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382B1 -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382B1
KR101355382B1 KR1020100134607A KR20100134607A KR101355382B1 KR 101355382 B1 KR101355382 B1 KR 101355382B1 KR 1020100134607 A KR1020100134607 A KR 1020100134607A KR 20100134607 A KR20100134607 A KR 20100134607A KR 101355382 B1 KR101355382 B1 KR 10135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s
aquaculture
shrimp
tank
set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728A (ko
Inventor
장길웅
Original Assignee
조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선 filed Critical 조정선
Priority to KR102010013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382B1/ko
Priority to PCT/KR2011/009756 priority patent/WO2012086970A2/ko
Publication of KR2012007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오염도를 낮추고 새우의 생육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새우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고, 가용 새우 서식공간의 비율을 높여서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새우 양식장과, 그 시공 방법. 본 발명의 새우 양식장에 있어서, 양식장 경계 내부에는 칸막이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경계 내부를 다수의 양식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분한다.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양식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식조 내에 순환 수로가 형성되게 하는 분리막이 설치된다. 순환 수로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양식조 내에 해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수류형성 장치에 의해 상기 순환 수로 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침전지 내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을 펌프에 의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Shrimps Fa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생생물 사육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새우를 양식하기 위한 양식장 구조와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새우는 갑각류에 속하는 동물로서, 크기에 따라 대하, 중하, 젓새우 등으로 분류된다. 대하나 중하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고소한 맛이 나기 때문에 식재료로써 인기가 높다. 그런데, 이러한 대하나 중하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며, 시장에서 거래되는 새우는 대부분 양식에 의해 조달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새우 양식장은 해안지역에서 땅을 파거나 폐 염전을 양식장으로 전환하여 3,000평 내지 20,000평의 규모로 크게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새우 양식장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새우 양식장은 제방(10a) 또는 통행용 둑(10b~10d)에 의해 경계가 구분되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해수가 채워진다. 통행용 둑(10b~10d)의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수로(20)가 갑문(미도시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양식장 내부에는 용존산소 조절 목적으로 다수의 수차(30a~30h)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양식장에서는 인공부화장에서 부화된 치하가 봄철에 입식되어, 수온에 따라 대략 100일에서 180일의 기간 동안 생육된 후 가을에 출하된다.
새우 양식장에는 지속적으로 새우 배설물, 사료 찌꺼기, 탈피된 껍질, 새우 사체 등 오염물질이 축적된다. 일반 어류를 양식하는 소형 양식장의 경우 펌프에 의해 물 교환이 수시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새우 양식장은 넓이가 넓고 수량이 많아 물 교환을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자연증발에 따른 감소량을 보충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새우 양식장에서는 축적되는 오염물질을 계외로 배출할 수 있는 마땅한 방안이 없으며, 양식장 수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악화된다.
수질이 악화되면,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암모니아나 황화수소가 발생되어 심한 악취가 날 뿐만 아니라, 흰점 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이 증식하여 새우의 치사량이 높아지고 경우에 따라 양식중인 새우가 전량 폐사할 수도 있다. 바이러스 내성을 높이기 위하여 양식장에 항생제를 투입하기도 하지만, 잔류 항생제 문제 때문에 항생제가 투여된 새우는 인간의 식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하고 사료로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상품 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한편, 양식장 내에 설치되는 수차(30a~30h)로 말미암아 양식장 가장자리 부분에는 약한 수류가 형성된다. 수류로 말미암아 오염물질은 양식장 중심부로 집중되어, 양식장 가장자리 부분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질이 유지되지만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는 새우가 살지 못하는 데드존(Dead Zone: 40)이 형성된다. 결국, 수천 평에 이르는 양식장 중 실제로 가용되는 부분은 가장자리 부분에 지나지 않게 된다. 이를 다른 측면에서 보면, 기존의 새우 양식장에서는 오염물질을 중심부위로 몰아가고 가장자리 부분만이라도 생육조건을 유지하면서 새우를 양식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양식이 종료된 가을이나 겨울에 이르러서야 양식장 내 함수를 배출한 후 바닥을 긁어내거나 터파기를 함으로써, 바닥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다음 해의 양식을 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새우 양식장은 오염물질로 말미암아 새우를 생육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기가 어렵고 새우의 폐사율이 높으며, 큰 수중 공간 즉, 양식장에 담긴 함수 중에서 가용 새우 서식공간은 크게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계절에 바닥 긁기나 터파기가 대규모로 행해져야만 하고, 터파기로 인하여 수심이 불필요하게 깊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오염도를 낮추고 새우의 생육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새우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고, 가용 새우 서식공간의 비율을 높여서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새우 양식장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새우 양식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새우 양식장에 있어서, 양식장 경계 내부에는 칸막이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경계 내부를 다수의 양식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분한다.