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279A -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 Google Patents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279A
KR20170029279A KR1020150126418A KR20150126418A KR20170029279A KR 20170029279 A KR20170029279 A KR 20170029279A KR 1020150126418 A KR1020150126418 A KR 1020150126418A KR 20150126418 A KR20150126418 A KR 20150126418A KR 20170029279 A KR20170029279 A KR 20170029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rab
lid
opaqu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294B1 (ko
Inventor
황병길
Original Assignee
황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길 filed Critical 황병길
Priority to KR102015012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2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갑각류의 습성을 이용하여 양식할 수 있는 축양통에 관한 것으로, 겹으로 이루어진 칸막이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나누어진 몸체에 다수의 갑각류를 각각 격리시켜 가둘 수 있게 되되, 상기 칸막이는 투명한 칸막이와 불투명한 칸막이로 형성되고,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는 빼내거나 다시 삽입 가능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Farming cage of live soft-shell crab for promoting molt}
본 발명은 갑각류 어종 중 특히 자연상태의 공식(共食)하는 습성 때문에 축양이 난해한 것으로 알려진 어종을 인위적으로 사육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외골격의 갑피를 탈피(脫皮)하여, 연갑 상태에 이른 갑각류를 수확할 수 있는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갑각류라 함은 기본적으로 수중생활을 하며 수중에서도 호흡이 가능하며, 어떤 종은 습기가 있는 육상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다. 갑각류는 게와 같이 몸 바깥쪽이 단단한 껍질로 싸여 있는 절지동물이며, 단단한 껍질은 척추동물의 뼈의 역할을 하며 그 안쪽에 근육과 기관이 붙어 있다.
갑각류는 몸이 성장할 때마다 낡은 껍질을 벗는 탈피를 한다. 탈피에 의해 성장하는 종들은 성장을 위해서 반드시 탈피라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며, 성장을 계속하는 동안에는 일정한 탈피주기가 계속되고, 기존의 갑 안에서 연갑이 생성된 후, 기존 갑의 탈피를 끝내며, 연질의 껍질은 단 시간내에 단단해진다. 또한, 몸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도 탈피를 거치며 다시 자라나기 때문에, 위험에 처하면 스스로 다리를 끊고 도망가기도 한다.
그리고 갑각류는 탈피가 이루어져 연갑을 가진 동족을 연갑보다 상대적으로 단단한 껍질을 가진 동족이 공격하는 동종포식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을 공식현상이라고도 한다.
즉, 공식현상은 같은 종 사이에 큰 것이 작은 것을 잡아먹는 현상, 강한 갑을 갖는 갑각류가 약한 갑을 가진 동족을 잡아먹는 것을 말하며, 통상 사육밀도가 높거나 먹이가 적을 때 그리고 크기가 차이가 날 때 주로 일어난다.
이에 따라 자연상태에 있는 게는 동종이 발견하지 못하도록 어둠에 숨어서 탈피하여, 단시간 내에 집게발과 외골격을 단단하게 만들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연상태의 연갑상태의 게는 단시간 내에 경갑이 되기 때문에 우연히 포획된 연갑게 외에는 대량생산이 어렵다.
