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469A -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 Google Patents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469A
KR20180088469A KR1020187019808A KR20187019808A KR20180088469A KR 20180088469 A KR20180088469 A KR 20180088469A KR 1020187019808 A KR1020187019808 A KR 1020187019808A KR 20187019808 A KR20187019808 A KR 20187019808A KR 20180088469 A KR20180088469 A KR 20180088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actant
fishing
artificial bait
artific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065B1 (ko
Inventor
양재혁
Original Assignee
양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혁 filed Critical 양재혁
Publication of KR2018008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47Hollow bo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용 인공미끼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낚시중 수압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갖는 인공미끼 본체; 및 유인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인제;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유인제에 접촉되어 상기 인공미끼 본체의 배출홀에 의해 상기 유인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본 발명은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와 방식의 유인제를 삽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후각과 시각에 의해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낚시용 인조미끼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낚싯대와 낚싯줄·낚싯바늘 등 도구를 이용하여 어류·패류·갑각류,
그밖의 수산동물을 낚는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낚시를 즐기는 낚시인구와 낚시에 의한 어획량에 대해서는 수산업계 내에서도 이견이 있으나, 낚시인구는 600만명에 육박하고, 어획량도 한 해 수백만 톤에 달한다는 의견이 있다.
이와 같이 낚시인구와 낚시시장의 규모는 정확하게 파악되고 있지 않지만,
낚시 전문방송이 케이블 채널 내 편성되고,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서 바다낚시 등이 소개되면서, 낚시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한편, 낚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낚시미끼가 사용되고 있으며, 낚시 방법에 따라 갯지렁이나 오징어 등과 같은 생 미끼 외에 인조미끼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875호에는 유인물질을 내장한 인조미끼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1092호에는 물속으로 유인제나 어분이 퍼지도록 하는 인조미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인조미끼는 사용 환경에 따라 물고기를 유인하는 유인물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유인물질이 녹아서 퍼지는 정도나 유인물질의 양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어서, 제한된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 방법이나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유인물질을 교체하거나유인물질이 퍼지는 정도나 양 등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조미끼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875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109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낚시 방법이나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다양한 방식, 형태의 유인제를 인공미끼 본체에 삽탈, 충전할 수 있게 결합하고, 후각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으며 낚시줄을 흔드는 등 인공미끼에 가압되는 수압을 조절하여 유인물질이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용 인공미끼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낚시중 수압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갖는 인공미끼 본체; 및 유인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인제;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유인제에 접촉되어 상기 인공미끼 본체의 배출홀에 의해 낚시중 상기 유인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제는, 액상, 발포제 및 캡슐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배출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인공미끼 본체의 길이방향 또는 측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인제는 충전가능하며, 액상형태인 유인제는 주입니들을 갖는 액상주입수단에 의해 충전가능하고, 발포제, 캡슐 형태의 유인제는 삽입봉에 상기 발포제 또는 캡슐을 장착하고 상기 유입홀 또는 배출홀에 삽입하여 상기 유인제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인물질은 적색이고, 어류사료, 물고기 분말, 물고기 오일, 물고기 혈액, 곡물성 가루 및 유기 결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포제 형태의 유인제는 탄산수소와 탄산분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낚시 방법이나 포획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다양한 방식, 형태의 유인제를 