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181B1 -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181B1
KR100981181B1 KR1020080082035A KR20080082035A KR100981181B1 KR 100981181 B1 KR100981181 B1 KR 100981181B1 KR 1020080082035 A KR1020080082035 A KR 1020080082035A KR 20080082035 A KR20080082035 A KR 20080082035A KR 100981181 B1 KR100981181 B1 KR 100981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farming
hair
benthic
bi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336A (ko
Inventor
김선탁
김경순
Original Assignee
김경순
김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순, 김선탁 filed Critical 김경순
Priority to KR102008008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1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1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planktonic larval stage)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치패(稚貝)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sediment) 속으로 들어가 저서생활을 하는 꼬막, 피조개, 새꼬막 등 돌조개과 패류와 바지락 등의 백합과 패류의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저서성 이매패류의 모패를 수집해서 육상수조에 사육하는 단계와; (b) 상기 모패의 산란을 유발하는 단계와; (c) 상기 모패가 산란한 알을 채란하는 단계와; (d) 상기 알을 부화시켜 치패로 성장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치패가 일정크기 이상 성장하면 소조 시 노출시간 2~5 시간의 간석지에 살포해서 저질로 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서성 이매패류의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채묘 및 양식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해당 종류의 양식을 가능케 하는바, 저서생활이 가능한 시기에 특정 자연환경에 살포되어 저질로 잠입한 패류들은 별도의 완류식 채묘시설이 없더라도 해수의 변화 등에 의해 좀처럼 휩쓸려갈 염려가 없어 시간이 경과되면 최초 살포지로부터 멀지않은 범위 내에서 손쉽게 많은 양을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culturing method for burrower bivalve}
본 발명은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planktonic larval stage)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치패(稚貝)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sediment) 속으로 들어가 저서(burrower)생활을 하는 꼬막, 피조개, 새꼬막 등 돌조개과와 바지락 등의 백합과 패류의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류(貝類, shell)란 연체동물(Mollusca) 가운데 석회질의 껍데기를 가진 종류를 총칭하며, 여기에는 단판강(單板綱), 다판강(多板綱)과 복족강(腹足綱)의 전새아강, 유폐아강(有肺亞綱)의 대부분 및 후새아강의 일부, 굴족강(掘足綱), 이매패강(二枚貝綱), 그리고 두족강(頭足綱)의 극히 일부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이매패류라 불리는 이매패강은 발이 도끼모양을 하고 있어 부족강(斧足綱)이라고도 하는데, 이들의 몸체는 인대(靭帶)로 연결된 좌우대칭형 껍데기로 싸여 있고, 치설(radula)이 없는 대신 입수공과 출수공을 이용해서 아가 미로 수중(水中)의 먹이를 여과하여 얻는다.
한편, 이매패류 중에서 사새목 돌조개과에 속하는 꼬막(Anadarac tegillarca granosa),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등과 진판새목 백합과에 속하는 바지락(Tapes philippinarum), 백합(Meretrix lusoria) 등은 과거로부터 우리나라 연안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대표적인 식용 이매패류로서,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planktonic larval stage)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치패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sediment) 속으로 들어가 생활을 하는 저서성(burrower)을 보인다.
때문에, 홍합과 같이 치패기부터 고착성(sessile)을 나타내는 종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채묘(採苗) 및 양식에 어려움을 나타내며, 현재로서도 자연채묘의 일종인 완류식 채묘방법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특징을 나타낸다.
이때, 완류식 채묘방법이란 치패가 쉽게, 많이 침강될 수 있도록 간석지 등에 대나무나 나뭇가지 등을 세워 해수의 흐름을 완만하게 조절해 주는 채묘방법으로, 정확한 채묘위치 선정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해수변화에 따른 손실량이 커서 양식종묘를 위한 절대량 확보가 어려운 단점을 보인다.
더욱이 요사이 들어 급격화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오염원의 유입으로 어장환경이 악화되면서 자연채묘의 양도 급격하게 줄고 있다.
