조류양생로프(3e)를 형성해 먹이로 제공되며,체면적을 최대로 증진시켜 전복치패들의 공간점유개체수를 최대로 늘리며,천창(2)으로 투입된 먹이가 얹히거나 해조류들이 착생되는 전복의 먹이감이 되는 역활을 하며,치패때부터 성장된 전복까지 다양한 크기의 전복들도 내부칸막이를 조정해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수 있도록 한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이다.

Description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crawl in marine cultivation case system for an ormer}
본 고안은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에 관한 것이다.최근 전복 양식은 해상가두리와 육상가두리에 의한 양식이 성행하고 있다.해상및 육상양식에 있어서 다같이 사용하고 있는 도구들에는 일정공간을 마련한 외함체 내부에 전복치패들이 붙어 양생되도록 한것으로서,육상가두리의 방식은 별도의 대형양식조에 소형의 양식함을 양식조 바닥에 가라앉혀 양식하고 있으며,특히 해상 가두리에 의한 양식함장치에는 해수면 1∼2m 하부에 위치하도록 바닥개구부에 자루형그물을 묶고 외함체에는 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전복양식함체를 부구에 메달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 다.
본 고안에서는 위와같은 해상가두리용링전복양식함장치에 있어서,특히 해상가두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복양식함으로서,종래 양식함장치에 의한 먹이 투여방법은 작업 선박으로 상기와 같은 전복양식함체들을 끌어올려 그물자루를 풀고 먹이를 투여한후 다시 해상에 수하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실시해야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해결하고,종래의 전복양식함에 비하여 내부의 체면적을 최대로 증진시켜 전복치패들의 공간점유개체수를 최대로 늘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칸막이체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내부칸막이체 분해조립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1a:상부걺테
1b:하부걺테 2:천창(天窓)
3:칸막이체 3a:걸고리판
3a':걸고리부 3b:칸막이
3c:로프공 3d:보강턱
3e:해조류양생로프 3f:조립홈
4:본체고리부
5:상부테 6:먹이투입망
7:하부그물 8:하부테
9:링크 10:걸고리홈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가 협소(狹小)하며,하부가 넓은 원형통체 본체(1)에 있어서,상부의 중앙부에(7) 상부걺테(1a)가 돌출한 천창(2)을 형성하며,그 외주연으로 2개씩의 본체고리부(4)를 양편에 배치한 중간지점 양편에 걸고리홈(10)을 형성하되,하방으로 하부걺테(1b)를 형성한 내부에 걸고리판(3a)과 칸막이(3b)로 결합된 칸막이체(3)의 걸고리부(3a')를 상기 걸고리홈(10)에 결속하여 링크(9)로 체결하되,상기의 하부걺테 (1b)에 하부그물(7)을 덮고 하부테(8)로 설치하며,상부걺테(1a)에는 자루형의 먹이투입망(6)을 씌워 상부테(5)로 고정한 것이다.
한편,상기의 칸막이체(3)는 양상단에 걸고리부(3a')가 돌설되며,중간에 조립홈(3f)을 형성되며,그 하단 양편에 보강턱(3d)이 형성되며,양편으로 로프공(3c)이 형성된 걸고리판(3a)에 상측 중간부에 보강턱(3d)이 형성되며 그 하단으로 조립홈(3f)이 형성된 칸막이(3b)를 상호 결합한후 상기 로프공(3c)에 해조류양생로프 (3e)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으로는,상기 보강턱(3d)은 걸고리판 (3a)과 칸막이(3b)의 조합이 견고하게 되는 작용을 하며,상기의 칸막이체(3)의 중간부위에 설치하는 해조류양생로프(3e)는 본체(1)의 천창(2)에 씌워져 상부테(5)로 설치된 먹이투입망(6)을 통하여 투입하는 먹이가 곧바로 하부그물(7)에 떨어지지 않고 머물수 있게 하거나,각종 해조류들이 착생된 해조류양생로프(3e)로 작용되어 쉽게 전복의 먹이감이 되게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본 장치에 형성된 본체걸고리부(4)에는 로프(도시되지 않았음)를 장착해 해수면의 부구에 설치할수 있도록 있도록 한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효과로는 먼저,해상가두리용으로,해상의 선상에서 수면의 부구에 자루끝이 묶여진 먹이투입망(6)의 입구만을 열고 먹이를 투하할수 있어서,종래처럼 선상까지 끌어올렸던 작업에 비하여 작업의 절차가 대폭 간소화 되어 인건비의 절감효과와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본 고안에 따른 칸막이체(3)의 걸고리판(3a)과 칸막이(3b)를 상호 교차조립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이 4실로 형성됨으로 인해,같은 크기의 다른 전복양식조에 비하여 공간점유개체수를 2배로 늘릴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복의 성장에 따라 칸막이(3b)를 제거한체 공간을 넓혀 사용할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이 제공되며,칸막이체(3) 중간부에 형성된 해조류양생로프(3e)에 의하여 투하된 먹이의 이용율이 높아지며,자연스럽게 착생된 해조류들이 내부에 착생된 전복들의 자연스러운 먹이감이 되도록한 유용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체(1)의 천창(2)에 하부그물(7)과 같은 그물을 고정시키고,하부걺테(1b)에는 천창(2)에 씌워지는 자루형과 같은 먹이투입망(6)을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상부가 협소(狹小)하며,하부가 넓은 원형통체 본체(1)에 있어서,상부의 중앙부에(7) 상부걺테(1a)가 돌출한 천창(2)을 형성하며,그 외주연으로 2개씩의 본체고리부(4)를 양편에 배치한 중간지점 양편에 걸고리홈(10)을 형성하되,하방으로 하부걺테(1b)를 형성한 내부에 걸고리판(3a)과 칸막이(3b)로 결합된 칸막이체(3)의 걸고리부(3a')를 상기 걸고리홈(10)에 결속하여 링크(9)로 체결하되,상기의 하부걺테 (1b)에 하부그물(7)을 덮고 하부테(8)로 설치하며,상부걺테(1a)에는 자루형의 먹이투입망(6)을 씌워 상부테(5)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칸막이체(3)는 양 상단에 걸고리부(3a')가 돌설되며,중간에 조립홈(3f)이 형성되며,그 하단 양편에 보강턱(3d)이 형성되며,양편으로 로프공 (3c)이 형성된 걸고리판(3a)의 상측 중간부에 보강턱(3d)이 형성되며 그 하단으로 조립홈(3f)이 형성된 칸막이(3b)를 상호 결합한후 상기 로프공(3c)에 해조류양생로프(3e)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KR2019990007593U 1999-05-06 1999-05-06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KR200231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593U KR200231640Y1 (ko) 1999-05-06 1999-05-06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593U KR200231640Y1 (ko) 1999-05-06 1999-05-06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593U KR19990033593U (ko) 1999-08-16
KR200231640Y1 true KR200231640Y1 (ko) 2001-07-03

