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463Y1 - 양식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양식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463Y1
KR200339463Y1 KR20-2003-0033991U KR20030033991U KR200339463Y1 KR 200339463 Y1 KR200339463 Y1 KR 200339463Y1 KR 20030033991 U KR20030033991 U KR 20030033991U KR 200339463 Y1 KR200339463 Y1 KR 200339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culture
fastening
shellfish
fastened
fasten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일신
박영숙
Original Assignee
양일신
박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일신, 박영숙 filed Critical 양일신
Priority to KR20-2003-0033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전복(ABALONE)등의 패류(SHELLFISH) 또는 게(CRAB)등의 갑각류(CRUSTACE A)를 인공적으로 양식하는 데에 사용되는 양식용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양식용 구조물은, 패류성장 또는 갑각류 양식공간을 조정시키는 다수의 양식플레이트;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복수개가 연결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중앙측 양식플레이트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바디부재; 및, 상기 체결바디부재의 양측에 체결바디부재와 협력하여 양측 양식플레이트들을 고정시키도록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구조물의 조립 견고성을 높이기 위한 연결부재들이 체결되는 캡엘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복등의 패류 양식용 구조물의 조립시공이 용이하고 필요시 분해를 통한 재사용도 용이하며, 패류의 수용면적을 증대시키어 양식 채취량을 증대시키는 한편, 필요시 게와 같은 갑각류의 양식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조립 시공된 양식용 구조물의 견고성이 우수하여 해양 가두리양식장에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구조물을 가두리양식장에 간편하게 연결 고정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실용적인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양식용 구조물{A RAISING STRUCTURE}
본 고안은 전복등의 패류 또는 게등의 갑각류를 인공적으로 양식하는 때에 사용하는 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전복등의 패류 양식용 구조물의 조립시공이 용이하고 필요시 분해를 통한 재사용도 용이하며, 패류의 수용면적을 증대시키어 양식 채취량을 증대시키는 한편, 필요시 게와 같은 갑각류의 양식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조립 시공된 양식용 구조물의 견고성이 우수하여 해양 가두리양식장에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구조물을 가두리양식장에 간편하게 연결 고정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사용이 편리한 실용적인 양식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패류(SHELLFISH) 예를 들어, 전복(ABALONE)은 인체 건강에 상당히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식용되고 있지만, 해양에서 채취하는 자연산 전복은 그 값이 비싸기 때문에, 근래에는 전복을 인공적으로 양식하는데, 이와 같은 전복의 인공 양식은, 살포에 의한 양식과 해양에서 가두어 양식하는 해양 가두리 양식과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육상 수조양식등이 있다.
그런데, 살포에 의한 전복의 인공 양식은, 연안에 다량의 치패(전복 유생)들을 살포하여 자연적으로 성장하기를 기다렸다가 채취하는 방식인데, 이와 같은 살포에 의한 양식은 각종 해양생물로 부터 살포된 전복 치패가 완전히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그 생존율이 극히 낮은 것은 물론, 전복의 이동으로 나중에 채취하는 채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전복의 인공양식은 별도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수조를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많이 들고, 수조내에 치패를 양식하기 때문에, 수조내의 수질을 관리하는 데에 따른 비용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수조내의 사육시 손쉽게 발생되는 질병으로 인하여, 양식 전복들이 폐사하는 폐사율이 높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복과 같은 고가의 패류를 양식하는 방식으로는, 상기 수조 양식과 해양 가두리 양식을 병행하는 방식이 주로 행해지는데, 욕상 수조에서 1차적으로 양식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전복 치패들을 성장시킨후, 어느정도 성장된치패들이 부착 성장하는 양식용 구조물을 연안 해양의 가두리 양식장에서 다시 전복이 완전하게 성장할때 까지 양식함으로서, 수조 양식에 따른 폐사율 및 관리비용 증대 문제를 해결하면서, 전복의 치패가 성장되는 데에 보다 적당한 해양 환경에서 나머지 양식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순수한 육상 수조양식의 경우에는 나중에 해양 가두리 양식장으로 치패들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조를 바로 이용할 수 있지만, 육상 수조양식과 해양 가두리 양식을 병행할 경우에는, 나중에 가두리 양식장에 투입되고 치패들이 부착되어 성장하는 양식플레이트를 갖춘 별도의 양식용 구조물이 필요하다.
