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681B1 - 피조개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피조개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681B1
KR100764681B1 KR1020040084599A KR20040084599A KR100764681B1 KR 100764681 B1 KR100764681 B1 KR 100764681B1 KR 1020040084599 A KR1020040084599 A KR 1020040084599A KR 20040084599 A KR20040084599 A KR 20040084599A KR 100764681 B1 KR100764681 B1 KR 100764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present
spraying
clam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224A (ko
Inventor
김천회
Original Assignee
김천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회 filed Critical 김천회
Priority to KR102004008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68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조개 양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조개 치패를 소정 기간동안 양식지의 수중에서 수하식으로 중간 양성시킨 후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하여 바닥식으로 양성시킴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피조개를 양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피조개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은, 채묘된 피조개 치패를 양식지에서 양성시키는 피조개 양식 방법에 있어서, 채묘된 피조개 치패를 용기에 담아 양식지의 수중에서 소정 기간동안 수하식으로 양성시키는 수하양성단계와, 상기 수하양성단계에서 수하식으로 양성된 피조개를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하여 양성시키는 바닥양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조개, 양식

Description

피조개 양식 방법{A METHOD FOR CULTURING ARK SHEL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의 수하양성단계에 사용되는 어구의 설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조개 양식방법의 수하양성단계에 사용되는 어구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피조개 양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조개 치패를 소정 기간동안 양식지의 수중에서 수하식으로 중간 육성시킨 후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하여 바닥식으로 육성시킴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피조개를 양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취율을 높일 수 있는 피조개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조개(학명:Scapharca broughtonii)는 이매패류에 속한다. 피조개는 패류 중에서는 드물게 혈색소가 헤모시아닌(Hemocyanin)이 아니라 헤모글로빈(Hemoglobin)인데, 이로 인해 살이 붉게 보인다. 피조개는 수심 3~50m의 비교적 파도가 적고 조류가 심하지 않은 내수면에서 주로 서식한다. 피조개의 먹이는 주 로 물속을 떠다니는 식물플랑크톤이나 펄속의 유기물 또는 생물체의 작은 조각들을 먹지만 때로는 동물플랑크톤을 아가미로 걸러서 먹는다. 피조개는 펄속에 잠입하여 서식하면서 펄속의 유기물을 섭취하기 때문에 피조개에는 철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피조개의 수확은 주로 천연산 채취에 의존하다가 채묘 및 양식 기술의 발달로 양식에 의한 채취가 가능해졌다. 피조개는 피조개를 수하식으로 양성하는 수하식 양성과 바닥에 살포하여 양성하는 바닥식 양성으로 양식된다.
피조개를 수하식으로 양성하는 경우는 바닥식 양성에 비하여 피조개의 성장이 빠르고 생잔율이 높지만 패각의 색으로 상품가치가 낮을 뿐만 아니라 비만도가 대단히 좋지 않다. 특히 피조개를 수하식으로 양성하는 경우 피조개가 철분과 같은 펄속의 유기물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여 피조개의 혈액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상품가치가 매우 떨어진다.
피조개를 바닥식으로 양성하는 경우는 불가사리와 같은 해적생물의 포식, 폐사, 살포 및 조류 등에 의한 유실로 생잔율이 떨어진다. 바닥에 살포된 피조개 치패는 거의 모든 수중동물의 먹이일 뿐만 아니라 수면위의 오리의 좋은 먹이가 된다. 따라서 살포된 치패가 생존할 확률을 매우 낮다. 뿐만 아니라 바닥식 양성의 경우 피조개의 생존율은 양식장 바닥의 펄의 오염으로 인한 폐사로 매우 떨어진다. 남해수산기술관리소의 "피조개 양식어장의 객토 효과 연구"(1998.2, 2000.2)에 따르면 양식장 바닥의 펄중의 황화수소, 암모니아성 질소 등이 피조개 폐사원인으로 들고 있다. 특히 치패는 해양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져 해양오염에 대하여 생리 적으로 매우 약하다. 따라서, 오염된 펄에 살포된 치패는 폐사될 확률이 높다. 한편 바닥에 살포된 치패는 군집을 형성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 살포 후 보통 1~2개월이 경과한 후에야 족사가 형성되어 군집된 상태로 펄에 정착하게 된다. 따라서 치패 상태로 살포되면 군집에 의한 밀식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조류 등에 의한 유실이 많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하식 양성에 의한 피조개 양식 방법과 바닥식 양성에 의한 피조개 양식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조개 치패를 소정 기간동안 양식지의 수중에서 수하식으로 중간 양성시킨 후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하여 바닥식으로 양성시킴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피조개를 양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조개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피조개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조개 치패를 일정 정도 양성시켜 살포하기 때문에 족사가 조기에 형성되어 군집을 이루지 않고 펄에 정착하도록 함으로써 피조개의 밀식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류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피조개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은, 채묘된 피조개 치패를 양식지에서 양성시키는 피조개 양식 방법에 있어서, 채묘된 피조개 치패를 용기에 담아 양식지의 수중에서 소정 기간동안 수하식으로 양성시키 는 수하양성단계와, 상기 수하양성단계에서 수하식으로 양성된 피조개를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하여 양성시키는 바닥양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의 수하양성단계에 사용되는 어구의 설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조개 양식방법의 수하양성단계에 사용되는 어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묘된 피조개 치패를 양식지에서 양성시키는 피조개 양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패채묘단계(S10), 수하양성단계(S20), 바닥양성단계(S30), 채취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치패채묘단계(S10)는 산란된 알이 부유생활을 거치면서 0.24~0.28mm 내외 크기로 자라 부유생활을 끝마치고 바닥의 조개껍질이나 해조류, 그물이나 면사 등에 쉽게 부착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그물에 부착된 5~10mm 정도의 크기로 자란 치패를 그물에서 털어 채묘한다. 채묘된 치패는 상기 수하양성단계(S20)에서 중간 양성된다.
