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029B1 -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 Google Patents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2029B1 KR101582029B1 KR1020140041769A KR20140041769A KR101582029B1 KR 101582029 B1 KR101582029 B1 KR 101582029B1 KR 1020140041769 A KR1020140041769 A KR 1020140041769A KR 20140041769 A KR20140041769 A KR 20140041769A KR 101582029 B1 KR101582029 B1 KR 1015820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ositive
- oyster
- outer frame
- buo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갯벌이 발달하고 바닥식 굴 양식방법에 의존하는 지역의 전체 굴 양식 생산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갯벌을 활용하기 위해 굴을 채묘할 수 있고 양성기 고정부, 부이, 양성기몸체, 채묘판으로 이루어진 양성장치에 해저바닥과 적절한 거리로 연결시켜주는 이음장치로 구성되어 양성기의 노출시간을 최소화 시키면서 만조시 일정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갯벌에서 간조시 공기와 접촉되고 만조시 일정 높이의 수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채묘판이 일정시간 동안 노출시간을 갖게 되어 단련 종묘를 생산가능하여 갯벌 굴 양식어장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oyster)은 사새목(Filibranchia) 굴과에 속하는 이매패류(Bivalvia)의 총칭으로서 국내에는 참굴, 강굴, 바윗굴, 털굴, 벗굴 등이 존재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식용종인 참굴을 말하며, 굴조개라고도 한다. 또한 굴은 자웅동체이지만 생식시기에는 암수가 뚜렷하고 웅성이 강해진 개체로 되었다가 다음에 자성이 강해진 개체로 되는 교대성의 자웅동체이며, 산란적온은 22~25℃이고 부화한 유생은 벨리저 유생이 되어 부유생활을 하며, 20일쯤 지나면 부착생활에 들어간다.
굴은 껍데기는 1년에 길이 약 7cm, 무게 약 60g, 2년에 10cm, 140g 정도로 되나 이후의 성장은 느리며, 종류에 따라서 서식 장소도 다소 달라 참굴은 염분 11~32%인 비교적 농도가 낮은 조간대의 바위 등에 부착하나, 가시굴은 염분 26~34%의 내해(內海)의 바위에 부착한다.
이러한 굴은 맛과 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단백질 중에서도 필수 아미노산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 '바다의 우유'라고 불리며, 칼슘과 비타민 A, B, C등이 풍부해서 희고 매끄러운 피부를 가질 수 있게 도와주며, 굴을 많이 먹으면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 간장병, 암 같은 여러 가지 성인병까지 예방할 수 도 있고, 칼슘흡수와 소화흡수가 빨라 현대인에게 영양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전 세계적으로는 참굴(Crassostra gigas), 갓굴(Ostrea ariakensis), 아메리카굴( C. virginica), 포르투갈굴(C. angulate), 오스트레일리아굴(Saxostra commercialiis), 봄베이굴(S.cucullata), 유럽굴(O.edulis), 올림피아굴(O.lurida) 등 많은 종의 굴이 양식되고 있다.
일반적인 굴 양식은 채묘(採苗), 치패의 양성(養成), 수확의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채묘'는 종묘를 얻는 과정이고 '양성'은 치패(稚貝)의 생활반경을 제한하여 양성과정을 인위적으로 관리하며 생장시키는 과정이며, '수확'은 상품성을 띤 성패(成貝)를 수집 또는 채취하는 과정이다.
굴의 산란은 여름철 수온이 20℃ 이상 되면 시작하며, 25℃ 전후일 때 가장 왕성한데, 어미1마리가 수천만개의 알을 낳으며, 알에서 깬 직후의 유생(幼生)은 부유생활을 하며 자라는 동안 몇 차례의 변태를 거쳐 2~3주일이 지나면 고착생활에 들어가고 이때의 크기는 지름 0.3mm 정도이다. 고착수심은 수면으로부터 6m 정도까지이고 2m 사이에 가장 많이 고착하며, 양식용 종묘(養殖用種苗)는 굴, 가리비 등의 껍데기를 철사에 꿰어 얕은 곳에 수하(垂下)하여 채묘(採苗)한다.
