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691B1 -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691B1
KR102485691B1 KR1020200097264A KR20200097264A KR102485691B1 KR 102485691 B1 KR102485691 B1 KR 102485691B1 KR 1020200097264 A KR1020200097264 A KR 1020200097264A KR 20200097264 A KR20200097264 A KR 20200097264A KR 102485691 B1 KR102485691 B1 KR 10248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flow rate
accommodating
farming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141A (ko
Inventor
박경일
김승현
김애니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6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5Baske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에 하부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용기형태이며, 패류를 수용하는 개별 홀더를 복수 개 포함하는 패류 수용부; 및 상기 패류 수용부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상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는 유속이 빠른 해류 환경에서 패류의 양식에 적합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유속을 저감하고, 패류간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며, 패류 배설물이 신속히 제거되어 패류의 양식을 안정적,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Bivalve culture plate designed to reduce water flow velocity}
본 발명은 패류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속을 저감하여 패류의 안정적 생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고안된 패류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산 패류는 수산 자원으로서 산업적 가치가 매우 우수한 생물이다. 따라서 이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양식어업이 전 세계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패류는 크게 조간대의 저질에 잠입하여 서식하는 잠입성 패류와 수중의 기질에 부착하는 고착성 패류로 구분된다. 잠입성 패류는 대부분 부족강의 백합류가 경제적으로 유용한 종이며 바지락, 말백합, 동죽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갯벌의 저질에 잠입한 채 입수공과 출수공을 저질 표면에 노출하고 수중의 먹이를 섭취한다. 반면, 고착성 패류는 굴과 담치가 대표적인 생물이며, 조하대의 기질에 부착한 채 패각을 열고 수중의 먹이를 섭취한다.
잠입성패류나 고착성패류의 양식 적지는 주위가 육지로 둘러 쌓인 내만의 조간대나 육지 인근 연안이다. 이러한 해역에서의 패류 양식은 지난 수십 여년 간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2009년 약 10만톤을 생산하여 최대 생산량을 기록하였으나 이후 약 8만톤으로 감소한 후 최근 10여 년간 생산량의 정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생산량 정체의 원인은 패류양식장이 밀집한 연안 해역의 환경악화나 질병발생의 증가 등이 논의 되고 있으며, 양식 허가 건수나 면적도 2017년부터 감소세로 들어섰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패류양식장이 위치한 연근해를 벗어난 신규 양식장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신규 패류양식장으로서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외해역이 기존 연안 양식장의 대안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패류 양식장을 개발하는데 있어 세계식량기구(FAO)에서는 해당 해역의 유속이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함을 보고하였다. 바지락의 경우 생육의 적정 유속은 초당 8cm이하, 굴과 꼬막류는 2-10cm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외해역은 일반적으로 연안에 비해 수질환경은 우수하나 유속이 너무 빨라 패류양식지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일례로 전라북도 고군산군도 인근 외해의 경우 유속이 평균 40.7cm/s (최저 1-최고 101cm/s)로써 남해안 연안의 패류양식 해역보다 약 3배 이상 빠르다. 유속이 빠를 경우 먹이섭취의 불량 및 이로 인한 성장률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속이 빠른 해류 환경에서 패류 양식에 적합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유속을 저감하고, 해수 유동 시 패류간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며, 패류 배설물이 신속히 제거될 수 있는 양식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패류 양식장치 중 유속을 저감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의 개발은 미미한 수준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66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유속이 빠른 해류 환경에서 패류의 양식에 적합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유속을 저감하고, 패류간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며, 패류 배설물이 신속히 제거될 수 있는 유속 저감 패류 양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하단에 하부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용기형태이며, 패류를 수용하는 개별 홀더를 복수 개 포함하는 패류 수용부; 및 상기 패류 수용부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상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개별 홀더는 역원뿔형 또는 역다각뿔형일 수 있다.
상기 개별 홀더의 높이는 10 내지 200 mm 일 수 있다.
상기 개별 홀더의 상단 직경은 10 내지 200 mm 일 수 있다.
상기 개별 홀더의 하부 구멍의 직경은 3 내지 50 mm 일 수 있다.
상기 개별 홀더는 측면에 형성된 측면 구멍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구멍은 1 내지 10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구멍은 상기 개별 홀더의 하단으로부터 3 내지 50 mm 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구멍의 직경은 3 내지 50 mm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류 수용부는 복수 개의 개별 홀더들이 수평으로 규칙적 배열되어 판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에 상기 패류 수용부의 개별 홀더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상부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멍은 각각의 개별 홀더 상단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멍의 직경은 3 내지 30 mm 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가장자리가 상기 패류 수용부 측으로 5 내지 10 mm 너비만큼 직각으로 접힌 접힘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패류 수용부에 접촉하는 면과 반대 측면인 외측 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류 수용부와 커버부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신축성이 있는 밴드 형일 수 있다.