상기 수하양성단계(S20)는 채묘된 치패를 양식지의 환경에 적응시키고 저항력으로 갖도록 소정 크기로 양성시키는 단계이다. 즉, 수하양성단계(S20)는 채묘된 피조개 치패를 용기에 담아 양식지의 수중에서 소정 기간동안 수하식으로 양성시키는 단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의 수하양성단계에 사용되는 어구의 설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조개 양식방법의 수하양성단계에 사용되는 어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채묘된 치패의 수하식 양성은 치패를 소정의 용기(1)에 담아 그 용기(1)를 양식지에 설치된 부표(2)에 매달려 수면 아래로 늘어진 로프(3)에 묶어 수중에 담가 2~3개월 정도 이루어진다. 피조개 양성에 필요한 수온과 먹이 등을 고려하면 내부에 치패가 담긴 용기(1)는 4~5m 이상의 수심에 담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결과 상기 수하양성단계(S20)에서 치패가 수하식으로 양성되는 수심에 따른 피조개의 성장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상기 용기(1)를 수심 4~5m 이상의 수심에서 양식지의 바닥까지 상기 로프(3)에 매달아 양성밀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치패를 상기 용기(1)에 담을 때는 치패끼리 부딪혀 껍질이 벗겨지거나 껍질이 엉겨붙지 않도록 치패는 상기 용기(1)에 가능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패는 저항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양식지 바닥 펄에 바로 살포되는 경우 상당수의 치패는 급격한 서식환경변화 및 펄의 오염물질에 의해 폐사될 뿐만 아니라 수중동물에 의해 쉽게 포식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수하양성단계(S20)에서 치패를 치패가 살포될 양식지의 수중에서 2~3개월간 30mm 내외의 크기로 미리 양성되기 때문에 양식지의 환경에 대하여 일정 정도 적응하게 된다. 특히, 양식지의 바닥에 비해 수중은 조류나 해류로 해수가 이동되기 때문에 치패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양식지 바닥의 오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양식지의 환경에 적응하게 된 다. 또한, 치패는 상기 용기(1)에 담겨 수중생물로부터 보호되어 양성되기 때문에 치패가 바닥에 바로 살포됨으로써 치패가 불가사리 등과 같은 수중생물에 포식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일반적으로 피조개는 40~50mm 정도의 크기로 성장되면 족사를 형성하여 부착생활을 마치고 펄에 정착하게 된다. 따라서, 5~10mm 내외의 크기에서 살포된 치패가 족사를 형성하기까지는 살포 후 상당한 기간이 소요된다. 치패는 족사가 형성되기 전까지는 살포되면 군집을 이루는 습성을 갖기 때문에 치패 상태로 펄에 살포하는 경우에는 군집에 의한 밀식의 문제가 발생될 뿐만 치패가 조류 등에 의한 유실된다. 본 발명은 치패를 2~3개월 정도 미리 수중에서 성장시켜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되기 때문에 살포된 이후 곧바로 족사를 형성하여 펄에 정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치패의 군집에 의한 밀식의 문제나 치패의 유실 문제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양성단계(S30)는 상기 수하양성단계(S20)에서 치패를 수하식으로 양성시켜 성장된 어린 피조개를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하여 성체로 양성시키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펄에는 유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피조개는 펄에 서식하면서 유기물을 섭취하여 피를 생성한다. 따라서, 피조개를 펄에서 양성시키지 않고 수중에서만 양성시키는 경우에는 생성된 피의 양이 매우 적다. 따라서 피조개가 충분한 피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조개가 충분한 기간동안 펄에서 양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에 따르면 치패를 수하식으로 양성시켜 양식지에 대한 적응력을 어느 정도 갖게된 어린 피조개를 양식지에 살포함 으로써 피조개의 생존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양식지 바닥의 펄에서 성체로 양성시킴으로써 피조개가 유기물 등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피조개를 양식할 수 있게 된다.