일례로, 1980년 이후 생산량이 늘어 1985년 약 6만 톤에 달하는 생산량을 보인 피조개는 1988년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지만 1989년 대량폐사 이후 생산 량이 감소하여 1995년부터 중국산 종묘이식이 시도되었고, 2005년에는 127백만 마리의 수입을 승인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치패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 속으로 들어가 저서생활을 하는 꼬막, 피조개, 새꼬막 등 돌조개과와 바지락 등의 백합과 패류의 효과적인 양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육상에서 모패를 관리하여 치패를 얻은 후 일정크기 이상으로 성장하면 특정환경의 천연환경으로 살포하여 종패로 성장시키는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으로서, 효율적인 모패 관리와 적절한 살포시기 및 살포장소를 통해 최대한의 생산량을 얻을 수 있는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저서성 이매패류의 모패를 수집해서 육상수조에 사육하는 단계와; (b) 상기 모패의 산란을 유발하는 단계와; (c) 상기 모패가 산란한 알을 채란하는 단계와; (d) 상기 알을 부화시켜 치패로 성장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치패가 일정크기 이상 성장하면 소조 시 노출시간 2~5 시간의 간석지에 살포해서 저질로 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서성 이매 패류의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저서성 이매패류는 꼬막(Anadarac tegillarca granosa),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을 포함하는 사새목 돌조개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패를 24℃~26℃의 수온에서 사육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패를 3~5시간 간출 후 2~4℃ 수온을 상승시키면서 자외선조사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모패의 산란을 유발하며, 상기 (e) 단계의 상기 일정크기는 각장 230~270㎛, 각고 170~2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서성 이매패류는 바지락(Tapes philippinarum), 백합(Meretrix lusoria)을 포함하는 진판새목 백합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패를 20~30℃의 수온에서 사육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패를 30분 간출 후 3~5℃ 수온을 상승시키면서 자외선조사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모패의 산란을 유발하며, 상기 (e) 단계의 상기 일정크기는 각장 200~320㎛, 각고 190~2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치패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 속으로 들어가 저서생활을 하는 꼬막, 피조개, 새꼬막 등 돌조개과와 바지락 등의 백합과 패류의 양식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채묘 및 양식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해당 종류의 양식을 가능케 하는바, 저서생활이 가능한 시기에 살포되어 저질로 잠입한 패류 들은 별도의 완류식 채묘시설이 없더라도 해수의 변화 등에 의해 좀처럼 휩쓸려갈 염려가 없어 시간이 경과되면 최초 살포지로부터 멀지않은 범위 내에서 손쉽게 많은 양을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될 몇 가지 용어를 살펴보면, 도 1은 임의의 이매패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여기에 나타난 것처럼 각장(殼長, shell length)은 이매패류의 앞뒤 간 최대거리를 의미하고, 각고(殼高, shell height)는 이매패류의 등배 간 최대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사륵(放射肋)이란 꼬막 등의 바닷조개 껍데기에 나있는 부채살 형태의 요철무늬를 의미하는바, 그 외 당업자에게 자명한 용어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며 그 해석에는 사전적, 통상적 의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돌조개과의 꼬막과 백합과의 바지락을 예로 들지만 각각의 내용은 해당과의 다른 종류에도 적용 가능하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이하, 간략하게 양식방법이라 한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양식방법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저서성 이매패류의 모패(母貝)를 수집한 후 해수가 저장된 육상수조로 옮겨 사육한다.(st1)
이때, 모패로는 사새목 돌조개과에 속하는 꼬막, 피조개, 새꼬막이나 진판새목 백합과에 속하는 바지락, 백합 등이 될 수 있고, 그 밖에도 유생기부터 비부착 성의 부유유생생활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치패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 속으로 들어가 저서생활을 하는 모든 종류가 가능하다.
아울러, 모패의 수집에는 암수의 비율을 1:0.5~1:0.9 정도로 적절히 고려할 수 있으며, 꼬막을 예로 들면 바람직하게는 각장 34.7~38.2mm, 각고 26.4~29.3mm, 껍데기를 포함한 전체중량 14.1~18.9g, 껍데기를 제외한 몸체중량 3.0~4.1g, 방사륵 수 16~20개, 연령 4~5년생의 튼튼한 성패를 선택한다.
또한, 육상수조는 수온 25±5 ℃로서 꼬막 등의 경우에는 24~26℃, 바지락 등의 경우에는 21~23℃ 정도를 유지하면서 20일 이상 사육한다.
다음으로, 모패가 육상수조에 충분히 적응하면 산란을 유발한다.(st2)
이때, 일반적인 패류의 산란 유발 방법으로는 일정 시간 동안 물 밖에 노출시키는 간출자극, 수온을 조절하는 수온자극, 자외선을 조사한 해수를 혼합하는 해수자외선조사자극 이외에도 정충 해수 첨가, PH 조절, 세로토닌 주사, 과산화수소수(H2O2)나 오존을 첨가한 해수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간출자극과 수온자극 및 해수자외선조사자극의 방법을 사용한다.