특히 게는 먹이섭취를 위한 활동 공간이 넓어 군집성 축양, 양식은 경제성이 없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이와 같이 게의 고유습성 때문에 군집성 축양 또는 양식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 보편적 사실로 알려져 있어 보통 양식방법으로 게를 수시로 관찰하여 탈피 개체를 즉시 골라내거나, 탈피하지 않은 갑각류들의 집게발을 잘라냄으로써 공식을 피하고, 더하여 집게발을 다시 생성하고자 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탈피를 유도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소비되는 시간과 많은 인력을 공급하는 것에 비해 공식현상에 의한 개체수의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사육밀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며, 결국 경제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0004072호 (이하, '인용발명' 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인용발명은 게가 바닥에 형성된 산과 골의 형태인 경사를 오르고 내리도록 형성하여 공식현상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게는 단순히 성장함으로써 공식현상에 따라 탈피하려는 습성이 무시되어 성장속도가 자연상태에서보다 현저히 느린 개체(個體)가 생겨났으며, 연갑을 가진 게가 완벽히 독립되어 보호받지 못함으로써, 공식활동에 피해를 받는 개체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겨났다. 더욱이 충분한 량의 먹이가 고르게 공급되지 않아 일부 개체만 급속히 성장하게 되었으며, 각기 다른 방법에 의해 탈피하려는 습성을 가진 게에 따라 은신하여 탈피하려는 습성을 해소하지 못하여 탈피 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탈피 후에도 은신할 곳이 없어 공식활동에 의한 위협을 피하고자 몸속의 영양소를 외골격을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집중함으로써 심한 스트레스와 함께 먹이를 섭취하지 않아 크기가 크지 않고 살이 빠진 상태로 연갑만 생성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자연상태에서와 같이 굴속과 같은 안정감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과, 성장속도가 느림으로써 게를 수확할 수 있는 시기가 불규칙하게 되고, 먹이공급이 균일하지 않아 살이 빠진 상태로 탈피하며, 심한 경우에는 폐사 현상이 발생하여, 게를 경제적으로 양식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겹으로 이루어진 칸막이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나누어진 몸체에 다수의 갑각류를 각각 격리시켜 가둘 수 있게 되되, 상기 칸막이는 투명한 칸막이와 불투명한 칸막이로 형성되고,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는 빼내거나 다시 삽입 가능하여,
축양통의 몸체 내부의 불투명한 재질의 칸막이를 이용하여 게가 가능한 굴속에 있는 것과 같은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축양통 안의 조립 가능한 투명한 재질의 칸막이를 이용하여 게가 서로 공식현상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하여 상대보다 강해질 수 있도록 덩치를 불리기 위하여 새로운 연갑을 신속하게 생성한 후 탈피하려는 생태습성 및 역으로 먹이섭취 및 탈피 시에는 불투명한 칸막이를 사용하여 게가 안정적인 상태를 느끼도록 하면서 먹이를 섭취하여 살이 찌고 온몸의 영양소가 탈피를 촉진할 수 있게, 활게 고유의 생태 습성을 이용하여 축양통 내부의 구조를 형성한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게의 생태적 습성을 이용하여 서식하게 하는 독립된 공간에 안전하게 성장시키게 되며 안정된 상태에서 먹이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탈피를 할 수 있게 되어 온몸의 영양소가 탈피의 주기를 촉진시켜 성장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똥똥하게 살이 찬 연갑게를 대량 수확할 수 있게 되어 기존 게요리의 갑의 처리에 불편을 느끼는 수요자에게 연갑체 먹을 수 있는 새로운 게 요리를 창출하며, 아울러 대량생산이 될 경우 종전의 경갑을 화학 처리하여 추출하던 키토산의 원료가 연갑에서 추출된 자연산 고품질 생키토산 원료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 전문 수산연구소에서 인위적으로 일부 종들의 치게 생산 성공, 방류 단계를 거쳐, 중간계 축양실험을 하고 있는 시점에서, 실험 성공에 꼭 필요한 기술로 의미있는 공헌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보조판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7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갑각류를 가두어 기를 수 있도록 입체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이 비어 있는 몸체(100)에 칸막이(200)를 상기 내부공간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칸막이(200)를 투명한 재질과 불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다중으로 겹치게 형성하고, 상기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칸막이(200)를 별도로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는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은 다수의 공간이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공간에 게를 한 마리씩 독립적으로 격리시켜 기를 수 있게 되고, 상기 격리된 게는 상기 몸체(100) 내부공간에서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에 의해 서로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서로 긴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독립된 공간에 있게 됨으로써, 게가 가지는 습성에 의해 탈피의 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성장을 촉진할 수 있게 되고 결국, 탈피하여 연갑을 가진 연갑게를 대량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세워지도록 삽입시켜 상기 내부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는 칸막이(200)를 통하여 분리된 공간에서 한 마리의 게를 독립적으로 기를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게의 서식환경과 비슷하게 불투명한 몸체가 만들어져 안정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외부의 환경에 맞게 상기 몸체(100)의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몸체(100)는 단순히 물이 있는 곳에 놓이거나, 인위적으로 물이 흐르도록 할 수 있는 설비가 갖춰진 수조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종에 따라서 습기가 있는 육상에서도 형성 가능하다.