채묘가 끝나면 어느 정도 성장한 뒤 양식용 수하시설에 옮겨서 양식하는 경우와, 채묘 후 2~3개월이 지난 다음 높은 곳에 옮겨서 4~5시간 노출시켜 성장을 억제하여 단련종묘로 만들어서 양식하며, 다음해 4월경까지 15mm 정도로 자라는데, 그 후부터는 성장이 빠르고 환경변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한국의 굴양식은 파도가 잔잔한 내면에서 옛날부터 내려오는 투석식(投石式)과 뗏목식, 간이수하식(말목식), 연승식 등에 의한 수하연(垂下延) 부착양식을 하지만, 외국에서는 바닥양식이나 채롱에 수용하여 수하양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바닥식 양식방법은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의 수표면 부근에 소정 용적의 바닥식 양성기를 설치하여 전복, 가리비, 고둥, 다시마, 미역 등의 양식생물을 키우는 방식으로 양식 상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시설비, 관리비가 높은 단점이 있다.
수하식 양식방법 중 간이 수하식은 연안의 깊이가 얕은 곳에서 두 줄의 말목을 박고 말목위에 옆으로 나무를 걸쳐서 이 나무에 수하연을 늘어뜨려 양식하는 방법으로 자동화되어 수확이 용이하고 성장이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 높은 시설비와 대규모 어장 관리시스템에 적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연승식 양식은 로프에 큰 플라스틱 또는 유리공을 달아서 큰 부력이 생기게 하여 한편에는 닻으로 고정해 놓고 그 로프에 미역, 다시마, 굴, 홍합등의 수산생물을 양식할 수 있는 시설을 매달아서 실시하는 양식방법으로 자동화된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확이 용이하고 굴성장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높은 시설비가 들고 외력에 노출이 되어 동요가 많은 단점이 있으며 대규모어장 관리시스템에 적합한 특징이 있다.
한국의 굴 양식은 1972년 이후 한미패류 위생협정 체결이후 해외로 지금까지 수출하고 있으나 2000년대 이후 무역수지 1/3까지 감소하였고 최근에야 절반수준으로 회복한 실정이다. 또한 수하식 굴 양식면적은 04년 5,439ha에서 10년 5,608ha로 증가 바닥식 굴 양식면적은 04년 2,688ha에서 10년 2,469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갯벌이 발달하고 바닥식 굴 양식방법에 의존하는 서해안 지역은 전체 굴 양식 생산량의 8%이하인 실정이기 때문에 갯벌을 활용할 수 있고, 굴 생산량의 지역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갯벌 굴 양성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현재 생산량이 적은 갯벌에서 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굴 양성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굴 종묘를 채묘할 수 있고 채묘된 종묘를 단련 양성할 수 있도록 하부는 해수 바닥에 고정되고 상부는 고정장치와 연결되어 양성기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켜주는 이음장치로 이루어져 조석간만의 차이에 따라 노출시간을 최소화시키고 만조시 일정높이에 위치하여 고품질의 굴을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는 갯벌 굴 부상식 양성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해저 바닥에 고정되어 부상식 양성장치를 지지하는 이음장치; 이음장치와 연결된 상부에는 일정한 면적의 바닥면을 갖고 중앙에 채묘판을 방사형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양성기 몸체; 양성기 몸체 상부에는 일정 부력을 갖는 부이가 장착되어 양성기 고정부와 양성장치 몸체를 연결 고정시켜 양성장치를 일정 위치에 부상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를 제공한다.
양성기 몸체에는 하나 이상의 채묘판이 장착되고 이음장치는 상부 이음부와 하부 이음부로 나뉘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양성기 몸체의 어느 한 부분과 채묘판 외부틀의 일부분에는 고정장치와 고정장치 대응부가 형성되어 양성장치에 채묘판을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다.