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양식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식조 내에 순환 수로가 형성되게 하는 분리막이 설치된다. 순환 수로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양식조 내에 해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수류형성 장치에 의해 상기 순환 수로 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침전지 내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을 펌프에 의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침전지 내에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는 상기 양식조의 양측 단부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 내에는 제1 및 제2 침전조가 설치된다. 제2 침전조는 제1 침전조 후단에 설치되며, 제1 침전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수면을 따라 직접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방으로 우회하여 통과하도록 하는 차단판이 상하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침전조에서 물이 유입되는 측벽은 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막 좌우의 순환 수로 부분저면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측벽에는 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측에 수류 관통을 위한 개구가 마련되도록 물가림판이 제1 침전조의 상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칸막이는 토사, 콘크리트, 합성수지 패널, 부직포, 일반 천, 합성수지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은 합성수지 패널, 부직포, 일반 천, 합성수지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새우 양식장 시공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양식장 부지의 경계 내부에 복수의 칸막이를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하여 다수의 양식조를 획정하고, 다수의 양식조 내부에 터파기를 하여 적어도 하나의 침전지를 형성한다. 이어서,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하여, 양식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분리막을 설치하여 양식조 내에 순환 수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양식조 내에 해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수류형성 장치에 의해 순환 수로 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침전지 내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은 펌프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칸막이를 설치하고 침전지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복수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다수의 양식조를 획정한 후에, 각 양식조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침전지를 형성한다. 상기 침전지는 양식조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단부 내측에 두 개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칸막이를 설치하고 침전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먼저 상기 칸막이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양식조들의 각 단부들이 연결되게 굴착함으로써, 다수의 양식조들에 의해 공유되도록 침전지를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복수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다수의 양식조를 구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도, 침전지 내에는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한 침전조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는 하측에 수류 관통 개구가 마련되도록 침전지의 상류측에 물가림판을 설치하여, 새우들이 침전지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우 양식장에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계외로 배출하여 오염도를 낮추고 새우의 생육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새우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식장 내에 데드 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양식장 내에서 가용 새우 서식공간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오염물질이 상시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양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계절에 바닥 긁기나 터파기라는 대규모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며, 해마다 수심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식장 내에 마련되는 다수의 양식조들이 칸막이에 의해 구분되기 때문에, 어느 한 양식조에 바이러스가 침투한 경우에도 질병이 다른 양식조로 전파될 가능성을 낮추어 양식장 내에서 양식되는 새우가 집단폐사하게 될 가능성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양식장의 공간 활용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동일한 생산량을 위해 필요한 양식장 면적을 줄일 수도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은 종래의 새우 양식장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우 양식장의 평면도;