즉, 도면에서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 양식용 구조물은 외곽의 메인파이프에 여러 줄로 연결파이프를 끼우고, 이 연결파이프에는 실제 전복 치패들이 부착 성장하는 양식플레이트가 여러 줄로 끼워지고, 상기 양식플레이트들의 간격은 상기 연결파이프에 플레이트사이로 끼워지는 일정길이의 조정파이프로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양식용 구조물은 파이프들을 연결하여 구조물을 조립하고 이에 전복등의 패류 치패들이 부착 양식되는 양식플레이트들을 삽입 개재시킨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로 된 양식용 구조물에 있어서는, 양식용 구조물의 조립 시공시 일정길이로 된 조정파이프를 연결파이프에 끼워서 양식플레이트들의 간격을 조정하기 때문에, 양식플레이트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이 어렵고, 연결파이프 자체의 길이도 한정되어 있어 체결하는 양식플레이트의 전체 시공면적도 제한되어 전체적으로 양식용 구조물의 조립 시공도 여려울 뿐만 아니라, 양식면적의 증대를 통한 양식 채취량의 증대도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파이프들을 별도의 피스등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양식융 구조물의 분해를 통한 재사용을 위하여 상당한 분해시간이 필요하고, 결국 양식용 구조물의 재사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으며, 양식플레이트사이의 간격이 좁고 그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게와 같은 갑각류 양식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워 양식 대상물의 선정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구조물형태의 양식용 구조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양식용 구조물이 본 고안의 출원인이 국내에 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된 실용신안등록 20-00315467호에서 개시되고 있다.
즉,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등록실용건에서는 파이프 구조물이 아닌 양식용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체결수단으로서 간단하게 착,탈형태로 조립시공하고 필요시 분해도 용이하게 하면서, 양식플레이트간의 긴격 조정도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사용을 편리하게 한 양식용 구조물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다른 양식용 구조물에 있어서는, 양식플레이트들을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체결수단의 바디부재가 부싱부재 및 캡부재로 그 양측단부는 양식플레이를 개재하여 착,탈가능하게 체결, 고정시키지만, 여러 바디부재들이 체결되고 그 전,후방에 부싱 및 커버부재가 체결되므로 양식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인접 체결수단들과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구성이다.
따라서, 체결수단들사이의 연결구성이 없어 양식용 구조물의 전체적인 견고성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해양 가두리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경우, 해양의 조류등에 의한 유동으로 사용수명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양식용 구조물을 가두리 양식장에 와이어등을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작업도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복등의 패류 양식용 구조물의 조립시공이 용이하고 필요시 분해를 통한 재사용도 용이하며, 패류의 수용면적을 증대시키어 양식 채취량을 증대시키는 한편, 필요시 게와 같은 갑각류의 양식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조립 시공된 양식용 구조물의 견고성이 우수하여 해양 가두리양식장에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구조물을 가두리양식장에 간편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견고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사용을 편리하게 한 실용적인 양식융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견고성을 향상시킨 양식용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을 통한 양식플레이트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에서 중앙측 양식플레이트를 서로 협력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바디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에서 양끝 양식플레이트를 고정하면서 고정파이프가 연결되는 캡엘보부재 및,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캡엘보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좌측면도
도 9는 도 7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에서 상기 캡엘보부재에 끼워지는 커버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양식용 구조물 10.... 양식플레이트
12.... 체결홈 14.... 바닷물 유통공
30.... 체결바디부재 32.... 수바디부
32a,56a.... 탄성체결구 34.... 연결바디
34a.... 보강리브 36.... 암바디부
36a,56a.... 체결개구 38,58.... 지지돌부
50.... 캡엘보부재 52.... 링몸체
54.... 암부싱부 56.... 수체결부
60.... 커버부재 70.... 연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패류가 부착 성장되거나 또는 갑각류의 양식공간을 조정시키도록 제공되는 다수의 양식플레이트;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복수개가 연결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중앙측 양식플레이트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바디부재; 및