Family

ID=5475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593U KR200231640Y1 (ko) 1999-05-06 1999-05-06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6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746B1 (ko) * 2015-12-02 2017-12-20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전복치패용 쉘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211A (ko) * 2002-05-25 2003-12-03 최일석 고정식 전복 양식용 구조물
KR101425665B1 (ko) * 2012-02-07 2014-08-04 임지홍 중층 가두리 전복양식용 쉘터 조립구조물
KR101349060B1 (ko) * 2012-03-06 2014-01-10 박송범 해삼양식용 하면함
KR101763100B1 (ko) * 2017-04-14 2017-07-28 김희영 친환경 부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746B1 (ko) * 2015-12-02 2017-12-20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전복치패용 쉘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593U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101044A4 (en) Floatation device for an aquaculture basket
CN111315211B (zh) 用于在海上饲养水产养殖动物的装置
KR200231640Y1 (ko) 해상가두리용전복양식함장치
JP3157283U (ja) 魚介藻類育成用収容体
EP3893634A1 (en) The invention relates to a pot. more specifically, the invention relates to a fish pot arranged for catching cod
KR20170054076A (ko) 활 우량게 육성 축양통
JP3598514B2 (ja) 餌料培養礁を備えた人工魚礁
KR20200098488A (ko) 바다에서 수산양식 생물을 양식하기 위한 장치
CN210157852U (zh) 一种鲍鱼养殖箱
RU81622U1 (ru) Ферма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водных организмов
KR200436808Y1 (ko) 김 양식용 부구
KR200195068Y1 (ko) 패류양식장치
KR200391108Y1 (ko) 다기능 투석용 어초
KR200387099Y1 (ko) 전복 양식집
JP2004105061A (ja) 池内生態系保全方法並びに同方法に用いる浮体構造及びその付属設備
KR200231639Y1 (ko) 전복양식함장치
KR100494224B1 (ko) 전복양식을 위한 부표의 연결구조
JP2004357666A (ja) イセエビ幼生採補育成容器
KR200376340Y1 (ko) 가방형 살림망.
KR20200098489A (ko) 바다에서 수산양식 생물을 양식하기 위한 장치
KR200339463Y1 (ko) 양식용 구조물
KR200309897Y1 (ko) 수중 부상용 어초
JP2004065141A (ja) 育苗装置
CN218389348U (zh) 一种牡蛎养殖装置
KR20050102446A (ko) 패널식 전복 양성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