채묘판은 다각형 외부틀의 내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채묘공간에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이 교차 설치되는 내부틀로 이루어지고 채묘공간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교차하는 곳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통공이 형성되어 해류의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채묘판 외부틀 일측면에는 가이드 대응부가 형성되고 가이드 대응부를 연결하는 가이드가 장착되어 양성기 몸체에 장착된 채묘판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성기 몸체 바닥면과 부이에는 원형틀로 이루어진 하우징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갯벌 토종 굴 부상판식 양성기를 구성하는 부이와 이음장치가 적절한 무게와 길이로 형성되어 노출시간을 최소화시키면서 만조시 일정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어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채묘판에 부착된 종묘를 단련시킬 수 있어 품질 좋은 굴을 생산할 수 있으며 양성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조립이 용이하고 양성장치와 채묘판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양식방법이 간단해져 노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양성장치를 이루는 구성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양성장치가 조립되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의 변형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이 고정되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이 고정되는 원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이음장치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양성장치를 이루는 구성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양성장치가 조립되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의 변형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이 고정되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이 고정되는 원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이음장치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와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10)은 해저 바닥에 고정되어 부상식 양성장치를 지지하는 이음장치(70); 이음장치와 연결된 상부에는 일정한 면적의 바닥면을 갖고 중앙에 채묘판을 방사형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양성기 몸체(40); 양성기 몸체 상부에는 일정 부력을 갖는 부이(30)가 장착되어 양성기 고정부(20)와 양성기 몸체를 연결 고정시켜 만조시 양성장치를 일정 수심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양성장치를 이루는 구성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양성장치(10)는 양성기 고정부(20), 부이(30), 양성기 몸체(40), 채묘판(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양성기 고정부(20)는 'T'자 형태의 모양으로 상측이 넓고 하측이 양성기 몸체와 결합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부이(30)가 양성기 몸체(40)와 결합되면 부이와 양성기 몸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부이(30)는 양성장치가 해수에 적절한 높이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부력재로 형성되고 본 발명의 부이는 약 20kg의 장치가 부상할 수 있는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재는 양식장치의 총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부이의 중심부에는 바닥방향으로 양성기 고정부가 통과하여 양성기 몸체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의 통공이 형성되어있어 양성기 고정부의 하부봉이 통공을 관통하여 양성기 몸체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부이의 하부에는 채묘판의 고정장치가 대응할 수 있는 고정장치 대응부가 형성되어 있다. 부이 하부에 고정장치 대응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원반 형태의 일정 홈이 형성된 고정판를 부가하여 채묘판을 고정하고 그 상부에 부이를 장착할 수 있다. 즉 부이 하부와 고정판(55) 양성기 몸체 하단의 표면에 형성되는 고정장치 대응부에는 양성기 몸체에 장착되는 채묘판의 돌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양성기 몸체에 장착된다.
양성기 몸체(40)는 일정 면적을 갖는 수평부재에 수직부재가 연결된 'ㅗ'자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양성기 몸체의 수직부재 상부는 양성기 고정부의 하부를 수용하기에 적절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파이프구조로 원통형파이프 내측에 암수나사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파이프의 측면에는 채묘판에 설치된 고정장치와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장치 대응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양성기 몸체의 수평부재는 수직부재와 연결되고 수평부재에는 채묘판을 고정하고 채묘판에 설치된 고정장치와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과 위치에 고정장치 대응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양성기 몸체 수평부재와 부이 또는 고정판에는 양성기 몸체보다 큰 원형틀로 이루어진 하우징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은 간조시 양성기 몸체가 갯벌에 뉘어지게 되면 채묘판과 갯벌을 일정 간격으로 높이를 갖고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양성기 몸체 또는 채묘판이 갯벌로 침하되거나, 갯벌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양성장치가 조립되는 원리를 나타낸다. 양성기 고정부 하부는 부이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양성기 몸체 수직부재 상부 개구부 내부와 대응하여 연결되어 부이와 양성기 몸체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양성기 고정부 하부 외부 측면과 부이의 통공 내부측면, 양성기 몸체 수직부재 상부 개구부 내부 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수나사와 암나사가 고정되는 방식을 이용하였고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한 방향으로 돌려서 고정력을 높이거나 낮춰서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을 나타낸다.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에 설치되는 채묘판(50)은 다각형의 외부틀을 갖고 내측에는 굴 유생이 부착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망목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다.