인공미끼 본체에 삽탈, 충전할 수 있게 결합하고, 후각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으며 낚시줄을 흔드는 등 인공미끼에 가압되는 수압을 조절하여 유인물질이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모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다양한 외형의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다양한 외형의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의 부분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종래 인공미끼를 사용하는 상태도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형 유인제가 충진된 낚시용 인공미끼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유인제가 구비된 낚시용 인공미끼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제형 유인제가 구비된 낚시용 인공미끼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제형 유인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물이 유입되어 유인물질이 배출되는 상태의 낚시용 인공미끼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유입홀과 배출홀이 측면방향으로 형성된 낚시용 인공미끼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길이방향의 유입홀과 2개의 경사진 배출홀이 형성된 낚시용 인공미끼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용공간에 다수의 유인제가 구비되고, 측면방향의 다수의 유입홀, 배출홀을 갖는 낚시용 인공미끼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용공간에 다수의 유인제가 구비되고, 측면방향의 다수의 유입홀, 배출홀을 갖는 낚시용 인공미끼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공미끼 본체의 수용공간으로 액상주입수단을 통해 액상형 유인제를 충전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삽입봉을 통해 발포제형 또는 캡슐형 유인제를 충전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인공미끼 제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금형에 설치되는 삽입핀의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인공미끼 제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종래 인공미끼 2:바늘 3:낚시줄
10:인공미끼 본체 11:유입홀 12:배출홀
13:수용공간 20:유인제 21:액상
22:캡슐 23:발포제 30:액상주입수단
31:니들 40:삽입봉 41:삽입봉 걸림턱
50:인공미끼 제조장치 51:제1금형 52:제2금형
53:제3금형 60:삽입핀 61:삽입핀 걸림턱
100: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 모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다양한 외형의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다양한 외형의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종래 인공미끼(1)를 사용하는 상태도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미끼 본체(10) 내에 유인물질로 구성된 유인제(20)가 구비되어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인공미끼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3)을 갖고, 낚시중 수압에 의해 수용공간(13)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유인제(20)는 유인물질로 구성되어 수용공간(13)에 삽탈가능하게 내장되게 된다.
인공미끼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 형태, 지렁이와 같은 환형동물 형태, 곤충의 유충형태, 작은 동물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 형상, 크기, 색상, 재질 등은 사용용도나 사용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인공미끼 본체(10)의 재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베이트로서 소프트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드베이트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미끼 본체(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3)이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공간(13) 내로 다양한 형태의 유인제(20)가 삽탈가능하게 내장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공미끼 본체(10)의 외면 일측과 수용공간(13) 사이를 관통하는 유입홀(11)과, 인공미끼 본체(10)의 외면 타측과 수용공간(13) 사이를 관통하는 배출홀(12)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1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유인제(20)에 접촉되어 인공미끼 본체(10)의 배출홀(12)을 통해 유인물질이 서서히 외부로 배출되어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유인물질은 적색으로 구성되어 물에 배출되어 퍼질 때, 마치 동물의 피를 모사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켜 후각과 시각을 통해 물고기를 유인하게 된다.
