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589B1 -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589B1
KR102456589B1 KR1020210160266A KR20210160266A KR102456589B1 KR 102456589 B1 KR102456589 B1 KR 102456589B1 KR 1020210160266 A KR1020210160266 A KR 1020210160266A KR 20210160266 A KR20210160266 A KR 20210160266A KR 102456589 B1 KR102456589 B1 KR 10245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myelination
shrimp
myelin sheath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호
Original Assignee
장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철호 filed Critical 장철호
Priority to KR102021016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친환경 새우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새우를 친환경적으로 양식하기 위하여 새우 양식 중 발생하여 양식 수조의 바닥에 축적되는 새우 배설물, 사료 찌꺼기, 탈피된 껍질, 새우 사체 등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기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면서 영역을 덮는 양식유닛; 상기 양식유닛은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수초 내에서 양식중인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이 쌓이는 탈피처리망과, 상기 탈피처리망의 상방에 배치되어 갑각류 생물이 출입가능한 인공 수초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탈피 처리망과 상기 인공 수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둥부재 상단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통해 상방으로 당겨져 올라올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Apparatus for Shrimps Farm}
본 발명은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친환경 새우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지 또는 육상에 조성된 양식장에 복수의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차양막을 통해 새우가 양식되는 수조에 그늘을 제공하고, 기둥부재의 하방으로 수초 내에서 양식중인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이 쌓이는 탈피처리망과, 상기 탈피처리망의 상방에 배치되어 갑각류 생물이 출입가능한 인공 수초가 구비된 새우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친환경 새우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새우를 양식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양식되는 것이 대다수이며 실내 양식을 통해 새우를 양식하는 경우에는 제반 시설비용에 대한 지출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육상수조식이나 노지 등으로 조성된 양식장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물을 공급하고 배출하는 방식으로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육 수는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사료 및 생물이 배출하는 노폐물이나 탈피과정에서 나오는 탈피 껍질 및 주변 환경으로부터 영양염인 질산염이나 인산염 등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부영양화로 인해 수질이 악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새우 양식중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새우 배설물, 사료 찌꺼기, 탈피된 껍질, 새우 사체 등 오염물질이 축적될 수 있으며, 수질이 악화되면,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암모니아나 황화수소가 발생되어 심한 악취가 날 뿐만 아니라, 흰점 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이 증식하여 새우의 치사량이 높아지고 경우에 따라 양식중인 새우가 전량 폐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외에서 새우를 양식하기 위해서는 새우 양식 중 발생하는 폐기물을 제거해야 하지만, 양식이 종료된 가을이나 겨울에 이르러서야 양식장 내 함수를 배출한 후 바닥을 긁어내거나 터파기를 함으로써,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밖에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382호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기둥부재가 배치되고, 기둥부재의 하단 방향에 도르래를 통해 수면위로 끌어 올릴 수 있는 탈피 처리망이 구비되어 새우를 포함한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이 탈피 처리망에 쌓이게 되면 수면 위로 탈피 처리망을 끌어올려 탈치한 껍질 및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노지 또는 육상수조식으로 형성되는 양식장치에 있어서, 수조에 담긴 물의 온도를 새우의 생식에 알맞은 온도로 맞추고, 야행성인 새우의 움직임을 활발히 하기위하여 기둥부재의 상단에 차양막을 구비하여 수조에 그늘을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새우를 포함한 갑각류 생물의 탈피 껍질이 적층되는 탈피 처리망은 도르래를 통하여 쉽게 수면위로 당길 수 있어 탈피된 껍질 또는 새우의 노폐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어, 수조 내의 양식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면서 영역을 덮는 양식유닛; 상기 양식유닛은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수초 내에서 양식중인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이 쌓이는 탈피처리망과, 상기 탈피처리망의 상방에 배치되어 갑각류 생물이 출입가능한 인공 수초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탈피 처리망과 상기 인공 수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둥부재 상단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통해 상방으로 당겨져 올라올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 처리망은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의 크기보다 작은 눈을 가지는 그물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모퉁이에 링형태의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기둥부재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 처리망은, 복수의 상기 고리가 서로 줄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줄이 상기 도르래와 결합되어 상방으로 당겨져 올라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식 유닛은, 수면아래 위치되면서 상기 탈피 처리망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먹이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수초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호간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입구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1 수초몸체와 제2 수초몸체를 포함하면서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되도록 인공수초 고정몸체와 인공수초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초몸체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 영역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초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면과 