상기 개별 홀더의 하부 구멍과 상기 하부 구멍과 연결되는 개별 홀더의 측면은 돌출구조 없이 매끈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패류 수용부와 커버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를 단수 또는 복수로 수용하는 그물망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를 이용한 패류 양식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패류 양식방법에 따라 양식되는 패류는 꼬막(Tegillarca granosa),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굴(Crassostrea gigas), 홍합(Mytilus coruscus) 및 백합(Meretrix lusori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는 수질환경은 좋으나 유속이 빨라 그동안 불모지로 여겨졌던 외해역의 고유속 환경에서 패류양식을 가능케 함으로써 고품질의 패류생산 및 이를 통한 어민 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매끈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의도적 부착생물의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어 패류 양식장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조간대에서 양식되고 있는 잠입성 패류의 경우 1일 2회 발생하는 간조시 먹이 섭취가 불가하며, 여름철과 겨울철 고온과 저온에 노출됨으로써 생리적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나 외해 수하 양식의 경우 24시간 동안 먹이 섭취가 가능하며 조간대보다 물리적 안정성이 높으므로 패류의 양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현재 수산양식이 만연된 우리나라 연근해는 육지에서 발원한 다양한 오염물질과 지난 수십 년간 양식 활동이 지속되면서 양식과정에서 발생한 자체 오염물질이 축적됨으로써 해양환경이 악화되고 있으므로, 육지 오염원으로부터 멀고 유속이 빨라 오염물질의 확산도 빠르므로 현재까지 청정해역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청정해역에서 생산시 고부가가치 수산물로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포함된 패류 수용부(2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패류 수용부(20)에 포함되는 개별 홀더(22)에 패류가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역사각뿔형 개별 홀더(22)의 규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역원뿔형 개별 홀더(22)의 규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포함된 커버부(30)의 내측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포함된 커버부(30)의 외측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형태의 그물망(50)에 복수의 패류 양식장치(10)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포함된 패류 수용부(2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패류 수용부(20)에 포함되는 개별 홀더(22)에 패류가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역사각뿔형 개별 홀더(22)의 규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역원뿔형 개별 홀더(22)의 규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포함된 커버부(30)의 내측을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포함된 커버부(30)의 외측을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다양한 형태의 그물망(50)에 복수의 패류 양식장치(10)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10)는 패류 수용부(20) 및 커버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류 수용부(20)는 하단에 하부 구멍(24)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용기형태이며, 패류를 수용하는 개별 홀더(22)를 복수 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별 홀더(22)는 역원뿔형 또는 역다각뿔형 일 수 있고, 역다각뿔은 역삼각뿔, 역사각뿔, 역오각뿔, 역육각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능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역사각뿔형과 역원뿔형만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패류는 종에 따라 다르나 유속이 5~50cm/초의 유속일 때 원활한 먹이 섭취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외해역에서는 100cm/초 가량의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패류의 서식 및 성장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도입된 패류 수용부(20)의 개별 홀더(22)들은 패류를 수용하여 해류의 직접적 영향을 차단하면서 개별 홀더(22) 내의 유속이 저감되도록 하고, 개별 홀더(22)의 하부, 상단, 필요에 따라 측면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먹이 섭취에는 충분하지만 서식이나 성장에 불리한 과도한 유속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패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경우 패각이 서로 부딪혀 손상될 수 있어 패류의 폐사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패류 양식장치는 개별 홀더(22) 각각이 패류 1개체의 독립된 공간이 되므로 패류간 접촉이나 간섭이 없으므로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패각 손실이나 먹이경쟁에 따른 성장 둔화를 방지할 수 있다.
개별 홀더(22)는 측면이 직선형으로 사선을 이루고 있고 하부 구멍(24)과의경계에 어떠한 돌출 구조없이 매끈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수용된 패류가 성장하면서 배설하는 배설물이 정체되지 않고 하부 구멍(24)이나 아래에서 추가 설명할 측면 구멍(26)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개별 홀더(22)의 크기를 살펴보면 높이가 10 내지 200 mm, 상단 직경이 10 내지 200 mm, 하부 구멍(24)의 직경이 3 내지 50 mm 일 수 있다.