도 3은 제1 및 제3 침전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제2 및 제4 침전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침전지 형성을 위하여 굴착되는 부분을 보여주는 평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새우 양식장은 둑(100a~100d)에 의해 경계가 구분되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둑(100a~100d) 중에서 어느 일측의 둑(100a)은 양식장 함수를 외수와 단절시키기 위한 제방이 될 수 있다. 즉, 둑(100a)은 육지의 민물이 혼입되거나 양식장 함수가 육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제방이 될 수 있고, 외해 바닷물이 양식장 내로 의도치 않게 유입되거나 양식장 함수가 외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조제방이 될 수도 있다. 다른 둑(100b~100d)은 다른 양식장 또는 수로와의 경계가 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통행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둑(100a~100d) 중 어느 하나의 둑(100b)의 외측에는 양식장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로(98)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둑(100d)의 외측에는 양식장의 함수 특히 본 발명에 의해 배출하고자 하는 오염수를 외해에 배출하고자 하는 배수로(99)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식장 내부는 약 4 미터(m) 간격으로 칸막이들(110~150)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양식장은 다수의 양식조로 구분된다. 도 2에서는, 다섯 개의 칸막이(110~150)에 의해 양식장이 여섯 개의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칸막이(110~150)는 토사나 콘크리트에 의해 둑 형태로 설치되며, 이와 같은 경우 칸막이(110~150)는 사료 급여를 위한 통행로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칸막이(110~150)가 합성수지 또는 여타의 소재로 된 패널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칸막이(110~150)가 부직포 또는 여타 형태의 천이 될 수도 있다. 천에 비닐을 덧대어 칸막이(110~15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수의 칸막이(110~150) 중에서 2개~5개마다 하나는 토사나 콘크리트에 의해 둑 형태로 시공하고, 그 사이에 있는 칸막이는 부직포나 여타의 천, 또는 패널로써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둑 형태로 설치되는 칸막이로 말미암아 칸막이(110~150)의 바이러스 차단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인접된 양식조들(200, 300, 440, 550, 600, 700) 사이에는 해수의 공급을 원활하기 위한 수로가 마련될 수 있고, 특히 선택적으로 수로를 개방하기 위한 갑문이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수로나 갑문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1 양식조(200)에는 제1 양식조(200)의 양쪽 단부에 이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양식조(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리막(21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양식조(200)에는 폭이 약 2 m인 순환 수로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막(210)은 부직포 또는 여타 형태의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천에 비닐을 덧대어 분리막(21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분리막(210)이 토사나 콘크리트로 구성된 둑이 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 또는 여타의 소재로 된 패널이나 시트가 될 수도 있다. 제1 양식조(200)의 일측에는 용수로(98)에 있는 해수를 유입하기 위한 수로나 갑문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양식조(200)에서 길이 방향 일 단부에는 제1 침전지(220)가 마련되고, 타 단부에는 제2 침전지(250)가 마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침전지(220)에는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가 설치되고, 제2 침전지(250)에는 제3 및 제4 침전조(260, 270)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침전지(220, 250)와 제1 내지 제4 침전조(230, 240, 260, 270)의 깊이는 분리막(210) 양측의 직선형 수로(212, 214)보다 2 m 가량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인 깊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침전조(230)는 저면(232)이 밀폐된 통 형태로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침전조(230)에서 수류가 유입되는 측벽(234)의 상단 모서리는 제1 양식조(200)의 직선형 수로(212)로부터 양식조 함수가 직접 넘어오지 못하도록 다른 측벽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234)에서 제1 양식조(200)의 직선형 수로(212)의 저면에 상응한 높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개구(236)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개구(236)를 통해서 직선형 수로(212)의 수류가 유입된다. 제1 침전조(230)의 저면 상에는 수중 모터(미도시됨)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거나 적어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침전조(260)는 제1 침전조(23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침전조(240)는 저면(242)이 밀폐된 통 형태로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침전조(240)의 하측 부분(244)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침전되는 오염물질이 저면 중앙부위로 용이하게 집중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침전조(240)의 상측에는 제1 침전조(230)의 측벽을 넘어 유입되는 수류가 제2 침전조(240)의 수면을 통해 곧바로 직선형 수로(214)로 진행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차단판(246)이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침전조(240)의 측벽을 넘어 유입되는 수류는 차단판(246)에 의해 하방으로 진행하도록 유도되고, 차단판(246)의 하단을 돌아서 다시 상방으로 진행한 후에 직선형 수로(214)로 진행하게 된다. 제2 침전조(240)의 저면 상에도 수중 모터(미도시됨)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거나 적어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4 침전조(270)는 제2 침전조(240)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분리막(210) 양측의 직선형 수로에는 용존산소를 조절하고 제1 양식조(200) 내에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수차(280~286)가 설치된다.