즉, 상기 몸체(100)는 게의 생태환경의 습성과 같이 상기 내부공간의 물이 순환되어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에 따라 물이 많이 필요없는 육상에서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몸체(100)는 격자형태의 철망으로 형성되거나 옆면에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외부의 물이나 공기가 내부로 들어와 다시 외부로 나가는 것과 같이 순환 가능하도록 형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일 측면에 물의 공급과 배출 가능하도록 호수가 연결되어 강제 순환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에 깨끗한 물이 항시 유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몸체(100)는 상기 칸막이(2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 내측 표면에 상기 칸막이(200)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칸막이(200)가 고정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결함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160)을 통해 상기 칸막이(200)를 상기 몸체(100)에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삽입시켜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칸막이(200)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다중으로 겹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200)의 사이가 이격 되도록 형성하거나, 접하여 겹쳐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얇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동족의 소리 또는 냄새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칸막이(200)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투명한 재질을 통해 게가 독립적으로 격리된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동족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칸막이(200) 또는 상기 몸체(100)에 상기 분할된 공간의 물이 상호 공유가 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냄새나 물 흐름으로 동족을 느끼며, 상기 불투명한 재질로 인해 게의 시야를 차단함으로써 동족을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의 분리된 공간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안정된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200)를 투명한 재질과 불투명한 재질을 혼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투명한 재질의 칸막이(200)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투명한 재질의 칸막이(200)를 상기 투명한 재질의 칸막이(20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하 설명할 뚜껑(300)을 통해 자유롭게 상기 몸체(100)에 내부에 삽입시키거나 빼낼 수 있게 되되,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빈틈없이 차단된 상태로 나눌 수 있게 한다.
더하여, 상기 칸막이(2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투명한 재질의 칸막이(200)는 격자형태의 그물 또는 철망으로 형성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나눌 수 있게 되고, 동종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불투명한 재질의 칸막이(200)는 나누어진 상기 내부 공간을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고 동종을 인식할 수 없을 정도의 불투명성을 가진 재질을 사용하여 빈틈없이 상기 분리된 내부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한 재질의 칸막이도 게의 가느다란 다리가 상기 칸막이(200)를 통과하여 연갑게의 몸에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투명한 아크릴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200)는 상기 몸체(10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일 방향을 향하도록 나눌 수 있지만, 네 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나눌 수 있다. 즉, 상기 칸막이(20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을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여 몸집의 크기가 다른 게를 크기별로 나누어 성장시킬 수 있게 되며, 단순히 일 방향으로 형성하여, 복잡하게 형성된 구조보다 더욱 상기 몸체(100) 내부에 물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하여 깨끗한 물이 항시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하,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구성을 분해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몸체(100)는 일 측면이 개방된 입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된 일 측면에 뚜껑(300)이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뚜껑(300)을 통해 게를 가두거나 빼낼 수 있게 되며, 탈피한 껍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300)을 통해 상기 몸체(100)의 상부공간을 일정부분 덮어 줌으로써, 상기 게가 탈피한 후 내장과 같은 기관이 위치하고 있는 등에 대한 민감한 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뚜껑(30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는 내측을 향하여 낮아지는 단이 형성되고, 상기 단에 상기 뚜껑(300)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300)은 상기 몸체(100)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지 않게 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의 이물질 등을 처리하기 목적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물의 흐름에 방해받지 않게 된다. 즉, 마찰에 의한 상기 뚜껑(30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몸체(100)의 내부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뚜껑(300)은 먹이구멍(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300)이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밀폐한 상태에서도 먹이를 공급할 수 있어, 게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안정된 상태에서 먹이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먹이구멍(320)은 상기 칸막이(200)와 떨어진 부분의 상기 내부공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나누어진 공간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먹이가 공급될 때 상기 나뉜 내부공간으로 섞이어 비 균일하게 공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를 참고하여, 뚜껑(300)은 상기 칸막이(200)를 상기 뚜껑(30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이 밀폐 상태에서도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시키거나 빼낼 수 있도록 삽입홈(3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뚜껑(300)이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될 경우 상기 칸막이(200)가 위치할 수 있는 곳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로 형성된 칸막이(200)는 각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칸막이(200)의 투명한 재질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의 