본 양식장치의 설치 해역의 유속이 양식대상 종의 최적 유속을 약간 상회하는 경우에는 개별 홀더(22)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구멍(2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속과 양식하는 패류의 종에 따라 1 내지 10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설물의 신속한 배출과 유속 저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측면 구멍(26)은 2 내지 4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측면 구멍(26)은 조류 즉 해류의 방향과 수평을 이루고 있으므로 측면 구멍을 통한 해수의 유동이 양식장치 내부의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양식장치 내부의 유속을 결정하는 가장 주요한 요소는 측면 구멍(26)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식장치가 설치되는 해역의 유속이 양식되는 해당 패류의 최적 성장을 위한 유속에서 미약하게 상회하는 경우에는 측면 구멍(26)을 형성하여 해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해당 패류의 성장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양식하는 패류의 최적 성장을 위한 유속에 비하여 해역의 유속이 현저히 빠른 경우에는 측면 구멍(26)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커버부(30)의 상부 구멍(34) 통해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최적화된 유속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구멍(26)은 상기 개별 홀더(22)의 하단으로부터 3 내지 50 mm 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고, 측면 구멍(26)의 직경은 3 내지 50 mm 일 수 있다.
패류 수용부(20)는 복수 개의 개별 홀더(22)들이 수평으로 규칙적 연결되어 판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개별 홀더(22)가 연결되어 하나의 판으로 하여 다수의 패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는 덮개판(32) 및, 상기 덮개판에 상기 패류 수용부(20)의 개별 홀더(22)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상부 구멍(3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구멍(34)은 각각의 개별 홀더(22) 상단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구멍(34)의 직경은 3 내지 30 mm 일 수 있다. 유속이 빠른 곳은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유속이 느린 곳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각의 개별 홀더(22) 내로 외부의 해수가 빠른 유속에 따른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유입되고 유입된 해수로부터 양식되는 패류는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는 가장자리가 상기 패류 수용부(20) 측으로 5 내지 10 mm 너비만큼 직각으로 접힌 접힘부(38)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부(38)를 형성함으로써 커버부(30)가 패류 수용부(20)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커버부(30)는 패류 수용부(20)에 접촉하는 면과 반대 측면인 외측 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3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류 수용부(20)와 커버부(30)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4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부(40)는 신축성이 있는 밴드 형일 수 있다.
신축성 밴드 형의 결합부(40)는 복수 개의 돌출부(36)를 지지대로 하여 커버부(30)와 패류 수용부(20)를 결속함으로써 패류 양식장치(10)가 유속이 강한 해류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별 홀더(22)의 하부 구멍(24)과 상기 하부 구멍(24)과 연결되는 개별 홀더(22)의 측면은 돌출구조 없이 매끈하게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별 홀더(22) 내 양식되는 패류가 배설하는 배설물이 용이하게 흘러내려 하부 구멍(24)이나 측면 구멍(26)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패류 수용부(20)와 커버부(3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를 단수 또는 복수로 수용하는 그물망(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물망(50)은 원통형, 사면체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를 이용한 패류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패류 양식방법에 따라 양식되는 패류는 꼬막(Tegillarca granosa),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백합(Meretrix lusoria), 굴(Crassostrea gigas), 홍합(Mytilus coruscus) 등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에 의해 양식 가능한 모든 패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패류 양식장치
20: 패류 수용부
22: 개별 홀더
24: 하부 구멍
26: 측면 구멍
30: 커버부
32: 덮개판
34: 상부 구멍
36: 돌출부
38: 접힘부
40: 결합부
50: 그물망

Claims (22)

  1. 하단에 하부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용기형태이며, 패류를 수용하는 개별 홀더를 복수 개 포함하는 패류 수용부; 및
    상기 패류 수용부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상의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홀더는 역원뿔형 또는 역다각뿔형으로 상기 하부 구멍이 1개 형성되고,
    상기 개별 홀더의 내부 측면이 직선형으로 사선을 이루어 상기 하부 구멍과 돌출 구조없이 매끈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패류의 배설물이 정체되지 않고 상기 하부 구멍으로 배출되는 구조이고,
    상기 개별 홀더는 설치되는 해역의 유속에 따라 측면에 형성된 측면 구멍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측면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고 측면 구멍의 수가 1 내지 10개로 조절되고,
    상기 측면 구멍은 상기 개별 홀더의 하단으로부터 3 내지 50 mm 의 높이에 형성되고, 측면 구멍의 직경은 3 내지 50 mm 이고,
    상기 커버부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에 상기 패류 수용부의 개별 홀더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상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멍은 각각의 개별 홀더 상단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에 1개씩 형성되고,
    외해역 패류 양식을 위한 유속저감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홀더의 높이는 10 내지 20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홀더의 상단 직경은 10 내지 20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홀더의 하부 구멍의 직경은 3 내지 5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수용부는 복수 개의 개별 홀더들이 수평으로 규칙적 배열되어 판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멍의 직경은 3 내지 3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가장자리가 상기 패류 수용부 측으로 5 내지 10 mm 너비만큼 직각으로 접힌 접힘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패류 수용부에 접촉하는 면과 반대 측면인 외측 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수용부와 커버부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신축성이 있는 밴드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수용부와 커버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를 단수 또는 복수로 수용하는 그물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21.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10항, 제13항 내지 제17항, 제19항 및 제20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를 이용한 패류 양식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양식방법에 따라 양식되는 패류는 꼬막(Tegillarca granosa),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백합(Meretrix lusoria), 굴(Crassostrea gigas), 및 홍합(Mytilus coruscu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방법.