이러한 유인물질은 적색이고, 어류사료, 물고기 분말, 물고기 오일, 물고기 혈액, 곡물성 가루 및 유기 결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물고기가 비늘이 벗겨지는 등 상태가 좋지 않아 보이면 동족끼리도 죽을 때까지 상처부위를 공격하게 되는 습성, 물고기는 후각에 상당히 민감하여 연못이나 주변에서 상처입은 메뚜기나 사마귀 등의 곤충이 물에 떨어지면 순식간에 찾아와 먹어버리는 습성을 이용하여, 아픈물고기나 상처 입은 벌레를 모사하여 후각과 시각을 활용해 물고기를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미끼 본체(10)는 2개 이상으로 분할된 유닛으로 서로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나, 양측이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유인제(20)가 소진된 경우 인공미끼 본체(10)를 개방하여 수용공간(13) 내로 유인제(20)를 다시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인제(20)는 액상(21), 발포제(23) 또는 캡슐(22)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형 유인제(21)가 충진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21)상태의 유인물질을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수용공간(13)으로 주입하는 액상형 유인제(21)가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유인제(20)는 사용자가 유인물질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배출되는 유인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 사용 후 소진되면 주사기 형태의 액상주입수단(30)을 통해 다시 유인물질을 수용공간(13) 내로 주입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유인제(22)가 구비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형 유인제(22)는 내부에 유인물질이 충전된 캡슐(22)이 수용공간(13)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시에 유인물질 캡슐(22)에 압력을 제공하여 터트리면 배출홀(12)을 통해 유인물질이 서서히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사용예를 설명하면, 먼저 인공미끼 본체(10)에 바늘(2)과 낚시줄(3)을 연결한 후, 캡슐(22)이 내장된 인공미끼 본체(10)를 가압하여 캡슐(22)을 터트리게 된다. 캡슐(22)이 터진 후, 낚시대를 활용하여 인공미끼(100)를 물속에 캐스팅하면, 유입홀(11)을 통해 물이 수용공간(13)으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유인물질이 액상화되어 배출홀(12)을 통해 외부로 서서리 빠져나오게 된다. 유인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면 물속에 흘러 주변의 물고기를 유인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낚시대를 흔들거나 잡아당겨 유인물질이 배출홀(12)을 통해 더욱 많은 양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제형 유인제(23)가 구비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제형 유인제(23)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물이 유입되어 유인물질이 배출되는 상태의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인물질은 적색이고, 어류사료, 물고기 분말, 물고기 오일, 물고기 혈액, 곡물성 가루 및 유기 결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발포제 형태의 유인제(23)는 탄산수소와 탄산분말을 더 포함하여 고형제 형태로 제조되게 된다. 즉, 탄산수소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알렌드론산나트륨수화물, 시트르산, 구연산, 산알칼리 등을 더 포함하여 발포제(23)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예를 설명하면, 먼저 인공미끼 본체(10)에 바늘(2)과 낚시줄(3)을 연결한 후, 낚시대를 활용하여 인공미끼(100)를 물속에 캐스팅하면, 유입홀(11)을 통해 물이 수용공간(13)으로 유입되면 발포제(23)가 물과 반응하여 발포를 시작하게 된다. 발포와 동시에 유인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면 물속에 흘러 주변의 물고기를 유인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낚시대를 흔들거나 잡아당겨 유인물질이 배출홀(12)을 통해 더욱 많은 양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입홀(11)과 배출홀(12)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유입홀(11)과 상기 배출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용공간(13)에서 상기 인공미끼 본체(10)의 길이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유입홀(11)과 배출홀(12)이 측면방향으로 형성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11)은 인공미끼 본체(10)의 측면 일측에서 수용공간(13)으로 관통형성되며, 배출홀(12)은 수용공간(13)에서 인공미끼 본체(10)의 측면 타측으로 관통형성되어 유입홀(1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공간(13) 내의 액상(21), 캡슐(22)형태, 발포제(23)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유인제(20)와 접촉되어 유인물질이 측면 방향으로 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길이방향의 유입홀(11)과 2개의 경사진 배출홀(12)이 형성된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11)은 인공미끼 본체(10)의 상면 일측에서 수용공간(13)으로 관통형성되며, 다수의 배출홀(12)은 수용공간(13)에서 인공미끼 본체(10)의 측면으로 특정경사를 갖고 관통형성되어 유입홀(1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공간(13) 내의 액상(21), 캡슐(22)형태, 발포제(23)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유인제(20)와 접촉되어 유인물질이 측면 방향으로 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용공간(13)에 다수의 유인제(20)가 구비되고, 측면방향의 다수의 유입홀(11), 배출홀(12)을 갖는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용공간(13)에 다수의 유인제(20)가 구비되고, 측면방향의 다수의 유입홀(11), 배출홀(12)을 갖는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3) 내에 수용공간(13) 내의 캡슐(22)형태, 발포제(23)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유인제(20)가 다수 수용될 수 있고, 유입홀(11)은 인공미끼 본체(10)의 상면 일측에서 수용공간(13)으로 관통형성되며, 다수의 배출홀(12)은 수용공간(13)에서 인공미끼 본체(10)의 측면으로 다수 관통형성되어 유입홀(1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공간(13) 내의 캡슐(22)형태, 발포제(23)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유인제(20)와 접촉되어 