상기 체결바디부재의 양측에 체결바디부재와 협력하여 양측 양식플레이트들을 고정시키도록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구조물의 조립 견고성을 높이기 위한 연결부재들이 체결되는 캡엘보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식용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양식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 1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양식용 구조물을 통한 양식플레이트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양식용 구조물에서 중앙측 양식플레이트를 서로 협력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바디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양식용 구조물에서 양끝 양식플레이트를 고정하면서 파이프인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캡엘보부재 및 이에 끼워지는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캡엘보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좌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양식용 구조물에서 상기 캡엘보부재에 끼워지는 커버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양식용 구조물 즉, 전복등의 패류 또는 게등의 갑각류를 양식하기 위한 양식용 구조물(1)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기 육상 수조 양식을 통하여 먼저, 패류 에를 들어, 전복 치패(전복 유생)을 성장시킨 후, 연안의 해양 가두리 양식장으로 구조물을 이동시키어 전복이 완전하게 성장할 때까지 양식하는데, 이와 같은 해양 가두리 양식을 할 경우에는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을그물로 감싸고 이를 가두리 양식장에 설치하면 된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은, 크게 전복 치패가 부착 성장되거나 또는, 다음에 설명하듯이 게와 같은 갑각류의 양식공간을 조정시키도록 제공되는 다수의 양식플레이트(10) 및, 상기 양식플레이트(10)들을 고정시키어 양식용 구조물(1)로 간단하게 조립 시공되도록 하는 체결바디부재 (30) 및,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양단부에 체결되면서 연결부재(70)의 연결을 통한 조립 견고성을 높이기 위한 캡엘보부재(50)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부재(10)(30)(5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1)의 양식플레이트 (10)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에서는 총 4개의 양식플레이트(10)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별도의 고정용 피스 체결작업없이 간단하게 체결바디부재(30)들이 연결되면서 그 사이사이에 양식플레이트(10)들이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양식물 구조물(1)의 조립 시공 및 분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양식 채취량을 증대시키는 이와 같은 양식플레이트(10)는 원하는 갯수로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식플레이트(10)의 중앙측에는 수조에 설치되거나 해양 가두리양식장에 배치되는 경우 수조 및 해양 바닷물이 통과하는 큰 유통공(14)들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어 있어 해양 가두리 양식시,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이경우에도 도면에서는 2개를 도시하였지만 그 수는 필요한 데로 조정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양식플레이트(10)의 모서리부분들은 라운딩하게 형성시키는데, 이는 해양 가두리 양식의 경우 감싸지는 그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이때 본 고안의 양식플레이트(10)는 피브시(PVC)재질로 성형시키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닷물에 부식되지 않는 내식성이 높은 재질이면 사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다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1)에서 양식플레이트(10)는, 다음에 설명하는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가 체결되기 위하여 모서리부분들을 따라 또는 원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홈(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체결홈(12)들은 다음에 설명하는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의 직경 구체적으로,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2)와 캡엘보부재 (50)의 수체결부(56) 외경을 감안하여 그 직경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1)의 상기 체결바디부재(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체결바디부재(30)는,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복수개가 연결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상기 양식플레이트(10)들중 중앙측에 배치되는 양식플레이트(10)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에서는 체결바디부재(30)들이 서로 연결되어 중앙측 양식플레이트(10)들을 원하는 개수로 고정시키고,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좌,우측 양끝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캡엘보부재(5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체결되어 양끝부분의 2개의 양식플레이트(10)들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 (1)은 그 조립 시공이 용이한 것이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고안의 체결바디부재(3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체결바디부재(30)는, 수바디부(32) 및. 상기 수바디부(32)와 외주면에 일체로 된 보강리브(34a)를 갖춘 연결바디(34)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2)가 삽입 체결되는 암바디부(3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체결바디부재(30)들은 수바디부(32)가 인접 체결바디부재 (30)의 암바디부(36)에 삽입되면서 연속적으로 여러개의 체결바디부재(30)들이 연결되고, 그 사이사이로 양식플레이트(10)들이 체결 지지되게 된다.