채취단계(S40)는 상기와 같이 성장된 피조개를 양식장 바닥에서 채취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은 피조개 치패를 소정 기간동안 양식지의 수중에서 수하식으로 중간 양성시킨 후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하여 바닥식으로 양성시킴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피조개를 양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조개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피조개 양식 방법은 치패를 직접 양식장에 살포하는 것이 아니라 피조개 치패를 일정 정도 양성시켜 살포하기 때문에 족사가 조기에 형성되어 군집을 이루지 않고 펄에 정착하도록 함으로써 피조개의 밀식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류 등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피조개 양식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채묘된 피조개 치패를 양식지에서 양성시키는 피조개 양식 방법에 있어서,
    채묘된 피조개 치패를 용기에 담아 양식지의 수중에서 2 내지 3개월 동안 수하식으로 양성시키는 수하양성단계와,
    상기 수하양성단계에서 수하식으로 양성된 피조개를 양식지의 바닥에 살포하여 양성시키는 바닥양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조개 양식 방법.
KR1020040084599A 2004-10-21 2004-10-21 피조개 양식 방법 KR100764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99A KR100764681B1 (ko) 2004-10-21 2004-10-21 피조개 양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99A KR100764681B1 (ko) 2004-10-21 2004-10-21 피조개 양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224A KR20060035224A (ko) 2006-04-26
KR100764681B1 true KR100764681B1 (ko) 2007-10-08

Family

ID=3714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599A KR100764681B1 (ko) 2004-10-21 2004-10-21 피조개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181B1 (ko) * 2008-08-21 2010-09-10 김경순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
CN103493760B (zh) * 2013-09-11 2015-05-20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增殖放流苗种运输途中成活率的模拟测试方法
CN103858800A (zh) * 2014-03-20 2014-06-18 苏州市阳澄湖现代农业产业园特种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河虾的养殖方法
CN104012439B (zh) * 2014-07-01 2015-12-09 宁德市吉星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纯天然高山淡水蛏的养殖方法
CN104585101A (zh) * 2015-02-06 2015-05-06 苏州市相城区阳澄湖镇剑成水产生态养殖专业合作社 一种白鱼的高产养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224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deiros et al. Influence of fouling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the tropical scallop, Euvola (Pecten) ziczac (L. 1758) in suspended culture
Bell et al. Restocking and stock enhancement of marine invertebrate fisheries
Jamieson et al. Potential ecological implications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European green crab, Carcinus maenas (Linneaus), to British Columbia, Canada, and Washington, USA
Pit et al. Fouling and predation; how do they affect growth and survival of the blacklip pearl oyster, Pinctada margaritifera, during nursery culture?
Southgate Pearl oyster culture
CN102318576B (zh) 松江鲈鱼全程海水繁育方法
Kosaka Scallop fisheries and aquaculture in Japan
JP2007236230A (ja) 野菜を与えるウニの養殖方法
Acarli Population, aquaculture and transplantation applications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Pinna nobilis (Linnaeus 1758) in the Mediterranean Sea
Dunham et al. Using stocking density modifications and novel growth medium to control shell deformities and biofouling in suspended culture of bivalves
Sanger et al. Guide to the salt marshes and tidal creek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KR100764681B1 (ko) 피조개 양식 방법
Smith Settlement, retention, growth, and condition in Greenshell™ mussels (Perna canaliculus) in the Hauraki Gulf
Chuku Promoting oyster culture in Ghana: Strategies for optimising seed collection and growth of crassostrea tulipa (lamarck, 1819) in coastal water bodies
JP2798382B2 (ja) 貝類養殖用海草植生シート
Kaliaperumal et al. Hand Book on Aquafarming: Seaweed, Sea Urchin and Sea-Cucumber
JP2525609B2 (ja) イセエビ類幼生の飼育方法
JP4675934B2 (ja) アワビの陸上養殖方法及び陸上養殖装置
Narasimham et al. Clam culture
Guide New Zealand to US
KR101713396B1 (ko) 갯지렁이 양식 방법
CN210538238U (zh) 一种底栖贝类苗种中间培育装置
King Fisheries in the Economy of the South Pacific
Zheng et al. Sepiella japonica
KR100464672B1 (ko) 흑진주조개의 종묘생산용 해상사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