하면의 일 영역이 개방되고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제1 수초몸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초몸체의 외주면이 상기 제1 수초몸체의 외주면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2 수초몸체는, 상기 제2 수초몸체가 상기 제1 수초몸체 내부에서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단 외측에 하방으로 돌출된 개폐돌기를 가지는 개폐지그가 포함하고, 상기 인공수초 고정몸체는 하단이 인공수초 고정부재에 삽입 결합되면서 상단은 회전유도지그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유도지그는 상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를 가지는 돌출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지그는 상기 개폐돌기가 상기 회전유도지그의 상기 돌출경사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회전유도지그의 전진에 의해 상기 개폐돌기가 상기 돌출경사부의 경사를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수초몸체가 회전하여 상기 인공수초의 입구가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실외 및 육상수조 포함하는 양식장은 양식하는 갑각류 생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배설물, 사료 찌꺼기, 탈피된 껍질, 사체 등 오염물질이 축적됨에 따라,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암모니아나 황화수소가 발생되어 심한 악취가 날 뿐만 아니라, 흰점 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이 증식하여 양식 생물의 치사량이 높아지고 경우에 따라 양식중인 새우가 전량 폐사할 수 있으나, 도르래와 탈피 처리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또는 적절한 시기에 탈피된 껍질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수면 밖으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양식 생물의 폐사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여름철 고온의 원인이 되는 직사광선이 양식수조의 물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차양막을 설치하여 양식 수조의 온도가 뜨거워 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로 야행성인 양식 생물에게 그늘을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양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새우양식장치 정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새우양식장치 전면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탈피처리망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탈피처리망의 수면위로 당겨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먹이틀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인공수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인공수초의 수초몸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인공수초의 입구 개폐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새우를 친환경적으로 양식하기 위하여 새우 양식 중 발생하여 양식 수조의 바닥에 축적되는 새우 배설물, 사료 찌꺼기, 탈피된 껍질, 새우 사체 등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기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기둥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면서 영역을 덮는 양식유닛; 상기 양식유닛은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수초 내에서 양식중인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이 쌓이는 탈피처리망과, 상기 탈피처리망의 상방에 배치되어 갑각류 생물이 출입가능한 인공 수초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탈피 처리망과 상기 인공 수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둥부재 상단에 구비되는 도르래를 통해 상방으로 당겨져 올라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새우양식장치(A)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둥부재(110)가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기둥부재(110)의 상단 방향에는 야행성인 새우의 바람직한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조 내의 저수중인 수면에 그늘을 형성하기 위한 차양막(130)이 배치되는 양식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양식유닛(100)은 기둥부재(110)의 하단 방향에 새우의 탈피된 껍질이 쌓이는 탈피처리망(400)이 구비되고, 탈피처리망(400)의 상방에 새우가 출입 가능한 입구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수초(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에 떨어진 먹이를 먹지 않는 새우의 습성상 수면과 인접한 영역에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먹이틀(200)이 구비될 수 있다. 먹이틀(200)은 차양막(130)과 인공수초(300) 사이에 수면과 인접한 지점에 먹이틀(200)이 기둥부재(11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양식유닛(100)은 실외의 저수지 또는 육상수조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3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둥부재(110)가 이격된 상태에서 타단이 바닥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기둥부재(110)의 길이는 저수되어 있는 물의 수심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부재(110)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홀이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면서 홀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탈피처리망(400), 먹이틀(200) 및 인공수초(30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둥부재(110)의 소재는 저수된 물에 잠겨있어야 하는 특성상 내식성이 우수하면서, 암모니아나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산성 성분에 내산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양식유닛(100)은 실외에 배치되는 특성상 직사광선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기둥부재(1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저수된 물이 직사광선의 노출되지 않도록 복수의 기둥부재(110)의 상단부에 걸쳐진 차양막(1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차양막(130)은 가장자리에 기둥부재(110)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차양막 고정부(410)가 복수개가 형성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여 기둥부재(110)에 탈착, 부착하여 이를 기둥부재(1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르래(1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110)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르래는(120) 도르래 줄(121)을 도르래(120)에 걸친 후, 도르래 줄(121)의 타단부는 기둥부재(110) 내에 하단 방향에 배치되는 탈피처리망(400)과 먹이틀(200)에 각각 구비되는 먹이틀 고정구(210) 및 탈피처리망 고정구(410)와 연결시킨 후 줄의 일단부를 외력에 의해 당김으로서 탈피처리망(400)과 먹이틀(200)을 수면 위로 당기도록 할 수 있다.