다음, 도 1 및 도 6 내지 도 9에서는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1)의 상기 캡엘보부재(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캡엘보부재(50)는,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양측에 체결바디부재와 협력하여 양측 양식플레이트(10)들을 고정시키도록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구조물의 조립 견고성을 높이기 위한 연결부재(70)들이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엘보부재(50)는, 중앙측으로 상기 연결부재(70)가 끼워지는 링몸체(52)와 상기 링몸체(52)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2) 또는 연결부재(70)가 삽입 체결되고 암부싱부(54) 및, 상기 링몸체(52)의 외측으로 암부싱부(54)의 직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암바디부(36) 또는 연결부재(70)에삽입 체결되는 수체결부(56)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캡엘보부재(50)는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부재로 연결부재(70) 즉, 파이프(70)들이 끼워져 연결되어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간의 체결력 및 그 사이에 지지된 양식플레이트(10)들의 고정력을 높이어 전체적으로 본 고안인 양식물 구조물(1)의 조립 견고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0)인 파이프는 폴리프로필렌등으로 된 내식성 및 강도가 양호한 합성수지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캡엘보부재(50)에 체결되는 연결부재(70)인 파이들에 의하여,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을 해양 가두리 양식장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구조물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수명을 종래 양식용 구조물에 비하여는 증대시키면서, 특히 가두리 양식장에서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을 연결시키는 와이어 연결작업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에는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 (32)가 돌출된 상태이고, 죄측은 암바디부(36)가 돌출된 상태이므로, 본 고안의 캡엘보부재(50)는 하나의 부재를 사용하면서 단지 방향을 반대로 하여, 상기 수바디부(32)에는 암부싱부(54)를 체결하고, 상기 암바디부(36)에는 수체결부(56)를 체결 연결시키면 된다.
따라서, 우측의 연결부재(70)인 파이프들은 캡엘보부재(50)중 수체결부 (56)가 내측으로 끼워져 연결되고, 반대로 우측의 연결부재(70)인 파이프들은 캡엘보부재(50)중 암부싱부(54)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70)인 파이프들은 상기 삽입되는 부재에 맞추어 직경이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32)와 암바디부(36) 및, 상기 캡엘보부재(50)의 암부싱부(54)와 수체결부(56)의 외측에는, 서로 협력하여 체결바디부재 (30)와 캡엘보부재(50)의 체결시 양측 양식플레이트(10)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돌부 (38)(58)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2) 및, 상기 캡엘보부재(50)의 수체결부(5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체결구(32a)(56a)들이 일체로 형성되고,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암바디부(36) 및, 상기 캡엘보부재(50)의 암부싱부(54)에는 상기 탄성 체결구(32a)(56a)들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개구(36a)(54a)들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 (1)에서 우측 끝의 양식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체결바디부재 수바디부 (32)의 탄성체결구(32a)가 캡엘보부재(50)의 암부싱부(54) 체결개구(54a)에 끼워지되, 양식플레이트(10)의 체결홈(12)을 통하면서 수바디부(32)의 지지돌부 (38)와 암부싱부(54)의 지지돌부(58)들로서 인하여 양식플레이트(10)들은 견고하게 지지 고정된다.
동시에, 상기 캡엘보부재(50)의 중앙 링몸체(52)에는 연결부재(70)인 파이프가 끼워지는데, 만약 중앙측 부재에서는 파이프는 링몸체(52)를 통과하고 양식플레이트(10)의 모서리부분에는 링몸체(52)내에 맞추어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캡엘보부재(50)의 하방을 향하는 수체결부(56)에는 다른 직경의 연결부재(70)인 파이프가 끼워진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할때, 각각의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2)에는 탈,착 가능하게 캡엘보부재(50)들의 암부싱부(54)가 끼워지면서, 이에 일체로 된 링몸체 (52)와 그 하방 또는 상방으로 된 수체결부(56)에는 연결부재(70)인 파이프들이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양식용 구조물(1)의 조립 견고성을 높이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1)의 좌측 양식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할때, 캡엘보부재(50)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수체결부(56)가 체결바디부재(30)의 암바디부(36)에 끼워서 체결하고, 링몸체(52)와 암부싱부(54)에 각각 연결부재인 파이프를 연결 체결시키면 된다.