높이와 같이 형성되고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는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300)의 삽입홈(340)를 통해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만을 상기 몸체(100)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는 상기 뚜껑에 의해 더욱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의 결합홈(160)으로부터 분리되어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칸막이(200)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인출 및 삽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가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보다 세로길이가 길게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몸체(10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칸막이(200)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하여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칸막이(200)를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는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60)에 의해 갑각류의 움직임에 의한 충격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는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보다 상대적으로 삽입과 인출이 자유롭게 형성하여,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를 손쉽게 삽입 및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60)은 일 실시 예로, 두개의 결합홈(160)이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홈(160) 사이에 상기 몸체(100)의 내부의 중심방향으로 결합돌기(162)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벽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16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로 형성된 투명한 칸막이(200)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이격된 공간에 불투명한 칸막이(200)가 단순 삽입됨으로써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는 고정되지 않고 삽입 및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는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보다 세로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가로길이는 짧게 형성되어,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와 상기 결합돌기(162)에 의해 안내를 받으며 삽입 및 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100)의 바닥판(120)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바닥판(120)은 상부의 표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은신처(1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은신처(122)는 게가 이동하여 숨을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되고, 게의 등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넓이와 높이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로, 일 측면이 개방된 입체형상의 육면체가 상기 바닥판(12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게는 육면체 내부로 은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은신처(122)는 상기 바닥판(120)의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은신처(122)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이 상기 칸막이(200)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나눠지게 될 시 상기 나눠진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나눠진 공간에서 상기 몸체(100)의 바닥판(120)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은신처(122)는 상기 바닥판(120)의 코너 또는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게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은신처(122)는 상기 바닥판(120)과 함께 갑각류가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판(120)은 상기 은신처(122)가 형성된 아래부분에 국부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입체적 특이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굴곡된 것과 같이 일그러져, 평평하게 형성된 은신처(122)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보다 더욱 넓게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20)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더욱 깊숙이 은신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크기의 갑각류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은신 공간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바닥판(120)은 상기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같이 상기 몸체(100)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20)은 독립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이물질의 청소를 쉽게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몸체(100) 또는 바닥판(120)의 일부 파손에 의해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판(120)은 조밀하게 형성된 철망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통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몸체(100) 내부공간의 물의 순환에 의해 이물질이 다소 제거가 될 수 있으나 위와 같이 상기 바닥판(120)에 의해 물의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물질 등을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바닥판(120)은 아래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12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 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120)의 하부에 다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20)을 통과하여 지면으로 떨어진 이물질은 물의 흐름에 의하거나 인위적으로 제거를 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앞 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다리는 상기 바닥판(120)이 굴곡되거나 일그러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판(120)과 일체로 형성되고, 갑각류가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지면 또는 이하 설명될 바닥보조판(140)과 이격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바닥판(120)은 바닥보조판(140)이 상기 바닥판(1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보조판(140)은 상기 몸체(100)가 지면 또는 특정한 장소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메쉬구조로 형성되어 이물질 또한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머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보조판(140)은 상기 바닥판(120)의 다리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20)과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닥판(120)의 하부로 흐를 수 있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이물질을 더욱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100 : 몸체 120 : 바닥판