외부틀의 상부와 하부에는 고정장치 대응부(41)와 대응할 수 있는 돌기(53)가 형성되어 부이 하부와 고정판(55) 양성기 몸체 하단의 표면에 형성되는 고정장치 대응부에 채묘판의 돌기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채묘판 외부틀 일측면에는 'ㄱ' 형태의 고정장치(51)가 복수개 설치되어 양성장치 몸체의 고정장치 대응부(41)와 대응되어 고정되고 채묘판의 고정장치가 형성된 반대편 측면에는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해서 일정모양의 홈으로 가이드 대응부(52)가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로 채묘판을 양성장치 몸체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굴의 유생은 일정기간 부유생활 후 고착생활에 들어가는 치패가 되어 채묘판 틀 내부분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채묘부분에 부착하게 되는데 치패가 성숙함에 따라 채묘부분의 망목 직경이 작아 채묘된 치패가 성장하여 망목보다 커지기 때문에 해수유통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채묘판의 면적만큼 해수 흐름에 대한 저항이 생겨 장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채묘판의 내부프레임을 변형시켜서 교체시킬 수 있는데 도 5에는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의 변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각형 외부틀의 내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채묘공간에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이 교차 설치되는 내부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채묘공간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교차하는 곳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통공이 형성되어 배수통공을 통해 해류의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이 고정되는 원리를 나타낸다. 양성기에 채묘판이 고정되는 원리는 채묘판 외부틀 상부에 설치된 돌기는 부이 하부 또는 고정판(55)에 형성된 고정장치 대응부와 결합되고 채묘판 좌, 우 외부틀 어느 한 측면에 복수개 설치된 고정장치는 양성기 몸체 수직부재에 형성된 고정장치 대응부와, 채묘판 외부틀 하부에 설치된 돌기는 양성기 몸체 수평부재 상부에 형성된 고정장치 대응부(41)와 대응하여 안정감 있게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채묘판이 고정되는 원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 대응부(52)는 각 고정장치가 고정되기에 적절한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져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외부틀 우측면에 'ㄱ'형태의 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양성기 몸체 수직부재에 고정장치 대응부를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하여 고정장치의 볼록한 돌기를 고정장치 대응부의 오목한 홈으로 밀어넣어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장착할 수있고 고정장치와 고정장치 대응부의 형태는 변형된 방법으로 구성하여 양성장치와 채묘판을 조립시킬 수 있다.
고정장치와 고정장치 대응부는 양성장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채묘판의 개수만큼 복수개를 형성제조할 수 있고, 양성기와 채묘판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대량의 굴생산이 가능하고 고령화된 갯발 양식 어업인의 피로와 노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이음장치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의 이음장치(70)는 상부는 양성 장치와 하부는 해저바닥에 고정된 앵커 등의 고정장치와 연결되어 일정한 부력을 갖는 양성장치가 만조시 일정높이에 위치하게 하여 노출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부와 하부 이음장치는 힌지(72) 또는 샤클로 연결되어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처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양성장치가 해류의 움직임에 따라 꼬이지 않고 일정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와 하부에 이음장치와 힌지가 대응되는 부분은 샤클(71)이 설치됨으로서 이음장치와 양성장치와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하여 굴 양식장치 설치에 걸리는 시간과 노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갯벌이 발달하고 바닥식 굴 양식방법에 의존하는 서해안 지역의 굴 생산량을 증가시켜 전국적인 굴 생산의 균형을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굴 양식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편화된 양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고령화된 갯벌 양식 어업인의 피로와 노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어 양식 기반확대 및 수산분야의 발전은 물론, 양식 기술의 국제 경쟁력 제고로 어업인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양성장치 20: 양성기 고정부
30: 부이 40: 양성기 몸체
41: 고정장치 대응부 42: 수평부재
43: 수직부재 50: 채묘판
51: 고정장치 52: 가이드 대응부
53: 돌기 55: 고정판
60: 가이드 70: 이음장치
71: 샤클 72: 힌지
80: 하우징
30: 부이 40: 양성기 몸체
41: 고정장치 대응부 42: 수평부재
43: 수직부재 50: 채묘판
51: 고정장치 52: 가이드 대응부
53: 돌기 55: 고정판
60: 가이드 70: 이음장치
71: 샤클 72: 힌지
80: 하우징
Claims (5)
- 해저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 이음부와 하부 이음부로 나뉘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음장치; 이음장치와 연결된 상부에는 양성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양성장치는 일정 면적을 갖는 수평부재 위에 수직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 상부에 고정판과 부력을 갖는 부이가 양성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양성장치를 일정 수심에 부상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평부재와 고정판 사이에는 다각형의 외부틀 내측에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채묘판 하나 이상이 수직으로 세워져 방사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재와 부이 또는 고정판에는 양성기 몸체보다 큰 원형틀로 이루어진 하우징이 장착되어 간조시 방사형으로 배치된 채묘판이 갯벌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하고;