결국,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은 연결부재(70)인 파이프들이 사방으로 격자형태로 캡엘보부재(50)를 이용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그 조립 견고성이 우수하면서 구조물의 와이어 체결작업도 용이한 것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4)와 상기 캡엘보부재(50)의 수체결부(56)에 형성된 탄성체결구(32a) (56a)는 탄성훅크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엘보부재(50)의 링몸체 (52)중 구조물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는 링몸체(52)에는 커버부재(60)가 끼워지는데, 결국 구조물(1)의 상하 및 좌우측으로 우측과 좌측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캡엘보부재(50)의 링몸체(52)에는 일측으로 파이프가 끼워지고 타측으로 상기 커버부재(60)가 끼워진다.
이때, 도 2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몸체(52)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커버부재(6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60a)가 끼워지는 요홈(5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버부재(60)는 링몸체(52)에서 손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와 같은 커버부재(60)는 파이프의 내측으로 양식되는 전복치어등이 들어 가는 것을 차단하거나 파이프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은 탄성훅크로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를 이용하여 전복등이 양식되는 양식플레이트(10)들은 원하는 갯수로 구조물의 크기를 조정하면서 조립 시공할 수 있어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조립된 구조물의 견고성도 우수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보강리브(34a)들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바디부재(30) 자체의 견고성을 높이게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는 서로 체결할때 기준이 되어 구조물의 조립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원통형들의 부재들중 서로 대향하는 부분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한 평탄기준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경우 서로 체결되는 부위 즉, 수바디부와 암부싱부 및 암바디부와 수체결부의 접촉하는 면들에 일치되어 형성시켜야 하고, 이는 부재들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 및 커버부재(60)는 합성수지재 예를 들어, 복합 폴리프로필렌(PP)재질로 형성시키어 부식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의 지지돌부(38)(58)들의 모서리는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날카롭지 않도록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그물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은 게 등의 갑각류를 인공 양식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는데, 통상 게들을 양식 성장하는 단계에서 껍질이 벗겨지고 새로운 껍질이 자라는 탈피를 하게 되는데, 양식플레이트(10)사이에 형성되는 양식공간이 적으면 상기와 같은 게들은 탈피중에 보호껍질이 없는 상태에서 서로 잡아먹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본 고안의 양식용 구조물(1)은 체결바디부재(30)사이에 체결 고정되는 플레이트들의 배치간격을 조정하면 양식플레이트(10)사이의 양식공간을 손쉽게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게와 같은 갑각류의 양식에도 간편하게 투입 사용할수 있게 되는데, 상기 체결바디부재(30) 자체의 길이를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양식용 구조물에 의하면, 양식용 구조물의 시공을 피즈결합등의 번거로운 작업없이 탈,착 방식으로 체결바디부재와 캡엘보부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양식플레이트를 조립 시공할 수 있어 구조물 자체의 제작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잇점을 제공한다.