즉, 꼬막의 경우에는 4시간 정도 그늘에 간출 후 육상수조에 넣은 다음 수온을 2~4℃ 상승시키면서 자외선조사해수를 유입하여 산란을 유도하고, 바지락의 경우에는 껍데기 표면이 마를 때까지 30분 정도 햇볕이 드는 곳에 간출 후 육상수조에 넣은 다음 수온을 3~5℃ 상승시키면서 자외선조사해수를 유입하여 산란을 유도한다. 이 같은 방법을 통해 본 출원인은 방란율 93%, 방정률 80%, 수정률 90% 이상 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수정된 모패의 알을 채란하여 별도의 육상수조로 옮긴다.(st3)
이때, 필요하다면 유사시기에 방란된 알 만을 모아 활력이 좋은 정자로 수정시킨 후 깨끗한 물로 3~4회 세란(洗卵)을 할 수 있는데, 꼬막의 경우 산란 직후 알 크기는 60.2±4.4mm의 원형분리 침성란 형태를 나타내고, 바지락의 경우 산란 직후 알 크기는 63.5±1.9mm의 원형분리 침성란 형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여러 가지 조건, 예컨대 염분, 수온, 조도 등을 조절해서 수정된 알을 부화시키고 치패로 성장하도록 육상 관리한다. (st4, st5)
이때, 꼬막과 바지락 알은 각각 담륜자(trochophora larva)로 부화하여 D형 유생을 성장한 후 전기 각정기와 중기 각정기와 후기 각정기를 차례로 거치는바, 부화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염분과 수온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본 출원인의 실험결과 꼬막과 바지락 모두 염분 32.4, 수온 35℃ 에서 9.5시간으로 가장 빠른 부화시간을 보였다.
또한 유생의 발생 및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수온, 조도, 염분 등을 조절할 수 있는데, 꼬막의 경우 유생성장에 알맞은 수온은 30~32℃, 조도는 500~1500(LUX)이고, 유생발생에 알맞은 수온은 25~35℃으로 28~30℃가 최적이며, 염분 16.54~30.02으로 16.54~23.38 최적이고, 최대 생장에 적합한 염분은 10.01~30.02으로 10.01~23.38 최적이다. 그리고 바지락의 경우 유생성장에 알맞은 수온은 21~23℃, 조도는 500~1500(LUX)인 것으로 본 출원인의 시험결과 밝혀졌다.
다음으로, 치패가 일정크기로 성장하면 살포(또는 이식)한다.(st6)
이때, 치패는 저서생활이 가능한 크기까지 육상수조에서 관리 및 사육한 후 살포하는데, 꼬막의 경우에 부화 후 약 22일이 지나면 각장 240.3㎛, 각고 187.2㎛로 자라나 저서생활기로 접어들고, 바지락의 경우에 부화 후 약 25일이 지나면 각장 200~230㎛, 각고 190~220㎛로 자라나 저서생활기에 접어든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꼬막의 경우에 각장 230~270㎛, 각고 170~210㎛, 바지락의 경우에 각장 200~320㎛, 각고 190~220㎛인 것을 수집하여 살포하며, 해당 크기일 때 치패의 생존률이 높고 가장 높은 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치패의 살포에 알맞은 시기는 밀물이 가장 낮아 썰물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소조(小潮), 다시 말해 조금이 가장 적절하며, 살포장소로는 노출시간 2~5시간의 간석지가 될 수 있고, 일정크기의 치패를 해당 장소에 뿌려 저질로 잠입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간석지는 지반변동이 적고 진흙과 비교해서 모래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아 잠입이 유리한 곳이 알맞은데, 바람직하게는 진흙 대비 모래 성분이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환경에서는 저서생활이 가능한 꼬막과 바지락 치패가 쉽게 저질로 잠입 및 성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이후에는 저서생활 중인 바지락과 꼬막의 생장상태를 살펴보면서 종묘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을 때 채취하게 되며, 저서생활에 접어든 꼬막과 바지락 등은 별도의 완류식 채묘시설이 없더라도 해수의 변화 등에 의해 좀처럼 휩쓸려갈 염려가 없어 최초 살포지로부터 멀지않은 범위 내에서 손쉽게 많은 양을 채취할 수 있다.
즉,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본 발명은 육상수조에서 사육된 모패로부터 알 을 얻어 부화시킨 후 여러 가지 조건을 조절하여 일정크기 이상 육상 관리된 치패를 특정환경의 살포지에 특정시기에 살포하는 것인바,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다소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즉, 모패의 사육, 산란의 유발, 부화, 치패의 성장에 필요한 조건 등은 목적에 따라 다소의 변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만족시킨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는 쉽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임의의 이매패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5)

  1. (a) 저서성 이매패류의 모패를 수집해서 육상수조에 사육하는 단계와;
    (b) 상기 모패의 산란을 유발하는 단계와;
    (c) 상기 모패가 산란한 알을 채란하는 단계와;
    (d) 상기 알을 부화시켜 치패로 성장시키는 단계와;
    (e) 상기 치패가 일정크기 이상 성장하면 소조 시 노출시간 2~5 시간의 간석지에 살포해서 저질로 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서성 이매패류의 양식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서성 이매패류는 꼬막(Anadarac tegillarca granosa),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을 포함하는 사새목 돌조개과인 저서성 이매패류의 양식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패를 24℃~26℃의 수온에서 사육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패를 3~5시간 간출 후 2~4℃ 수온을 상승시키면서 자외선조사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모패의 산란을 유발하며,
    상기 (e) 단계의 상기 일정크기는 각장 230~270㎛, 각고 170~210㎛인 저서성 이매패류의 양식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서성 이매패류는 바지락(Tapes philippinarum), 백합(Meretrix lusoria)을 포함하는 진판새목 백합과인 저서성 이매패류의 양식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패를 20~30℃의 수온에서 사육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패를 30분 간출 후 3~5℃ 수온을 상승시키면서 자외선조사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모패의 산란을 유발하며,
    상기 (e) 단계의 상기 일정크기는 각장 200~320㎛, 각고 190~220㎛ 인 저서성 이매패류의 양식방법.