한편 제2 내지 제5 양식조들(300, 440, 550, 600, 700)은 제1 양식조(200)와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한편으로, 각 칸막이(110~150)마다 레일을 설치하고, 양식장 상방에 레일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사료급여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새우 양식장은 다음과 같이 시공될 수 있다.
먼저, 둑(100a~100d)에 의해 경계가 구분되는 새우 양식장에 약 4 m 간격으로 칸막이들(110~150)을 설치하여, 칸막이(110~150)에 의해 구분되는 다수의 양식조들(200, 300, 440, 550, 600, 700)을 획정한다. 아울러, 각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의 양측 단부에서 저면을 파내어 제1 및 제2 침전지(220, 250)를 형성한다. 그 다음, 제1 침전지(220)에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를 설치한다.
실제 시공에 있어서는, 칸막이(110~150)를 설치하기 이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에 대한 침전지(220, 250)를 한꺼번에 굴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침전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공이 크게 간편해진다. 굴착 후에는 각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에 대한 제1 침전지(220)에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를 설치하고 제2 침전지(250)에 제3 및 제4 침전조(260, 270)를 설치한 다음, 칸막이들(110~150)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는 예컨대 FRP와 같은 소재로 사전에 제작된 것을 제1 침전지(220)에 설치할 수도 있고, 제1 침전지(220)의 벽면에 그대로 또는 거푸집을 댄 상태로 합성수지를 부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를 동시에 형성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어,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침전지(250)에 제3 및 제4 침전조(260, 270)를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의 경계 부분과 제3 및 제4 침전조(260, 270)의 경계 부분 사이에 분리막(210)을 설치하여, 분리막(210) 양측의 직선형 수로(212, 214)와 제1 및 제2 침전지(220, 250)로 구성되는 순환 수로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새우 양식장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용수로(98) 내에 있는 해수를 각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에 유입한다. 먼저, 용수로(98)와 양식조(200)를 연결하는 수로 및 갑문을 통해 양식조(200)에 해수를 유입한 후, 인접된 양식조들(200, 300, 440, 550, 600, 700) 사이에 마련된 수로 및 갑문을 통해 나머지 양식조들(300, 440, 550, 600, 700)애 해수를 유입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치하를 입식하기 전에 충분히 이른 시간에 모터를 사용하여 각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에 해수를 채울 수도 있다.
해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예컨대 제1 양식조(200)에서 직선형 수로(212, 214) 부분은 수심이 약 1 m가 되고, 제1 및 제2 침전지(220, 250)의 수심은 약 3 m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에 수차(280~286)를 설치하고, 양식조 내에 인공부화장에서 부화된 치하를 입식한다.
새우 양식 과정에서, 양식조 내에는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축적된다. 예를 들어, 새우 사료로는 통상 오징어 내장을 밀가루와 반죽해서 만든 사료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사료 중 새우에 의해 포획되지 않은 사료 찌꺼기가 지속적으로 축적된다. 또한, 새우가 성장함에 따라 새우 배설물도 큰 폭으로 증가한다. 아울러, 새우는 통상 식용으로 적합한 성체로 성장할 때까지 약 30회의 탈피과정을 거치는데, 수천평 내지 수만평에 달하는 광대한 양식장에서 밀식되는 새우의 탈피된 껍질은 그 양이 많을뿐더러, 새우 성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성장 과정에서 일부 새우는 여러 가지 이유로 죽는데, 새우 사체도 적지 않은 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오염물질 중 일부는 양식조 저면에 가라앉고 나머지 일부는 함수에서 부유된 상태로 있게 된다.