특히, 외곽으로 격자형태로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의 파이프에 의하여 양식용 구조물의 전체 조립 견고성을 높이어 행양 가두리양식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가두리 양식장과의 구조물 와이어 체결작업도 용이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전복등의 패류와 게등의 갑각류 양식을 양식량을 증대시키면서 수행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양식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패류가 부착 성장되거나 또는 갑각류의 양식공간을 조정시키도록 제공되는 다수의 양식플레이트(10);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복수개가 연결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중앙측 양식플레이트(10)들을 고정시키는 체결바디부재(30); 및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양측에 체결바디부재와 협력하여 양측 양식플레이트(10)들을 고정시키도록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구조물의 조립 견고성을 높이기 위한 연결부재(70)들이 체결되는 캡엘보부재(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는 복합 폴리프로필렌(PP)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양식플레이트(10)는 피브시(PVC)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70)는 캡엘보부재(50)에 체결되는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부재(30)는,
    수바디부(32); 및
    상기 수바디부(32)와 외주면에 일체로 된 보강리브(34a)를 갖춘 연결바디(34)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2)가 삽입 체결되는 암바디부(3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엘보부재(50)는,
    중앙측으로 상기 연결부재(70)가 끼워지는 링몸체(52);
    상기 링몸체(52)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2) 또는 연결부재(70)가 삽입 체결되고 암부싱부(54); 및
    상기 링몸체(52)의 외측으로 암부싱부(54)의 직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암바디부(36) 또는 연결부재(70)에 삽입 체결되는 수체결부(5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구조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32)와 암바디부(36) 및, 상기 캡엘보부재(50)의 암부싱부(54)와 수체결부(56)의 외주면에는, 서로 협력하여 체결바디부재(30)와 캡엘보부재(50)의 체결시 양식플레이트 (10)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돌부(38)(58)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구조물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2) 및,상기 캡엘보부재(50)의 수체결부(5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체결구(32a) (56a)들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바디부재(30)의 암바디부(36) 및, 상기 캡엘보부재(50)의 암부싱부 (54)에는 상기 탄성 체결구(32a)(56a)들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개구 (36a)(54a)들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30)의 수바디부(34)와 상기 캡엘보부재 (50)의 수체결부(56)에 형성된 탄성체결구(32a)(56a)는 탄성훅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구조물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엘보부재(50)의 링몸체(52)중 구조물의 모서리부분에 위치하는 링몸체(52)에는 커버부재(60)가 끼워지고,
    상기 링몸체(52)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커버부재(6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60a)가 끼워지는 요홈(52a)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구조물
KR20-2003-0033991U 2003-10-30 2003-10-30 양식용 구조물 KR200339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991U KR200339463Y1 (ko) 2003-10-30 2003-10-30 양식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991U KR200339463Y1 (ko) 2003-10-30 2003-10-30 양식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463Y1 true KR200339463Y1 (ko) 2004-01-24

Family

ID=4942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991U KR200339463Y1 (ko) 2003-10-30 2003-10-30 양식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4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20B1 (ko) * 2012-05-09 2014-02-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침하식 게과 생물 축양 시설
KR20160018440A (ko) * 2015-10-26 2016-02-17 박근우 어패류 성장판
KR102456589B1 (ko) * 2021-11-19 2022-10-21 장철호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20B1 (ko) * 2012-05-09 2014-02-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침하식 게과 생물 축양 시설
KR20160018440A (ko) * 2015-10-26 2016-02-17 박근우 어패류 성장판
KR101635712B1 (ko) 2015-10-26 2016-07-01 박근우 어패류 성장판
KR102456589B1 (ko) * 2021-11-19 2022-10-21 장철호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758B1 (ko) 해삼용 인공어초
KR20140060598A (ko) 궤도형 인공 어초
KR101108643B1 (ko) 패류 양식을 위한 연승수하식 채묘기
CN211185466U (zh) 一种人工养殖东北蝲蛄用人工立体附着基装置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CN108432679A (zh) 一种便于清洗的水产养殖网箱
CN111789057A (zh) 一种虾稻连作模式下小龙虾健康高效养殖系统及方法
KR101402282B1 (ko) 상,하향 수류 가역형 케이지 조립식 패류종패 양성기
KR200339463Y1 (ko) 양식용 구조물
KR100769122B1 (ko) 전복 해삼 사육기
KR200419146Y1 (ko) 육상 및 해상양식 겸용 해삼,전복양식용 쉘터.
JP4981002B2 (ja) 人工魚礁
KR20170054076A (ko) 활 우량게 육성 축양통
KR200315467Y1 (ko) 양식용 구조물
KR20120079877A (ko) 수산물 양식 케이지
KR101582029B1 (ko)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CN210226571U (zh) 一种水产养殖鱼苗隔离装置
KR101588084B1 (ko) 물의 순환이 양호한 두족류 양식장치
KR200436808Y1 (ko) 김 양식용 부구
KR200266121Y1 (ko) 전복 양식용 쉘터
KR200283498Y1 (ko) 전복양식용 가철식 쉘터
CN218218817U (zh) 一种稻虾育苗箱
JP2002125508A (ja) アワビ養殖プラスチック容器、
CN218604597U (zh) 一种海水蟹单个养殖筐
KR101437469B1 (ko) 하이브리드 갯벌참굴 양성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