도르래(200)에 구비되는 도르래 줄(121)의 타단에는 갈고리 형태의 고리(122)가 구비되거나 카라비너와 같은 고리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탈피처리망(400), 먹이틀(200), 및 인공수초(300)와 체결 결합된 각각의 고정구의 고리홀에 고리를 걸어 체결하고 도르래 줄(121)을 일단부를 당김으로서 탈피처리망(400) 및 먹이틀(200)을 상방으로 당기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도르래(120)는 대칭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기둥부재(110)에 결합된 도르래(120)와 동시에 당기는 경우 더 용이하게 탈피처리망(400) 및 먹이틀(200), 인공수초(300)를 수면 위로 끌어올릴 수 있다.
탈피처리망(20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우를 포함한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이 걸리게끔 탈피한 껍질의 크기보다 작은 눈을 가지는 그물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모퉁이 영역에 탈피처리망 고정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탈피처리망 고정구(410)는 탈피처리망(40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기둥부재(110)의 직경 크기에 대응하는 고정홀(411)과 고정구(410)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면서 도르래(120)의 고리(122) 크기에 대응하는 고리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탈피처리망(400)은 탈피처리망 고정구(410)의 고정홀(411)을 통해 기둥부재(110)에 결합되고, 고리홀(412)을 통해 도르래(120)와 연결되어 도르래(120)에 의해 수면 위로 끌어 당겨질 수 있으며, 복수의 탈피처리망 고정구(410)의 고리홀(412)이 줄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도르래 줄(121)의 타단부에 구비된 고리(122)가 서로 연결된 고리홀(412)의 줄을 당겨 탈피처리망(400)을 수면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먹이틀(200)은 도 2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의 격벽에 둘러쌓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먹이틀(200)의 가장자리에는 탈피처리망(400) 고정구와 같은 형상의 먹이틀 고정구(210)가 결합되어 고정홀(211)을 통해 기둥부재(110)에 결합되고, 고리홀(211)을 통해 도르래(120)와 연결되어 도르래(120)에 의해 수면 위로 끌어 당겨질 수 있수 있다.
먹이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아래 배치되면서 수면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먹이틀(200)에는 새우의 먹이가 비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양식 환경에서는 새우의 먹이는 수조에 뿌리는 방식을 통해 새우에게 급식을 하는 경우에 대다수이다.하지만, 새우는 바닥에 가라앉은 먹이는 잘 먹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새우를 양식하는 수조는 바닥이 노폐물을 비롯한 탈피된 껍질이 가라앉아 썩기 때문에 오염된 바닥에 가라앉은 먹이는 새우의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청결을 유지시키기면서 새우가 건강할 수 있도록 먹이를 비치하는 먹이틀(200)이 양식유닛(1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먹이틀(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으로 둘러 쌓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먹이틀(200)에 놓여진 먹이가 밖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먹이틀(200)은 종단면이 상관하협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인공수초(300)는 도 2 내지 도 3 및 도 8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개폐가 가능한 입구(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인공수초(300)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호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입구(301)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1 수초몸체(310)와 제2 수초몸체(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수초몸체(310)는 일 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 수초몸체(320)는 상면과 하면이 일부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제1 수초몸체(310)의 외주면(311) 내측을 따라 제1 수초몸체(3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인공수초(300)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초몸체(300)의 하방에 고정몸체(350)가 구비되고, 고정몸체(350)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인공수초 고정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공수초 고정부재(37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11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복수의 인공수초 결합홀(371)이 구비되어, 하나의 인공수초 고정부재(370)에 복수개의 인공수초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공수초 고정부재(370)는, 도 8 및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수초 결합홀(371)의 외주면에 수면 방향으로 폐쇄홀(372)이 형성되고, 인공수초의 고정몸체(350)가 인공수초의 결합홀(371)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스토퍼 홀(373)이 형성되고, 스토퍼 홀(37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고정몸체(350)를 상면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수초몸체(3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311)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초몸체의 외주면(311)은 복수의 눈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초몸체(310)는 상면에 홀에 형성되고, 제2 수초몸체(320)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 하도록하는 결합봉(312)이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초몸체(320)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의 일 영역이 개방되며, 외주면(321)의 직경은 제1 수초몸체(310)의 외주면(31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초몸체(320)의 외주면(321)이 제1 수초몸체의 외주면(3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초몸체(320)의 