수차(280~286)가 회전함에 따라 새우의 생존에 필요한 함수내 용존산소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데, 이와 같은 수차(280~286) 동작 과정에서 양식조 내에는 낮은 유속의 수류가 형성된다. 예컨대, 도 2에서 제1 양식조(200) 내에는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류로 말미암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수로(212) 내에 있는 함수는 제1 침전조(230)의 측벽(234)에 형성된 개구(236)를 통해 제1 침전조(23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236)가 직선형 수로(212)의 저면에 상응한 높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형 수로(212)의 저면에 침전된 큰 오염물질들도 효과적으로 제1 침전조(23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침전조(230)에서 수류가 유입되는 측벽(234)의 상단 모서리가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형 수로(212) 내에 있는 함수 중에서 상층수와 새우들은 제1 양식조(200)에 거의 유입되지 않는다. 제1 침전조(230)에서 함수 내에 있는 오염물질, 특히 크기가 크고 비중이 큰 오염물질은 제1 침전조(230) 저면에 침전된다.
제1 침전조(230)에서 내에 있는 함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오염물질이 적은 상층수는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의 측벽을 넘어서 제2 침전조(240)로 유입된다. 이때, 제2 침전조(240)에 유입되는 수류는 차단판(246)으로 말미암아 제2 침전조(240)의 수면을 통해 곧바로 직선형 수로(214)로 진행하지는 못하게 되고, 차단판(246)에 의해 하방으로 진행하도록 유도된다. 수류는 차단판(246)의 하단을 돌아서 다시 상방으로 진행한 후에 직선형 수로(214)로 진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류 내에 잔류하는 미세 오염물질들이 추가적으로 제2 침전조(240) 저면에 침전된다. 특히, 제2 침전조(240)의 하측 부분(244)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은 저면 중앙부위로 용이하게 집중될 수 있게 된다.
제1 침전조(230)의 저면 상에 설치되는 수중 모터(290)의 토출구에는 토출관(미도시됨) 내지 호스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관의 타 단부는 배수로(99) 인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중 모터(290)는 오염물질 농도가 높은 제1 침전조(230)의 저면 상의 함수를 배수로(99)로 배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침전조(240)의 저면 상에 설치되는 수중 모터(292)의 토출구에는 토출관(미도시됨) 내지 호스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관의 타 단부는 배수로(99) 인근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중 모터(292)는 오염물질 농도가 높은 제2 침전조(240)의 저면 상의 함수를 배수로(99)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수중 모터들(290, 292)에 의해 배출되는 배출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예컨대 케익 형태로 만들어 다른 경로로 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수중 모터들(290, 292)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 내에 투입하여 필요할 때에만 오염물질 배출을 행할 수도 있다. 수중 모터들(290, 292)이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수중 모터들(290, 292)을 부정기적으로, 예컨대 1주일 내지 보름에 한번씩, 필요시에만 가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침전조(230, 240)와 수중 모터들(290, 292)의 동작 과정을 통해 제1 양식조(200) 내에서 생성, 축적되는 오염물질은 효과적으로 배수로(99)로 배출되며, 제1 양식조(200) 내의 함수는 새우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하도록 양호한 환경이 조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양식조(200) 내에서의 사육밀도가 높아질 수 있고 새우의 치사율을 낮추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내지 제6 양식조(300, 400, 500, 600, 700) 내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새우 양식을 할 수 있으며, 데드 존이 없기 때문에 생산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배수로(99)로 배출된 오염수로 해양으로 배출하여 해수의 자정 작용으로 분해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새우는 영역 인식 성향이 강해서 생장 과정에서 대략 1.8 미터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순간적으로 벗어났다 하더라도 다시 돌아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성향으로 말미암아 새우는 통상 2 m 이내의 범위 내에서만 살게 된다. 