유인물질이 측면 방향으로 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유인제(20)는 충전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공미끼 본체(10)의 수용공간(13)으로 액상주입수단(30)을 통해 액상형 유인제(21)를 충전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액상형태인 유인제(21)는 주사기 형태 등의 액상주입수단(30)의 주사니들(31)을 인공미끼 본체(10)에 삽입, 주사하여 충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삽입봉(40)을 통해 발포제(23)형 또는 캡슐(22)형 유인제(20)를 충전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제(23), 캡슐(22) 형태의 유인제(20)는 걸림턱(41)이 형성된 삽입봉(40)에 발포제(23) 또는 캡슐(22)을 장착하고 유입홀(11) 또는 배출홀(12)에 삽입봉(40)을 삽입하여 유인제(20)를 수용공간(13)에 내장시켜 충전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인공미끼(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인공미끼 제조장치(5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금형(53)에 설치되는 삽입핀(6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인공미끼 제조장치(5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금형을 이용하여 다수의 인공미끼(100)를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조장치(50)는 상형에 해당하는 제1금형(51)과, 하형에 해당하는 제2금형(52), 그리고 다수의 삽입핀(60)이 설치된 제3금형(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금형(51)과 제2금형(52)은 상하로 서로 조립되며, 제3금형(53)은 조립된 제1금형(51)과 제2금형(52)의 측면에 조립되어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금형(53)을 기준으로 제1금형(51)과 제2금형(52) 각각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금형(51)과 제2금형(52)에는 제조 후 인공미끼 본체(10)를 형성할 내부공간을 가지며 제3금형(53)에는 도 22에 도시된 삽입핀(60)이 설치되게 되며, 삽입핀(6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되거나 걸림턱(61)이 형성되어 삽입핀(60)으로 인공미끼 본체(10)의 수용공간(13)으로 내장될 발포제(23), 캡슐(22) 등의 형태를 갖는 유인제(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유인제(20)가 삽입된 삽입핀(60) 다수를 각각 제3금형(53)에 설치한 후, 제1금형(51)과 제2금형(52)을 조립한 후, 제1금형(51)과 제2금형(52)의 내부공간으로 인공미끼 본체(10)를 구성하게 될 외피물질을 삽입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인공미끼(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공미끼 제조장치(50)를 이용하여 한 번의 사출성형으로 다수의 낚시용 인공미끼(100)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낚시용 인공미끼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낚시중 수압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을 갖는 인공미끼 본체; 및
    유인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인제;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유인제에 접촉되어 상기 인공미끼 본체의 배출홀에 의해 낚시중 상기 유인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는,
    액상, 발포제 및 캡슐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과 상기 배출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인공미끼 본체의 길이방향 또는 측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제는 충전가능하며,
    액상형태인 유인제는 주입니들을 갖는 액상주입수단에 의해 충전가능하고,
    발포제, 캡슐 형태의 유인제는 삽입봉에 상기 발포제 또는 캡슐을 장착하고 상기 유입홀 또는 배출홀에 삽입하여 상기 유인제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물질은 적색이고, 어류사료, 물고기 분말, 물고기 오일, 물고기 혈액, 곡물성 가루 및 유기 결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포제 형태의 유인제는 탄산수소와 탄산분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KR1020187019808A 2015-12-21 2016-12-21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KR102018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574A KR20170073868A (ko) 2015-12-21 2015-12-21 낚시용 인조미끼
KR1020150182574 2015-12-21
PCT/KR2016/014996 WO2017111454A2 (ko) 2015-12-21 2016-12-21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469A true KR20180088469A (ko) 2018-08-03
KR102018065B1 KR102018065B1 (ko) 2019-09-04

Family

ID=590896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574A KR20170073868A (ko) 2015-12-21 2015-12-21 낚시용 인조미끼
KR1020187019808A KR102018065B1 (ko) 2015-12-21 2016-12-21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574A KR20170073868A (ko) 2015-12-21 2015-12-21 낚시용 인조미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95823A1 (ko)
JP (1) JP6791968B2 (ko)
KR (2) KR20170073868A (ko)
CN (1) CN108471733B (ko)
WO (1) WO201711145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732B1 (ko) 2019-03-25 2020-09-22 이광희 낚시용 미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6908A (ko) * 2020-08-26 2022-03-07 장치식 낚시용 인조미끼