하면은 하면방향으로 개폐지그(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개폐지그(33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수초몸체(320)가 제1 수초몸체(310)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인공수초(300)의 입구(301)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개폐지그(330)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형성된 돌출된 개폐돌기(331)가 형성되고, 인공수초 고정몸체(350)에 구비된 회전유도지그(340)와의 동작을 통해 인공수초(300)의 입구(301)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개폐지그(330)는 하방으로 형성된 개폐돌기(331)가 회전유도지그(340)의 돌출경사부(341)와 접촉하게 되고, 회전유도지그(340)의 전진에 의해 개폐돌기(331)가 돌출경사부(341)의 경사를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2 수초몸체(320)가 회전하여 인공수초(300)의 입구(301)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유도지그(340)는 인공수초(300)의 입구(301)가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회전유도지그(340)와 항상 전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유도지그(340)는 결합된 인공수초 고정몸체(350)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수초 결합홀(371) 내에 구비된 탄성부재(375)에 의해 개폐지그(330)방향으로 전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인공수초(300)의 입구(301)를 폐쇄하는 것은, 회전유도지그(340)의 하방에 구비된 인공수초 고정몸체(350)의 일단에 폐쇄 줄(360)이 형성되고, 폐쇄 줄(360)이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회전유도지그(34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되어 인공수초(300)의 입구(301)가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패쇄 줄(360)은 외력에 의해 인공수초 고정부재가 수면 위로 당겨질 때, 인공수초 고정부재(370)의 고정구(380)와 결합되는 도르래 고리(122)에 끼워지게 되어 수면 위로 당겨질 때 패쇄 줄(360)도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인공수초(300)는 입구(301)가 닫힌 상태로 수면 위로 당겨질 수 있다.
A: 새우양식장치 100: 양식 유닛
110: 기둥부재 120: 도르래
130: 차양막
200: 먹이틀 210: 먹이틀 고정구
211: 먹이틀 고정홀 212: 먹이틀 고리홀
300: 인공수초 301: 인공수초 입구
310: 제1 수초몸체 311: 제1 수초몸체 외주면
312: 결합봉
320: 제2 수초몸체 321: 제2 수초몸체 외주면
330: 개폐지그 331: 개폐돌기
340: 회전유도지그 341: 돌출경사부
350: 인공수초 고정몸체 351: 고정몸체 스토퍼
360: 폐쇄 줄 370: 인공수초 고정부재
371: 인공수초 결합홀 372: 폐쇄줄 홀
373: 스토퍼 홀 374: 이송부재
375: 탄성부재 375: 인공수초 고정부재 고리홀
400: 탈피처리망 410: 탈피처리망 고정구
411: 탈피처리멍 고정홀 412: 탈피처리망 고리홀

Claims (5)

  1. 복수의 기둥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기둥부재(11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기둥부재의 영역을 덮는 차양막(130)을 포함하는 양식유닛(100);
    상기 양식유닛(100)은 상기 기둥부재(1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수조 내에서 양식중인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이 쌓이는 탈피처리망(400)과, 상기 탈피처리망(400)의 상방에 배치되어 갑각류 생물이 출입가능한 인공수초(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탈피처리망(400)과 상기 인공수초(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둥부재(110) 상단에 구비되는 도르래(120)를 통해 상방으로 당겨져 올라오는 한편,
    상기 양식 유닛(100)은, 수면 아래 위치되면서 상기 탈피처리망(400)보다 상방에 구비되는 먹이틀(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처리망(400)은 갑각류 생물이 탈피한 껍질의 크기보다 작은 눈을 가지는 그물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모퉁이에 링형태의 고정구(410)가 구비되어 상기 기둥부재(11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처리망(400)은, 복수의 상기 고정구(410)가 서로 줄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줄이 상기 도르래(120)와 결합되어 상방으로 당겨져 올라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수초(3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호간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입구(301)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1 수초몸체(310)와 제2 수초몸체(320)를 포함하면서 상기 기둥부재(110)에 고정되도록 인공수초 고정몸체(350)와 인공수초 고정부재(3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초몸체(310)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311)의 일 영역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초몸체(3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면과 하면의 일 영역이 개방되고 외주면(321)의 직경이 상기 제1 수초몸체(310)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초몸체(320)의 외주면(321)이 상기 제1 수초몸체(310)의 외주면(311)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제2 수초몸체는(320), 상기 제2 수초몸체(320)가 상기 제1 수초몸체(310) 내부에서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단 외측에 하방으로 돌출된 개폐돌기(331)를 가지는 개폐지그(330)가 포함하고,
    상기 인공수초 고정몸체(350)는 하단이 인공수초 고정부재(370)에 삽입 결합되면서 상단은 회전유도지그(340)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유도지그(340)는 상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를 가지는 돌출경사부(341)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지그(330)는 상기 개폐돌기(331)가 상기 회전유도지그(340)의 상기 돌출경사부(341)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회전유도지그(340)의 전진에 의해 상기 개폐돌기(331)가 상기 돌출경사부(341)의 경사를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수초몸체(320)가 회전하여 상기 인공수초(300)의 입구(301)가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치.