따라서, 양식조(200, 300, 400, 500, 600, 700) 내에서 새우가 주로 서식하는 직선형 수로(212, 214) 구간의 폭을 대략 2 m 정도로 하는 경우, 새우의 생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이상의 설명에서는 각 양식조가 칸막이에 의해 완전히 구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접한 양식조들에 상시 개방된 수로를 마련해둘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양식조(200)의 끝부분과 제2 양식조(300)의 시작부분을 연결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식조들(300, 400, 500, 600, 700)을 수로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새우들이 서식하는 구간인 직선형 수로(212, 214) 부분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6 양식조(700)의 끝부분과 제1 양식조(200)의 시작부분은 별도의 수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양식조가 완전히 구분되는 경우에는, 바이러스 유입시에 바이러스가 다른 양식조로 전파되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양식조들이 연결된 경우에는, 자연증발 및 오염수 배출에 상응하여 행해져야 하는 급수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각 양식조에서 침전지(220, 250) 내에 침전조들(230, 240, 260, 270)이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침전조들을 별도로 마련하지 아니하고, 침전지(220, 250) 저면에 오염물질들이 침전되도록 하고 수중 모터에 의해 오염수들을 배출할 수도 있다. 특히, 다수의 양식조(200, 300, 440, 550, 600, 700)에 대한 침전지가 한꺼번에 굴착된 경우에는 칸막이들(110~150)을 침전지 저면에 이르도록 설치할 수도 있지만, 다수의 양식조에 대한 침전지가 서로 연통되어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바이러스 침투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은 높아지지만, 펌수의 소요 대수가 감소하고 오염물질의 배출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상에서는 각 침전지에 두 개의 침전조들이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각 침전지에 하나의 침전조만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이상에서는 제1 침전조(230)에서 수류가 유입되는 측벽(234)의 상단 모서리가 다른 측벽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234)에서 제1 양식조(200)의 직선형 수로(212)의 저면에 상응한 높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개구(236)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측에 개구가 형성되거나 또는 직선형 수로(212)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단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물가림판이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a: 제방
10b~10d: 통행용 둑
20a~20h: 수차
30: 데드 존(Dead Zone)
98: 용수로, 99: 배수로
100a~100d: 둑
110~150: 칸막이
200, 300, 440, 550, 600, 700: 양식조
210: 분리막, 212, 214: 직선형 수로 구간
220: 제1 침전지
230: 제1 침전조, 234: 측벽, 236: 개구
240: 제2 침전조, 246: 차단판
260: 제3 침전조
270: 제4 침전조
250: 제2 침전지
280~286: 수차
290, 292: 수중 모터

Claims (14)

  1. 경계를 구비하는 새우 양식장으로서,
    상기 경계 내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경계 내부를 다수의 양식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분하는 칸막이;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하여 설치되며, 상기 양식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식조 내에 순환 수로가 형성되게 하는 분리막; 및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서 상기 길이방향 양측 단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순환 수로 내에 있는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지;
    를 구비하여, 상기 양식조 내에 해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수류형성 장치에 의해 상기 순환 수로 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침전지 내에 침전되는 상기 오염물질을 펌프에 의하여 배출할 수 있는 새우 양식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상기 침전지 내에 고정 설치되는 새우 양식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 내에
    제1 침전조; 및
    상기 제1 침전조 후단에 설치되며, 제1 침전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수면을 따라 직접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방으로 우회하여 통과하도록 하는 차단판이 상하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2 침전조;
    가 설치되는 새우 양식장.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침전조에서 상기 물이 유입되는 측벽이 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막 좌우의 상기 순환 수로 부분저면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측벽에 상기 물을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새우 양식장.
  5.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측에 수류 관통 개구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침전조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물가림판;
    을 더 구비하는 새우 양식장.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가 토사, 콘크리트, 합성수지 패널, 부직포, 일반 천, 합성수지 시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되어 있는 새우 양식장.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이 합성수지 패널, 부직포, 일반 천, 합성수지 시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되어 있는 새우 양식장.