KR20220028988A (ko) * 2020-09-01 2022-03-08 김용수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250B1 (ko) * 2019-02-26 2021-04-16 이기강 친환경 물고기 유인 낚시추
KR102464538B1 (ko) * 2020-09-24 2022-11-23 (주)이허브 루어
US20220104472A1 (en) * 2020-10-06 2022-04-07 Pure Fishing, Inc. Autonomous bait
WO2022080524A1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팩토리캠프 유인제를 삽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후각과 시각에 의해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낚시용 인조미끼
RU205753U1 (ru) * 2021-05-04 2021-08-06 Анато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Щербаков Искусственная рыболовная приманк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359A (en) * 1979-11-09 1981-06-09 Yasuhiro Kitagawa Fish-luring agent
JPH10165051A (ja) * 1996-12-07 1998-06-23 Yukio Kuribayashi 魚釣り用ルアー
JP2002000130A (ja) * 2000-06-21 2002-01-08 Tanashin Denki Co イカ釣り用疑似餌
JP2004166672A (ja) * 2002-11-18 2004-06-17 Hiroshi Nasu 魚類を誘因するコマセ疑餌
KR200408875Y1 (ko) 2005-11-29 2006-02-14 윤지혜 낚시용 인조미끼
KR20130001092A (ko) 2011-06-25 2013-01-03 박인성 인조미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8732A (en) * 1979-12-17 1981-07-18 Yasuhiro Kitagawa Trawling fishing
KR20000017952U (ko) * 1999-03-09 2000-10-05 박상열 낚시용 루어
KR200321156Y1 (ko) * 2003-04-29 2003-07-22 윤원만 낚시용 인조미끼
US20110239520A1 (en) * 2010-03-30 2011-10-06 Jeff Ostrom Single dose fish attractant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359A (en) * 1979-11-09 1981-06-09 Yasuhiro Kitagawa Fish-luring agent
JPH10165051A (ja) * 1996-12-07 1998-06-23 Yukio Kuribayashi 魚釣り用ルアー
JP2002000130A (ja) * 2000-06-21 2002-01-08 Tanashin Denki Co イカ釣り用疑似餌
JP2004166672A (ja) * 2002-11-18 2004-06-17 Hiroshi Nasu 魚類を誘因するコマセ疑餌
KR200408875Y1 (ko) 2005-11-29 2006-02-14 윤지혜 낚시용 인조미끼
KR20130001092A (ko) 2011-06-25 2013-01-03 박인성 인조미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732B1 (ko) 2019-03-25 2020-09-22 이광희 낚시용 미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6908A (ko) * 2020-08-26 2022-03-07 장치식 낚시용 인조미끼
KR20220028988A (ko) * 2020-09-01 2022-03-08 김용수 낚시용 친환경 인조미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868A (ko) 2017-06-29
JP6791968B2 (ja) 2020-11-25
WO2017111454A2 (ko) 2017-06-29
KR102018065B1 (ko) 2019-09-04
JP2019500040A (ja) 2019-01-10
US20180295823A1 (en) 2018-10-18
CN108471733A (zh) 2018-08-31
CN108471733B (zh) 2021-11-16
WO2017111454A3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8469A (ko)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US5319875A (en) Cage lure
US6922937B1 (en) Baitfish lure
US3654724A (en) Fishing lure
US7845107B1 (en) Artificial interchangeable hybrid lure with perforations
CA3002397A1 (en) Fishing lure
US20030046856A1 (en) Novel fish lure
WO2005077163A1 (en) Fishing lure
US9770015B2 (en) Fishing lure with blow-hole vented bait chamber and O-ring hatch locking mechanism
US3087273A (en) Fish lure
EP3769613A1 (en) Fishing lure
KR101725294B1 (ko)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KR20190130244A (ko) 생미끼 삽입형 루어
KR101863449B1 (ko) 낚시용 인조 미끼 및 제조 방법
Rudolph et al. Embryonic and early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the burrowing crayfish, Virilastacus araucanius (Faxon, 1914)(Decapoda, Parastacida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R200384464Y1 (ko) 루어 일체형 낚시바늘
US10321668B1 (en) Fishing lure with interchangeable disks
KR102503851B1 (ko) 바늘 분리가 용이한 인조미끼
US20210352880A1 (en) Fish bait device and related methods
CN201986554U (zh) 人造中空仿真鱼饵
Neumann et al. Larval development of Brycon amazonicus (Teleostei, Bryconidae) with a focus on locomotory, respiratory and feeding structures
WO2006054275A2 (en) Fish trap element
KR200371834Y1 (ko) 문어 어획용 인공미끼
CN212993904U (zh) 一种仿生型拟饵
US11627731B1 (en) Articulated exoskeleton bait holder/protector and hoo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