122 : 은신처 140 : 바닥보조판
160 : 결합홈 162 : 결합돌기
200 : 칸막이 300 : 뚜껑
320 : 먹이구멍 340 : 삽입홈

Claims (5)

  1. 겹으로 이루어진 칸막이(200)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나누어진 몸체(100)에 다수의 갑각류를 각각 격리시켜 가둘 수 있게 되되,
    상기 칸막이(200)는 투명한 칸막이(200)와 불투명한 칸막이(200)로 형성되고,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는 빼내거나 다시 삽입 가능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부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부에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통할 수 있는 먹이구멍(320)이 형성되어,
    탈피 상태에 있는 갑각류가 밀폐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먹이를 공급받을 수 있는 활게 연갑게 탈피 촉진 축양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몸체(100)는 내측 벽에 상기 칸막이(200)를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홈(160)이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200)를 자유롭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게 되고, 상기 다수의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분할할 수 있는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밀폐 가능하도록 뚜껑(300)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300)은 상기 불투명한 칸막이(200)를 삽입시키거나 빼낼 수 있도록 삽입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한 칸막이(200)는 상기 뚜껑(300)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되어,
    다수의 격리된 상태에 있는 갑각류의 습성을 즉시 변화시킬 수 있는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갑각류의 몸을 가릴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된 입체형상의 은신처(12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갑각류가 은신하여 안정된 상태로 탈피할 수 있는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KR1020150126418A 2015-09-07 2015-09-07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KR10172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418A KR101725294B1 (ko) 2015-09-07 2015-09-07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418A KR101725294B1 (ko) 2015-09-07 2015-09-07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279A true KR20170029279A (ko) 2017-03-15
KR101725294B1 KR101725294B1 (ko) 2017-04-10

Family

ID=5840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418A KR101725294B1 (ko) 2015-09-07 2015-09-07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2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55A (ko) * 2020-12-24 2022-07-0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우화 상자
KR102456589B1 (ko) * 2021-11-19 2022-10-21 장철호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KR102530401B1 (ko) * 2022-10-27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901B2 (ja) * 1989-09-12 1998-08-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養殖用水槽
KR100821313B1 (ko) * 2007-11-12 2008-04-11 김용대 꽃게 공식 방지 및 양식 장치
JP2012152146A (ja) * 2011-01-26 2012-08-16 Suisaku Kk 観賞魚用水槽装置
JP2016174580A (ja) * 2015-03-20 2016-10-06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畜養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901B2 (ja) * 1989-09-12 1998-08-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養殖用水槽
KR100821313B1 (ko) * 2007-11-12 2008-04-11 김용대 꽃게 공식 방지 및 양식 장치
JP2012152146A (ja) * 2011-01-26 2012-08-16 Suisaku Kk 観賞魚用水槽装置
JP2016174580A (ja) * 2015-03-20 2016-10-06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畜養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55A (ko) * 2020-12-24 2022-07-0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우화 상자
KR102456589B1 (ko) * 2021-11-19 2022-10-21 장철호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KR102530401B1 (ko) * 2022-10-27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294B1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747B1 (ko) 나비 애벌레 사육통
KR101725294B1 (ko)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RU2006142660A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ы в поликультуре в садках
KR20180088469A (ko)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KR101923855B1 (ko) 황토 단지를 이용한 두족류 산란장치
KR101750976B1 (ko) 활 우량게 육성 축양통
CN106035179A (zh) 一种泥鳅苗种培育装置及培育方法
KR101071149B1 (ko) 어류종묘 중간 육성기 및 이를 이용한 어류종묘 방류 시스템
EP1961297A2 (en) Cage for queen bees
JP6634143B1 (ja) 貝類の養殖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観音開き式の養殖かご
KR20070099406A (ko) 자연어장구축장치
KR101479839B1 (ko) 관상어 번식 축양용 복합수조
JPH0775497B2 (ja) ドジョウの産卵育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59895B1 (ko) 여왕벌의 산란유도장치
Setu et al. Breeding and rearing of regal damselfish Neopomacentrus cyanomos (Bleeker, 1856): the role of green water in larval survival
KR102184937B1 (ko) 상시 개구부를 갖는 개체굴 양성장치
JPS61185138A (ja) 共喰い防止養殖装置
KR102004640B1 (ko) 여왕벌의 산란유도장치
JP2009044968A (ja) 貝類の養殖篭
KR101193601B1 (ko) 버타입 두족류 양식장치
KR101352899B1 (ko) 대게보육어초
EP1833294B1 (en) Multipurpose trap's element, correspondent fish trap and manufacture, assembly and fishing methods thereof
Toole Channel Catfish culture in Texas: helpful hints regarding propagation procedures
CN208175839U (zh) 一种捕捞螺类动物的工具
CN102165928B (zh) 洞穴式龙虾养殖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