KR1020200097264A 2020-08-04 2020-08-04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KR10248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264A KR102485691B1 (ko) 2020-08-04 2020-08-04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264A KR102485691B1 (ko) 2020-08-04 2020-08-04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41A KR20220017141A (ko) 2022-02-11
KR102485691B1 true KR102485691B1 (ko) 2023-01-06

Family

ID=8026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264A KR102485691B1 (ko) 2020-08-04 2020-08-04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6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092A (ja) * 1998-12-01 2000-06-13 Susumu Ebisaki 二枚貝の養殖方法
JP2000188992A (ja) * 1998-12-22 2000-07-11 Mase Shoten:Kk 赤貝等貝類の養殖か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448Y2 (ko) * 1980-12-09 1987-09-24
JPH0856524A (ja) * 1994-08-24 1996-03-05 Ogura Boeki Kk アワビ等の中間育成方法及び中間育成器
KR20130063998A (ko) * 2011-12-07 2013-06-17 최영태 패류 양식장
KR20130104062A (ko) * 2012-03-12 2013-09-25 임지홍 쉘터조립체용 햇빛차단부재
KR101657774B1 (ko) * 2014-10-01 2016-09-19 이용철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KR101740791B1 (ko) * 2015-05-15 2017-05-29 (주)광명바이오산업 해상 전복양식용 아파트형 쉘터
KR101606673B1 (ko) 2015-08-04 2016-03-25 이광연 T자형 굴곡을 갖는 전복 양식용 쉘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092A (ja) * 1998-12-01 2000-06-13 Susumu Ebisaki 二枚貝の養殖方法
JP2000188992A (ja) * 1998-12-22 2000-07-11 Mase Shoten:Kk 赤貝等貝類の養殖か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41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uthgate Pearl oyster culture
JP2007236230A (ja) 野菜を与えるウニの養殖方法
JP2019534714A (ja) 幼生及び/又は水生生物を収容するデバイス、それらを水性環境において維持かつ養殖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206402939U (zh) 一种单体牡蛎养殖笼
Friedman et al. Availability of wild spat of the blacklip pearl oyster, Pinctada margaritifera, fromopen'reef systems in Solomon Islands
JP4813608B2 (ja) フジツボの養殖方法、及びその方法で得られる底面が平面状のフジツボ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JPH09289841A (ja) アワビ類の栽培方法
KR102485691B1 (ko) 유속저감 패류 양식장치
KR100906456B1 (ko) 이매패류 양식장치
JP2798382B2 (ja) 貝類養殖用海草植生シート
KR100764681B1 (ko) 피조개 양식 방법
KR102172207B1 (ko) 갯벌양식을 위한 이매패류의 채묘장치
KR101352899B1 (ko) 대게보육어초
JP2017074018A (ja) カキの採苗器
KR200149093Y1 (ko) 패류양식장치
JP2774932B2 (ja) 帆立貝等の貝類養殖篭
KR100466014B1 (ko) 패류를 어초로 유인하여 양식 채취하는 장치
JP3232772U (ja) 藻類の養殖システム
KR100494224B1 (ko) 전복양식을 위한 부표의 연결구조
KR20140009659A (ko) 패류 수산물의 양식장치
CN109757406B (zh) 金乌贼苗种增殖方法
CN210538205U (zh) 一种合浦珠母贝底播养殖装置
CN210538238U (zh) 一种底栖贝类苗种中间培育装置
JP2004290040A (ja) アワビの立体型高密度飼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