  8. 경계를 구비하는 양식장 부지에서, 상기 경계 내부에 복수의 칸막이를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하여 다수의 양식조를 획정하고,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칸막이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상기 양식조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 내측에 터파기를 하여 오염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침전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양식조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분리막을 설치하여 상기 양식조 내에 순환 수로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양식조 내에 해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수류형성 장치에 의해 상기 순환 수로 내에 수류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침전지 내에 침전되는 상기 오염물질을 펌프에 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새우 양식장 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를 설치하고 상기 침전지를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복수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상기 다수의 양식조를 획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침전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를 설치하고 상기 침전지를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칸막이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양식조들의 각 단부들이 연결되게 굴착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양식조들에 의해 공유되도록 상기 침전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상기 다수의 양식조를 획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를 설치하고 상기 침전지를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침전지 내에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한 침전조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서 하측에 수류 관통 개구가 마련되도록 상기 침전지의 상류측에 물가림판을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134607A 2010-12-24 2010-12-24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KR10135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607A KR101355382B1 (ko) 2010-12-24 2010-12-24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PCT/KR2011/009756 WO2012086970A2 (ko) 2010-12-24 2011-12-16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607A KR101355382B1 (ko) 2010-12-24 2010-12-24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728A KR20120072728A (ko) 2012-07-04
KR101355382B1 true KR101355382B1 (ko) 2014-02-20

Family

ID=4631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607A KR101355382B1 (ko) 2010-12-24 2010-12-24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5382B1 (ko)
WO (1) WO2012086970A2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8381A (zh) * 2015-06-09 2015-09-30 广东海洋大学 一种多鳞鱚与对虾低位土塘混养方法
CN105010184A (zh) * 2015-07-06 2015-11-04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虾水泥池内集约化人工孵化的方法
CN105028277A (zh) * 2015-07-09 2015-11-11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提高青虾亲本繁殖能力的方法
CN105075939A (zh) * 2015-07-06 2015-11-25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用豆浆养殖青虾幼体的方法
CN105145415A (zh) * 2015-07-06 2015-12-16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虾幼体的育苗方法
CN105145414A (zh) * 2015-07-06 2015-12-16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水泥池内集约孵化青虾的方法
CN105145416A (zh) * 2015-07-06 2015-12-16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虾人工繁殖亲本的选育方法
CN105360026A (zh) * 2015-11-12 2016-03-02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虾养殖方法
CN105613371A (zh) * 2015-12-24 2016-06-01 苏州市阳澄湖三家村蟹业有限公司 白虾的高产养殖方法
KR20160096878A (ko) 2015-02-06 2016-08-17 한국해양자원연구소 주식회사 어업회사법인 갑각류 양식의 생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갑각류 양식지, 갑각류 양식지 시공방법 및 갑각류 양식 시스템
CN109122443A (zh) * 2018-08-13 2019-01-04 广州蓝灵水处理设备有限公司 澳洲淡水龙虾循环水抱卵孵化系统及育苗方法
KR102122855B1 (ko) 2019-01-30 2020-06-15 임상택 새우 양식장 관리시스템
KR102456589B1 (ko) 2021-11-19 2022-10-21 장철호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8936A (zh) * 2013-06-17 2013-10-16 句容市句容水库管理所 一种赤眼鳟鱼种的养殖方法
CN104445809A (zh) * 2014-11-07 2015-03-25 盐城工学院 对虾养殖循环水处理工艺
CN106212328B (zh) * 2016-07-15 2020-04-07 汕头市海洋与水产研究所 一种利用温棚越冬养殖2造次凡纳滨对虾的方法