  5. 삭제
KR1020210160266A 2021-11-19 2021-11-19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KR10245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66A KR102456589B1 (ko) 2021-11-19 2021-11-19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66A KR102456589B1 (ko) 2021-11-19 2021-11-19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589B1 true KR102456589B1 (ko) 2022-10-21

Family

ID=8380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66A KR102456589B1 (ko) 2021-11-19 2021-11-19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58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3040A (en) * 1976-09-09 1978-03-28 Nec Corp Delay circuit
JP2003023914A (ja) * 2001-07-16 2003-01-28 Hazama Gumi Ltd 水産物の養殖装置
KR200339463Y1 (ko) * 2003-10-30 2004-01-24 양일신 양식용 구조물
KR200387037Y1 (ko) * 2005-03-18 2005-06-17 주식회사 대유건설 인공어초
JP2007077676A (ja) * 2005-09-14 2007-03-29 Mass-Set Co Ltd 日除け兼ガードカバー
KR20130067960A (ko) * 2011-12-15 2013-06-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양식장용 차양막
KR101355382B1 (ko) 2010-12-24 2014-02-20 조정선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53536A (ko) * 2014-11-05 2016-05-13 해주이엔씨 (주) 회전도어형 인공어초
KR20170029279A (ko) * 2015-09-07 2017-03-15 황병길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JP3211347U (ja) * 2017-04-24 2017-07-06 鄭真隆 養殖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3040A (en) * 1976-09-09 1978-03-28 Nec Corp Delay circuit
JP2003023914A (ja) * 2001-07-16 2003-01-28 Hazama Gumi Ltd 水産物の養殖装置
KR200339463Y1 (ko) * 2003-10-30 2004-01-24 양일신 양식용 구조물
KR200387037Y1 (ko) * 2005-03-18 2005-06-17 주식회사 대유건설 인공어초
JP2007077676A (ja) * 2005-09-14 2007-03-29 Mass-Set Co Ltd 日除け兼ガードカバー
KR101355382B1 (ko) 2010-12-24 2014-02-20 조정선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67960A (ko) * 2011-12-15 2013-06-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양식장용 차양막
KR20160053536A (ko) * 2014-11-05 2016-05-13 해주이엔씨 (주) 회전도어형 인공어초
KR20170029279A (ko) * 2015-09-07 2017-03-15 황병길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JP3211347U (ja) * 2017-04-24 2017-07-06 鄭真隆 養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8263B2 (ja) ウナギ仔魚の飼育方法及び装置
KR101606673B1 (ko) T자형 굴곡을 갖는 전복 양식용 쉘터
JP5902860B1 (ja) 魚養殖装置
KR101027277B1 (ko) 해삼 및 전복 종묘 복합 양식 방법
JP3077069B2 (ja) 海上における水産生物の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615611A (zh) 一种适用于河蟹育苗的装置
CN215123378U (zh) 一种可自动诱捕食物的蟹虾智能养殖箱
KR101786186B1 (ko) 일체형 부착생물 양식장치
KR102456589B1 (ko)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CN207383275U (zh) 一种可自动喂食的水产养殖网箱
KR100817754B1 (ko) 자연어장구축장치
KR101603715B1 (ko) 어류 생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긴꼬리투구새우의 생육 방법
JP2001103860A (ja) 肉食性巻き貝の養殖方法および装置
CN204070145U (zh) 一种用于黄菇鱼的深海养殖设备
KR101402648B1 (ko)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 생산용 도넛형 수조
KR20160133274A (ko) 사료통이 장착된 해삼 양식용 쉘터
KR20160137275A (ko) 곤충 유충 사육 장치 및 방법
CN107711655A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网箱及养殖方法
CN211353560U (zh) 一种人工鱼礁
CN210492221U (zh) 一种水产养殖排灌装置
CN210054301U (zh) 小龙虾饲养槽
KR200387099Y1 (ko) 전복 양식집
KR100764484B1 (ko) 패널식 전복 양성기
CN115152689B (zh) 一种适用于螃蟹捕捞后的暂存装置
CN105265347A (zh) 室内对虾立体分级养殖装置及其养殖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