상기 채묘판의 다각형 외부틀 일측면에는 가이드 대응부와 가이드 대응부를 연결하는 가이드가 장착되어 수평부재와 고정판 사이에 장착된 채묘판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채묘판 외부틀의 일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수평부재 상부와 수직부재, 부이 하부 또는 고정판에는 고정장치 대응부가 형성되어 채묘판에 형성된 돌기를 수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양성기 고정부는 수직부재와 나사결합되도록 암수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채묘판은 다각형 외부틀의 내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채묘공간에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이 교차 설치되는 내부틀로 이루어지고, 채묘공간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교차하는 곳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통공이 형성되어 해류의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1769A KR101582029B1 (ko) | 2014-04-08 | 2014-04-08 |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1769A KR101582029B1 (ko) | 2014-04-08 | 2014-04-08 |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6644A KR20150116644A (ko) | 2015-10-16 |
KR101582029B1 true KR101582029B1 (ko) | 2015-12-31 |
Family
ID=5436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1769A KR101582029B1 (ko) | 2014-04-08 | 2014-04-08 |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20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898A (ko) | 2018-11-20 | 2020-05-28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갯벌양식을 위한 이매패류의 채묘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03024B (zh) * | 2018-11-26 | 2020-07-03 | 绍兴市达冷肯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牡蛎水产养殖器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0113A (ja) * | 2000-06-26 | 2002-01-08 | Kaneda Kensetsu:Kk | 海中藻場造成用構造物 |
KR100643779B1 (ko) | 2004-11-24 | 2006-11-10 | 고경화 | 패류용 가두리 시설 |
KR100754920B1 (ko) | 2006-05-12 | 2007-09-03 | (주)나우앤하우 | 패류양식용 인공어초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3816B1 (ko) | 1996-04-19 | 1999-06-15 | 윤종용 | 인쇄환경 인식을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 제어방법 |
KR100448920B1 (ko) | 2001-12-21 | 2004-09-16 | 주식회사 포스코 | 금속판의 연속용융도금을 위한 용융금속 부양장치 |
KR100447245B1 (ko) | 2001-12-21 | 2004-09-07 | 주식회사 포스코 | 랭킨사이클시스템에서의 출력안정화 방법 |
KR100603814B1 (ko) | 2004-03-11 | 2006-07-25 |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 나노리포좀 조성물 |
KR20120104452A (ko) * | 2011-03-09 | 2012-09-21 | 주식회사 에이앤이 | 부착성 패류 수산물의 양식시설물 |
-
2014
- 2014-04-08 KR KR1020140041769A patent/KR1015820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0113A (ja) * | 2000-06-26 | 2002-01-08 | Kaneda Kensetsu:Kk | 海中藻場造成用構造物 |
KR100643779B1 (ko) | 2004-11-24 | 2006-11-10 | 고경화 | 패류용 가두리 시설 |
KR100754920B1 (ko) | 2006-05-12 | 2007-09-03 | (주)나우앤하우 | 패류양식용 인공어초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898A (ko) | 2018-11-20 | 2020-05-28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갯벌양식을 위한 이매패류의 채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6644A (ko) | 2015-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59494B2 (en) | Culture of sessile marine animals | |
KR101395758B1 (ko) | 해삼용 인공어초 | |
CN202618028U (zh) | 一种南美白对虾孵化装置 | |
KR101582029B1 (ko) | 갯벌 참굴 부상식 양성장치 | |
KR101415366B1 (ko) |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 |
KR101402683B1 (ko) | 갯벌참굴 양성망 설치대 | |
KR101286078B1 (ko) |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 |
KR101806085B1 (ko) |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 |
US202003296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Oyster Aquaculture | |
CN205546999U (zh) | 一种贝类养殖笼 | |
KR101877682B1 (ko) | 다시마 양식용 체결구 | |
KR101582104B1 (ko) | 굴 양식 설비 | |
KR101402670B1 (ko) | 갯벌참굴 양성망 거치대용 참굴 유생 채묘판 | |
KR101606630B1 (ko) | 주촉성을 갖는 두족류 조립식 양식장치 | |
KR101437469B1 (ko) | 하이브리드 갯벌참굴 양성기 | |
CN212971266U (zh) | 一种鱼自然产卵池系统 | |
KR20010069948A (ko) | 구조물 침하방식을 이용한 어패류 및 해조류의 복합양식방법 | |
CN104304101B (zh) | 管角螺的工厂化育苗方法 | |
KR101981486B1 (ko) | 전복 해상가두리 중간 육성용 기능성 쉘터 | |
CN112931332A (zh) | 一种绿色食品对虾种虾培育方法 | |
CN112970642A (zh) | 一种有机虾种虾的培育方法 | |
CN112772495A (zh) | 一种无公害对虾种虾的培育方法 | |
CN201577408U (zh) | 底栖水产品沉礁养殖装置 | |
KR101549214B1 (ko) | 해상용 굴치패 사육장치 | |
KR101447146B1 (ko) | 생산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치패생산설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