CN107897101B (zh) * 2017-12-25 2023-07-04 慈溪市龙武渔业专业合作社 一种虾菜轮作生态养殖塘
KR20200055226A (ko) 2018-11-13 2020-05-21 이상철 새우 공식 방지 어초가 구비되는 수조 구조체
CN111096259A (zh) * 2019-12-24 2020-05-05 天津海友佳音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全封闭循环水养殖虾的方法和装置
CN112119965A (zh) * 2020-10-10 2020-12-25 贾博 一种智能节能环保高产圆形养殖池
CN113683133B (zh) * 2021-08-27 2022-11-29 安徽农业大学 一种光唇鱼养殖和尾水净化利用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901B2 (ja) * 1989-09-12 1998-08-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養殖用水槽
JP2002320427A (ja) * 2001-04-27 2002-11-05 Denshi Bussei Sogo Kenkyusho:Kk 魚介類養殖装置
KR100706273B1 (ko) * 2005-09-29 2007-04-1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순환여과양식시스템 및 새우 사육수 순환여과방법
KR20080105939A (ko) * 2007-06-01 2008-12-04 김병옥 순환 유수식 양어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901B2 (ja) * 1989-09-12 1998-08-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養殖用水槽
JP2002320427A (ja) * 2001-04-27 2002-11-05 Denshi Bussei Sogo Kenkyusho:Kk 魚介類養殖装置
KR100706273B1 (ko) * 2005-09-29 2007-04-1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순환여과양식시스템 및 새우 사육수 순환여과방법
KR20080105939A (ko) * 2007-06-01 2008-12-04 김병옥 순환 유수식 양어장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878A (ko) 2015-02-06 2016-08-17 한국해양자원연구소 주식회사 어업회사법인 갑각류 양식의 생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갑각류 양식지, 갑각류 양식지 시공방법 및 갑각류 양식 시스템
CN104938381A (zh) * 2015-06-09 2015-09-30 广东海洋大学 一种多鳞鱚与对虾低位土塘混养方法
CN105075939A (zh) * 2015-07-06 2015-11-25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用豆浆养殖青虾幼体的方法
CN105145415A (zh) * 2015-07-06 2015-12-16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虾幼体的育苗方法
CN105145414A (zh) * 2015-07-06 2015-12-16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水泥池内集约孵化青虾的方法
CN105145416A (zh) * 2015-07-06 2015-12-16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虾人工繁殖亲本的选育方法
CN105010184A (zh) * 2015-07-06 2015-11-04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虾水泥池内集约化人工孵化的方法
CN105028277A (zh) * 2015-07-09 2015-11-11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提高青虾亲本繁殖能力的方法
CN105360026A (zh) * 2015-11-12 2016-03-02 安徽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虾养殖方法
CN105613371A (zh) * 2015-12-24 2016-06-01 苏州市阳澄湖三家村蟹业有限公司 白虾的高产养殖方法
CN109122443A (zh) * 2018-08-13 2019-01-04 广州蓝灵水处理设备有限公司 澳洲淡水龙虾循环水抱卵孵化系统及育苗方法
KR102122855B1 (ko) 2019-01-30 2020-06-15 임상택 새우 양식장 관리시스템
KR102456589B1 (ko) 2021-11-19 2022-10-21 장철호 친환경 대형 양식장에 설치되는 새우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6970A3 (ko) 2012-10-11
WO2012086970A2 (ko) 2012-06-28
KR20120072728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382B1 (ko)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US11598064B2 (en)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KR101360271B1 (ko)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JP5639301B1 (ja) 魚回収システムおよび魚回収方法
CN107018941B (zh) 一种循环生态养殖系统及浮箱
US20170118963A1 (en) Farming apparatus for aquatic organisms living in sandy soil
CN105532556B (zh) 一种适宜多阶段鲟鱼养殖的鱼种池
JP6445200B2 (ja) 魚介類養殖装置
CN109068618A (zh) 用于鱼类养殖的装置和方法
KR100735830B1 (ko) 빌딩형 양식장
CN109548721B (zh) 一种海参的后期池塘养殖方法
US20230203771A1 (en)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CN109678304A (zh) 一种用于养殖鲥鱼的铁含量超标浅井水的系统化处理系统
CN211298120U (zh) 加州鲈鱼循环水养殖车间
JP5913717B1 (ja) 砂地生息水中生物の養殖装置
CN211185489U (zh) 加州鲈鱼循环水培育系统
RU26853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оизводства лососевых рыб в условиях речного потока
CN109258440B (zh) 一种渔光一体池塘工程化循环水养殖系统的实施方法
JPH09313067A (ja) 養殖池の構造
CN108684598B (zh) 智能化海水池塘休闲景观生态养殖系统
CN101092271A (zh) 水产养殖水域底层水体减污排污增氧方法及设施
JP2017086060A (ja) 砂地生息水中生物の養殖装置
KR20120083783A (ko) 정착성 저서동물의 사육조와 이를 이용한 순환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CN205320950U (zh) 集约化虹鳟鱼养殖池排污设施
JP2002262706A (ja) 海水等利用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