KR1020080082035A 2008-08-21 2008-08-21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81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35A KR100981181B1 (ko) 2008-08-21 2008-08-21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35A KR100981181B1 (ko) 2008-08-21 2008-08-21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36A KR20100023336A (ko) 2010-03-04
KR100981181B1 true KR100981181B1 (ko) 2010-09-10

Family

ID=4217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0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1181B1 (ko) 2008-08-21 2008-08-21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150B1 (ko) 2011-10-14 2012-03-05 전라남도 해수분사에 의한 새꼬막 인공종묘의 생산 방법
KR101632849B1 (ko) 2015-12-31 2016-06-23 전라남도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49B1 (ko) * 2011-11-14 2014-03-10 김상철 가리맛조개의 인공종묘 대량생산 방법
CN115005136B (zh) * 2022-05-25 2023-03-21 中国科学院烟台海岸带研究所 一种北方沿海毛蚶耐高温品系的高效养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373A (ko) * 1995-12-19 1997-07-22 이대일 전복종묘의 양식방법
KR20060035224A (ko) * 2004-10-21 2006-04-26 김천회 피조개 양식 방법
KR20080046384A (ko) * 2006-11-22 2008-05-27 김철중 피조개 치패의 중간육성방법 및 그의 장치
JP2008206437A (ja) 2007-02-26 2008-09-11 Kume Sangyo:Kk カキの養殖法およびカ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373A (ko) * 1995-12-19 1997-07-22 이대일 전복종묘의 양식방법
KR20060035224A (ko) * 2004-10-21 2006-04-26 김천회 피조개 양식 방법
KR20080046384A (ko) * 2006-11-22 2008-05-27 김철중 피조개 치패의 중간육성방법 및 그의 장치
JP2008206437A (ja) 2007-02-26 2008-09-11 Kume Sangyo:Kk カキの養殖法およびカ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150B1 (ko) 2011-10-14 2012-03-05 전라남도 해수분사에 의한 새꼬막 인공종묘의 생산 방법
KR101632849B1 (ko) 2015-12-31 2016-06-23 전라남도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36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98166B (zh) 一种华南沿海香港牡蛎室内大规模人工繁育方法
CN101411311A (zh) 松江鲈鱼苗种的生产方法
CN111436391B (zh) 一种使拟穴青蟹苗种适应盐碱地水域养殖的驯化方法
Seeliger The Patos Lagoon Estuary, Brazil
CN103314895A (zh) 一种哈氏仿对虾人工繁育方法
CN103563861B (zh) 双齿围沙蚕全人工繁养工艺
CN111183933A (zh) 一种黑斑石斑鱼的室内水泥池人工育苗方法
CN104957069A (zh) 一种多功能型海参养殖方法
KR100981181B1 (ko) 저서성 이매패류 양식방법
CN100420373C (zh) 一种疣吻沙蚕的培育方法
CN100527953C (zh) 一种双齿围沙蚕人工育苗的方法
CN101743915B (zh) 中华鲟仔稚幼鱼弱苗的体质强化培育方法
CN104642089B (zh) 一种江蓠与石斑鱼的混养方法
Renbo et al. Breeding and culture of th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Liao
CN114304011B (zh) 一种法螺稚贝培育方法
Nie The culture of marine bivalve mollusks in China
CN102524116A (zh) 中华仙影海葵人工繁殖方法
CN101855999B (zh) 一种双壳贝类的选育方法
CN103478056B (zh) 一种提高大珠母贝亲本配子排放率的方法
CN102210272A (zh) 一种河口型海湾海参池塘养殖方法
CN1739345A (zh) 高位池驯化和养殖方法
KR100491210B1 (ko) 가시파래 양식법
CN115281129B (zh) 一种大竹蛏分步式水泥池养殖方法
CN117898226B (zh) 一种西施舌的人工繁育方法
CN109220599A (zh) 一种芦苇速生高产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